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향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향약은 한국과 베트남에서 나타난 자치 규약이다. 한국의 향약은 조선 시대에 지방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백성을 교화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중종 때 조광조는 여씨향약을 보급하려 했으나 기묘사화로 실패했고, 이후 사림 세력이 향약을 보급하며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향약은 덕업상권, 과실상규, 예속상교, 환난상휼을 기본으로 하며, 향촌 사회의 운영, 사족 중심의 지배 질서 확립, 농민 통제에 활용되었다. 그러나 16세기 이후 농민 수탈의 도구로 전락하기도 했다.

베트남의 향약(Hương ước)은 각 마을의 자율적인 법전으로, 쩐 왕조 시대부터 문서화되었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프랑스와 응우옌 왕조는 향약을 개정하려 했으나, 많은 마을은 독립적으로 운영되었다. 1954년 북베트남에서 향약은 폐지되었으나, 1980년대 도이머이 개혁을 통해 촌락 관습을 복원하기 위해 재인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문화 -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국의 명청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한국의 사직단 터 일부와 중국 베이징의 사직단이 남아 각 지역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 조선의 문화 - 보부상
    보부상은 삼국시대부터 존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시대의 상인 집단으로, 부상과 보상으로 나뉘어 전국적인 조직 체계를 갖추고 국가적인 역할도 수행했으나 시대적 상황에 따라 평가가 엇갈리며 관련 문화재가 남아있다.
향약
일반 정보
유형자치 규약
목적미풍양속 장려 및 향촌 사회 질서 유지
기원중국 송나라 시대의 여씨향약
한국 전래 시기조선 시대
주요 내용덕업상권(德과 업으로 서로 권면함)
과실상규(잘못이 있으면 서로 규제함)
예속상교(예절과 풍속을 서로 가르침)
환난상휼(환난을 당하면 서로 구휼함)
역사
도입 배경조선 시대 양반의 향촌 사회 지배 강화 및 농민 통제
시행 주체양반
주요 시행 지역조선 시대 향촌 사회
영향향촌 사회 질서 유지, 미풍양속 장려, 공동체 의식 함양
주요 내용 상세
덕업상권 (德業相勸)선행과 미덕을 권장하여 사회 기강을 바로잡고, 구성원 간의 도덕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과실상규 (過失相規)구성원의 잘못이나 과오를 서로 지적하고 규범에 따라 교정함으로써 사회적 갈등을 예방하고 공동체의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 수행.
예속상교 (禮俗相交)예절과 풍속을 서로 가르치고 배우며, 공동체의 전통과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
환난상휼 (患難相恤)어려움이나 재난을 당한 이웃을 서로 돕고 위로하며, 공동체 구성원 간의 연대 의식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 수행.

2. 한국의 향약

중종 재위 기간(1506년~1544년) 동안 향약은 지방 관리에 의해 시행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문서로 배포되었으며, 비공식적인 관습법으로 기능했다. 이 향약은 한국 사회법의 핵심이 되었고, 마을의 자치 수준을 높이는 수단이 되었다.[2]

이는 조선이 지방 수준에서 정부를 운영하기 위한 발판이 되었다. 한국의 양반 또는 선비들은 그들이 수행한 역할 때문에 중요성이 높아졌다. 향약의 시행은 학교와 사당을 세우는 길을 열었고, 모든 수준에서 정부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양반들을 공동체와 연결했다.[2]

2. 1. 조선시대 향약의 성립과 발전

중종 재위 기간(1506년~1544년) 동안 향약은 지방 관리에 의해 시행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문서로 배포되었으며, 비공식적인 관습법으로 기능했다. 이 향약은 한국 사회법의 핵심이 되었고, 마을의 자치 수준을 높이는 수단이 되었다. 이는 조선이 지방 수준에서 정부를 운영하기 위한 발판이 되었으며, 양반 또는 선비들은 그들이 수행한 역할 때문에 중요성이 높아졌다. 향약의 시행은 학교와 사당을 세우는 길을 열었고, 모든 수준에서 정부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양반들을 공동체와 연결했다.

2. 1. 1. 조광조의 향약 보급 시도와 좌절

중종 때 조광조와 사림은 훈구 세력의 비리를 척결하고, 지방 토호들의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여씨향약》을 《소학》과 함께 한글로 번역하여 보급하려 했다.

