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늑대거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늑대거북(Chelydra serpentina)은 습지에 서식하는 대형 거북으로, 등딱지 길이는 최대 60cm에 달하며 꼬리에는 톱니 모양의 돌기가 있다. 강력한 턱과 유연한 목을 가지고 있어 물리면 큰 부상을 입을 수 있으며, 잡식성으로 물고기, 무척추동물,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한다. 늑대거북은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되며, 서식지 파괴,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채집, 로드킬 등의 위협을 받고 있다. 한국, 일본, 이탈리아 등지에서는 외래종으로 유입되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늑대거북과 - 악어거북
    악어거북은 미국 남동부 담수 지역에 서식하며 크고 무거운 머리, 뚜렷한 가시 줄이 있는 등딱지를 가진 대형 거북으로, 육식성이며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IUCN 적색 목록에 위기종으로 등재되었고, 애완용으로 사육되거나 침입종으로 관리되기도 한다.
  • 캐나다의 파충류 - 꼬마방울뱀
    꼬마방울뱀은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며 회색 또는 황갈색 바탕에 반점 무늬를 가진 60~75cm의 방울뱀으로, 습지, 늪, 초원 등에 서식하고 서식지 파괴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된다.
  • 캐나다의 파충류 - 가터뱀속
    가터뱀속은 북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뱀 속으로,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며 육식성이고, 신경 독을 생성하지만 사람에게 해를 끼칠 정도는 아니며, 애완동물로도 인기가 있다.
  • 에콰도르의 파충류 - 그린아나콘다
    그린아나콘다는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뱀으로, 올리브 녹색 바탕에 검은색 반점이 있고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 남아메리카의 열대 우림 등에서 서식하며 물고기, 포유류를 먹고, 난태생으로 새끼를 낳는다.
  • 에콰도르의 파충류 - 아마존나무보아
    아마존나무보아는 중앙아메리카 남부와 남아메리카 북부에 분포하며, 다양한 색상을 지닌 야행성 뱀으로, 어린 개체는 파충류와 양서류를 먹지만 성장하면서 조류와 포유류를 먹는 난태생 보아과 뱀이다.
늑대거북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C. serpentina의 자생 범위 지도
기본 정보
학명Chelydra serpentina
명명자Linnaeus, 1758
카미츠키가메과
Chelydra
속 명명자Schweigger, 1812
카미츠키가메
로마자 표기Kamitsukigame
영명common snapping turtle
프랑스명Tortue serpentine
멸종위기 등급
IUCNLC
IUCN 기준IUCN3.1
IUCN 참고van Dijk, P.P., 2012. Chelydra serpentina.
CITESA2
CITES 참고CITES 부록
대한민국 환경부생태교란종
대한민국 환경부 참고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류
거북목
아목잠경아목
상과카미츠키가메상과
동의어
동의어 1Testudo serpentina Linnaeus, 1758
동의어 2Chelydra serpentina Schweigger, 1812
기타
분포북아메리카
특징공격적인 성격과 강력한 턱
참고 자료
참고 자료 1Jones, E. L. et al., 2022. Western North American Naturalist.
참고 자료 2Ernst, C.H., 2008. Biology of the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참고 자료 3COSEWIC Assessment and Status Report on the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2. 특징

늑대거북은 습지에 살며 등딱지 길이는 40~60cm이고, 꼬리 길이도 등딱지 길이와 거의 비슷할 정도로 길다. 꼬리에는 톱니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목과 다리에도 돌기가 있다. 목, 다리, 꼬리는 노르스름한 색을 띠고 머리는 어두운 색이다. 주로 물고기를 먹는다.

미주리주 타움 소크 마운틴 주립공원의 늑대거북


늑대거북의 머리


늑대거북의 두개골


부리처럼 생긴 강력한 턱과 유연하게 움직이는 머리와 목을 가지고 있어서 '뱀을 닮았다'는 의미의 학명(''serpentina'')으로 불린다. 이 때문에 물리면 큰 상처를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육지에서는 사납고 동작이 빠르지만, 물속에서는 주로 도망가거나 퇴적물 아래에 숨는다.

