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릉은 지형학적으로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지형으로, 평야와 산지의 중간적인 형태를 띤다. 다양한 침식의 형태를 보이며, 지역에 따라 농업, 혼합림, 초원 등으로 이용된다. 한국에서는 국토지리원의 기준에 따라 정의되며, 수도권 집중 완화 및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세계적으로는 'Hügelland'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오스트리아, 독일, 스위스 등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구릉 | |
---|---|
지리 정보 | |
정의 | |
설명 | 낮고 완만한 언덕으로 이루어진 지형 |
특징 | |
지형 | 낮은 언덕들이 연속적으로 펼쳐져 있는 지형 |
고도 | 낮은 편 |
경사 | 완만함 |
형성 과정 | 침식 작용이나 지각 운동으로 형성 |
활용 | |
농업 | 경작지로 활용될 수 있음 |
목축업 | 목초지로 활용될 수 있음 |
거주지 | 취락이 형성되기도 함 |
기타 | |
관련 용어 | 언덕 산 평야 |
2. 구조 및 특징
구릉은 지형학적으로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구릉은 고원이나 저지 주변, 또는 산지 가장자리에 있는 평야와 산지의 중간 지형으로 정의한다.[11] 그러나 이는 관습적이고 감각적인 정의로 여겨진다.[11]
골짜기 밀도와 표고차를 기준으로 구릉을 정의하기도 하는데, 표고차 80m 이하를 평정구릉, 80m 이상을 능선구릉으로 나누기도 한다.[11]
국토지리원은 1990년 『신판 일본국세지도』에서 구릉을 "골짜기가 발달하고, 정상부가 둥글며, 원칙적으로 능선이 등고선을 나타내는 산지로, 저지와의 비고는 약 300미터 이하"라고 정의했다.[12]
2. 1. 지형적 특징
구릉 지형은 구조적, 지형학적으로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려운 요소들이 많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지형적으로 산이나 구릉지대처럼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 다양한 침식 작용을 보이며, 사면의 방위가 모든 방향을 향한다.
- 구릉지대나 산악 지형에서 흔히 나타나는 평행한 수로는 드물게 나타난다.
- 정착지는 계곡이나 고지대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는 겨울철 햇볕이 잘 드는 곳, 바람을 피할 수 있는 풍하 지역, 그리고 과거 방어에 유리한 위치 등을 고려한 결과이다.
- 경작지는 토양 종류, 지역 기후, 지하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 지형 형성은 구릉과 산의 지형 형성과는 다른 지질학적 원인을 갖는 경우가 많다.
구릉과 산은 습곡이나 단층선을 따라 지각의 약한 부분이 형성된 후, 강이 그 위를 흐르면서 만들어진다. 이는 평행한 패턴을 만들고, 침식을 통해 더욱 규칙적인 모양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구릉 지형은 이러한 특성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11]
일반적으로 구릉은 평야와 산지의 중간적인 지형으로, 고원이나 저지의 주변, 또는 산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11] 골짜기 밀도와 표고차를 기준으로 구릉을 정의하기도 하는데, 표고차 80m 이하를 평정구릉, 80m 이상을 능선구릉으로 나누는 연구도 있다.[11]
국토지리원은 1990년에 발행한 『신판 일본국세지도』에서 구릉을 "골짜기가 잘 발달하고, 정상부가 둥글며, 원칙적으로 능선이 등고선을 나타내는 산지로, 저지와의 비고는 약 300미터 이하"라고 정의했다.[12]
2. 2. 토지 이용
경작지는 토양 종류, 지역 기후 및 지하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완만한 구릉은 농업에 적합하며, 혼합림, 목초지, 경작지, 과수원 등이 생울타리로 나뉘어 다채로운 모습을 보인다. 숲, 생울타리, 연못, 마을 등이 모자이크처럼 분포한다.2. 3. 지질학적 특징
구릉과 산은 습곡이나 단층선을 따라 형성되는 산과 달리, 평행한 패턴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11] 이는 지각의 약한 부분이 강에 의해 침식되면서 형성되는 산맥과는 다른 지질학적 원인을 가지기 때문이다. 구릉 지형은 다양한 침식 작용을 받아, 사면의 방위가 나침반의 모든 방향을 향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구릉지대나 산악 지형에서 흔히 나타나는 평행한 수로도 드물게 나타난다.[12]3. 세계의 구릉
세계 각지에는 'Hügelland'(독일어로 '언덕 지대'를 의미)라는 단어가 포함된 고유 지명을 가진 구릉 지역이 존재한다.