조광조와 사림은 관권보다 더 강력한 처벌권을 통해 토호들의 횡포를 막으려 했으나, 이는 급진적인 개혁 추진으로 기묘사화를 불러와 조광조 일파가 몰락하고 향약 보급은 좌절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2. 1. 2. 사림 세력의 향약 보급과 확산

16세기 중반 이후 사림 세력은 향약을 보급하며 향촌 사회에서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사림은 수령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사족 간의 결속을 다지며, 평민과 노비를 통제하는 수단으로 향약을 활용하였다.

이황의 향약은 도덕성과 계급 질서 유지를 강조하며 영남 지방에 큰 영향을 미쳤고, 이이의 향약은 실용적인 내용을 담아 기호 지방에서 널리 시행되었다. 16세기 후반, 김안국은 붕우유신과 장유유서를 강조하는 《이륜행실》을 보급하여 향촌 질서 안정을 도모하였다.

향약은 훈척이나 토호의 횡포를 막는 것뿐만 아니라, 수령과의 유대를 강화하고 사족의 친족과 결속을 강화하며, 평민과 노비를 통제하고, 상부상조의 ‘계’조직을 향약 속에 흡수하여 소농민의 생활을 통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원래 '두레', '향도', '사', 혹은 '계'라고 불리던 공동체 조직은 장례, 종교적 축제, 농사일을 돕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향약은 공동체의 규모를 줄이고, 삼강오륜을 따르지 않는 자를 벌하거나 마을에서 쫓아내는 등 교화와 통제의 성격을 강화했다.

2. 2. 향약의 구성과 내용

향약은 지역 사회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졌다.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患難相恤)의 4대 덕목을 기본으로 하였다.

  • '''덕업상권'''(德業相勸) : 좋은 일은 서로 권한다.
  • '''과실상규'''(過失相規) : 잘못은 서로 규제한다.
  • '''예속상교'''(禮俗相交) : 예의 바른 풍속으로 서로 교제한다.
  • '''환난상휼'''(患難相恤) : 어려운 일이 있으면 서로 돕는다.[1]


향약은 향안(鄕案), 향회(鄕會), 유향소(留鄕所) 등과 함께 향촌 사회 운영의 중요한 기구로 작동하였다. 지방 양반들은 향약의 시행과 병행하여 양반의 명부인 향안을 만들고, 자치기구인 향회를 조직하여 공론을 모았으며, 유향소의 향권을 장악하였다.[1]

중종 (1506년~1544년) 재위 기간 동안, 향약은 지방 관리에 의해 시행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문서로 배포되었으며, 비공식적인 관습법으로 기능했다. 이 ''향약''은 한국 사회법의 핵심이 되었고, 마을의 자치 수준을 높이는 수단이 되었다.[2]

이는 조선이 지방 수준에서 정부를 운영하기 위한 발판이 되었다. 한국의 양반 또는 선비들은 그들이 수행한 역할 때문에 중요성이 높아졌다. ''향약''의 시행은 학교와 사당을 세우는 길을 열었고, 모든 수준에서 정부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양반들을 공동체와 연결했다.[2]

원래 예로부터 죽은 사람의 장례를 서로 도와주고, 종교적 축제를 같이 하며 농사일을 도와주는 공동체 조직이 있어 이를 ‘두레’, ‘향도’, ‘사’, 혹은 ‘계’라고 했는데, 향약은 그 공동체의 규모를 줄이고, 삼강오륜(三綱五倫)의 도덕규범을 따르지 않는 자를 재판해서 벌을 주거나 마을에서 쫓아내기도 해 축제적 성격보다는 교화와 통제의 성격을 강하게 띠었다.[1]

2. 3. 향약의 기능과 사회적 영향

향약은 향촌 사회의 질서 유지, 미풍양속 장려, 상부상조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사족 중심의 향촌 지배 질서를 확립하고, 농민들의 생활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두레, 향도, 등 기존의 공동체 조직을 흡수하여 교화와 통제의 기능을 강화하였다.[1]

선조 때 향약이 전국에 보급되었는데, 이이가 창안한 향약은 기호 지방에 널리 퍼졌고, 이황의 향약은 영남 지방에서 경제적 상부상조보다는 도덕 질서와 계급 질서의 안정에 주안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1]

김안국이 《이륜행실》을 널리 보급한 것도 향촌 질서 안정을 목표로 한 것이었다. 16세기 후반에 향약이 정착됨에 따라 관과 민으로 구분되던 계급관계는 사족과 하인(평민과 노비)이 대응하는 새로운 계급질서를 고착화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1]