늑대거북(''C. serpentina'')은 울퉁불퉁하고 근육질의 몸을 가지고 있으며, 등딱지는 황갈색, 갈색, 검은색 등 다양한 색을 띤다. 어린 개체일수록 등딱지의 융기가 더 뚜렷하다. 성체의 등딱지 길이는 약 50cm에 달할 수 있지만, 보통 25cm에서 47cm 정도이다.[7] 늑대거북의 무게는 보통 4.5kg에서 16kg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번식하는 붉은귀거북의 평균 등딱지 길이는 28.5cm, 배딱지 길이는 22.5cm, 무게는 약 6kg이었다.[8]

수컷이 암컷보다 크며, 10kg 이상 나가는 개체는 거의 모두 수컷이며 나이가 많은 개체이다. 이 종은 일생 동안 계속 성장하기 때문이다. 야생에서 잡힌 가장 무거운 늑대거북은 34kg이었고, 사육되는 늑대거북은 과식으로 인해 최대 39kg까지 나갈 수 있다. 늑대거북은 서식 범위의 북쪽 지역에서는 가장 무거운 토종 담수 거북이다.[9]

나카무타(Nakamuta) 등의 연구(2016)에 따르면, 늑대거북은 발달된 후각 기관, 신경 및 후구를 가지고 있어 후각이 매우 발달했다.[10]

땅에서 나오는 새끼 늑대거북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 기준으로 멸종위기 등급 취약(VU)에 해당한다.

2. 0. 1. 서식지

늑대거북은 주로 얕은 연못이나 하천에 서식하며, 일부는 하구와 같은 기수역 환경에도 서식한다.[11] 이러한 수역은 얕은 물웅덩이 때문에 수생 식물이 풍부한 경향이 있다.[11] 늑대거북은 대부분의 영구적인 수역에 서식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연구에서는 이들을 서식지 일반종[12]으로 묘사하기도 한다.[13]

2. 0. 2. 먹이

늑대거북은 잡식성으로, 주로 물고기를 먹지만, 사냥 성공률이 높지 않아 뱀이나 작은 거북이를 포함한 파충류, 대부분의 무척추동물, 개구리, 작은 새, 작은 포유류 등 삼킬 수 있는 모든 것을 먹는다.[15] 썩은 고기와 놀랍도록 많은 양의 수생 식물도 먹는다.[16] 이들은 매복 전술을 사용하는 사냥꾼이며, 많은 양의 수중 식물과 죽은 동물을 처리하는 수중 청소 동물 역할도 수행하여 생물종 다양성 보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15]

2. 0. 3. 번식

늑대거북은 4월에서 11월 사이에 짝짓기를 하며, 6-8월경에 산란기가 절정에 이른다. 암컷은 알을 낳을 모래를 찾아 육지로 올라와 구멍을 파고, 한 번에 20-40개의 알을 낳는다.[11] 늑대거북은 난생으로 번식한다. 주로 5~6월에 수역에서 떨어진 모래나 적토, 부식토가 있는 곳, 또는 미국 비버나 머스크랫의 헌 둥지, 개미집 등에 한 번에 6~100개(주로 20~40개)의 알을 1년에 한 번 낳는다.[53]

부화 기간은 온도에 따라 다르며, 9주에서 18주 사이이다.[11] 한 연구에 따르면, 20 °C에서는 약 140일, 30 °C에서는 약 63일이 걸렸다.[25] 그러나 배아의 부화 시 사망률이 매우 높은데, 까마귀, 밍크, 스컹크, 여우, 너구리 등이 늑대거북의 알을 먹이로 삼는다.[11] 이러한 낮은 번식 성공률 때문에 늑대거북은 성적 성숙을 늦추고 성체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했으며, 반복 생식 전략을 사용한다.[11]

늑대거북의 성별은 온도에 따라 결정된다. 낮은 온도(20℃)에서는 암컷, 중간 온도(21~22℃, 25~28℃)에서는 암수 모두, 높은 온도(23~24℃, 29℃)에서는 수컷이 발생한다. 30℃ 이상의 환경에 4일 이상 노출된 알은 암컷이 된다.[53]

수컷은 생후 4~5년, 암컷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짧게는 4~7년(아이오와주, 테네시주), 길게는 평균 17~19년(온타리오주)에 성적으로 성숙한다.[53] 늑대거북의 수명은 50-60년 정도로 길며,[11] 사육 상태에서는 38년 8개월까지 생존한 기록이 있다.[54]

2. 0. 4. 행동

늑대거북은 주로 야행성이지만, 북부 개체군은 주행성 경향이 강하다.[53] 육지에서는 성질이 사납고 동작이 빠르지만, 수중에서는 주로 도망가거나 퇴적물 아래에 숨는다.[41] 사람처럼 익숙하지 않은 종을 만나면 호기심을 보이는 경우는 드물지만, 물속에서 수영하는 사람이 다가오면 피난처를 찾아 조용히 숨는 행동을 보인다.

