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 데 산마르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세 데 산마르틴은 1778년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나 스페인 군 복무 중 남아메리카 독립을 지지하게 되었다. 그는 프랑스와의 전투에 참여하며 독립 지지자들과 교류했고, 1812년 부에노스아이레스로 돌아와 아르헨티나 독립에 기여했다. 산 로렌소 전투 승리 후 리마 공격 계획을 세웠으며, 안데스 산맥을 넘어 칠레와 페루의 독립을 이끌었다. 1822년 시몬 볼리바르와의 과야킬 회담 후 페루 보호관직에서 사임하고 유럽으로 망명하여 말년을 보냈다. 그는 아르헨티나 국민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에서 독립 영웅으로 존경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혁명가 - 체 게바라
아르헨티나 출신의 혁명가 체 게바라는 남아메리카 여행 중 사회 불의를 목격하고 마르크스주의에 심취하여 쿠바 혁명에 참여, 쿠바 해방 후 혁명 정부에서 활동하다 국제적인 혁명 투쟁을 위해 콩고와 볼리비아에서 게릴라 활동을 벌이다 볼리비아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삶과 사상은 혁명가로서의 헌신과 반제국주의 정신을 상징한다. - 스페인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라파엘 델 리에고
라파엘 델 리에고는 1820년 스페인 혁명을 이끈 군인이자 혁명가로, 페르난도 7세의 절대 왕정에 저항하며 1812년 헌법 부활을 요구했으나 왕정 복고 후 처형되었고, 그를 기리는 노래는 스페인 제2공화국의 국가로 사용되었으며 현재 스페인 국회에 그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호세 데 산마르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호세 데 산 마르틴 |
별칭 | 아메리카의 해방자 |
출생일 | 1778년 2월 25일 |
출생지 | 야페유, 코리엔테스, 리오 데 라 플라타 부왕령 (현재 아르헨티나) |
사망일 | 1850년 8월 17일 |
사망지 | 불로뉴쉬르메르, 프랑스 |
국적 | 아르헨티나 |
배우자 | 마리아 데 로스 레메디오스 데 에스칼라다 이 라 킨타나 (1812년 9월 결혼, 1823년 사별) |
자녀 | 1명 |
![]() | |
로마자 표기 | Hoje de San Martin |
정치 | |
직위 | 제3차 삼두정치 위원 |
임기 시작 | 1815년 4월 18일 |
임기 종료 | 1815년 4월 20일 |
공동 위원 | 마티아스 데 이리고옌, 마누엘 데 사라테아 |
이전 위원 | 카를로스 마리아 데 알베아르 |
다음 위원 | 호세 론데우 |
직위 | 페루의 보호자 |
임기 시작 | 1821년 7월 28일 |
임기 종료 | 1822년 9월 20일 |
직위 | 쿠요 주 주지사 |
임기 시작 | 1814년 8월 10일 |
임기 종료 | 1816년 9월 24일 |
이전 주지사 | 마르코스 곤살레스 데 발카르세 |
다음 주지사 | 토리비오 데 루수리아가 |
군사 경력 | |
소속 | 스페인 제국 (1812년까지) 연합주 (현재의 아르헨티나) 파트리아 누에바 (현재의 칠레) 페루 보호령 (현재의 페루) |
군 복무 기간 | 1789년-1822년 |
계급 | 중령 (스페인군) 장군 (아르헨티나) 총사령관 (칠레, 페루, 아르헨티나군) 대원수 |
지휘 부대 | 기마 척탄병 연대 북부군 안데스군 칠레군 |
주요 전투 |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오렌지 전쟁 반도 전쟁 바이렌 전투 알부에라 전투 스페인 아메리카 독립 전쟁 산 로렌소 전투 차카부코 전투 칸차 라야다 전투 마이푸 전투 칼라오 첫 번째 포위전 |
기타 | |
훈장 | 해방자 훈장 |
묘소 | 부에노스아이레스 대성당 |
2. 생애
1808년, 산마르틴은 에스파냐군에 입대하여 프랑스와 싸웠으며, 바일렌 전투와 알부에라 전투 등에 참가하면서 남아메리카 독립 지지자들과 접촉하기 시작했다.[1] 1812년 영국에서 부에노스아이레스로 가서 남아메리카 합중국(오늘날의 아르헨티나)에 투신했다. 1813년 산 로렌소 전투 이후 1814년 북부군을 지휘하면서 리마를 공격할 계획을 세웠는데, 쿠요에서 군대를 조직하여 칠레를 해방시키고 바다로 리마를 공격한다는 것이었다.
