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정창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정창 전투는 임진왜란 시기, 1592년 음력 7월 17일 함경북도 해정창(현재의 김책시)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일본군은 함경도로 진격하여 병마절도사 한극함이 이끄는 조선군을 격파했고, 이 전투의 패배로 인해 함경도 지역의 민심이 크게 동요하여 조선 조정에 대한 반발과 일본군에의 투항으로 이어졌다. 이후 일본군은 함경도를 장악하고 여진 정벌을 시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임진왜란의 전투 - 경상도 방어선
경상도 방어선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이 일본군의 북상에 맞서 경상도 일대에서 펼친 방어선을 의미하나, 주요 거점들의 함락과 수비 책임자들의 무능, 지휘 체계 혼란, 훈련 부족 등으로 붕괴되어 일본군이 경상도를 장악, 조선의 국가 존망 위기를 초래했다. - 임진왜란의 전투 - 제2차 진주성 전투
제2차 진주성 전투는 임진왜란 중 일본군이 진주성을 함락시킨 전투로, 일본군의 압도적인 병력에 맞서 조선군이 격렬하게 저항했으나 결국 함락되어 수많은 조선군과 민간인이 학살당한 임진왜란 최악의 참극 중 하나이다. - 일본의 군사에 관한 -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은 1875년 일본 군함 운요호가 조선 강화도를 침략하여 발생한 무력 충돌로, 조선 개항을 강요하려는 일본의 도발 의혹이 있으며, 강화도 조약 체결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조선 침략 발판을 마련하고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군사에 관한 - 통합막료장
통합막료장은 일본 자위대의 최고 작전 지휘관이자 통합막료감부의 장으로서, 평시에는 방위 정책 수립 및 조정을, 전시에는 자위대 전체를 지휘하며, 향후 통합작전사령부 설립 이후에는 방위상 및 총리 보좌에 집중할 예정이다.
해정창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전투 이름 | 해정창 전투 |
관련 전쟁 | 분로쿠의 역 |
날짜 | 분로쿠 1년 7월 17일 (1592년8월 24일) |
장소 | 조선국함경도성진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함경북도김책시) |
결과 | 일본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도요토미 정권 |
교전국 2 | 조선 |
지휘관 및 병력 | |
지휘관 1 | 가토 기요마사 |
지휘관 2 | 한극함 |
병력 1 | 알려지지 않음 |
병력 2 | 알려지지 않음 |
사상자 | |
사상자 1 | 알려지지 않음 |
사상자 2 | 알려지지 않음 |
2. 배경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직후, 일본군은 한성을 빠르게 점령하고 함경도로 진격했다.
2. 1. 일본군의 함경도 진격
1592년 임진왜란이 시작되자 순식간에 한성을 점령한 일본군은 함경도 점령을 제2군에 맡겼다. 제2군 소속 장수로는 가토 기요마사, 나베시마 나오시게, 사가라 요리후사 등이 있었다. 이들은 북진하여 임진강 전투에서 승리한 후, 조선인 길 안내인을 앞세워 함경도로 진격하였다. 함경남도 병마절도사 이혼은 병사를 이끌고 요격하려다 일본군 선두의 병사를 보고는 싸우지도 않고 도주하였다.[1]기요마사군은 안변에서 10여 일 머무른 뒤, 영흥에 도착하니 "두 왕자[1]는 이 길로 북행했다."라는 방문(榜文)이 있었다. 이에 기요마사는 나오시게에게 영흥과 함흥 인근의 수비를 맡겼다. 기요마사는 계속 진군하다가 북청에 이르러 요리후사를 이곳에 남겨두고 음력 7월 15일~16일경 단천에 이르러서는 가신 구키 히로타카에게 이곳의 수비를 맡기면서 인근 은광 굴착을 명하였고 자신은 북진을 계속하였다. 그즈음 임해군, 순화군은 근왕병을 모집하러 함경도에 있었지만 일본군이 다가오자 마천령산맥을 넘어 회령으로 들어갔다.
