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령부는 1115년 여진족이 금나라를 건국하고 수도로 삼았던 흑룡강성 아청 지역에 위치한 도시이다. 아구다가 수도를 건설한 후 금나라의 4대 황제까지 통치했으나, 해릉왕이 연경으로 천도하면서 수도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다. 이후에도 상경은 금나라 제국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하얼빈시 아청구에 유적이 남아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어 있다. 회령부는 회령현, 곡강현, 의춘현의 3개 현을 관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폐허 - 자오허 고성
자오허 고성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르판 분지에 위치한 고대 도시 유적으로, 실크로드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하다가 14세기 몽골의 침략으로 파괴되었으며, 2014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중국의 폐허 - 은허
은허는 중국 허난성 안양시에 있는 상나라의 마지막 수도 유적으로, 갑골문 발견을 통해 발굴이 시작되어 궁궐, 왕릉 등 다양한 유적과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특히 부호묘는 상나라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갑골문은 한자의 기원이 되었다는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하얼빈시의 역사 - 731부대
731부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시 일본 제국이 만주국에서 비밀리에 운영한 생물학전 부대로, 한국인, 중국인, 러시아인 등을 대상으로 끔찍한 인체 실험을 자행하며 생물학 무기 개발 및 실전 사용에 관여했지만, 종전 후 관련자들은 미국의 비호 아래 처벌을 피하여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미완으로 남았다. - 하얼빈시의 역사 -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은 1909년 안중근이 하얼빈역에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내정권을 장악한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사건이다. - 금나라 - 여진
여진은 동북아시아의 투구스계 민족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금나라를 건국하여 북송을 정복했으나 멸망 후 여러 부족으로 분열, 누르하치에 의해 만주족으로 재통합되어 청나라를 건국했다. - 금나라 - 정강의 변
정강의 변은 1125년부터 1127년까지 금나라의 침입으로 북송이 멸망한 사건으로, 휘종과 흠종을 포함한 황족들이 포로로 잡혀가고 사회 전반에 큰 충격을 주어 중국 역사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회령부 |
---|
2. 역사
1069년(함옹 5년) 요나라에 의해 회령현(현재의 흑룡강성 하얼빈시 아청구 백성)에 '''회령주'''가 설치되었다. 1115년 수국 원년에 여진족 거주 구역의 중심에 위치하여 금나라의 도성으로 정해졌으며, 쑹화강, 무단강, 백두산을 잇는 지역을 관할했다. 1124년(천회 2년) '''회령부'''로 개칭되었고, 금나라 3대 황제 희종 시대인 1138년(천권 원년) '''상경회령부'''로 개칭되었다.
도성은 직사각형의 남북 2개의 토성으로 구성되었는데, 북성은 남북으로 길고(남북 약 1.9km, 동서 약 1.5km), 남성은 동서로 길어(남북 약 1.5km, 동서 약 2.0km) 전체적으로 L자형을 이루었다.
금나라 초기, 여진족 통치자들은 중국 다른 지역 사람들을 수도인 상경으로 이주시켰다. 아구다(태조 황제)는 요나라와의 전쟁 중 포로들을 상경 지역으로 이주시켰고, 오걸매(태종 황제)는 전쟁에서 승리한 후 북송의 부유층, 장인들을 상경으로 이주시켰다.
2. 1. 금나라 건국과 상경 회령부
1115년, 여진족 지도자 아구다는 요나라에 대항하여 금나라를 건국하고, 흑룡강성 아청 지역에 위치한 상경 회령부를 수도로 삼았다.[2] 상경 회령부는 쑹화강, 무단강, 백두산을 잇는 지역을 관할하며 금나라 초기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아구다 시대에는 궁궐이 천막에 불과했지만, 1123년 여진족은 최초의 조상 사당과 묘를 지었다.[2]오걸매(태종 황제)는 전쟁에서 한족이 이끈 북송에 대항하여 중국 북부의 대부분을 정복했다. 그는 정강의 변(1127년) 이후, 연경(현재의 베이징)과 옛 송나라 수도였던 변경(현재의 카이펑)에서 온 많은 부유한 사람들, 숙련된 장인, 학자 등을 상경 회령부로 이주시켰다.[2] 역사 기록에 따르면, 여진 장군들은 "약 470명의 황족, 황실 학원의 학자 및 학생, 환관, 의사, 장인, 기생, 황실 정원사, 황실 건축 장인, 배우, 천문학자, 음악가"를 포함한 수천 명의 사람들을 상경으로 데려왔으며, 변경에서 포획한 다양한 귀중품도 금나라 수도로 옮겨졌다.[2] 이는 금나라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지만, 동시에 한족 문화의 유입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1124년 금나라의 태종은 한족 건축가 루옌룬에게 통일된 계획에 따라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도록 명령했다. 상경의 도시 계획은 주요 중국 도시, 특히 변경을 모방했지만, 금나라 수도는 북송의 원형보다 훨씬 작았다.[2]
2. 2. 수도 이전과 그 이후
1153년(정원 원년) 해릉왕은 수도를 연경으로 옮겼고, 1157년에는 상경 회령부의 모든 궁궐을 파괴했다.[3] 이는 금나라의 정치적 중심지가 이동했음을 의미한다.수도 이전 후에도 상경 회령부는 여전히 금나라 제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세종은 여진어와 문화를 부활시키기 위해 노력한 황제로, 1184년부터 1185년까지 상경에서 1년을 보내며 사냥, 전통 춤, 여진어로 말하는 것을 즐겼다.[4]
금나라 말, 몽골 제국의 침입으로 상경 회령부는 폐지되었다.