1817년 멘도사에서 안데스산맥을 넘어 칠레로 갔다. 차카부코 전투와 마이푸 전투(1818년)에서 에스파냐 군대를 물리치고 1819년 칠레, 1820년 페루 독립을 성공시켰다. 1822년 7월 22일 부왕령의 수도를 부분적으로 장악했으며, '페루의 보호자'가 되었다. 페루의 독립 선언은 공식적으로 1821년 7월 28일에 이루어졌다. 1822년 7월 22일 에콰도르 과야킬에서 시몬 볼리바르와 밀실에서 만난 뒤, 볼리바르는 페루 완전 해방 과업을 맡았다. 산마르틴은 페루를 떠나 군대 지휘관직을 그만두고 정계와 군대에서 물러나 1824년 프랑스로 갔다. 7월 22일 회담의 내막은 역사가들의 논쟁거리가 되었다.
그 후 고국에서 중앙 집권론자의 비난을 받고 프랑스로 망명하여 가난한 생활을 하던 끝에 볼로뉴에서 사망하였다. 시몬 볼리바르와 함께 에스파냐로부터 남아메리카를 해방시킨 영웅이자 아르헨티나 국민의 아버지로 추앙받고 있다. 그를 기린 해방자 산마르틴 장군 훈장(''Orden del Libertador San Martín'')은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높은 훈장이다.
2. 1. 초기 생애
1778년 2월 25일 아르헨티나 코리엔테스 주의 야페유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후안 데 산마르틴은 스페인 왕관에 복무하는 군인이었으며, 1774년에는 과라니 선교부 정부의 일부인 야페이우 부서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이 부서는 30개의 과라니 예수회 선교지를 관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산마르틴은 어머니를 시골에 두고 7살의 어린 나이로 에스파냐 마드리드의 귀족 학교에서 수학했다. 이때부터 그는 칠레 출신인 베르나르도 오이긴스와 친구가 된다.1767년 카를로스 3세에 의해 히스파니아 아메리카에서 추방된 예수회 수도회가 야페이우 감축지에 있었다. 그의 어머니 그레고리아 마토라스 델 세르는 1738년 후안 데 산마르틴이 태어난 곳에서 불과 몇 킬로미터 떨어진 팔렌시아의 파레데스 데 나바에서 태어난 스페인인으로, 도밍고 마토라스와 마리아 델 세르의 딸이었다. 그녀는 1806년 딸 엘레나가 사망한 후 결국 정착하여 1813년 갈리시아의 오우렌세에서 사망했다.[3]
그는 코리엔테스 주 야페유에 있는 과라니족의 인디언 감축지에서 태어났다. 그의 세례 기록이 없기 때문에 그의 정확한 출생 연도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의 생애 동안 작성된 여권, 군 경력 기록, 결혼 서류와 같은 후기 문서들은 그에게 다양한 연령을 부여했다. 이러한 문서의 대부분은 그의 출생 연도를 1777년 또는 1778년으로 지적한다. 산마르틴이 세 살이나 네 살이었던 1781년에 가족은 부에노스아이레스로 이주했다.
후안은 1783년 아메리카를 떠나 스페인으로 전근을 요청했다. 가족은 마드리드에 정착했지만, 후안이 승진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말라가로 이주했다. 말라가에 도착하자 산마르틴은 말라가의 임시 학교에 입학하여 1785년에 학업을 시작했다. 그가 1789년에 필요한 나이인 11세가 되었을 때 무르시아 연대에 입대하기 전에 6년간의 초등 교육을 마쳤을 가능성은 적다. 그는 무르시아 보병 부대에서 사관후보생으로 군 경력을 시작했다.
