하산호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산호 전투는 1938년 7월과 8월에 걸쳐 소련과 일본 제국 사이에서 벌어진 국경 분쟁이다. 만주 지역의 세력 다툼과 장고봉 고지를 둘러싼 갈등이 배경이 되었으며, 소련은 장고봉 고지를 점령하려 했고, 일본은 이를 자국 영토 침략으로 간주하여 반격에 나섰다. 전투는 소련의 승리로 끝났으며, 소련군은 전차와 항공기를 동원한 압도적인 화력을 보여주었다. 이 전투는 일본군에게 기계화된 적군의 위력을 실감하게 했고, 이후 할힌골 전투와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의 패배에 영향을 미쳤다. 하산호 전투 이후, 소련은 군사적 자신감을 얻고 극동 지역 방어 강화를 위한 노력을 가속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8년 8월 - 제6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제6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는 1938년 주세페 볼피 디 미수라타의 주도로 개최되었고, 레니 리펜슈탈의 《올림피아》가 최고상인 무솔리니 컵을 받았으며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가 특별상을, 레슬리 하워드와 노마 셔러가 각각 남녀 연기상을 수상했다.
| 하산호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명칭 (러시아어) | 하산스키예 보이 (Хасанские бои) |
| 명칭 (중국어 간체) | 장구펑 사건 (张鼓峰事件) |
| 명칭 (중국어 병음) | Zhānggǔfēng Shìjiàn |
| 명칭 (일본어) | 초코호 지켄 (張鼓峰事件) |
| 위치 | 하산호,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팡촨, 만주국 및 라선, 한국, 일본 제국 근처) |
| 분쟁의 일부 | 소련-일본 국경 분쟁 |
| 전투 정보 | |
| 날짜 | 1938년 7월 29일 – 1938년 8월 11일 |
| 결과 | 휴전 |
| 영토 변경 | 일본은 분쟁 지역에서 군대를 철수하기로 합의함 소련-일본 국경이 두만강으로 설정됨 |
| 교전 세력 | |
| 교전국 2 | |
| 지휘관 | |
| 소련군 지휘관 | 바실리 블류헤르 니콜라이 베르자린 그리고리 슈테른 |
| 일본군 지휘관 | 오다카 카메조 사토 고토쿠 |
| 부대 정보 | |
| 소련군 부대 | 소련 국경 수비대 |
| 병력 규모 | |
| 소련군 병력 | 22,950명 354대 탱크 13대 자주포 237문 포 70대 전투기 180대 폭격기 |
| 일본군 병력 | 7,000–7,300명 37문 포 |
| 사상자 규모 | |
| 소련군 사상자 | 792명 사망 및 실종 3,279명 부상 또는 질병 46대 이상 탱크 파괴 (소련 측 자료) 96대 탱크 파괴 또는 손상 (일본 측 자료) |
| 일본군 사상자 | 526명 사망 (일본 측 자료) 913명 부상 (일본 측 자료) 3000명 사망 및 실종 (소련 측 주장) |
2. 배경
20세기 전반 소련(러시아)과 만주국 및 대일본제국은 현재의 중국 동북부 국경을 둘러싸고 긴장 상태가 높았다. 중국 동북부(만주)에는 만주와 극동 러시아를 잇는 동청철도와 그 남쪽 지선인 남만주철도가 있었다.
1938년 7월, 소련 국경경비대가 장고봉 고지에 진지를 구축하기 시작하자, 일본은 이를 자국 영토에 대한 침략으로 간주하고 철수를 요구했다.[17] 7월 15일, 일본은 모스크바 주재 대사관을 통해 공식적으로 항의했으나, 소련은 이를 부인했다.[18]
남만주철도는 러일 전쟁과 중일 전쟁, 일소 국경 분쟁의 원인이자 무대였다. 1929년 중소 분쟁, 1931년 만주 사변 등이 대표적이다. 장고봉 사건은 이러한 불신 속에 일본과 소련이 충돌한 사건이다.
장고봉은 만주국 영토가 대일본제국 조선과 소련 영토 사이에 쐐기처럼 들어간 곳에 있는 해발 150m의 구릉이다. 두만강 서쪽, 하산 호 동쪽에 위치했다.
