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8월 15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력 8월 15일은 대한민국에서는 추석,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중추절로 기념되는 날이다. 이 날은 신라 시대에 가배 놀이가 시작되었으며, 1661년에는 조선의 숙종, 1946년에는 소설가 이외수, 1989년에는 배우 이종석 등이 태어났다. 1839년에는 정하상이, 1916년에는 나철이 사망했다. 일본에서는 보름달을 보며, 사루사와 연못에서 우네메 축제가 열리는 등 다양한 문화적 행사가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력 8월 - 중추절
중추절은 음력 8월 15일에 열리는 동아시아의 전통 명절로, 가족들이 모여 추수를 기념하고 달을 감상하며 월병을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고, 한국의 추석, 일본의 츠키미, 베트남의 뗏쭝투 등 각 나라별로 독특한 문화적 풍습과 의미를 지닌다. - 음력 8월 - 음력 8월 25일
음력 8월 25일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건과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이 기록된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와 월성3호기 원자로 누설 사고가 발생했으며, 일본에서는 명응 대지진, 조총의 전래,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후 조선 철병 결정 등의 사건이 있었다. - 달력에 관한 - 9월 22일
9월 22일은 살라미스 해전, 반민족행위처벌법 공포, 대구 미국문화원 폭발 사건 등 세계 및 한국사의 주요 사건들과 추분, OneWebDay 등의 문화적 기념일, 그리고 마이클 패러데이, 김광섭, 김미화 등 다양한 분야 저명한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일이 있는 날이다. - 달력에 관한 - 11월 15일
11월 15일은 화약 음모 사건, 미국 독립을 위한 연합 조약 채택, 세계 인구 80억 명 돌파와 같은 세계적인 사건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종료, 국가정보원 도청 수사, 포항 지진과 같은 한국 관련 사건을 포함하며 역사적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과 여러 국가의 기념일이 있는 날이다.
음력 8월 15일 | |
---|---|
날짜 정보 | |
이름 | 음력 8월 15일 |
다른 이름 | 중추절 추석 |
달력 정보 | |
음력 | 음력 8월 15일 |
유형 | 전통적인 공휴일 |
문화적 의미 | |
지역 | 한국 중국 베트남 일본 (주로 한국의 추석과 유사한 추석) 류큐 (하치구와치 주고야, 음력 8월 15일) |
중요성 | 풍성한 수확을 기념하고 조상에게 감사하는 날 가족들이 모여 함께 시간을 보내는 날 |
활동 | 차례 성묘 강강술래 씨름 소싸움 거북놀이 줄다리기 가마싸움 달맞이 소원 빌기 한가위 음식 먹기 선물 주고받기 |
음식 | 송편 약과 햇과일 토란국 밤 배 대추 |
일본에서의 명칭 | 주야 (중추명월) |
베트남에서의 명칭 | 뗏쭝투 |
2. 역사
다음은 음력 8월 15일에 일어난 역사적 사건들이다.
- 1999년 - 대한민국이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을 비준하였다.
- 968년 9월 10일 (율리우스력) - 일본 강보에서 안와로 개원했다.
- 1336년 9월 20일 (율리우스력) - 일본 북조의 고묘 천황이 즉위하여 남북조 분리가 다시 시작되었다.
- 1567년 9월 17일 (율리우스력) - 오다 노부나가가 사이토 다쓰오키의 거성인 이나바야마 성을 함락하고 기후성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기후"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한 사건이다.
- 1723년 9월 14일 (그레고리력) - 에도 막부가 에도 시내에 망루 설치령을 내렸다.
- 1808년 10월 4일 (그레고리력) - 페이튼 호 사건이 발생했다.
- 1869년 9월 20일 (그레고리력) - 메이지 정부가 에조 지역을 홋카이도로 개칭하는 포고령을 발표했다.
2. 1. 한국
32년 - 신라에서 한가위의 가배(嘉俳)놀이가 시작되었으며, 회소곡을 불렀다.추석은 대한민국의 명절이다.
1999년 - 대한민국이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을 비준하였다.
2. 2. 일본
- 968년 9월 10일 - 강보에서 안와로 개원.
- 1336년 9월 20일 - 북조의 고묘 천황이 즉위. 다시 남북조 분리.
- 1567년 9월 17일 - 오다 노부나가가 사이토 타츠오키의 거성인 이나바야마성을 공략하여 기후성으로 개칭. 처음으로 "기후"라는 이름이 등장.
- 1723년 9월 14일 - 에도 막부가 에도 시내에 망루 설치령을 발포.
- 1808년 10월 4일 - 페이튼 호 사건.
- 1869년 9월 20일 - 메이지 정부가 에조지를 홋카이도로 개칭하는 포고.
2. 3. 기타
- 安和일본어 원년(율리우스력 968년 9월 10일) - 일본 강보에서 안와로 개원했다.