2. 2. 남아메리카 독립 전쟁 참전
1812년 라플라타 연합주로 독립했던 조국으로 돌아와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혁명 정부에 참여했다.[1] 당시 아르헨티나는 혼란스러웠고, 정식으로 독립을 선언할 수 없었으며 스페인과의 종속 관계도 계속되고 있었다.[1] 산 마르틴은 정치 투쟁과는 거리를 두고 군인으로서의 직무에 전념했다.[1] 그는 스페인군을 타도하고 아르헨티나뿐 아니라 모든 남아메리카 국가들이 독립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그것을 실현하려면 스페인의 남아메리카 지배의 근거지인 페루, 특히 리마를 해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813년 2월 3일, 산 로렌소 전투에서 산 마르틴이 지휘하는 라플라타 군은 스페인군을 격파했다.[2] 혁명의 영웅이었던 잉카 제국 복고파 마누엘 벨그라노 장군은 상페루(현재의 볼리비아)에서 해방 전쟁을 벌였으나, 험준한 지형에 막혀 여러 차례 패배를 겪었다.[2]
2. 3. 안데스 산맥 횡단 및 칠레 해방
산마르틴은 상페루(Alto Perú) 해방을 위해 칠레를 경유하는 전략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안데스 산맥을 넘어 칠레와 페루를 먼저 해방하고, 이후 상페루를 해방하는 원대한 작전을 구상했다.[6] 1816년, 투쿠만 의회에서 리오데라플라타 연합주가 독립을 선포하자, 산마르틴은 친서를 보내 이를 지지했다. 그는 멘도사에서 마누엘 벨그라노 장군에게 지휘권을 넘겨받은 북부군의 훈련을 진행했다. 당시 북부군의 절반 이상은 아프리카계 아르헨티나인이었다.산마르틴은 아르헨티나에서 정예 부대인 안데스 군을 칠레에 파병하고, 칠레 독립 정부를 수립하여 페루로 진군하는 계획을 세웠다.[6] 1817년 초, 망명 칠레인 독립 지도자 베르나르도 오이긴스 등과 함께 멘도사에서 출격한 북부군은 안데스 산맥을 넘어 차카부코 전투에서 승리했다. 1월 25일 산티아고에 입성한 후, 칠레 의회는 산마르틴을 집정관으로 선출하려 했으나, 산마르틴은 이를 거절하고 오이긴스를 칠레의 수장으로 지명했다.
이후 3월 16일 칸차 라야다 전투와 4월 5일 마이푸 전투에서 스페인군을 격파하면서 칠레의 독립이 확정되었다(칠레 독립 전쟁, 칠레 독립 선언).
2. 4. 페루 해방 및 보호자
1820년 8월, 산 마르틴은 토마스 코크란의 도움을 받아 함대를 조직하여 리마로 향했다.[19] 1821년 7월 9일 리마에 입성하여 페루 독립을 선포했고, 리마 의회는 그를 페루의 보호자로 임명했다.[19]산 마르틴은 전투를 피하고 왕당파 내 반란과 폭동을 조장하며, 노예 해방을 약속하여 페루 지주들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려 했다.[7] 자유주의 3년es 소식이 퍼지면서 왕당파의 충성심을 약화시키려 했다.
호아킨 데 라 페수엘라 페루 부왕은 스페인으로부터 애국자들과 협상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양측은 미라플로레스에서 회동을 가졌다. 부왕은 자유주의적인 스페인 헌법을 채택할 것을 제안했지만, 애국자들은 페루의 독립을 요구하여 협상은 결렬되었다.
산 마르틴은 리마를 주변 지역으로부터 고립시키고, 후안 안토니오 알바레스 데 아레날레스(Juan Antonio Álvarez de Arenales)를 파견하여 원주민들 사이에서 반란을 조장했다. 안데스 군대는 해로 리마 북쪽으로 이동하여 두 방향에서 리마를 포위 공격했고, 코크레인은 엘 칼라오 항구를 공격하여 "에스메랄다"호와 왕당파 연대 누만시아를 점령했다.
