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형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형부는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사법을 담당하는 관청의 명칭이다.

중국에서는 당나라의 3성 6부 중 하나로 사법을 담당했으며, 이후 송, 원나라를 거쳐 명, 청나라 시대에는 삼법사제 중 하나로 형법을 관장했다. 1906년 광서신정으로 법부로 개칭되어 폐지되었다.

한국에서는 발해에서 예부로, 고려에서는 형부로 불리며 조선 시대 형조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다.

일본에서는 고대 부민의 하나로, 형부씨라는 씨족이 존재하며, 지명으로도 사용되었다. 율령제와 메이지 시대에는 중앙 관청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부 - 병부
    병부는 수나라에서 당나라로 이어진 중국 6부 중 하나로 군무원 선발, 병적 및 군수품 관리, 역참 관리 등을 담당했으며, 여러 왕조를 거쳐 청나라에서 육군부로 개칭되어 폐지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와 일본에도 유사한 기관이 있었다.
  • 육부 - 예부
    예부는 고려 시대에 궁중 의례와 제사를 관장하며, 불교 및 도교 승려 관리, 과거 시험, 외교 등의 업무를 수행한 관청이다.
  • 법무부 - 중화인민공화국 사법부
    중화인민공화국 사법부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에 속한 행정 부서로, 사법 행정을 담당하며, 1949년 설립되어 1954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1979년 재설립 이후 법치주의 강화에 따라 역할과 기능이 확대되었다.
  • 법무부 - 태국 법무부
    태국 법무부는 1891년에 설립되어 사법부와 행정부로 기능이 분리되었으며, 현재는 교정국, 특별수사국 등을 포함한 다양한 부서를 관할한다.
  • 고려의 행정기관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 공민왕 때 명칭이 정해져 조선 시대에 관리 감찰, 규찰, 정치 참여 등을 수행했으며, 홍문관, 사간원과 함께 대간 또는 삼사로 불리며 국가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 고려의 행정기관 - 한림원
    한림원은 중국 역사 속 저명한 인사들이 모여 학문 연구, 인재 양성, 과거 시험 관리, 외국어 번역 및 외교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한 황실 학술 기관이었으나, 의화단 운동으로 자료가 소실되고 신해혁명으로 폐지되었다.
형부
개요
유형국가 행정 부서
관할중국
상세 정보
설립 시기 (수나라 이전)도관
설립 시기 (수나라 이후)수나라
폐지 시기신해혁명 이후
후신사법부
명칭
한자 (수나라 이전)都官
병음 (수나라 이전)Dūguān
웨이드-자일스 (수나라 이전)Tu-kuan
의미 (수나라 이전)수도 관료
한자 (수나라 이후)刑部
병음 (수나라 이후)Xíng Bù
웨이드-자일스 (수나라 이후)Hsing Pu
의미 (수나라 이후)형벌 부서
만주어ᠪᡝᡳᡩᡝᡵᡝ ᠵᡠᡵᡤᠠᠨ
만주어 발음beidere jurgan
역할 및 기능
주요 업무사법 과정 및 형벌 관리

2. 중국의 형부

형부는 중국 고대의 관청으로, 육부 중 하나로 사법을 담당했다. 장관은 형부상서, 차관은 형부시랑이라 불렀다. 수나라당나라 시대에는 형부 아래에 형부사, 도관, 비부사, 사문사의 4사가 설치되었고[1], 각각에 판관인 랑중과 원외랑이 배치되었다.[2]

명나라에서는 형부가 대부분의 사법 및 형벌 절차를 담당했지만, 감찰원이나 대각사에 대한 권한은 없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형부가 전국의 형법을 담당하고, 감찰을 담당하는 독찰원, 중대한 사건을 담당하는 대리사와 함께 "삼법사제"라 불렸다. 1906년 광서신정으로 형부는 법부로 개칭되면서 형부라는 명칭은 폐지되었다.

2. 1. 당나라 시대의 형부

은 3성 6부제를 실시하면서 과거 가 설치했던 도관상서(都官尙書)를 병부상서로 고쳤다. 형부는 그 6부의 하나로 사법을 담당했으며, 그 장관은 형부상서(刑部尙書), 차관은 형부시랑(刑部侍郞)이라 했다.

당 이후 ·에서도 그 제도는 답습되었으며, · 대에는 전국의 형법을 맡아, 감찰을 맡은 독찰원(督察院), 중대 안건을 맡은 대리시(大理寺)와 함께 「삼법사제(三法司制)」로 불렸다.

광서(光緖) 32년(1906년)에 이루어진 광서유신(光緖新政)에서 형부는 '''법부(法部)'''로 고쳐졌고, 형부의 명칭은 폐지되었다.

3. 한국의 형부

발해의 3성 6부제를 도입하여 관직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형부는 '''예부(禮部)'''라고 하였다.

고려의 형부는 태봉(후고구려)의 의형대를 성종 때 중국식 관제 개편을 통해 형부로 개편하였다. 형부는 중앙 기관 중 하나였으며, 조선 시대 형조와 같은 역할을 수행했다. 서긍은 《고려도경》에서 고려는 풍속이 인자하여 사형에 해당하는 죄도 관대하게 다스리는 경우가 많았다고 기록했다.[3] 고려의 관대한 형벌 제도는 동시대에 존속했던 송나라의 제도와 비슷했다.[4]

상서도관(尙書都官)은 공노비(公奴婢)의 호적을 기록하여 비치하는 관청이었다.[5]

조선에서 형부는 형조를 가리킨다.

3. 1. 발해

발해의 3성 6부제를 도입하여 관직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형부는 '''예부(禮部)'''라고 하였다.

