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용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용호는 1906년 평양에서 태어나, 1933년 사제 서품을 받은 한국 천주교의 성직자이다. 평양 관후리 주교좌성당 보좌 신부, 평양교구장 비서 등을 역임하며 교회 활동을 하던 중, 1943년 평양 대목구장, 1944년 주교로 임명되었다. 1949년 북한 정권에 체포되어 실종되었으며, 2013년 로마 교황청은 그의 사망을 공식 인정했다. 북한의 종교 탄압을 상징하는 인물로, 시복 절차가 추진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제실종자 - 게둔 초에키 니마
    게둔 초에키 니마는 1995년 달라이 라마 14세에 의해 11대 판첸 라마로 지명되었으나 중국 정부에 의해 체포 및 가택 연금된 이후 행방이 묘연한 6세 소년으로, 이는 차기 판첸 라마 선출 과정에서 발생한 정치적 갈등의 상징이며 국제 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다.
  • 강제실종자 - 라울 발렌베리
    라울 발렌베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웨덴 외교관으로서 나치의 홀로코스트로부터 수만 명의 헝가리 유대인들을 구출한 건축가이자 외교관이다.
홍용호
기본 정보
프란치스코 홍용호
프란치스코 홍용호
존칭하느님의 종
이름홍용호 프란치스코 (洪龍浩 프란치스코)
로마자 표기Hong Yong-ho
출생일1906년 10월 12일
출생지평양, 대한제국
사망일미상 (2013년 6월 교황청에서 사망 인정)
국적한국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사제 서품 정보
서품일1933년 5월 25일
주교 정보
직함평양교구 주교
임기 시작1962년 - ?
이전 직함해주지목구 대리
평양지목구 대리
주교 서품일1944년 6월 29일
주교 서품자보니파시오 사우어, O.S.B.
보조 서품자
노기남 바울로
좌우명Surgite eamus (일어나 갑시다)
관련 정보
소속 교구서울대교구

2. 생애

홍용호 주교는 한국 천주교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그의 생애는 초기 사제 서품부터 평양교구 활동, 그리고 납치 및 실종까지 이어진다.

1949년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의 보니파티우스 자우어 주교 체포 및 덕원 성 베네딕도 수도원 몰수 사건에 대해 김일성에게 항의 면담을 요청했으나, 5월 14일 면담 예정일에 납치되어 평양인민교화소 특별 정치범 감옥에 수감된 후 실종되었다. 이후 그의 행적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2. 1. 초기 생애 및 사제 서품 (1906년 ~ 1933년)

1906년 평양에서 태어났다. 1920년 용산예수성심신학교(지금의 가톨릭대학교 신학부 전신)에 입학하여 신부 수업을 받았다. 1933년 5월 25일 주님 승천 대축일프랑스 출신 선교사 아드리앙 조셉 라리보(한국명 원형근)에 의해 사제로 서품되었다.[1]

2. 2. 평양교구 활동 (1933년 ~ 1949년)

1933년 5월 25일 주님 승천 대축일에 사제 서품을 받은 후, 평양 관후리 주교좌성당 보좌 신부, 평양교구장 비서, 영유·순천 본당 신부를 역임했다.[1][2] 1934년 평양교구 출판 위원으로 임명되어 《가톨릭연구강좌》(《가톨릭연구》로 개편)의 편집장 겸 주필을 맡았다. 같은 해 8월 평양교구가톨릭운동연맹 의장으로 선임되어 평신도 중심의 전교 운동 활성화에 힘썼다.

1937년 《가톨릭연구》를 《가톨릭조선》으로 개편한 후에는 윌리엄 부스 신부에게 편집장 및 주필 업무를 넘기고 교구 출판 업무에 전념했다. 《가톨릭조선》은 1936년 《가톨릭청년》 폐간 이후 1938년 12월 재정난으로 폐간될 때까지 한국 로마 가톨릭교회의 문화·학술을 대변하는 유일한 잡지였다.

1941년 12월 태평양 전쟁 발발 당시, 미국 메리놀회 소속 신부들과 함께 일본 경찰에 간첩 혐의로 체포되어 3개월 동안 옥고를 치렀다.[10] 1942년 2월 천주교 대목구장 대리로 임명되었고, 1943년 3월 제6대 천주교 평양 대목구장으로 임명되었다.