위협을 받으면 입을 크게 벌리고 사지를 뻗어 등딱지를 들어 올리는 위협 자세를 취한다. 늑대거북은 뱀처럼 목을 등딱지 위까지 크게 젖혀 늘여 물 수 있기 때문에 다룰 때 주의해야 한다.[53]

늑대거북은 자신의 서식 환경에서 먹이 사슬의 꼭대기에 위치한다. 천적은 미시시피악어북아메리카수달이다.[19] 성체는 큰 크기와 방어력 덕분에 천적이 거의 없고 연간 사망률이 매우 낮다.[20] 알은 까마귀, 미국 수달, 스컹크, 여우, 너구리에게 포식당한다.[18] 부화한 새끼와 어린 개체는 왜가리(대부분 큰푸른왜가리), 물총새, , 올빼미, 미국 흰발농구, 미국 황소개구리, 큰 물고기, 등에게 공격받는다.[9]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수저의 모래나 진흙, 낙엽, 바위, 쓰러진 나무 아래 등에서 동면하지만,[53] 수온 5℃ 환경에서 활동하거나, 수면에 얼음이 언 환경에서도 교미한 사례가 있다.[53]

2. 0. 5. 천적

늑대거북은 성체가 되면 포식자가 거의 없지만, 알은 까마귀, 미국 수달, 스컹크, 여우, 너구리 등에게 잡아먹힌다.[18] 부화한 새끼와 어린 개체는 왜가리(대부분 큰푸른왜가리), 물총새, , 올빼미, 미국 흰발농구, 미국 황소개구리, 큰 물고기, 등에게 공격받는다.[9] 캐나다에서 겨울잠을 자는 성체 늑대거북도 북미수달에게 기습적으로 잡아먹히기도 한다.[19] 성체의 다른 천적으로는 코요테, 아메리카흑곰, 미국 악어, 악어거북 등이 알려져 있다.[20] 그러나 크고 나이 많은 수컷 늑대거북은 엄청난 크기와 방어력 덕분에 천적이 거의 없고, 연간 사망률도 매우 낮다.[19]

3. 분류

늑대거북(일반 뱀목거북, ''Chelydra serpentina'')은 뱀목거북과에 속하는 거북의 한 종이다. 현재 일반 뱀목거북의 아종은 인정되지 않는다.[32] 과거에는 여러 아종이 있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별개의 종으로 분리되거나 동종이명으로 처리되었다.

3. 1. 아종

현재 일반 늑대거북(''Chelydra serpentina'')의 아종은 인정되지 않는다.[32] 과거 플로리다 아종으로 여겨졌던 ''osceola''는 현재 ''serpentina''의 동종이명으로 간주되며, 이전 아종이었던 ''Chelydra rossignonii''[33]와 ''Chelydra acutirostris''는 모두 별개의 종으로 인정된다.[32][34]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중앙아메리카악어거북과 남아메리카악어거북을 독립된 종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51][53]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아종이 있었다.

학명한국어 명칭서식지
C. s. serpentina북부큰입악어거북미국 (중부에서 동부에 걸쳐), 캐나다 남부[51][52][53]
C. s. acutirostris남부큰입악어거북에콰도르,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니카라과, 온두라스 남동부[51][53]
C. s. osceola플로리다큰입악어거북미국 (플로리다 반도)[51][53]
C. s. rossignoni중부큰입악어거북과테말라, 온두라스 중서부, 벨리즈 서부, 멕시코 (베라크루스주 중부에서 유카탄반도 기부에 걸쳐)[51][53]


4. 인간과의 관계

일본에서는 늑대거북 기본 아종이 정착했으며, 인반沼 수계에서 번식이 확인되었다.[54] 일본생태학회는 늑대거북을 일본의 침입 외래종 워스트 100으로 지정했다.[54] 인반沼 수계 외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 사례가 있으며, 크기가 크고 식성이 다양하여 토착종에 대한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또한, 포획 시 물릴 위험이 있어 2005년 특정 외래 생물에 의한 생태계 등에 관한 피해의 방지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라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었다.[55]

