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무트 틸리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무트 틸리케는 독일의 신학자이자 목사로, 성경적 복음주의에 기반한 신학을 펼치며 현대 사회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했다. 그는 나치 시대에 탄압을 받았으며, 전후 독일에서 기독교 민주주의를 증진하기 위해 노력했다. 틸리케는 튀빙겐 대학교와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함부르크 성 미카엘 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했다. 그는 카를 바르트, 루돌프 불트만, 폴 틸리히의 신학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독자적인 복음주의 교의학과 윤리학을 체계화했다. 주요 저서로는 《신과 악마 사이에서》, 《기다리는 아버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퍼탈 출신 - 율리우스 리하르트 페트리
독일의 세균학자 율리우스 리하르트 페트리는 로베르트 코흐의 조수로서 미생물 배양에 널리 사용되는 페트리 접시를 발명하고 단백질 화학, 산업 위생, 살균법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 부퍼탈 출신 - 요하네스 라우
요하네스 라우는 독일의 정치인으로,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독일의 대통령을 지냈으며, 나치즘에 저항하고 사회적 주제에 관심을 가졌고, 2006년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 독일의 신학자 - 에른스트 트뢸치
에른스트 트뢸치는 1865년에 태어나 1923년에 사망한 독일의 루터교 신학자이자 문화철학자로서, 자유주의 신학을 완성하고 종교사학적 접근을 통해 기독교의 사회적 가르침을 연구했으며, 정치적으로 자유주의자였다. - 독일의 신학자 - 요한네스 발만
요하네스 발만은 독일의 신학자이자 교회사가로, 경건주의와 독일 개혁 이후의 교회사 연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필립 야코프 슈페너와 경건주의의 관계, 요한 게르하르트와 게오르크 칼릭스트의 신학 사상 등을 분석하며 17세기 이후 독일의 종교와 사회 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 - 윤리학자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 윤리학자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헬무트 틸리케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헬무트 틸리케 |
출생 | 1908년 5월 4일, 바르멘 |
사망 | 1986년 3월 5일 (향년 77세), 함부르크 |
국적 | 독일 |
학력 | |
학교 | 마르부르크 대학교 튀빙겐 대학교 에를랑겐-뉘른베르크 대학교 |
학위 | 신학 박사 |
경력 | |
직업 | 신학자 교수 |
고용주 | 튀빙겐 대학교 함부르크 대학교 |
영향 | 카를 바르트 |
신학 | |
신학적 전통 | 루터교 |
가족 | |
배우자 | 마리-루이제 틸리케 |
자녀 | 요헨 틸리케 안네제 트라스크 엘리자베트 디체 |
2. 생애와 경력
헬무트 틸리케는 부퍼탈에서 인문주의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1928년에 아비투어를 통과했다. 에를랑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하던 중 갑상선 수술을 받았으나, 폐색전증, 파상풍 등의 합병증에도 불구하고 학업을 마쳤다. 1932년 "윤리와 미학의 관계"라는 논문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1934년에는 파울 알트하우스의 지도 아래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카를 바르트의 강의를 본에서 듣기도 했으나, 바르트의 자연 인류학 배제를 비판했다. 1935년 "계시, 이성, 존재: 레싱의 종교 철학 연구"라는 논문으로 교수 자격을 취득했으나, 고백 교회 활동으로 인해 나치 정권으로부터 에를랑겐 임용을 거부당했다. 1936년 하이델베르크에서 조직 신학 교수로 임용되었고, 1937년 마리-루이제 헤르만과 결혼하여 네 자녀를 두었다.
1930년대 중반부터 게슈타포의 심문을 받았고, 1940년에 교수직에서 해고되었다. 징집 후 테오필 뷔름 주교의 도움으로 라벤스부르크에서 교회를 맡았다. 1942년 슈투트가르트에서 신학적 직무를 맡아 설교와 강연을 했으나, 정부의 금지 조치로 어려움을 겪었다. 루돌프 카를 불트만의 탈신화화 비판을 발표하여 서신을 주고받았고, 프라이부르크 원과 접촉했지만 혁명 계획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1942년 전후 독일의 기독교 민주주의 증진 계획을 제안했고, 1945년 바트 볼에 최초의 복음주의 아카데미 설립에 기여했다.