당시 소련과 만주국·일본은 국경선에 대한 인식이 달랐다. 소련은 러시아 제국과 청 사이의 베이징 조약에 따라 국경선이 장고봉 정상을 통과한다고 보았다. 반면 일본은 장고봉 일대가 만주 영토이며, 소련이 국경선을 왜곡하고 표식을 조작했다고 주장했다. 조선군 제19사단은 이 지역을 국경 불확정 지대로 간주하여 병력을 배치하지 않았다.[37]
3. 전투 전개
7월 29일, 일본군은 사초봉(베지먀나야 고지)에서 소련군을 공격하여 격퇴했으나,[22] 7월 31일 장고봉에서 벌어진 전투에서는 소련군에 밀려 후퇴했다.[22] 이후 소련군은 바실리 블류헤르 원수의 지휘 아래 대규모 병력과 화력을 동원하여 반격에 나섰다.
8월 2일부터 9일까지 벌어진 전투에서 일본군은 소련군에 큰 피해를 입고 밀려났다. 일본군은 소련군의 압도적인 화력에 밀려 고전했다. 특히, 소련군은 전차와 항공기를 동원하여 일본군 진지를 공격했다. 일본군은 야간 기습과 백병전을 통해 저항했지만, 결국 소련군의 공세를 막아내지 못했다.[25] 8월 6일, 소련군은 여러 차례의 폭격과 포격 지원을 통해 일본군 진지를 공격했다. 험난한 지형으로 인해 소련군 전차는 큰 피해를 입었지만, 측면 공격을 통해 일본군을 밀어냈다.[26]
8월 10일, 일본은 미국에 중재를 요청하며 평화 협상을 제안했다.[28][29] 8월 11일, 양측은 모스크바에서 정전 협정을 체결하고 전투를 중단했다.[30][31]


3. 1. 전력 비교
| 구분 | 소련군 | 일본군 |
|---|---|---|
| 병력 | 제39소총군단을 중심으로 제32, 제39, 제40소총사단, 제2기계화여단, 2개 전차대대 등[20] | 제19사단을 주력으로, 만주국군 일부[20] |
| 지휘관 | 극동 전선 사령관 바실리 블류헤르[25] | 보병 제75연대장 사토 고토쿠 대령[21] |
| 전차 및 자주포 | 총 354대 (T-26 전차 257대 (KhT-26 화염 방사 전차 10대 포함), ST-26 교량 전차 3대, BT-7 경전차 81대, SU-5-2 자주포 13대)[24] | 없음 (임시 장갑 열차는 병력 수송용[23]) |
| 특징 | 전차와 항공기 등에서 압도적인 우위 | 보병 중심의 전력, 낮은 기계화 수준 |
전반적으로 소련군은 일본군에 비해 화력에서 우위를 보였다. 일본 포병 지휘관은 소련군이 일본군이 전투 기간 전체 동안 발사한 포탄보다 더 많은 포탄을 하루에 발사했다고 언급했다.[25]
4. 결과 및 영향
소련군은 이 전투에서 승리하여 장고봉 고지를 점령했다. 그러나 소련군 역시 큰 피해를 입었다. 소련 측 기록에 따르면, 소련군은 전사 또는 실종 792명, 부상 또는 질병 3,279명의 피해를 입었다.[34] 일본 측 자료에 따르면, 일본군은 전사 526명, 부상 914명의 피해를 입었다.[34]
이 전투의 지휘 책임을 물어 바실리 블류헤르 원수가 숙청되었다.[38] 그는 전투 초기 국경 분쟁 확대를 반대하고, 자국 국경 경비대의 월경 행위를 비판했으나, 스탈린의 분노를 사 체포되어 처형되었다.[38]
하산 호 전투는 일본군에게 기계화된 적군의 위력을 실감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일본군은 중일 전쟁에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기계화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했다. 이는 이후 할힌골 전투와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군이 고전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한편, 하산 호 전투는 국제적으로 고립되어 있던 소련에게 군사적 자신감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일본의 팽창 정책에 대한 경계심을 높이고, 극동 지역 방어 강화를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5. 한국과의 관계
장고봉 고지는 당시 일본의 식민지였던 조선의 영토와 인접해 있었다. 전투는 조선의 경원군 등지에서 관측될 정도로 가까운 거리에서 벌어졌다.[17] 일본 조선군 예하 제19사단이 전투에 투입되었다.[37] 이는 조선이 일본의 군사적 전초기지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전투 과정에서 소련군 항공기가 조선 영공을 침범하기도 했다.