인반沼 수계에서는 1997년에 늑대거북의 번식과 정착이 확인되었고, 고밀도로 서식하고 있으며,[56][57] 2007년부터 치바현은 어업협동조합에 의뢰하여 어부가 정기적으로 구제 작업을 하고 있다.[58] 이후 연구에서 번식지 확대가 지적되었으며, 시즈오카현의 가리노가와 수계에서도 번식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59] 도쿄 우에노 불인지 등에서도 늑대거북이 목격되고 있다.[60]

늑대거북은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였으며, 일본에도 수입되었다. 쇼와 초기에는 전시용으로, 나중에는 애완용으로 대량으로 수입되었으며,[53] 1960년대 이후 애완용으로 수입된 개체들이 야생에 방생되어 번식한 것으로 보인다.[60] 1989년~1997년 사이 미국에서 약 10만 마리의 늑대거북이 수출되었으며, 주로 일본에 수입된 것으로 추정된다.[54] 2000년 동물애호법 개정으로 특정 동물로 지정되어[54] 유통량이 감소했고,[51] 2005년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면서 수입, 사육(시행 전부터 사육하던 개체는 등록하면 사육 가능), 판매, 양도, 유기 등이 금지되며, 이를 위반하면 외래종 피해 방지법 위반이 된다.[61]

외래 생물법에 근거한 포획은 방제 추진 조사에서 서식률이 높은 곳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2007년도에는 치바현 사쿠라시 인반沼의 방제 모델 사업에서 기온이 높고 늑대거북의 활동이 활발한 10월경까지 실시를 목표로 하였다. 새우통발(몬도리와나)을 총 50개 설치할 계획이며, 포획한 늑대거북은 환경성에 샘플로 제공할 등딱지 길이가 20센티미터 이하의 유체를 제외하고 모두 냉동 처리된다.[62]

4. 1. 위협과 보존

늑대거북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 기준으로 멸종위기 등급 취약(VU)에 해당한다.[1] 늑대거북은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채집, 서식지 훼손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많이 감소하여 캐나다와 여러 미국 주에서 더 엄격한 보존 조치를 시행하거나 제안하고 있다.[1]

캐나다에서는 2011년 멸종위기에 처한 종에 관한 법률에 따라 "특별 관심 종"으로 지정되었다. 정부 부처, 대학, 박물관 및 시민 과학 프로젝트를 포함한 기관들이 조사, 주요 서식지 확인, 위협 조사 및 완화, 토지 소유주를 포함한 대중 교육 등을 포함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49]

흔한 늑대거북(snapping turtle)은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되지만, 인위적 요인이 여전히 개체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수십 년 동안의 도로상 사망은 도시화된 습지에 서식하는 흔한 늑대거북 개체군의 심각한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온타리오 남서부의 한 연구에서는 번화한 도로 근처의 개체군을 모니터링하여 17년 만에 764마리가 사망한 것을 발견했다. 개체군은 1985년 941마리에서 2002년 177마리로 감소했다. 도로상 사망은 흔한 늑대거북 개체군을 절멸 위험에 처하게 할 수 있으며, 배제 울타리는 개체군 감소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50]

'''한국'''

환경부는 늑대거북을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늑대거북은 반려동물로 많이 사육되었으나, 자연생태계 유입은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현재 늑대거북은 허가받은 경우 외 사육이 금지되어있다.

'''일본'''

1960년대 늑대거북은 일본에서 이국적인 애완동물로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현재는 이 종을 특정외래생물로 지정하였다. 일본에서는 기본 아종이 정착했으며, 인반沼 수계에서는 번식이 확인되었다.[54] 일본생태학회에 의해 일본의 침입 외래종 워스트 100으로 지정되었다.[54] 인반沼 수계에 정착하여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 사례가 있으며, 크기가 크고 식성이 다양하여 토착종에 대한 영향이 우려되고, 잡을 때 물릴 위험이 있다는 등의 이유로 2005년 특정 외래 생물에 의한 생태계 등에 관한 피해의 방지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라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었다.[55]

인반沼 수계는 1997년에 번식과 정착이 확인되었고, 고밀도로 서식하고 있는 곳이며,[56][57][58] 2007년부터 치바현이 어업협동조합에 의뢰하여 어부가 정기적으로 구제 작업을 하고 있다.[58] 그 후의 연구에서는 번식지 확대가 지적되었으며, 시즈오카현의 가리노가와 수계에서도 번식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59] 도쿄 우에노의 우에노 불인지 등에서도 목격되고 있다.[60]