1944년 3월 24일 교황 비오 12세로부터 평양 대목구 주교로 임명되었으며,[1][2] 같은 해 6월 29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축일에 보니파시오 사우어 주교 집전, 노기남 바오로 주교 등의 공동 축성으로 주교 서품을 받았다.[1][2]

1945년 8·15 광복 후 소련 군정과 협상하여 평양 관후리 주교좌성당을 되찾았고,[10] 1946년 성당 신축 공사에 착수했다.

1949년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 보니파티우스 자우어 주교 체포 및 덕원 성 베네딕도 수도원 몰수 조치에 항의, 김일성과 면담을 요청했다.[11][12][13][14]

2. 3. 납치 및 실종 (1949년 ~ 현재)

1949년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의 보니파티우스 자우어 주교 체포 및 덕원 성 베네딕도 수도원 몰수 조치에 항의하기 위해 김일성과의 면담을 요청했다.[11][12][13][14] 그러나 면담 예정일이었던 5월 14일에 납치되어 평양인민교화소 특별 정치범 감옥에 수감된 이후 실종되었다.[11][12][13][14] 이후의 행적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정진석 니콜라오 추기경2006년 다음과 같이 말했다.

> 1940년대 후반에 있었던 166명의 사제와 수도자가 살해되거나 납치되었던 종교 박해에서 살아남은 사제들에 대한 정보는 없습니다. ''교황 연감''은 당시 평양 주교였던 몬시뇰 프란치스코 홍용호를 "실종" 상태로 계속 묘사하고 있으며, 그는 오늘날 100세가 될 것입니다. 이것은 성좌가 한국 교회가 겪었고 지금도 겪고 있는 비극을 지적하기 위한 제스처입니다.[6]

2013년 6월 로마 교황청은 홍용호가 공식적으로 사망했음을 인정했지만,[19] 그가 사망한 시기 및 장소는 불명으로 남겨두었다.[9]

3. 북한의 천주교 탄압과 홍용호 주교

홍용호 주교는 일제 강점기와 광복 이후 혼란스러운 시기에도 천주교 신앙을 지키고 교회를 재건하기 위해 노력했다. 1945년 8·15 광복과 함께 일제에 몰수된 평양 관후리 주교좌성당을 되찾기 위해 소련 군정과 협상했고, 1946년 성당을 되찾아 신축 공사를 시작했다.[10]

그러나 1949년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의 보니파티우스 자우어 주교 체포 및 덕원 성 베네딕도 수도원 몰수 조치에 항의하고자 김일성과 면담을 요청했지만, 면담 예정일인 5월 14일 납치되어 투옥된 후 실종되었다.[11][12][13][14]

3. 1. 북한 천주교 박해

1949년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의 보니파티우스 자우어 주교 체포 및 덕원 성 베네딕도 수도원 몰수 조치에 항의하기 위해 김일성과의 면담을 요청했지만, 면담 예정일이었던 5월 14일 납치되어 평양인민교화소 특별 정치범 감옥에 수감된 이후 실종되었다.[3][4][5][11][12][13][14] 이후 행적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대한민국정진석 추기경은 2006년에 그의 실종을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1940년대 말에 있었던 로마 가톨릭교회 박해로 인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서는 166명의 사제와 수도자가 살해되거나 납치되었는데 여기서 살아남은 사제를 알 도리는 없습니다. 《교황청 연감》은 그가 "실종되었다"는 기술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만약 당시 평양의 주교였던 그가 살아 있다면 현재는 100세가 되었을 것입니다. 성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로마 가톨릭교회가 고난 속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2013년 6월 로마 교황청은 홍용호가 공식적으로 사망했음을 인정했지만, 그가 사망한 날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19]

3. 2. 홍용호 주교 실종의 의미

홍용호 주교의 실종은 북한 정권의 종교 탄압을 상징하는 사건이다. 1949년 납치된 이후, 그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이는 북한에서 종교의 자유가 억압받고 있음을 보여준다.[3][4][5]

홍용호 주교는 일제 강점기와 광복 이후 혼란스러운 시기에도 신앙을 지키고 교회를 재건하기 위해 노력했다. 1945년 8·15 광복 이후에는 소련 군정과 협상하여 평양 관후리 주교좌성당을 되찾고 신축 공사를 시작하는 등[10] 교회 재건에 힘썼다. 그러나 1949년 김일성과의 면담을 요청했지만, 면담 예정일에 납치되어 투옥된 후 실종되었다.[11][12][13][14]