호세 데 라 세르나 에 이노호사(José de la Serna e Hinojosa)가 새로운 부왕이 되어 산마르틴을 불러 협상을 제안했다. 데 라 세르나는 1812년 스페인 헌법(스페인 내 페루)을 제정할 것을 제안했고, 산마르틴은 페루의 독립(독립적인 군주제)을 요구했다. 산마르틴은 유럽 군주와 섭정이 임시로 통치하는 입헌 군주제를 수립할 것을 제안했지만, 페르디난드 7세의 승인 없이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이유로 거절되었다.
전투가 재개되자 산 마르틴은 시골 지역에 여러 게릴라 부대를 조직하고 리마를 포위했지만, 현지 주민들에게 정복자로 비춰지는 것을 원치 않았기에 함락시키지는 않았다. 1821년 7월 28일, 산 마르틴은 페루의 독립을 선포했다. 하지만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칠레와 달리 페루에는 지역 정치인이 없었기에, 산마르틴은 원치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지도자가 되어 페루의 보호자로 임명되었다. 페루 사회는 매우 보수적이었기 때문에 산마르틴은 급진적인 자유주의적 사상을 즉시 도입하지 않았다. 미타와 야나코나스제와 같은 원주민들에게 부과된 모든 형태의 노역이 폐지되었고, 원주민들은 시민권을 받았다. 노예 제도를 완전히 폐지하지 않고 "태생의 자유"를 선포하여 노예의 자녀들을 해방시켰으며, 리마를 떠난 왕당파의 노예들도 해방시켰다. 그는 또한 종교재판과 체벌을 폐지하고 언론의 자유를 제정했다.[7]
2. 5. 과야킬 회담 및 은퇴
1822년 7월 26일, 과야킬(현 에콰도르 남부에 있는 항구 도시)에서 시몬 볼리바르와 회담이 개최되었다.[19] 회담 내용은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지만, 과야킬 지역의 귀속 문제와 페루의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 방식에 관한 것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이 회담에서 공화주의자였던 시몬 볼리바르와 군주주의자였던 산 마르틴 사이에 큰 의견 차이가 확인되었다.
산 마르틴은 볼리바르와 연합하면 페루에 남아 있는 왕당파 세력을 물리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두 해방자는 키토에서 만날 예정이었으나, 볼리바르는 약속된 날짜에 산 마르틴을 만날 수 없었고, 산 마르틴은 리마로 돌아왔다. 볼리바르는 키토에서 과야킬로 이동했고, 과야킬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했다. 이 지역의 미래에 대한 논의가 있었는데, 일부 세력은 콜롬비아에 합류하기를 원했고, 다른 세력은 페루에 합류하기를 원했으며, 또 다른 세력은 새로운 국가가 되기를 원했다. 볼리바르는 과야킬을 콜롬비아에 병합하여 논쟁을 종식시켰다.
과야킬 회담은 1822년 7월 26일에 열렸다. 그들은 그날과 그 다음 날 두 차례의 비밀 회담을 가졌다. 증인이나 회의록이 없었기 때문에 그들의 논의 내용은 그들의 이후 행동과 다른 사람들에게 보낸 편지에서만 추론할 수 있다.
그럼에도 산 마르틴은 볼리바르에게 자신을 부하로 삼아달라고 청했지만, 볼리바르는 이미 페루에서 실패하고 있는 산 마르틴을 받아들이지 않고 이 제안을 거절했다. 산 마르틴은 이 회담에 실망하여 은퇴를 결심한다.[19] 그는 "볼리바르는 우리가 기대했던 인물이 아니다"라고 고백했다고도 전해지며, 페루 의회에 보호관직 사임을 제의한다. 베르나르도 오이긴스에게 보낸 편지에는 "폭군이라 불리고, 국민들로부터 왕, 황제, 심지어 악마가 되려고 한다는 말까지 듣는 것은 견딜 수 없다"고 고백하고 있다.
산 마르틴이 부재 중인 동안 페루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베르나르도 몬테아구도 장관이 축출되었다. 산 마르틴은 며칠 후 페루 보호자직에서 사임하고 칠레 발파라이소로 돌아갔다. 그가 사임하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는데, 안데스 군대의 군 기강이 훼손되었지만 산 마르틴은 장교들에 대해 과감한 조치를 취하기를 꺼렸다. 또한 산 마르틴과 볼리바르의 권위, 그리고 페루와 콜롬비아라는 각국의 지역적 라이벌 관계는 그들의 공동 작업에 대한 선택지를 제한했다.