2. 3. 현대
금나라의 수도였던 상경 회령부 유적은 현재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아청구에 있으며,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어 있다.[5][6] 아청구 중심 시가지에서 약 2km 떨어진 곳에서 유적이 발견되어 발굴되었다.[6]유적지 인근에는 2005년 후반에 개조된 박물관이 대중에게 공개되고 있다.[6] 유적에서 발견된 많은 유물들은 하얼빈에서 전시되고 있다.
3. 행정 구역
상경 회령부는 회령현, 곡강현, 의춘현의 3개 현을 관할하였다.[7]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회령기 | 會寧倚 | 하얼빈시 아청구 | 백두산, 청령(靑嶺), 마기령(馬紀嶺), 발야전(勃野澱), 녹야전(綠野澱), 안출호수(按出虎水, 지금의 아십하(阿什河)), 혼동강(混同江), 내유하(淶流河)가 있다. 상경성이 있는 하얼빈 시 아청 구 외에도 바이산시 등 광활한 영역을 통치한 것으로 보인다. 여진어로 물토애갈만(忽土皚葛蠻)이라 불렸던 득승타(得勝陀, 지금의 푸위시 득승진)가 있는데, 금 태조가 그 땅에 비석을 세웠다. |
곡강현 | 曲江縣 | 하얼빈 시 동쪽 | 1167년(대정 7년) 진동현(鎭東縣)을 설치했고, 1173년(대정 13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했다. |
의춘현 | 宜春縣 | 하얼빈 시 솽청구 | 1167년에 설치했다. 압자하(鴨子河)가 흐른다. |
4. 도시 구조
상경 회령부 도성은 남북으로 긴 두 개의 토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북성은 남북 약 1.9km, 동서 약 1.5km였고, 남성은 남북 약 1.5km, 동서 약 2km 크기였으며, 전체적으로 L자형을 이루고 있었다. 도시 계획은 중국의 주요 도시, 특히 북송의 수도였던 변경을 모방하였으나, 규모는 그보다 작았다.[2]
5. 문화
여진 통치자들은 초기 제국 건설 기간 동안 중국의 다른 지역에서 사람들을 수도인 상경으로 이주시켰다. 금나라 초기에는 여진족 고유의 문화가 강하게 유지되었으나, 한족 인구의 유입과 함께 점차 한족 문화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2] 아구다(태조 황제) (재위 1115–1123)는 거란이 이끈 요나라와의 전쟁 중 포로들을 상경 지역으로 이주 시켰고, 그의 후계자인 오걸매(태종 황제) (재위 1123–1134)는 전쟁에서 북송에 대항하여 중국 북부의 대부분을 정복한 후, 연경(현재의 베이징)과 옛 송나라 수도였던 변경(현재의 카이펑)에서 온 많은 부유한 사람들과 숙련된 장인들을 상경으로 이주시켰다.[2]
1127년 정강의 변 이후 여진 장군들은 약 470명의 황족, 황실 학원의 학자 및 학생, 환관, 의사, 장인, 기생, 황실 정원사, 황실 건축 장인, 배우, 천문학자, 음악가를 포함한 수천 명의 사람들을 상경(그리고 중국 북부의 다른 지역)으로 데려왔으며, 변경에서 포획한 다양한 귀중품도 금나라 수도로 옮겨졌다.[2]
세종 황제는 여진어와 문화를 부활시키기 위해 노력한 황제로, 1184-85년 상경에서 1년을 보내며 사냥, 전통 춤, 여진어로 말하는 것을 매우 즐겼다.[4]
참조
[1]
Britannica
A-ch'eng
http://search.eb.com[...]
Encyclopædia Britannica
2006-12-04
[2]
서적
Tao
1976
[3]
서적
Tao
[4]
서적
Tao
1976
[5]
웹사이트
The Remains of Huining in Shangjing of Jin Dynasty
https://web.archive.[...]
2008-12-23
[6]
박물관
金上京历史博物馆
http://ta.harbin.gov[...]
[7]
문서
《금사》 권24 지리지 1 상경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