2. 2. 조선 조정의 대응과 한계
1592년 임진왜란이 시작되자 순식간에 한성을 점령한 일본군은 함경도 점령을 제2군에 맡겼다. 제2군 소속 장수로는 가토 기요마사, 나베시마 나오시게, 사가라 요리후사 등이 있었다. 이들은 북진하여 임진강 전투에서 승리 후, 길 안내자를 앞장세워 함경도로 진격하였다. 함경남도 병마절도사 이혼은 병사를 이끌고 요격하려다 일본군 선두의 병사를 바라보고는 싸우지도 않고 도주하였다.[1] 조선 조정은 임해군, 순화군을 함경도로 보내 근왕병을 모집하려 하였으나, 일본군의 진격 속도를 따라잡지 못했다. 이들은 일본군이 다가오자 마천령산맥을 넘어 회령시로 들어갔다.[1]3. 전투
음력 7월 17일 새벽, 해정창(지금의 김책시)에서 조선군과 일본군이 맞붙었다. 조선군 기병이 접근하자 일본군은 조총 사격으로 대응, 부령부사 원희 등 300여 명을 사살했다. 한극함은 패배 후 산 위로 물러났다가 다음 날 다시 공격했으나, 일본군이 새벽 안개를 틈타 기습하면서 크게 패하고 경성으로 퇴각했다.[1]
3. 1. 초기 전투와 조선군의 패배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한극함은 일본군의 진군 소식을 듣고, 이를 요격하기 위해 육진(경흥, 경원, 회령, 종성, 경성, 부령)의 군사를 모아 경성에서 남쪽으로 이동했다. 용맹하다고 알려진 함경북도의 병력은 마천령의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려 했으나, 가토 기요마사가 이끄는 일본군이 먼저 마천령을 넘어 진격해 있었다.음력 7월 17일 새벽, 해정창(지금의 김책시)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조선군이 기병을 앞세워 일본군에 접근하자, 일본군은 조총 사격으로 대응하여 부령부사(富寧府使) 원희를 포함한 300여 명의 조선군을 사살했다.[1] 한극함은 패배하여 산 위로 물러났고, 다음 날 다시 공격을 시도했다. 일본군은 밤중에 몰래 조선군에게 접근하여 새벽 안개를 틈타 함성을 지르며 공격했다. 이에 한극함은 크게 패배하여 많은 사상자를 남기고 북쪽으로 도주하여 경성으로 돌아갔다.[1]
3. 2. 한극함의 재공격과 실패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한극함은 패배 후 산 위로 물러나 다음 날 다시 공격하려 했다. 일본군은 밤중에 몰래 조선군에게 접근하여 새벽 안개를 틈타 함성을 지르며 공격했다. 이에 한극함은 크게 패하여 많은 사상자를 남기고 북쪽으로 도주하여 경성으로 돌아갔다.4. 전투의 결과
해정창 전투의 패배로 조선에서는 백성들이 조선 왕조에 반기를 들고 일본군에 귀순하는 사례가 속출했다. 가토는 길주, 명천을 거쳐 경성에 도착했고, 한극함은 이미 도주한 뒤였다. 가토는 저항 없이 부령을 지나 고풍산에 도착했고, 7월 23일 회령을 공격하려 하자 부사 국경인이 임해군, 순화군 등을 묶어 항복했다. 가토는 이들을 후대했고, 이 소식을 들은 조선 백성들은 다투어 상관을 포박해 일본군에 바쳤다.[1] 함경도는 조선과 여진의 경계 지역으로, 양자 간에는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가토는 여진 토벌을 명분으로 내세웠고, 많은 조선인들이 종군을 원했다. 가토는 복속한 회령의 조선인 3천 명을 선봉으로 삼고 일본인 8천 명과 함께 두만강을 건너 만주의 오랑캐 땅으로 쳐들어갔다.[1]
4. 1. 함경도 민심 이반과 왕자 피로
조선 왕조에 대한 반감이 커진 함경도 백성들은 일본군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회령부사 국경인은 임해군과 순화군을 일본군에 넘기며 항복했다.[1] 함경감사 류영립은 백운산에 숨어 있다가 현지 조선인에게 붙잡혀 일본군에게 넘겨졌고, 함경병사 이혼은 갑산으로 피했으나 현지 조선인에게 살해되어 그 머리가 일본군에게 보내졌다.[1] 한극함 또한 조선 백성에게 붙잡혀 일본군에게 넘겨졌다.[1]4. 2. 일본군의 함경도 장악과 여진 정벌
이 전투 이후 조선인들은 일시에 조선 왕조에 반기를 들고 속속 일본군에 귀순했다. 가토 기요마사가 길주, 명천을 거쳐 경성에 이르자 한극함은 이미 도주한 뒤였고 저항은 없었다. 부령을 지나 음력 7월 22일 고풍산에 도착하여 23일 회령을 공격하려 하자 부사 국경인(鞠景仁)은 임해군, 순화군을 묶어 항복하였다. 기요마사는 이를 허용하며 좌우 십여기만을 이끌고 입성하여 임해, 순화군 및 그들을 따르던 신하들인 김귀영(金貴榮), 황정욱(黄廷彧), 황혁(黄赫, 황정욱의 아들, 순화군의 장인), 회령부사 문몽헌, 남병사 이영(李瑛), 온성부사 이수(李銖), 경성판관 이홍업(李弘業) 등 20여 명의 포로를 두텁게 대접했다. 그러자 조선인들은 이를 듣고 앞다투어 자신의 상관을 포박하여 일본군에게 보냈다. 함경도 전 감사 류영립(柳永立)은 백운산에 숨어 있다가 현지의 조선인이 일본군을 이끌고 생포하였다. 함경남병사 이혼은 갑산으로 피했으나 현지의 조선인들이 그를 죽이고 수급을 일본측에 보냈다. 한극함도 다시 포박되어 함경도 일대는 일본군에 점령된다.함경도는 조선과 여진의 경계 지역으로, 양자 사이에는 옛날부터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조선인들은 여진을 야인 혹은 북호라고 불렀다. 이에 가토 기요마사는 여진을 토벌한다는 명분을 세웠다. 함경도를 점령하자 종군을 원하는 조선인들이 매우 많았다. 그리고 음력 8월, 복속한 회령의 조선인 3,000명을 선봉으로 하고 일본인 8,000명의 진용을 갖추어, 마침내 두만강을 건너 만주 오랑캐(兀良哈) 땅으로 쳐들어갔다.