2013년 로마 교황청은 홍용호 주교의 사망을 공식적으로 인정했지만,[19] 사망 날짜와 장소는 여전히 알려지지 않았다. 이는 분단과 이념 대립 속에서 희생된 그의 삶을 통해, 종교 탄압의 비극과 신앙의 중요성을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3. 3. 장충성당 관련 논란

1988년 평양 동부에 가톨릭 장충성당이 세워졌지만, 북한 당국의 주장과 달리 교황청에서 임명한 주교는 존재하지 않는다.

4. 시복 추진

대한성공회 주교회의는 성인 시성성에 홍용호 주교의 시복 절차 개시를 위한 《니힐 옵스타트》를 요청하였다.[8] 2013년 6월 로마 교황청은 홍용호가 사망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지만, 그가 사망한 날짜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9]

4. 1. 시복 요청과 《니힐 옵스타트》

대한성공회 주교회의성인 시성성에 홍용호 주교의 시복 절차 개시를 위한 《니힐 옵스타트》를 요청하였다.[8]

4. 2. 교황청의 사망 인정

2013년 6월 로마 교황청은 홍용호가 사망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9] 그러나 그가 사망한 날짜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는 대한성공회 주교회의가 성인 시성성에 홍 주교의 시복 절차 개시를 위한 《니힐 옵스타트》를 요청한 사실과 관련이 있다.[8]

참조

[1] 웹사이트 Bishop Francis Hong Yong-ho http://www.catholic-[...] 2012-01-07
[2] 웹사이트 Diocese of Pyong-yang 평양, North Korea http://www.gcatholic[...] 2007-10-27
[3] 웹사이트 Pope writes letter to North Korean Catholics http://www.asianews.[...] 2007-10-27
[4] 웹사이트 Mission Asia: The Laboratory is South Korea http://chiesa.espres[...] 2007-10-27
[5] 웹사이트 Catholicism in North Korea survives in catacombs http://ncronline.org[...] 2007-10-27
[6] 웹사이트 Korea, for a reconcili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http://www.30giorni.[...] 2012-01-06
[7] 웹사이트 Diocese of P'yong-yang http://www.catholic-[...] 2012-01-07
[8] 웹사이트 Vatican Diary / The first saint of North Korea http://chiesa.espres[...] 2016-01-01
[9] 웹사이트 Cappella Papale Santa Messa In Suffragio Dei Cardinali E Vescovi Defunti Nel Corso Dell'Anno Celebrata Dal Santo Padre Francesco https://www.vatican.[...] 2013-12-14
[10] 웹사이트 NATE 한국학 홈 > 역사와 인물 > 역사 속 인물 > 인물정보 홍용호(洪龍浩) http://koreandb.nate[...]
[11] 뉴스 Pope writes letter to North Korean Catholics. http://www.asianews.[...] AsiaNews 2007-02-16
[12] 뉴스 Mission Asia: The Laboratory is South Korea. http://chiesa.espres[...] Chiesa 2007-01-26
[13] 뉴스 Catholicism in North Korea survives in catacombs. http://ncrcafe.org/n[...] National Catholic Reporter 2006-10-19
[14] 웹사이트 NATE 한국학 홈 > 역사와 인물 > 역사 속 인물 > 인물정보 홍용호(洪龍浩) http://koreandb.nate[...]
[15] 웹사이트 Bishop Francis Hong Yong-ho. http://www.catholic-[...] Catholic Hierarchy 2007-10-27
[16] 서적 Annuario Pontificio per l'anno 2006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6
[17] 웹사이트 Diocese of P’yŏng-yang 평양, North Korea. http://www.gcatholic[...] Giga-Catholic Information 2007-10-27
[18] 간행물 Korea, for a reconcili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http://www.30giorni.[...] 30Days 2006-03
[19] 웹사이트 Cappella Papale Santa Messa In Suffragio Dei Cardinali E Vescovi Defunti Nel Corso Dell'Anno Celebrata Dal Santo Padre Francesco http://www.vatican.v[...] 2013-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