늑대거북은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였으며, 일본에도 수입되었다. 일본에서는 쇼와 초기에는 전시용으로, 나중에는 애완용으로 대량으로 수입되었다.[53] 애완용으로 수입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이후이며, 나중에 야외에 방생된 것이 번식해 간 것으로 보인다.[60] 1989년~1997년 이 종(주로 기본 아종)의 미국으로부터의 수출량은 약 10만 마리이며, 주로 일본에 수입된 것으로 생각된다.[54] 2000년 과 단위로 개정된 동물애호법에 의해 특정 동물로 지정됨에 따라[54] 유통량이 감소했다.[51] 2005년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수입, 사육(시행 전부터 사육하고 있던 개체는 등록하면 사육 가능), 판매, 양도, 유기 등이 금지되며, 위반 시 외래종 피해 방지법 위반이 된다.[61]

외래 생물법에 근거한 포획은 방제 추진 조사에서 서식률이 높은 곳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2007년도에는 치바현 사쿠라시 인반沼의 방제 모델 사업에서는 기온이 높고 카미츠키가메의 활동이 활발한 10월경까지의 실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새우통발(몬도리와나)을 총 50개 설치할 계획이며, 포획한 이 종은 환경성에 샘플로 제공할 등딱지 길이가 20센티미터 이하의 유체를 제외하고 모두 냉동 처리된다.[62]

'''이탈리아'''

최근 몇 년간 이탈리아 전역에서 커다란 성체의 늑대거북이 포획되었는데, 이는 인간이 애완동물로 키우다가 방류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4. 2. 사육

늑대거북은 반려동물로 적합하지 않다. 목이 매우 유연하여 껍데기 옆을 잡아도 물릴 수 있으며, 날카로운 발톱은 먹이를 사냥하고 자르는 데 사용되어 위험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입우묵거북은 발톱을 공격(다리에 "휘두르는" 동작에 필요한 속도나 힘이 없음)이나 먹이를 먹는 데(엄지손가락이 마주 대지 않음) 사용할 수 없고, 오직 파고들고 움켜쥐는 데만 보조적으로 사용한다. 수의 진료는 파충류 전문의에게 맡기는 것이 좋다.[37]

늑대거북을 꼬리로 들어 올리면 척추와 꼬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38] 매우 위험하다. 손으로 들어 올리는 것 또한 어렵고 위험한데, 늑대거북은 목을 뒤로 젖혀 등딱지 너머, 심지어 양쪽 뒷발까지 뻗어 물 수 있기 때문이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다리 뒤쪽에서 사향 냄새를 풍기기도 한다.

도로에서 늑대거북을 발견했을 때 막대기를 물게 하여 끌어내는 것은 다리와 배 부분에 상처를 입혀 치명적인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늑대거북을 안전하게 잡는 방법은 뒷다리 뒤쪽의 등딱지를 잡는 것이다. 꼬리는 잡지 않도록 주의하며, 뒷다리 뒤쪽에는 넓은 공간이 있어 등딱지를 쉽게 잡을 수 있고, 부리와 발톱으로부터 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삽으로 들어 올릴 수도 있는데, 삽이 등딱지 바닥에 수평이 되도록 해야 한다. 담요나 방수포를 사용하여 거북을 가운데 두고 모서리를 들어 올리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다.

늑대거북은 중국 본토의 일부 거북 양식장에서 사육된다.[39] 일본에서는 쇼와 초기부터 전시용 및 애완용으로 대량 수입되었으며,[53] 1960년대 이후 애완용으로 수입된 개체들이 야생에 방생되어 번식한 것으로 보인다.[60] 인반沼 수계에서는 번식이 확인되었고,[54] 일본생태학회는 일본의 침입 외래종 워스트 100으로 지정했다.[54] 특정 외래 생물에 의한 생태계 등에 관한 피해의 방지에 관한 법률에 따라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어[55]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치바현에서는 어업협동조합과 협력하여 정기적인 구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58] 시즈오카현의 가리노가와 수계에서도 번식이 확인되었으며,[59] 도쿄 우에노 불인지 등에서도 목격되고 있다.[60]

1989년부터 1997년까지 미국에서 약 10만 마리의 늑대거북이 수출되었으며, 주로 일본으로 수입되었다.[54] 2000년 동물애호법 개정으로 특정 동물로 지정되어[54] 유통량이 감소했고,[51] 2005년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면서 수입, 사육, 판매, 양도, 유기 등이 금지되었다.[61] 이를 위반하면 외래종 피해 방지법 위반이 된다.