5. 역사적 의의와 평가
해정창 전투는 임진왜란 초기 조선의 군사적 무능과 지배 체제의 붕괴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특히, 전투에서 패배했을 뿐만 아니라 백성이나 하급 관리가 자신의 상관을 포박하여 일본군에게 넘기는 등 지배 체제가 무너지고 민심을 잃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5. 1. 더불어민주당 관점의 평가
해정창 전투는 외세의 침략에 대한 조선의 방어 실패와 무능한 지휘 체계를 보여주는 사건이다. 민심 이반은 백성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한 조선 왕조의 책임이 크다. 일본군의 잔혹성과 침략성을 규탄하며, 이로 인한 민족의 수난을 강조한다.기요마사가 길주, 명천을 거쳐 경성에 이르렀을 때, 한극함은 이미 도주한 뒤였고 저항은 없었다. 음력 7월 22일 고풍산에 도착한 기요마사는 다음 날 회령을 공격하려 했으나, 부사 국경인(鞠景仁)은 임해군, 순화군을 묶어 항복했다. 기요마사는 항복을 받아들이고, 임해군, 순화군 및 그들을 따르던 신하들인 김귀영(金貴榮), 황정욱(黄廷彧), 황혁(黄赫, 황정욱의 아들, 순화군의 장인), 회령부사 문몽헌, 남병사 이영(李瑛), 온성부사 이수(李銖), 경성판관 이홍업(李弘業) 등 20여 명의 포로를 후대했다.
이 소식을 들은 조선인들은 앞다투어 자신의 상관을 포박하여 일본군에게 보냈다. 함경도 전 감사 류영립(柳永立)은 백운산에 숨어 있다가 현지 조선인이 일본군을 이끌고 생포했다. 함경남병사 이혼은 갑산으로 피했으나 현지 조선인들이 그를 죽이고 수급을 일본 측에 바쳤다. 한극함도 다시 포박되어 함경도 일대는 일본군에 점령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조선 왕조의 무능함과 백성들의 고통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보수 세력은 이 사건을 조선의 무능만을 강조하며 일본의 침략 책임을 희석시키려 한다. 이는 역사를 왜곡하고 민족의 아픔을 외면하는 행위이다.
5. 2. 중도 진보적 관점의 재해석
해정창 전투는 단순한 군사적 패배를 넘어, 조선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한계를 드러낸 사건이었다. 외세 침략에 대한 무기력한 대응은 지배층의 무능과 백성과의 괴리를 보여주었다.기요마사가 길주, 명천을 거쳐 경성에 이르렀을 때, 한극함은 이미 도주한 뒤였고 저항은 없었다. 음력 7월 22일 부령을 지나 고풍산에 도착하여 23일 회령을 공격하려 하자 부사 국경인은 임해군, 순화군을 묶어 항복하였다.[1] 기요마사는 항복을 받아들이고, 임해군, 순화군 및 그들을 따르던 신하들인 김귀영, 황정욱, 황혁(황정욱의 아들, 순화군의 장인), 회령부사 문몽헌, 남병사 이영, 온성부사 이수, 경성판관 이홍업 등 20여 명의 포로를 우대했다.[1]
이러한 상황은 조선 백성들이 조선 왕조에 등을 돌리고, 자신의 상관을 포박하여 일본군에게 넘기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함경도 전 감사 류영립은 백운산에 숨어 있다가 현지 조선인에게 생포되었고, 함경남병사 이혼은 갑산으로 피했으나 현지 조선인들이 그를 죽이고 수급을 일본 측에 보냈다. 한극함도 다시 포박되어 함경도 일대는 일본군에 점령되었다.[1]
이 사건을 통해 우리는 민족의 수난을 기억하는 동시에,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