- 延元일본어 원년/建武일본어 3년(율리우스력 1336년 9월 20일) - 일본 북조의 고묘 천황이 즉위하여 남북조 분리가 다시 시작되었다.
- 永禄일본어 10년(율리우스력 1567년 9월 17일) - 오다 노부나가가 사이토 다쓰오키의 거성인 이나바야마 성을 함락하고 기후성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기후"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한 사건이다.
- 享保일본어 8년(그레고리력 1723년 9월 14일) - 에도 막부가 에도 시내에 망루 설치령을 내렸다.
- 文化일본어 5년(그레고리력 1808년 10월 4일) - 페이튼 호 사건이 발생했다.
- 明治일본어 2년(그레고리력 1869년 9월 20일) - 메이지 정부가 에조 지역을 홋카이도로 개칭하는 포고령을 발표했다.
3. 문화
신라에서는 32년부터 한가위에 가배(嘉俳)놀이를 시작하고 회소곡(會蘇曲)을 불렀다.
보름달은 중추의 명월이라고도 불리며, 중국에서는 중추절, 한국에서는 추석 명절로 기념한다.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축제들이 있다.
4. 탄생
출생 국가 | 연도 | 인물 | 직업 |
---|---|---|---|
대한민국 | 1661년 | 숙종 | 조선의 제19대 국왕 |
대한민국 | 1946년 | 이외수 | 소설가 |
대한민국 | 1989년 | 이종석 | 배우 |
대한민국 | 1997년 | 김채원 | 배구 선수 |
일본 | 774년 | 헤이제이 천황 | 제51대 천황 |
일본 | 1761년 | 산토 교덴 | 희작 작가 |
일본 | 1771년 | 고카쿠 천황 | 제119대 천황 |
일본 | 1798년 | 다카시마 슈한 | 포술가 |
일본 | 1842년 | 가운 신치 | 발명가 |
일본 | 1854년 | 다카미네 히데오 | 교육자 |
일본 | 1855년 | 아이바 코손 | 소설가・연극 평론가 |
일본 | 1860년 | 오가와 잇신 | 사진 작가 |
4. 1. 한국
연도 | 사건 |
---|---|
1661년 | 조선의 제19대 국왕 숙종이 탄생하였다. |
1946년 | 대한민국의 소설가 이외수가 탄생하였다. |
1989년 | 대한민국의 배우 이종석이 탄생하였다. |
1997년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채원이 탄생하였다. |
4. 2. 일본
연도 | 인물 | 직업 |
---|---|---|
774년 | 헤이제이 천황 | 제51대 천황 |
1761년 | 산토 교덴 | 희작 작가 |
1771년 | 고카쿠 천황 | 제119대 천황 |
1798년 | 다카시마 슈한 | 포술가 |
1842년 | 가운 신치 | 발명가 |
1854년 | 다카미네 히데오 | 교육자 |
1855년 | 아이바 코손 | 소설가・연극 평론가 |
1860년 | 오가와 잇신 | 사진 작가 |
5. 사망
- 1839년 - 조선 가톨릭 순교자 정하상이 사망하였다.
- 1916년 - 대종교 창시자이자 한국 독립운동가 나철이 사망하였다.
- 585년 - 빈다쓰 천황이 사망하였다.
- 952년 - 스자쿠 천황이 사망하였다.
- 1325년 - 게이잔 조킨이 사망하였다.
- 1519년 - 호조 소운이 사망하였다.
- 1552년 - 나가오 후사나가가 사망하였다.
- 1648년 - 마쓰다이라 나오모토가 사망하였다.
- 1693년 - 아오키 시게마사가 사망하였다.
- 1716년 - 야마구치 소도가 사망하였다.
- 1747년 - 호소카와 무네타카가 사망하였다.
- 1860년 - 도쿠가와 나리아키가 사망하였다.
5. 1. 한국
5. 2. 일본
연도 | 사건 |
---|---|
585년 | 빈다쓰 천황, 제30대 천황 사망. |
952년 | 스자쿠 천황, 제61대 천황 사망. |
1325년 | 게이잔 조킨, 일본 소토 종의 제4조 사망. |
1519년 | 호조 소운, 무장 사망. |
1552년 | 나가오 후사나가, 무장 사망. |
1648년 | 마쓰다이라 나오모토, 에치젠 가쓰야마 번 주, 오노 번 주, 야마가타 번 주, 히메지 번 주 사망. |
1693년 | 아오키 시게마사, 제3대 아사다 번 주 사망. |
1716년 | 야마구치 소도, 하이쿠 시인 사망. |
1747년 | 호소카와 무네타카, 제5대 구마모토 번 주 사망. |
1860년 | 도쿠가와 나리아키, 제9대 미토 번 주,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아버지 사망. |
6. 기념일, 연중행사
7. 픽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