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경제학은 환경 문제와 경제적 요소를 결합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모색하는 학문이다. 1960년대 이후 발전해 왔으며, 시장 실패를 주요 개념으로 다룬다. 주요 개념으로는 시장 실패, 외부효과, 공유재와 공유지의 비극, 공공재 등이 있으며, 환경 가치를 평가하고 오염자 부담 원칙과 예방 원칙 등을 적용한다. 환경 규제, 오염 할당량, 오염에 대한 세금, 재산권 정의 등 다양한 정책 수단을 제시하며, 교토 의정서와 같은 국제 협약에도 적용된다. 생태경제학, 자원경제학, 녹색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와 관련되며, 개발도상국의 환경 문제를 연구하는 envirodevonomics와 법경제학의 환경법 연구 등도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산업생태학 - 녹색 경제 녹색 경제는 환경 영향 최소화, 자원 효율성 증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며, 재생에너지, 친환경 건축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경제 시스템으로, 기후변화 대응의 필수 전략이지만 사회경제적 비용, 불평등 심화 우려, 시장 메커니즘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국제기구와 여러 국가, 대한민국 또한 녹색 경제 전환을 추진 중이나 정책 불확실성, 사회적 합의 부재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산업생태학 - 오염자 부담 원칙 오염자 부담 원칙은 환경 오염으로 인한 비용을 오염 행위자에게 부담시키는 원칙으로, 오염 방지 비용을 오염자에게 부과하여 외부 비용을 내부화하고 오염 감소를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장 실패 - 정보 비대칭 정보 비대칭은 한쪽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보다 더 많은 정보를 가져 불공정한 거래나 의사 결정이 발생하는 상황을 의미하며, 역선택, 도덕적 해이 등의 모델로 설명되고 신호, 스크리닝 등의 해결책이 제시된다.
시장 실패 - 독점 독점은 상품의 유일한 판매자가 존재하고 대체재가 없으며 진입 장벽이 높은 시장 구조를 의미하며, 생산량 감소와 가격 상승을 초래하여 사회적 후생 손실을 발생시키고 정부의 규제를 받기도 한다.
환경사회과학 - 환경 정책 환경 정책은 대기 및 수질 오염, 폐기물 관리,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보호, 천연자원 관리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기업, 개인이 채택하는 행동 원칙으로, 사회적, 경제적 차원과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여 규제, 경제적, 정보적 수단을 활용하고 정책 분석을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지만, 정책 효과에 대한 논쟁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정책 통합 및 국제적 협력이 과제로 남아있다.
환경사회과학 - 환경 사회 과학 환경 사회과학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맥락을 분석하고, 사회역학과의 협력을 통해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제 간 연구 분야이다.
환경경제학
개요
분야
경제학의 하위 분야
세부 분야
탄소 가격
탄소 크레딧 탄소 배출권 거래 탄소세 배당금 탄소 금융 탄소 상쇄 탄소세 배출권 거래 환경세 개인 탄소 거래 피구세 탄소의 사회적 비용
기후 변화
탄소 발자국 기후 변화 완화 푸드 마일
개념
밝은 녹색 환경주의 순환 경제 기후 금융 기업 지속 가능성 탈성장 투자 철회 에코 자본주의 에코 상업 에코 혁신 에코 투자 생태 경제학 생태 발자국 생태 현대화 생태 기술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에너지 보존 환경 회계 디자인 기업 금융 총원가 회계 영향 디자인 계획 윤리적 은행 재정 환경주의 녹색 회계 건축 개발 경제 성장 일자리 마케팅 역설 회복 거래 차량 고성능 건물 영향 투자 한계 저감 비용 천연 자원 경제학 오염 피난처 가설 사회적 회계 사회적 책임 경영 사회적 투자 수익 지속 가능성 회계 조직 보고 지속 가능한 광고 농업 자본주의 소비자 행동 소비 디자인 디자인 표준 개발 개발 목표 에너지 금융 식품 시스템 산업 생계 경영 시장 조달 개조 소싱 관광 운송 열경제학 중고품 지구의 가치
에너지 전환
2000와트 사회 대체 연료 탄소 중립 탄소 중립 연료 환경 기술 발전 차액 지원 제도 화석 연료 투자 철회 화석 연료 단계적 폐지 저탄소 경제 순 계량 재생 에너지 상용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정책
탄소 누출 환경 가격 개혁 환경 관세 무료 대중 교통 녹색 산업 정책 녹색 뉴딜 녹색 정치 철도 보조금
설명
2. 역사
지구 온난화, 생물 다양성 감소, 환경 오염 등 다양한 환경 문제가 오늘날 경제적 시각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1970년대 여러 환경오염 문제가 미디어에 보도되면서 생태학에 관한 논의가 활성화되었고, 이와 함께 환경경제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세계 경제는 자원 이용과 경제 개발에 따른 환경적 "비용"을 측정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환경적 고려가 부족했던 기존 사고방식의 변화를 보여준다. 생물물리학적 환경은 생태학과 지구상의 모든 활동과 관련하여 생태계의 체계와 순환 구조와 연계되어 있다. 이는 시장 측면의 한계(지하수 오염)보다 공급 측면의 한계(석유나 수산자원의 과도한 채취 및 포획)에 비중을 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경제 개발 모델은 인간 활동의 결과물로서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해석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현대 문화에서 비교적 최근에 나타난 현상이다. '경제(economy)'라는 단어는 '집'을 의미하는 "oikos"와 '규칙'을 의미하는 "nomos"의 조합으로, '집', 즉 생태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이는 '생태학(ecology)'의 어원('집'을 의미하는 "oikos"와 '학문'을 의미하는 "logos")에도 반영되어 있다.