2. 6. 말년
1824년 산마르틴은 아내 마리아 데 로스 레메디오스 데 에스칼라다가 사망하자 딸 메르세데스 토마사를 데리고 유럽으로 갔다.[8] 영국을 거쳐 브뤼셀에 정착하여 딸의 교육을 마치고 아르헨티나로 돌아갈 계획이었다.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된 베르나르디노 리바다비아와는 불화가 있었으나, 아르헨티나-브라질 전쟁이 발발하자 군사 지원을 제안했지만 응답을 받지 못했다.[8]마누엘 도레고가 축출되고 후안 라발레가 도레고를 처형했다는 소식을 듣고 귀국을 포기하고 브뤼셀로 돌아갔다.[8]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가 내전을 평정하면서 존경을 얻게 되었고, 서로 편지를 주고받았다.[8] 벨기에 혁명과 1831년 콜레라 유행으로 파리로 이주하여 딸과 함께 병에 걸렸으나, 사위 마리아노 발카르세의 도움으로 회복했다.[8]
1837년 프랑스의 리오데라플라타 봉쇄 때 로사스에게 군사 지원을 제안했지만 고령으로 거절당했고, 리오데라플라타의 영국-프랑스 봉쇄 역시 비난했다.[8] 1848년 프랑스 혁명 동안 파리를 떠나 불로뉴쉬르메르로 이주했다.[8] 1850년 8월 17일, 영국-프랑스 봉쇄에 대한 아르헨티나의 승리 소식을 들은 직후 사망했다.[8]
그의 시신은 뷜로뉴 노트르담 대성당 지하 납골당에 안치되었다가, 1880년 니콜라스 아벨라네다 대통령 재임 중 부에노스아이레스 대성당으로 이장되었다.[8] 프리메이슨으로 의심받았기 때문에 묘소는 대성당의 확장된 날개에 안치되었다.[8]
3. 유산
산마르틴은 생전과 사후 곧바로 아르헨티나의 국민 영웅으로 연방파에 의해 처음으로 칭송받았다. 합중파는 그가 최고지도자를 안데스 군대로 돕기를 거부하고 로사스를 끊임없이 지지한 것을 분개했다.[9] 합중파인 바르톨로메 미트레는 산마르틴의 전기를 쓴 "''산마르틴과 남미 해방의 역사''"(Historia de San Martín y de la emancipación sudamericanaes)를 저술했다. 그 당시 여러 나라에서 산마르틴에 대한 여러 기록이 진행 중이었다. 리마 출신의 발렌틴 레데스마는 1853년 산마르틴의 페루 원정에 대해 저술했고, 칠레 출신의 벤하민 비쿠냐 마케나는 1856년 칠레 독립 전쟁에 대해 저술했다.[9] 미트레의 책으로 산마르틴은 아르헨티나의 해방자로 보편적으로 칭송받았지만, 그의 저술은 산마르틴의 원정을 미트레의 정치적 계획을 지지하도록 여러 부정확성을 도입했다. 이러한 부정확성은 후대 역사가들에 의해 발견되어 수정되었다.[9]
산마르틴의 동상은 아르헨티나 대부분의 도시뿐만 아니라 산티아고와 리마에도 세워져 있다. 호세 질 데 카스트로가 산마르틴의 첫 번째 초상화를 제작했으며, 다른 여러 예술가들도 그에 대한 작품을 제작했다. 산마르틴을 다룬 가장 중요한 영화는 1970년작 ''검의 성인''과 2010년작 ''혁명: 안데스의 횡단''이다.