참조
[1]
간행물
Хасанский конфликт
2013
[2]
서적
В пламени и славе. Очерки истории Краснознамённого Сибирского военного округа
Новосибирское кн. изд-во
1988
[3]
서적
История Китая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ён до начала XXI века (в 10 томах). Том VII. Китай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1912 - 1949)
Наука - Восто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2013
[4]
서적
Nomonhan, 1939: The Red Army's Victory that Shaped World War II
Naval Institute Press
2012
[5]
서적
Nomonhan: Japan against Russi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5
[6]
웹사이트
SOVIET ARMED FORCES LOSSES IN WARS,COMBAT OPERATIONS MILITARY CONFLICTS
http://documents.the[...]
MOSCOW MILITARY PUBLISHING HOUSE
2015-06-21
[7]
서적
Military Effective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8]
서적
Nomonha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9]
웹사이트
SOVIET ARMED FORCES LOSSES IN WARS,COMBAT OPERATIONS MILITARY CONFLICTS
http://documents.the[...]
MOSCOW MILITARY PUBLISHING HOUSE
2015-06-21
[10]
간행물
Legkiy tank T-26 (Light Tank T-26)
2003
[11]
학술지
The Lake Khasan Affair of 1938: Overview and Lessons
1973-07
[12]
학술지
The Lake Khasan Affair of 1938: Overview and Lessons
1973-07
[13]
서적
In the Fire of Khasan and Khalkhin-Gol
1984
[14]
학술지
The Lake Khasan Affair of 1938: Overview and Lessons
1973-07
[15]
웹사이트
Military History Online
http://www.militaryh[...]
2015-09-14
[16]
문서
Region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The Tumen River Area Development Program, 1990-2000: In Search of a model for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17]
서적
Nomonha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18]
뉴스
Провокация Сталина. Как из провала у озера Хасан сделали победу
https://www.svoboda.[...]
Radio Svoboda
2023-09-07
[19]
웹사이트
Озеро Хасан -1938 г. из истории Хасанских боев
http://prim-hasan.ru[...]
Khasan Region Museum
2018
[20]
서적
The Soviet High Command
MacMillan & Co. Ltd
1962
[21]
서적
Nomonha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22]
서적
Nomonha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23]
서적
Nomonha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24]
간행물
Legkiy tank T-26 (Light Tank T-26)
2003
[25]
서적
Nomonha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26]
서적
The Red Army and the Second World War
2017
[27]
간행물
Legkiy tank T-26 (Light Tank T-26)
2003
[28]
서적
Хасан
1976
[29]
서적
«Кантокуэн» — «Барбаросса» по-японски. Почему Япония не напала на СССР
Вече
2011
[30]
서적
Nomonhan, 1939: The Red Army's Victory that Shaped World War II
Naval Institute Press
2012
[31]
뉴스
О событиях в районе озера Хасан
1938-08-12
[32]
서적
Хасан
1974
[33]
서적
50 лет Вооружённым силам СССР, 1918 — 1968
Воениздат
1968
[34]
서적
Nomonha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35]
백과사전
Great Russian Encyclopedia
Bol'shaya Rossiyskaya enciklopediya
2005
[36]
웹사이트
Indictment from the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for the Far East
https://web.archive.[...]
2016-06-28
[37]
서적
大陸縦断
https://books.google[...]
[38]
서적
ユーラシアブックレット174 スターリンの赤軍粛清
東洋書店
[39]
서적
Nomonhan
Stanford University Press
[40]
서적
The Soviet High Command
MacMillan & Co. Ltd
[41]
문서
소련군의 T-26, BT-5, SU-5 전차 투입 및 손실 보고
[42]
서적
Хасан
Воениздат
[43]
서적
≪Кантокуэн≫ ? ≪Барбаросса≫ по-японски. Почему Япония не напала на СССР.
Вече
[44]
웹사이트
SOVIET ARMED FORCES LOSSES IN WARS,COMBAT OPERATIONS MILITARY CONFLICTS
http://documents.the[...]
MOSCOW MILITARY PUBLISHING HOUSE
2013-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