- 러시아
- 발다이 구릉
- 오스트레일리아
- 탄데농 구릉
- 미국
- 텍사스 힐 컨트리
- 일본
- 시오야 구릉, 사야마 구릉, 다마 구릉
- 영국
- 체비엇 산맥
- 코츠월즈
- 칠턴힐스
- 멘딥힐스
- 노스다운스
- 사우스다운스
- 독일
- 슈바비셔알프
- 타우누스 산맥
3. 1. 아시아


3. 2. 유럽
Hügellandde를 고유 명칭에 포함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여러 지역은 영어식 이름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국가 | 지역 |
---|---|
오스트리아 | 부르겐란트 마테르스부르거 휘겔란트[5], 슈타이어마르크 오스트슈타이어리쉬 휘겔란트 |
독일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아아헨 휘겔란트, 라인란트-팔츠 알차이어 휘겔란트,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안겔너 휘겔란트, 작센 미텔작시쉬 휘겔란트, 튀링겐 노르트튀링거 휘겔란트, 니더작센 오스트브라운슈바이히쉬 휘겔란트,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 휘겔란트[6], 바이에른 슈팔터 휘겔란트, 바이에른 운터바이어리쉬 휘겔란트 |
스위스 | 프라이부르거 휘겔란트 |
- 오스트리아
- 상오스트리아주: 인비어텔, 하우스루크비어텔
- 하오스트리아주: 부클리게 벨트, 모스트피어텔 일부, 바인피어텔, 비너발트제
- 남부 부르겐란트주
- 남동부 카린티아
- 독일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야그스트-리스, 크라이히가우
- 바이에른주: 북부 상프랑켄주의 하슬라허베르크케테, 중프랑켄주, 상슈바벤주
- 브란덴부르크주/작센안할트주: 플뢰밍
- 라인란트팔츠주: 라인헤세
- 니더작센주: 뤼네부르크 석남지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발트 고지, 펠트베르크 호수 지방, 메클렌부르크 스위스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바움베르게 및 베쿰 힐스, 뮌스터란트
- 작센주: 하부 루사티아, 북부 작센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홀슈타인 스위스, 휘텐 힐스
- 이탈리아
- 피에몬테주 토리노와 리구리아 알프스 사이의 랑게
- 폴란드
- 포메라니아 호수 지대, 프러시안-, 발트 고지
- 하부 실레시아, 우치 지역
- 스위스
- 쥐라 일부
- 스위스 고원, 납프
- 헝가리, 루마니아, 세르비아
- 괴체이, 라아브탈, 발라톤 남부, 부다 언덕, 젬플린
- 슬라보니아, 바치카, 바나트, 트란실바니아, 도브루자
- 독일
- 슈바비셔알프
- 타우누스 산맥
- 영국
- 체비엇 산맥
- 코츠월즈
- 칠턴힐스
- 멘딥힐스
- 노스다운스
- 사우스다운스
3. 3. 북아메리카
- 텍사스 힐 컨트리 (미국)
3. 4.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의 탄데농 구릉3. 5.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르완다는 그 특징이 프랑스어 이름인 '천 개의 언덕의 땅'으로 표현된다.[7][8]4. 유사 개념
스웨덴에서는 1960년 스텐 루드베르그가 구릉성 언덕 지대(bergkullterrängsv)라는 개념을 만들어냈다.[9] 스웨덴어 문맥에서 이는 협곡 지형, 캄브리아기 이전 평야, 잔구성 언덕이 있는 평원과 대조되는 발트 해 방패의 결정질 암석으로 이루어진 구릉 지대를 의미한다.[9] 스웨덴 남부에서는 구릉성 언덕 지대가 중생대 이전 구릉 평야와 일치하는데, 이는 중생대 동안 따뜻하고 습한 기후에서 풍화 작용으로 형성된 고대 지표면이다.[10]
참조
[1]
서적
Ratingen: Die Schönsten Seiten - At Its Best
Sutton
[2]
서적
Dictionary of Logistics
Springer
[3]
서적
Wörterbuch der Biologie
Springer
[4]
서적
Die geographischen Grundlagen und des Wirtschaftslebens
Frankh
[5]
웹사이트
Mattersburger Hügelland (Mattersburg Hills)
http://www.naturschu[...]
2016-07-19
[6]
간행물
Final report on the classification of geographical books and maps
[7]
보고서
Cadre de Gestion Environnementale et Sociale (CGES) pour le Projet d'Infrastructures et de Gestion Urbaine: Rapport Provisoire
http://documents.wor[...]
Ministere des infrastructures
2004-01-28
[8]
서적
Gender, Conflict and Peacekeeping
Rowman
[9]
학술지
Relief and saprolites through time on the Baltic Shield
[10]
학술지
Stratigraphic Landscape Analysis and geomorphological paradigms: Scandinavia as an example of Phanerozoic uplift and subsidence
[11]
학술지
谷密度と起伏量による丘陵の定義
https://www.jstage.j[...]
[12]
웹사이트
국토의 정보에 관한 Q&A Q2.12:산지, 산맥, 고지 등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https://www.gsi.go.j[...]
국토지리원
2024-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