일본 환경성은 방제 모델 사업을 통해 늑대거북 포획을 실시하고 있으며, 포획된 개체는 냉동 처리된다(등딱지 길이 20cm 이하 유체는 샘플로 제공).[62]

4. 3. 식용

늑대거북은 전통적으로 거북이 수프의 재료로 사용되었지만, 늑대거북의 살에는 유해 환경 오염 물질이 축적될 수 있어 다량 섭취하면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36]

붉은귀거북은 식용이 가능하며, 닭고기(닭다리살)와 폭갈비의 중간 정도 식감으로 식재료로서는 매우 우수하다고 한다.[63] 그러나 붉은귀거북은 난폭하고 물어뜯는 힘이 강해 포획 시 부상 위험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생태계교란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살아있는 채로 이동할 수 없고 현장에서 처리해야 한다. 또한, 계절에 따라 활동이 저조하여 포획하기 어렵고 안정적인 공급이 어려워 식재료로 본격적으로 이용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방제 활동으로 포획된 붉은귀거북의 활용법을 찾는 일환으로, 이벤트에서 요리가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64]

4. 4. 문화

상인들이 "Ograbme"를 피하려는 모습을 묘사한 정치 풍자 만화


악어거북은 미국의 유명한 정치 풍자 만화에서 중심 소재로 사용되었다. 1808년에 발표된 이 만화는 1807년 토머스 제퍼슨의 금수조치(Embargo Act of 1807)에 항의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만화에는 악어거북이가 미국 상인이 상품이 담긴 통을 영국 배로 옮기려는 것을 턱으로 꽉 물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상인은 "Oh! this cursed Ograbme"("embargo"를 거꾸로 적은 것으로, 악어거북이 상인을 물고 있는 상황을 표현하는 "O, grab me"로도 해석됨)이라는 말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은 현대 정치 풍자 만화 장르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널리 여겨진다.

2006년, 뉴욕 주의 초등학생들의 투표와 뉴욕 주 의회의 결정을 통해 악어거북은 뉴욕 주의 주 파충류로 선포되었다.[40]

5. 침입종

늑대거북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 기준으로 멸종위기 등급 취약(VU)에 해당하지만, 원 서식지가 아닌 곳에서는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는 침입종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기도 한다. 한국, 이탈리아, 일본 등에서 늑대거북이 외래종으로 유입된 사례가 있으며, 각국에서는 늑대거북을 관리하고 있으나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5. 1. 한국

환경부는 늑대거북을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아직까지 자연 생태계 유입은 보고되지 않았으나, 과거 반려동물로 많이 사육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허가받은 경우 외에는 사육이 금지되어 있다.[54]

5. 2. 이탈리아

최근 몇 년간 이탈리아 전역의 여러 수역에서 커다란 성체의 늑대거북이 포획되었다. 이는 원치 않는 애완동물을 방생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추정된다.[46] 2011년 3월에는 로마 인근 운하에서 무게가 20kg에 달하는 개체가 포획되었고,[46] 2012년 9월에도 로마 근교에서 또 다른 개체가 포획되었다.[47]

5. 3. 일본

1960년대 늑대거북은 일본에서 이국적인 애완동물로 인기를 얻었다. 일본생태학회는 늑대거북을 일본의 침입 외래종 워스트 100에 포함시켰다.[54]

현재 늑대거북은 특정 외래 생물에 의한 생태계 등에 관한 피해의 방지에 관한 법률에 따라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어 있다.[55] 이 법률에 따라 수입, 사육(시행 전부터 사육하던 개체는 등록 후 사육 가능), 판매, 양도, 유기 등이 금지되며, 위반 시 외래종 피해 방지법 위반으로 처벌받는다.[61]

1989년부터 1997년까지 미국에서 일본으로 약 10만 마리의 늑대거북(주로 기본 아종)이 수출된 것으로 추정된다.[54] 2000년에는 동물애호법 개정에 따라 특정 동물로 지정되어[54] 유통량이 감소했다.[51]

인반沼 수계에서는 1997년에 늑대거북의 번식과 정착이 확인되었으며,[56] 고밀도로 서식하고 있다.[57] 2007년부터 치바현은 어업협동조합에 위탁하여 어부들이 정기적으로 늑대거북을 포획하고 있다.[58] 이후 연구에서는 늑대거북의 번식지가 확대되고 있으며, 시즈오카현의 가리노가와 수계에서도 번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59] 도쿄 우에노 불인지 등에서도 늑대거북이 목격되고 있다.[60]