기후 온난화, 해수면 상승
인간은 자연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천연자원을 채취하고, 자연을 정복함으로써 독립성을 확보한다. 인간의 경제활동에서 자연은 필수불가결한 존재이다. 이러한 인식의 발전으로 환경경제학이 성립되었으며, 환경경제학은 환경의 생태학적 가치를 경제학적 개념에 통합하고 더 나아가 사회과학 분야 전반에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환경경제학은 신고전학파가 간과했던 환경적 관점을 경제학에 포함시키는 데 의의가 있다.
환경경제학은 인간과 환경이라는 주체 간의 상호작용을 반영하는 새로운 경제적 효율성의 개념을 연구한다. 이는 기존 경제학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기존 경제학에 생태학적 가치를 접목하고 환경적 변수를 고려하는 경제학을 제시하는 것이다.
환경경제학은 행위자의 후생, 자원의 생산과 이용과 같은 기존 경제학의 중심 개념들을 새롭게 정의한다. 신고전경제학에서 말하는 후생은 상품 소비를 통해 이루어지지만, 환경경제학에서는 후생 개념에 개인이 환경에 부여하는 계량화할 수 없는 상징적이고 실질적인 가치를 추가한다. 또한 전 세계적인 물자 생산과 소비가 경제 구조 속에서 갖는 환경적 연관성도 포함한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경제학을 재구축하려는 생태경제학, 마르크스 경제학적 관점에서 정치 체제와 시민 사회의 역할을 중시하는 환경 정치 경제학 등 여러 학파로 나뉜다. 국제화된 물질 순환을 지역으로 되돌리려는 지역 통화 논의, 지역 공동체의 주민과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개발 참여 및 로컬 코먼스 관리를 논하는 풀뿌리 민간 활성화 논의 등도 여기에 포함된다.
2. 1. 초기 환경경제학
고전 경제학파의 논의에서 경제와 천연자원의 희소성의 관계가 명확하게 확립되었다. 맬서스는 인구 성장이 생존 수단을 넘어설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고, 리카도는 상대적인 한계와 결핍이 성장 경제의 현실적인 문제가 된다고 설파했다. 마르크스 등의 사상가들은 "한계"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전통적인 경제학의 형태와는 다소 다른 사고방식이, 훗날 후생 경제나 경제의 정상 상태라는 논의를 포함하는 형태로 환경 경제학이 성립했다.[5]
현대 환경 경제학은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며[5], 폴 데이비슨을 비롯한 포스트 케인즈 경제학자들의 중요한 기여가 있었다. 그는 당시 콘티넨탈 오일사에서 경영직을 역임하고 있었다.[6]
2. 2. 현대 환경경제학과 한국의 환경 문제
현대에 들어 지구 온난화, 생물 다양성 감소, 환경 오염 등 다양한 환경 문제가 경제적 시각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세계 경제는 자원 이용과 경제 개발의 환경적 "비용"을 측정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환경적 고려가 적었던 기존 사고방식의 변화를 보여준다.
대한민국은 미세먼지, 4대강 사업, 원자력 발전소 문제, 기후 변화 등 다양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대한 환경경제학적 접근과 해결책 모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탄소 중립 정책,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등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3. 환경경제학의 주요 개념
환경경제학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성장의 한계: 토머스 맬서스, 데이비드 리카도, 카를 마르크스 등의 사상가들은 인구 증가와 자원 고갈로 인해 경제 성장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생각은 훗날 환경 경제학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시장 실패: 시장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지 못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대기 오염은 시장 실패의 한 예시로, 공장이 지역 사회에 부정적인 외부 비용을 부과하는 경우이다. 환경 문제의 경우, 외부효과, 공유재, 공공재 등의 요인으로 인해 시장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외부효과: 한 경제 주체의 행동이 다른 경제 주체에게 의도하지 않은 이익이나 손해를 발생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환경 오염은 대표적인 부정적 외부효과의 사례이다.