원래 예로부터 장례, 종교적 축제, 농사일을 서로 돕는 공동체 조직인 ‘두레’, ‘향도’, ‘사’, 혹은 ‘계’가 있었는데, 향약은 그 공동체의 규모를 줄이고, 삼강오륜의 도덕규범을 따르지 않는 자를 벌하거나 마을에서 쫓아내기도 해 축제적 성격보다는 교화와 통제의 성격을 강하게 띠었다.[1]

2. 4. 향약의 폐단과 쇠퇴

16세기 초 개혁적인 의미를 지니고 시작되었던 향약은 지방 사림이 보수화되는 추세에 따라 폐쇄성이 점차 강화되고 농민에 대한 통제의 기능이 커지기 시작하여 조선 후기에는 농민 수탈의 도구로 전락해 갔다. 18세기 말 19세기 초의 실학자 정약용은 향약의 폐단이 도둑보다 심하다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2. 5. 향약 관련 문화재

조선시대 향약과 관련된 유물들은 당시 향촌 사회의 모습과 운영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2. 5. 1. 보물

태인 고현동 향약은 보물 제1181호이다.

2. 5. 2. 시도 유형문화재

2. 5. 3. 시도 문화재자료

3. 베트남의 향약

베트남 전역의 수천 개 마을에는 마을 공동체 내의 사회 관계를 규율하는 자체적인 독립적인 법전인 향약(Hương ước)이 있었으며, 수천 건의 서면 규정이 존재했고 중앙 행정부는 이를 종종 인정했다.[1][2] 향약에는 토지 관리, 결혼, 노동 관계, 분쟁 중재와 같은 다양한 법적 관행뿐만 아니라 가족 관계, 마을 관계, 귀신, 조상 숭배, 제사, 애도, 그리움과 같은 지역 관습에 대한 규칙이 포함되어 있었다.[2]

3. 1. 베트남 향약의 기원과 발전

베트남의 향약(Hương ước)은 그 기원이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법학자 레 덕 티엣(Lê Đức Tiệt)은 쯩 자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보았다.[2] 그러나 쩐 왕조 시대에 이르러서야 향약이 문서화되기 시작했다.[2] 동양학 박사인 응우옌 반 빈(Nguyễn Văn Vịnh)은 향약을 "사전 규약"(tiền hương ước)과 "공식 문서 규약"(hương ước thành văn chính thức)의 두 가지로 분류했다.[2]

3. 2. 프랑스 식민 통치와 향약의 변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에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부응우옌 왕조 정부는 향약을 자국에 유리하게 개정하려 했다.[1] 프랑스 행정부는 베트남 촌락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을에서 따라야 할 모델을 발행했지만, 많은 베트남 마을은 프랑스 및 응우옌 행정부와는 독립적으로 향약을 운영하였다.[1] 프랑스는 향약의 영향을 약화시키기 위해 베트남의 결혼 및 장례 관련 법규를 개정했다.[2]

3. 3.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 이후 향약의 변화

1954년, 북베트남에서 북베트남의 토지 개혁의 일환으로 향약(Hương ước) 제도가 폐지되었다.[2] 북베트남 정부는 이 제도를 "뒤떨어진 봉건 제도의 잔재"로 간주하고 사회주의 협동 생산 모델과 소련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사회 구조로 대체했다.[2]

1980년대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도이머이 개혁 기간 동안 향약은 촌락 관습을 복원하기 위해 재인정되고 재평가되었다.[2] 오늘날 향약은 이전만큼 문화적으로 관련성이 높지는 않지만, 구(區) 수준의 인민위원회의 감독하에 절차적으로 관리되고 있다.[2]

참조

[1] 뉴스 Legislation in French-ruled Vietnam. https://vietnamlawma[...] Vietnam Law and Legal Forum magazine, Vietnam News Agency - Your gateway to the law of Vietnam. 2011-02-24
[2] 웹사이트 Hương ước - xưa và nay. Hương ước - hay còn gọi là lệ làng, là một giá trị văn hóa, truyền thống, gắn liền với lịch sử dân tộc Việt Nam. Trải qua bao biến cố, Hương ước đến nay vẫn còn được lưu giữ và đóng vai trò trong nền văn hóa và phong tục, tập quán của người Việt. https://www.rfa.org/[...] Đài Á Châu Tự Do 2018-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