외래 생물법에 따른 포획은 서식률이 높은 곳에서 실시되고 있다. 2007년 치바현 사쿠라시 인반沼의 방제 모델 사업에서는 늑대거북의 활동이 활발한 10월경까지 포획을 목표로 하였다. 새우 통발 50개를 설치하여 포획한 늑대거북은 환경성에 샘플로 제공되는 등딱지 길이 20cm 이하의 어린 개체를 제외하고 모두 냉동 처리되었다.[62]

참조

[1] IUCN Chelydra serpentina 2017-12-04
[2]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3-03-01
[3] 논문 Archaeological Data Suggest Seventeenth-Century Presence of Common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in the Middle Rio Grande
[4] 서적 Biology of the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COSEWIC Assessment and Status Report on the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http://publications.[...]
[6] 논문 Impact of Organochlorine Contamination on Levels of Sex Hormones and External Morphology of Common Snapping Turtles (Chelydra serpentina serpentina) in Ontario, Canada
[7] 서적 Animal: The Definitive Visual Guide to the World's Wildlife Dorling Kindersley (DK) Publishing. 624 pp 2001
[8] 논문 Local and geographic variation in the reproductive biology of the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9] 웹사이트 Virginia Herpetological Society: Eastern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serpentina http://www.virginiah[...]
[10] 논문 Morphological study on the olfactory systems of the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https://doi.org/10.1[...] 2016
[11] 논문 Assessment of critical habitat for common snapping turtles (Chelydra serpentina) in an urbanized coastal wetland https://doi.org/10.1[...] 2019-06-01
[12] 논문 Bite-Force Scaling across Size Classes in the Alligator Snapping Turtle (Macrochelys temminckii) and the Common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https://bioone.org/j[...] 2023
[13] 논문 The Physiology of Overwintering in a Turtle That Occupies Multiple Habitats, the Common Snapping Turtle ( Chelydra serpentina ) http://www.journals.[...] 2002
[14] 논문 Ecological relations of waterfowl and snapping turtle populations Utah State University, Salt Lake City, UT. 72 pg.
[15] 논문 Influence of feeding ecology on blood mercury concentrations in four species of turtles 2007-08
[16] 웹사이트 Chelydra serpentina (Common Snapping Turtle) https://animaldivers[...]
[17] 논문 Bite-Force Scaling across Size Classes in the Alligator Snapping Turtle (Macrochelys temminckii) and the Common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https://bioone.org/j[...] 2023
[18] 논문 Investigation of cues used by predators to detect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nests http://dx.doi.org/10[...] 2015-04
[19] 논문 Effects of a sudden increase in natural mortality of adults on a population of the common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20] 서적 Turtle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1] 논문 Spontaneous Magnetic Alignment by Yearling Snapping Turtles: Rapid Association of Radio Frequency Dependent Pattern of Magnetic Input with Novel Surroundings 2015-05-15
[22] 논문 Compass Orientation During Dispersal of Freshwater Hatchling Snapp Turtles (Chelydra serpentina) and Blanding's Turtles (Emydoidea blandingii) 2015-02-27
[23] 웹사이트 US Army Corps of Engineers, Engineer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Environmental Laboratory: Common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http://el.erdc.usace[...] 2013-05-23
[24] 논문 How do embryonic turtles process yolk? Evidence from the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Chelydridae) http://www.nrcresear[...] 2019
[25] 논문 A series of stages i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Chelydra serpentina https://onlinelibrar[...] 1968-06
[26] 논문 A novel candidate gene for Temperature-Dependent sex determination in the common snapping turtle. 2016