1944년 슈투트가르트 폭격으로 코른탈로 이주하여 강연과 설교를 계속했다. 전쟁 직후 프랑크푸르트에서 학문 활동 재개 회담에 참여했고, 1947년 튀빙겐 대학교 신학부 교수가 되었다. 1951년 대학 행정 책임자 및 총장 회의 의장을 맡았다. 1954년 함부르크에서 새로운 신학부를 설립하고 학장과 교수를 겸임하며 함부르크 성 미카엘 교회에서 목회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아시아, 남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호주, 뉴질랜드를 여행했다. 1977년 미국 강연 여행 중 빌리 그래함을 만나고 지미 카터 대통령의 접대를 받았다. 1986년 함부르크에서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헬무트 틸리케는 1908년 독일 바르멘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갑상선종을 앓아 병약했지만, 1932년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에서 "윤리와 미학의 관계"라는 논문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건강이 회복된 후에는 에를랑겐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여 1934년에 신학 박사 학위를, 1935년에 "계시, 이성, 존재: 레싱의 종교 철학 연구"라는 논문으로 교수 자격을 취득했다.[1] 이 기간 동안 그는 본 대학교에서 카를 바르트의 강의를 청강하기도 했다.[1]2. 2. 나치 시대의 저항과 박해
틸리케는 나치 독일의 탄압을 받아 교수 임용이 거부되고, 1940년에는 교수직에서 해고되었다. 1930년대 중반부터 게슈타포의 반복적인 심문을 받았으며,[3] 고백 교회 활동으로 인해 나치 정권의 감시를 받았다.[2]틸리케는 징집되었으나, 9개월 후 지역 주교 테오필 뷔름의 도움으로 라벤스부르크에서 교회를 맡아 목회 활동을 할 수 있었다.[3] 1942년에는 슈투트가르트에서 신학적 직무를 맡았고, 수많은 설교와 강연을 통해 나치에 저항했다. 그러나 나치 정부는 여행, 출판, 설교 금지 조치로 틸리케의 활동을 억압했다.[3]
틸리케는 루돌프 카를 불트만의 신약 탈신화화에 대한 비판을 발표하여 불트만과 서신을 주고받기도 했다.[3] 또한 프라이부르크 원이라는 저항 단체와 접촉했지만, 혁명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았다.[3] 1944년 슈투트가르트 폭격으로 코른탈로 이주한 후에도 강연과 설교를 계속했으며, 이 강연들은 익명으로 스위스에서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전쟁터에서 읽혔다.[3]
2. 3. 전후 활동과 학문적 업적
나치 독일 패망 후 틸리케는 튀빙겐 대학교 신학과 교수와 총장으로 복직했다.[2][3] 1951년에는 대학 행정 책임자이자 총장 회의 의장을 맡았다. 1954년에는 함부르크 대학교의 신학과 교수 및 총장으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함부르크 대학교 역사상 처음으로 개신교 신학자가 총장으로 임명된 사례였다. 틸리케는 함부르크 성 미카엘 교회에서 목회 활동도 병행했는데, 이 시기에 작성한 설교는 감리교 목사인 김순현 목사가 독일어에서 한국어로 번역하여 복있는사람에서 《기다리는 아버지》로 출간(2023년)되었다.[2][3]틸리케는 전후 독일에서 기독교 민주주의 증진을 위해 노력했으며, 1945년 바트 볼에 최초의 복음주의 아카데미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틸리케는 아시아, 남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호주, 뉴질랜드를 순회하며 강연했다. 1977년 미국 강연 여행 중에는 빌리 그래함을 만났고 지미 카터 대통령의 초대를 받기도 했다.
