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파충류는 거북, 도마뱀, 뱀을 포함하며, 다양한 종이 서식한다. 거북은 바다거북과, 장수거북과, 자라과, 남생이과, 늪거북과(붉은귀거북과), 늑대거북과 등으로 나뉘며, 도마뱀은 도마뱀과, 장지뱀과, 도마뱀붙이과가 있다. 뱀은 뱀과, 살무사과, 코브라과에 속하는 종이 발견되며, 각 종의 분포와 특징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한국의 동물상 목록 - 한국의 포유동물 한국의 포유동물은 다양한 목에 속하는 100여 종 이상을 포함하며, 한반도의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고 멸종 위기에 놓인 종도 존재하며 한국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한국의 동물상 목록 - 한반도 개미의 종류 한반도에는 침개미아과, 톱니침개미, 붉은 불개미, 두배자루마디개미아과, 불개미아과 등 다양한 아과에 속하는 여러 종류의 개미가 서식하며, 이들의 특징, 서식지, 생태적 역할이 이 문서에서 다루어진다.
아시아의 파충류 - 도마뱀 도마뱀은 한국과 일본 쓰시마섬에 분포하는 파충류로, 짧은 다리와 긴 꼬리, 얼룩무늬와 흑갈색 줄무늬를 가진 난생 육식 동물이며, 이름은 꼬리가 끊어지는 모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시아의 파충류 - 장수거북 장수거북은 바다거북목에 속하는 현존하는 가장 큰 거북 종으로, 가죽 같은 피부와 작은 골편으로 덮인 등딱지를 가지며,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여 해파리를 주로 먹고 살지만, 플라스틱 섭취로 멸종 위기에 놓여 국제적인 종 보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의 파충류 - 도마뱀붙이 도마뱀붙이는 발가락 밑판으로 수직면을 이동하는 몸길이 10~14cm의 야행성 파충류로, 한국, 일본, 중국 동부 등에 분포하며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고, 곤충을 먹으며 민가 주변에 서식하고, 길조 또는 불쾌한 생물로 여겨지거나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한국의 파충류 - 도마뱀 도마뱀은 한국과 일본 쓰시마섬에 분포하는 파충류로, 짧은 다리와 긴 꼬리, 얼룩무늬와 흑갈색 줄무늬를 가진 난생 육식 동물이며, 이름은 꼬리가 끊어지는 모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에 서식하는 뱀은 크게 뱀과, 살무사과, 코브라과의 세 과로 분류된다. 뱀과에는 누룩뱀, 구렁이, 유혈목이 등 다양한 종류가 포함되며, 한반도 전역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견된다. 살무사과는 살무사, 까치살무사, 쇠살무사 등을 포함하며, 독을 가지고 있어 주의가 필요한 종들이다. 코브라과에 속하는 뱀들은 주로 바다에서 생활하는 바다뱀, 먹대가리바다뱀, 얼룩바다뱀 등이 있다. 각 과에 속하는 뱀들의 구체적인 종류와 분포, 특징 등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뱀과
학명
명명자
영어 일반명칭
한국어 일반명칭
분포
디노돈 루포조나툼 루포조나툼[1]
칸토르
Red-banded snake
능구렁이
한반도 전역
엘라페 다비디[2]
소바지, 1884
David's ratsnake
세줄무늬뱀
북한에서 발견되었으며, 대한민국 북서부 인접 지역에서도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됨
엘라페 디오네[3]
팔라스
Steppe rat snake or Dione rat snake
누룩뱀, 시루레기, 밀뱀
한반도 전역에 걸쳐 서식
엘라페 슈렌키, 엘라페 아노말라[4]
스트라우흐
Amur rat snake, Korean rat snake, Russian rat snake
[1]
서적
Baek & Sim (1999), pp. 127-129 (given as ''Dinodon rufozonatus rufozonatus'')
[2]
간행물
Species Restoration Center (2005), #17
[3]
서적
Baek & Sim (1999), pp. 135-136
[4]
서적
Baek & Sim (1999), pp. 130-134
[5]
웹사이트
The Amphibians and Reptiles of Our Land
http://www.me.go.kr/[...] [6]
서적
Baek & Sim (1999), pp. 140-148 (as ''Agkistrodon brevicaudus'')
[7]
서적
Baek & Sim (1999), pp. 152-153 (as ''Agkistrodon saxatilis'')
[8]
서적
Baek & Sim (1999), pp. 149-151 (as ''Agkistrodon ussuriensis'')
[9]
서적
Baek & Sim (1999), pp. 115-117; Species Restoration Center (2005), #14
[10]
간행물
Species Restoration Center (2005), #25
[11]
간행물
Species Restoration Center (2005), #26
[12]
서적
Baek & Sim (1999), pp. 137-139
[13]
서적
Baek & Sim (1999), pp. 125-126
[14]
간행물
Species Restoration Center (2005), #27
[15]
서적
Baek & Sim, pp. 118-122
[16]
서적
Baek & Sim (1999), pp. 123-124
[17]
간행물
Given as ''Vipera berus'' by Species Restoration Center (2005), #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