[27] 논문 The effects of climate on annual variation in reproductive output in Snapping Turtles (Chelydra serpentina) http://dx.doi.org/10[...] 2018-03
[28] 논문 Late term embryos and hatchlings of Ouachita Map Turtles (Graptemys ouachitensis) make sounds within the nest
[29] 논문 Chelydra serpentina (Snapping Turtle) hatchling sounds
[30] 웹사이트 Tortoise Trust Web – Conservation and Ecology of Snapping Turtles http://www.tortoiset[...] 2018-04-03
[31] 웹사이트 Species Profile - Snapping Turtle http://www.sararegis[...] Government of Canada 2012-02-24
[32] 간행물 Turtles of the world, 2010 update: Annotated checklist of taxonomy, synonymy,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status http://www.iucn-tfts[...] 2010-12-14
[33] IUCN Chelydra rossignoni https://www.iucnredl[...] 2009-05-04
[34] 웹사이트 Chelydra http://reptile-datab[...]
[35] 웹사이트 Snapping Turtle http://www.encyclope[...]
[36] 웹사이트 Common Snapping Turtle: Interesting Facts http://www.ct.gov/de[...] DEEP (ct.gov) 2016-11-08
[37] 웹사이트 Snapping Turtles: A Guide to Owning This Difficult Turtle Breed http://pluspets.com/[...] PlusPets 2020-10-24
[38] 웹사이트 Handling Snapping Turtles, Chelydra serpentina, and Other Large Turtles http://blogs.thatpet[...] That Pet Place 2008-06-24
[39] 뉴스 “小庭院”养殖龟鳖大有赚头 http://www.gui138.cn[...] Zuojiang Daily (左江日报)
[40] 뉴스 A Few Things Lawmakers Can Agree O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6-06-23
[41] 웹사이트 Snappers: The myth vs the turtle https://www.oriannes[...] 2018-07-11
[42] 논문 Bite-Force Scaling across Size Classes in the Alligator Snapping Turtle (Macrochelys temminckii) and the Common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https://doi.org/10.1[...] 2023
[43] 뉴스 7 things you need to know about snapping turtles https://www.cbc.ca/n[...] CBC News 2015-06-16
[44] 논문 Evolution of bite performance in turtles http://doc.rero.ch/r[...]
[45] 웹사이트 Can a Snapping Turtle bite off a finger? http://archive-srel.[...] 2018-06-24
[46] 뉴스 Una "azzanatrice" catturata fuori Roma Corriere della Sera 2011-03-17
[47] 웹사이트 Tartaruga azzannatrice presa nel Tevere – Photostory Curiosità – ANSA.it http://www.ansa.it/w[...]
[48] 뉴스 Invasive snapping turtles on the rise in Chiba, other areas http://www.japantime[...] thejapantimes news 2014-08-05
[49] 간행물 Management Plan for the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in Canada [Proposed] https://www.registre[...] Ottawa,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Canada
[50] 논문 Decades of Road Mortality Cause Severe Decline in a Common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Population from an Urbanized Wetland https://bioone.org/j[...] 2019-11
[51] 서적 爬虫・両生類ビジュアルガイド 水棲ガメ1 アメリカ大陸のミズガメ 誠文堂新光社
[52] 서적 爬虫類・両生類800種図鑑 第3版 ピーシーズ
[53] 간행물 カミツキガメ科の分類と自然史(前編) クリーパー社
[54] 간행물 カミツキガメ科の分類と自然史(後編) クリーパー社
[55] 웹사이트 特定外来生物等一覧 / 特定外来生物指定種一覧 / 特定外来生物の解説:カミツキガメ (外来生物法) https://www.env.go.j[...]
[56] 논문 東京都武蔵野地域におけるカミツキガメの繁殖
[57] 보고서 外来種カミツキガメの野生化とその対策に関する研究-ラジオテレメトリー法による生息地利用と野外繁殖調査- http://www.pronatura[...] プロ・ナトゥーラ・ファンド
[58] 뉴스 印旛沼周辺カミツキガメ 今年の駆除始まる http://www.tokyo-np.[...]
[59] 보고서 静岡県狩野川水系におけるカミツキガメ ''Chelydra serpentina''( Testudines, Chelidridae) の定着 http://www.spmnh.jp/[...] 静岡県自然史博物館 2012-05-31
[60] 뉴스 カミツキガメの捕獲難航 印旛沼水系で大量繁殖 生態系に影響懸念 http://www.chibanipp[...] 2014-08-06
[61] 웹사이트 どぶろっく・江口直人「カミツキガメ」無許可飼育!飼い主の責任で殺処分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14-07-07
[62] 뉴스 http://www.sankei.co[...] 産経新聞 2007-07-02
[63] 웹사이트 カミツキガメを捕まえて食べてみた http://portal.nifty.[...] デイリーポータルZ 2012-06-19
[64] 뉴스 【チェック】外来種 食べて駆除/「厄介者」を有効活用/カミツキガメやウチダザリガニ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11-06
[65] IUCN Chelydra serpentina
[66]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67] 한국외래생물정보시스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