2. 4. 사망
헬무트 틸리케는 1986년 함부르크에서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신학 사상
헬무트 틸리케는 카를 바르트, 루돌프 불트만, 폴 틸리히의 신학을 비판하고, 성경적이고 복음적인 기독교 사상을 변호한 신학자이다. 그는 기독교 전통 교리를 수용하면서도 현대 상황과 연결하여 자신만의 복음주의 교의학과 윤리학으로 체계화하였다. 틸리케는 폴 알터하수스의 제자로서 루터교 전통에 서 있었지만, 현실 문제 분석에 있어서는 종교개혁 신학을 따르려고 했다.[4]
3. 1. 주요 특징
틸리케는 성경적이고 복음적인 기독교 사상을 변호한 신학자이며, 신정통주의자 카를 바르트의 보편기독론적 신학, 루돌프 불트만의 실존주의 신학, 폴 틸리히의 존재론적 신학을 비판하였다.[4] 그는 기독교의 전통 교리를 수용하면서도 현대 사회의 상황과 연결 지으려 노력했으며, 자신만의 독특한 복음주의 교의학과 복음주의 윤리학을 체계화하였다.[4]틸리케는 폴 알터하수스의 제자로서 루터교 전통에 서 있었지만, 현실과의 대결 및 문제 상황 분석에 있어서는 종교개혁 신학을 따르려고 했다.[4] 그는 바르트 신학이 간과하는 창조세계의 독자적 질서를 강조하고, 불트만 신학이 무시하는 나사렛 예수 계시의 역사적 사실성을 강조하며, 틸리히 신학이 소홀히 하는 케리그마(kerygma)의 텍스트 중심성을 강조한다.[4]
3. 2. 카를 바르트, 루돌프 불트만, 폴 틸리히 비판
틸리케는 성경적이고 복음적인 기독교 사상을 변호한 신학자이며, 신정통주의자 카를 바르트의 보편기독론적 신학, 루돌프 불트만의 실존주의 신학, 폴 틸리히의 존재론적 신학을 비판하였다. 틸리케는 기독교의 전통 교리를 한편으로는 그대로 수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현대의 상황과 관련지었다. 그러면서 그만의 독특한 복음주의 교의학과 복음주의 윤리학으로 체계화하였다. 그는 비록 폴 알터하수스의 제자로서 루터교적 전통에 서 있었으면서도 현실과의 대결과 문제 상황의 분석에 있어서는 종교개혁 신학을 따르려고 했다. 틸리케는 바르트 신학이 도외시하는 창조세계의 독자적 질서를 강조한다. 그는 불트만 신학이 도외시하는 나사렛 예수의 계시의 역사적 사실성을 강조한다. 틸리히 신학이 간과하는 케리그마(kerygma)의 텍스트 중심성을 강조한다.[4]4. 저서
헬무트 틸리케는 신학, 윤리, 설교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의 저서는 대부분 독일어로 작성되었으며, 영어, 한국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틸리케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Notes from a Wayfarer; the Autobiography of Helmut Thielicke영어 (1995)
A Little Exercise for Young Theologians영어 (1962)
Man in God's World영어 (1963)
Nihilism: Its Origin and Nature -- With a Christian Answer영어 (1961)
Between God and Satan영어 (1958)
Theological Ethics영어 (1966-69)
The Waiting Father: Sermons on the Parables of Jesus영어 (1959)
Encounter with Spurgeon영어 (1963)
How the World Began: Man in the First Chapters of the Bible영어 (1961)
The Ethics of Sex영어 (1964)
Faith, the Great Adventure영어 (1985)
The Freedom of the Christian Man: A Christian Confrontation with the Secular Gods영어 (1963)
The Hidden Question of God영어 (1977)
Christ and the Meaning of Life: A Book of Sermons and Meditations영어 (1962)
Our Heavenly Father: Sermons on the Lord's Prayer영어 (1960)
The Silence of God영어 (1962)
Life Can Begin Again: Sermons on the Sermon on the Mount영어 (1963)
Between Heaven and Earth: Conversations with American Christians영어 (1965)
I Believe: the Christian's Creed영어 (1968)
How to Believe Again영어 (1972)
The Evangelical Faith영어 (1974-1977)
Modern Faith and Thought영어 (1990)
Living With Death영어 (1983)
Being Human -- Becoming Human: An Essay in Christian Anthropology영어 (1984)
Being Christian When the Chips are Down영어 (1979)
How Modern Should Theology Be?영어 (1969)
The Trouble With The Church: A Call For Renewal영어 (1965)
4. 1. 한글 번역 작품
4. 2. 주요 영어 번역 작품
헬무트 틸리케의 주요 영어 번역 작품은 다음과 같다.- ''Notes from a Wayfarer; the Autobiography of Helmut Thielicke'' (자서전) (1995)
- ''Theological Ethics'' (신학 윤리) (1966-69)
- ''The Evangelical Faith'' (복음적 신앙) (1974-1977)
- ''Between God and Satan'' (신과 악마 사이에서) (1958)
- ''The Waiting Father: Sermons on the Parables of Jesus'' (기다리는 아버지) (1959)
- ''Modern Faith and Thought'' (현대의 신앙과 사상) (1990)
- ''Being Human -- Becoming Human: An Essay in Christian Anthropology'' (인간으로 존재하기 - 인간이 되어가기: 기독교 인류학 에세이) (1984)
참조
[1]
서적
Westorientierung im deutschen Protestantismus?: Vorstellungen und Tätigkeit des Kronberger Kreises
https://books.google[...]
De Gruyter
1999-01-01
[2]
서적
기다리는 아버지
복있는사람
2023
[3]
서적
기독교인물사상사전
홍성사
2007
[4]
뉴스
김영한 교수의 개혁신학자 ‘헬무트 틸리케’ 보기(1)
http://www.christ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