장군의 기마상은 프랑스 불로뉴쉬르메르에 세워졌으며, 이 동상은 1909년 10월 24일 아르헨티나 군대의 여러 부대가 참석한 가운데 낙성식을 가졌다.[9][10]
아르헨티나 외부에는 미국 워싱턴 D.C. NW 버지니아 스트리트를 따라 호세 데 산마르틴 장군의 기마상이 있다. 이것은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동상을 복제한 것이다. 이것은 "아르헨티나 국민이 미국 국민에게 증정한 (...) 1925년 10월 28일 적절한 의식을 거쳐 공개되었다."[11][12]
뉴욕시 센트럴 파크 남쪽에도 산마르틴 장군의 기마상이 있다. 이것은 1951년에 헌정되었으며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시가 기증했다.[13]
콜롬비아 보고타의 산마르틴 지역은 그곳에 있는 장군의 대형 기마상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도밍고에는 그의 이름을 딴 호세 데 산마르틴 거리가 있는데, 이 거리는 도시 서쪽의 식민지 지역을 연결한다.
이 동상은 순수하게 사적인 주도로 아르헨티나 정부, 부에노스아이레스 시의회, 공공 자금 모금 캠페인의 지원을 받아 세워졌다. 이 동상은 높이 10m, 밑면이 4m x 6m이며, 현지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해변에 위치해 있어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중 수많은 폭격에도 거의 손상되지 않았다.[14]
![]() | ![]() |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우표에 산마르틴을 기념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비벌리힐스에는 산마르틴 장군의 흉상이 있는 기념관이 있다. 이 흉상은 페르난도 디 지티가 디자인했으며 2001년에 헌정되었다.[16]
또한 필리핀 마닐라의 인트라무로스 또는 성벽 도시에 산마르틴의 흉상이 있는데, 이것은 1801년부터 1822년까지 필리핀에서 복무하고 후손을 남긴 산마르틴의 형제인 후안 페르민을 기념하기 위해 페론 정부의 요청으로 1950년에 세워졌다.[17][9]
스페인으로부터 남아메리카 독립을 위해 기여한 업적은 시몬 볼리바르와 비교하면 동등하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현재도 남미 남부의 독립 영웅으로서 널리 존경받고 있으며, 특히 아르헨티나에서는 그의 서거일을 국경일로 지정하고, 지폐의 초상화(현행 5아르헨티나 페소 지폐)에도 채택하고 있다.
현재 산마르틴 장군의 묘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5월 광장에 면한 부에노스아이레스 대성당에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의 성녀상들에 둘러싸여 안치되어 있다.
4. 평가
시몬 볼리바르와 비교하면 남아메리카 독립을 위해 기여한 업적이 동등하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산 마르틴은 현재도 남미 남부의 독립 영웅으로서 널리 존경받고 있다. 특히 아르헨티나에서는 그의 서거일을 국경일로 지정하고, 현행 5아르헨티나 페소 지폐에 그의 초상화를 사용하고 있다.
산 마르틴 장군의 묘는 부에노스아이레스 5월 광장에 면한 부에노스아이레스 대성당에 있으며,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의 성녀상들에 둘러싸여 안치되어 있다.
4. 1. 긍정적 평가
산 마르틴은 남아메리카 남부의 독립 영웅으로 널리 존경받고 있다. 특히 아르헨티나에서는 그의 서거일을 국경일로 지정하고, 지폐 초상화(현행 5아르헨티나 페소 지폐)에도 그의 모습을 사용하고 있다.[1] 시몬 볼리바르와 함께 남아메리카 독립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그와 동등하다고 평가하기는 어렵다.산 마르틴 장군의 묘는 현재 부에노스아이레스 대성당에 있으며, 5월 광장에 면해 있다. 그의 묘는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의 성녀상들에 둘러싸여 있다.[1]
4. 2. 부정적 평가
산마르틴은 시몬 볼리바르에 비해 남아메리카 독립에 기여한 업적이 동등하다고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남미 남부의 독립 영웅으로 널리 존경받고 있다. 특히 아르헨티나에서는 그의 서거일을 국경일로 지정하고 있으며, 현행 5 아르헨티나 페소 지폐에 그의 초상화를 사용하고 있다.산마르틴 장군의 묘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5월 광장에 있는 부에노스아이레스 대성당에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의 성녀상들에 둘러싸여 안치되어 있다.
4. 3. 한국의 관점
호세 데 산마르틴의 업적은 일제강점기 한국 독립운동과 비교하여 민족 해방과 민주주의 국가 건설의 중요성을 상기시킨다. 산 마르틴이 안데스 군대를 이끌고 칠레와 페루를 해방시킨 군사적 업적은 한국 독립군의 활동과 유사성을 보인다.그러나 산 마르틴은 군주제를 지지하는 등 정치적으로 한계를 보였는데, 이는 한국 독립운동 지도자들 사이의 이념 갈등과 비교하여 논의될 수 있다.