3. 2. 고려

고려의 형부는 태봉(후고구려)의 의형대를 성종 때 중국식 관제 개편을 통해 형부로 개편하였다. 형부는 중앙 기관 중 하나였으며, 조선 시대 형조와 같은 역할을 수행했다. 서긍은 《고려도경》에서 고려는 풍속이 인자하여 사형에 해당하는 죄도 관대하게 다스리는 경우가 많았다고 기록했다.[3] 고려의 관대한 형벌 제도는 동시대에 존속했던 송나라의 제도와 비슷했다.[4]

상서도관(尙書都官)은 공노비(公奴婢)의 호적을 기록하여 비치하는 관청이었다.[5]

3. 2. 1. 고려 형부의 연혁

고려의 형부는 태봉(후고구려)의 의형대를 성종 때 중국식 관제 개편을 통해 형부로 개편하였다. 형부는 중앙 기관 중 하나였으며, 조선 시대 형조와 같은 역할을 수행했다. 서긍은 《고려도경》에서 고려는 풍속이 인자하여 사형에 해당하는 죄도 관대하게 다스리는 경우가 많았다고 기록했다.[3] 고려의 관대한 형벌 제도는 동시대에 존속했던 송나라의 제도와 비슷했다.[4]

연대이름관직
995년상서형부(尙書刑部)판사(判事) 1, 상서(尙書) 1, 지부사(知部事) 1, 시랑(侍郎) 2, 낭중(郎中) 2, 원외랑(員外郎) 2, 율학박사(律學博士) 1, 조교(助敎) 2
1275년전법사(典法司)상서→판서(判書), 시랑→총랑(摠郎), 낭중→정랑(正郎), 원외랑→좌랑(佐郎)
1298년형조(刑曺)판서→상서, 총랑→시랑 3, 정랑→낭중 3, 좌랑→원외랑 3
?전법사상서→판서, 시랑→총랑, 낭중→정랑, 원외랑→좌랑
1356년형부판서→상서, 총랑→시랑, 정랑→낭중, 좌랑→원외랑
1362년전법사상서→판서, 시랑→총랑, 낭중→정랑, 원외랑→좌랑
1362년이부( 吏部)상서→판서, 총랑→의랑, 정중→직랑, 좌랑→산랑
1372년전법사의랑→총랑, 직랑→정랑, 산랑→좌랑
1389년형조조선시대와 동일하게 변경



상서도관(尙書都官)은 공노비(公奴婢)의 호적을 기록하여 비치하는 관청이었다.[5]

3. 3. 조선

형부는 조선 시대의 법 집행 기관인 형조를 가리키는 다른 말이다.

4. 일본의 형부

형부(おさかべ)는 고대 일본의 부민(部民) 중 하나로, 닌사카 다이나카히메(忍坂大中姫)의 명대(名代)로서 설정되었다. 닌사카부(忍坂部)가 정자(正字)로 여겨진다.

형부성(ぎょうぶしょう)은 일본 율령제 또는 메이지 시대의 중앙 관청이다. 성씨 뒤에 붙여 "○○형부"라고 불리는 인물이 많다.

4. 1. 부민(部民)・씨족

윤공천황의 왕후 닌사카 다이나카히메(忍坂大中姫)의 명대(名代)로서 설정되었으며, 닌사카부(忍坂部)가 정자(正字)로 여겨진다. 그 료지(料地)에 소속되어 관리에 종사했던 사람들이 형부씨(刑部氏)라고 여겨진다.[1] 또한 황거였던 닌사카(忍坂)의 궁에서 생활하는 왕후의 잡역 등에 시중들기 위해 지방 등에서 출사하거나, 경비 임무를 담당하는 무사이기도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1]

4. 2. 지명

전술한 부민(部民)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 대자(大字)

지역비고
서형부정(西刑部町) (니시오사카베마치), 동형부정(東刑部町) (히가시오사카베마치)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
형부(나가에정)(刑部 (長柄町)) (오사카베)지바현 나가세군 나가에정
호사에정 형부(細江町刑部) (오사카베)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기타구
형부(쓰시)(刑部 (津市))미에현 쓰시에 있었던 곳 (쇼와 40년, 오시카베정 등으로 세분화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야기정 형부(八木町刑部) (오사베)교토부 난탄시
형부(야오시)(刑部 (八尾市)) (오사카베)오사카부 야오시
형부(소사시)(刑部 (総社市)) (오시카베)오카야마현 소사시
다사가미 형부(大佐上刑部) (오사카베)오카야마현 신미시 (구 상형부촌 대자 야마오쿠에 해당)


  • 자치체(自治体)
  • 형부정(刑部町) (오사카베) - 오카야마현 아테쓰군에 있었던 정. (흔적으로 위의 상형부 외에 고사카베(小阪部)가 있다.)

4. 3. 역직(役職)

형부성은 일본 율령제 하의 중앙 관청 또는 메이지 시대의 중앙 관청이다. 성씨 뒤에 붙여서 "○○형부"라고 불리는 인물이 많다.

참조

[1] 서적 隋書 百官志下、旧唐書 職官志2、新唐書 百官志1
[2] 서적 旧唐書 職官志2、新唐書 百官志1
[3] 웹인용 3. 『고려도경』에 나타난 고려의 모습 - 고유와 ‘야만’의 관점에서 본 전통 사상과 풍습 http://contents.hist[...] 한국콘텐츠진흥원 2023-11-28
[4] 저널 총론 : 고려ㆍ조선시대 법운용의 실제와 『대명률』 http://www.koreanhis[...] 한국역사연구회 2010
[5] 웹인용 노비안 (奴婢案)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