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남역은 1980년 4월 1일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부기역명으로 '단국대앞'이 추가되기도 했다. 2005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과 함께 역 번호가 변경되었고, 2007년 12월 24일 단국대학교 이전으로 부기역명이 삭제되었다. 현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경의중앙선이 운행되며, 주변에는 한남대교,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대사관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용산구의 전철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용산구의 전철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을종위탁발매소 - 도고온천역
도고온천역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선장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 및 이전을 거쳐 2007년 현재의 고가역으로 이전했으며,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된다. - 을종위탁발매소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한남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 번호 | K113 |
한국어 역명 | 한남역 |
한자 역명 | 漢南驛 |
로마자 역명 | Hannam-yeok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독서당로6길 12-13 (한남동 511)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승강장 | 2면 2선 |
선로 | 2 |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1980년 4월 1일 |
역 정보 | |
역 등급 | 을종위탁판매소 |
관리역 | 용산역 |
노선 거리 | 용산 기점 5.5km |
역간 거리 | 서빙고역 1.9km, 옥수역 1.6km |
개업 연도 | 1980년 |
승차 인원 (2018년) | 4,334 명 |
총 승하차 인원 (2018년) | 8,550 명 |
2. 역사
(내용 없음)
2. 1. 연혁
- 1980년 4월 1일: 한국철도청의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경원선 용산-성북 간 운행 계통).
- 1992년 7월 25일: 부기역명으로 '단국대앞'이 추가되었다.
- 1997년 7월 10일: 을종위탁발매소로 지정되었다.
- 2005년 1월 1일: 한국철도청이 한국철도공사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2005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영업을 시작하면서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었고, 역 번호가 K129에서 K113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용산-성북 간 운행 계통이 폐지되었다.
- 2007년 12월 24일: 인근에 위치했던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가 경기도 용인시 죽전 지역(죽전역 부근)으로 이전함에 따라 부기역명 '단국대앞'이 삭제되었다.
3.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는 지상 2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층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지상층 (G): 외부로 연결되는 출구가 위치한다.
- 대합실 (L1):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등 편의시설이 있는 로비 공간이다.
- 승강장 (L2): 경의·중앙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는 승강장이 있다.
3. 1. 승강장
섬식 승강장이다. 열차 진행 방향 기준으로 상행(문산 방면)은 오른쪽 문, 하행(지평 방면)은 왼쪽 문이 열린다.
4. 역 주변
- 한남대교
-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 주한 르완다 대사관
- 주한 슬로바키아 대사관
- 주한 아프가니스탄 대사관
- 주한 태국 대사관
- 주한 캄보디아 대사관
- 주한 타지키스탄 대사관
- 리버탑 아파트
- 톤원 베네스트
- 라멘 81번가
5. 이용객 변동
최근 1일 평균 이용객 추이는 다음과 같다.
5. 1. 연도별 이용객 수
최근 1일 평균 이용객 추이는 다음과 같다.노선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출처 |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승차 인원 | 7,066 | 7,606 | 7,927 | 8,260 | 6,159 | 5,570 | 5,137 | 4,535 | 3,851 | 4,012 | [1] |
하차 인원 | 5,913 | 8,037 | 6,935 | 7,889 | 6,084 | 5,663 | 5,230 | 4,618 | 3,846 | 3,986 | ||
승하차 인원 | 12,979 | 15,643 | 14,862 | 16,149 | 12,243 | 11,233 | 10,367 | 9,153 | 7,697 | 7,998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출처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승차 인원 | 4,099 | 4,084 | 4,128 | 4,214 | 4,189 | 4,371 | 4,456 | 4,424 | 4,334 | [1] | |
하차 인원 | 4,112 | 4,116 | 4,167 | 4,234 | 4,161 | 4,343 | 4,464 | 4,397 | 4,216 | |||
승하차 인원 | 8,211 | 8,200 | 8,295 | 8,448 | 8,350 | 8,714 | 8,920 | 8,821 | 8,550 |
6. 기타
- 가수 싸이의 노래 〈Right now〉 뮤직비디오 중 일부가 촬영되었다.
7. 인접한 역
완행·용산급행
경의·중앙선
(K113)
용문 방면
완행·용산급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