5. 관련 인물
- 베르나르도 오이긴스: 칠레의 독립 영웅으로, 산 마르틴과 협력하여 칠레 독립에 기여했다.[1]
- 마누엘 벨그라노: 아르헨티나 독립 전쟁 초기의 지도자로, 산 마르틴에게 북부군 지휘권을 넘겨주었다.[1]
- 후안 마르틴 데 푸에이레돈: 아르헨티나의 정치인으로, 산 마르틴의 독립 운동을 지원하였다.[1]
- 프란시스코 라미레스: 에스타니슬라오 로페스와 함께 아르티가스의 동맹으로 활동했다.[1]
- 마티아스 데 이리고옌: 전쟁 장관으로 산 마르틴을 대신하여 프란시스코 페르난데스 데 라 크루스를 지휘관으로 임명했다.[1]
- 호세 론도: 1819년 아르헨티나 헌법 승인 후 푸에이레돈의 뒤를 이어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1]
- 토마스 코크레인: 칠레 해군 함장으로 임명되었다.[1]
- 라파엘 델 리에고: 스페인 장군으로, 반란과 황열병 발생으로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대한 왕당파의 위협을 종식시켰다.[1]
참조
[1]
서적
San Martin: Argentine Soldier, American Hero
2009
[2]
웹사이트
Historia del Libertador Don José de San Martín de Pacífico Otero. Capítulo 1. El padre de San Martín
https://sanmartinian[...]
2023-05-17
[3]
웹사이트
Capítulo 2. La madre de San Martín
https://sanmartinian[...]
2023-05-17
[4]
서적
Andrés Bello: Scholarship and Nation-Building in Nineteenth-Century Latin Ame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Francisco de Miranda Blue Plaque
http://www.londonrem[...]
londonremembers.com
2013-05-07
[6]
서적
The Spanish American Revolutions 1808–1826
1986
[7]
서적
Women and gender in modern Latin America: historical sources and interpretations
Routledge
2014
[8]
웹사이트
Death Registry of Boulogne-sur-Mer
http://archivesenlig[...]
Conseil départemental du Pas-de-Calais
2024-02-16
[9]
웹사이트
[Inauguration de la statue équestre du général argentin San Martin], marins argentins [du navire Presidente Sarmiento], 24 oct. 1909
http://gallica.bnf.f[...]
2016-05-13
[10]
웹사이트
[Inauguration de la statue équestre du général argentin San Martin], cavaliers argentins, [détachement du régiment des grenadiers à cheval,] Boulogne[-sur-Mer, 24 octobre 1909] : [photographie de presse] /
http://gallica.bnf.f[...]
2016-05-13
[11]
웹사이트
[Smithsonian Inventory-Liberador: General Jose de San Martin, (sculpture)]
http://siris-artinve[...]
2016-06-28
[12]
웹사이트
Bulletin Of The Pan American Union 1925-12: Vol 59 Iss 12
https://commons.wiki[...]
2021-01-07
[13]
웹사이트
[Central Park Monuments – General Jose de San Martin : NYC Parks]
https://www.nycgovpa[...]
New York City Department of Parks & Recreation
2016-05-26
[14]
뉴스
José de San Martín : histoire d'un monument
http://www.lasemaine[...]
2016-05-13
[15]
웹사이트
8c Jose de San Martin single
https://postalmuseum[...]
Smithsonian National Postal Museum
2023-12-26
[16]
웹사이트
José de San Martín Bust
https://www.atlasobs[...]
2020-07-16
[17]
웹사이트
Of conquistadores and libertadores: the case of Intramuros monuments
http://www.theurbanr[...]
The Urban Roamer
2015-07-06
[18]
웹사이트
José de San Martín Argentine revolutionary
https://www.britanni[...]
[19]
웹사이트
【世界史の遺風(71)】サン・マルティン 歴史に翻弄された解放者 東大名誉教授本村凌二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3-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