공유재와 공유지의 비극: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자원(공유재)이 과도하게 사용되어 고갈될 위험이 있다는 개념이 공유지의 비극이다. 엘리노어 오스트롬은 공유 자원 관리에서 자치 규칙 설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공유지의 비극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공공재: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으며, 한 사람의 소비가 다른 사람의 소비를 감소시키지 않는 재화나 서비스를 의미한다. 깨끗한 공기, 국방 등이 공공재의 예시이며, 시장에서 적절하게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기후 변화 완화는 공공재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3. 1. 시장 실패
환경 경제학의 핵심은 시장 실패 개념이다. 시장 실패란 시장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데 실패하는 것을 의미한다. Hanley, Shogren, and White (2007)는 "시장 실패는 시장이 희소 자원을 할당하여 최대의 사회적 후생을 창출하는 데 실패할 때 발생한다. 사적 개인이 시장 가격을 고려하여 하는 행동과 사회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그에게 요구하는 행동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차이는 낭비 또는 경제적 비효율성을 의미하며, 자원을 재할당하여 다른 사람을 더 나쁘게 만들지 않고 최소한 한 사람을 더 나아지게 할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7] 이로 인해 정부 개입과 같은 수단을 통해 수정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시장이 발생한다. 시장 실패의 일반적인 형태에는 외부효과, 배제 불가능성 및 비경합성이 포함된다.[8]
외부 효과는 시장 가격에 반영되지 않은 방식으로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선택을 개인이 할 때 존재한다. 외부 효과는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환경 경제학에서는 부정적인 외부 효과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고층 건물에서 발생하는 누수는 아래층에 영향을 미친다.[9] 아마존 목재 판매 시 벌목 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10] 또는 오염을 배출하는 기업이 오염이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비용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그 예시이다. 그 결과, 시장이 오염을 고려하도록 요구받을 경우 존재할 '사회적으로 효율적인' 수준보다 더 많은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케네스 애로우와 제임스 미드의 영향을 받은 고전적인 정의는 Heller와 Starrett (1976)가 "사경제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잠재적 시장을 창출할 충분한 인센티브가 부족하고, 이 시장의 부재가 파레토 효율성의 손실을 초래하는 상황"으로 정의한 것이다.[11] 경제학 용어로, 외부 효과는 제약 없는 시장이 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하지 못하는 시장 실패의 예이다.
신고전학파 경제학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경제학에서는 환경 문제를 외부 불경제의 일종으로 간주하며, 이를 내부화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그 수단으로 경제적 수단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오염 물질에 한계 환경 피해액과 동일한 액수의 세금을 부과하여 환경 피해 비용을 내부화하는 환경세나, 전체 최적 배출량을 미리 정해 '오염할 권리'로서 시장에서 분배하고 매매하는 배출권 거래 등의 경제적 수단을 통해 환경 문제 해결을 시도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경제 시스템의 물질 수지 시스템 구도를 살펴보면, 채취, 가공·조립, 소비의 모든 과정에서 환경 오염의 요인이 되는 폐기물이 발생한다. 오염의 경제학적 정의는 폐기물이 환경에 미치는 물질적 효과와 그 효과에 대한 인간의 반응에 달려 있다. 이른바 경제 용어인 외부 비용에는 건강 피해, 이환율·사망률·레크리에이션 감소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경제에서의 외부 비용을 고찰하는 것 또한 환경 경제학의 한 분야이다.
3. 2. 외부효과
경제학에서 말하는 시장 균형은 사회 및 환경적 측면에서의 최적 상태와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가치로 인정되지 않은 요소들은 경제 주체의 효용성에 영향을 미치더라도 효용성 분석에서 배제되는데, 이러한 요소들을 시장 거래의 외부효과(externality)라고 한다. 외부효과는 경제 행위자의 후생을 개선하는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금전적인 보상 없이 후생을 감소시키는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공항 건설 시 소음 공해로 인해 주변 부동산 가치가 하락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비효율적인 외부효과를 내부화하여 손실 가치를 시장 거래 체제에 반영해야 한다. 즉, 환경적 손실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다.[7]
외부 효과는 시장 가격에 반영되지 않은 방식으로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선택을 개인이 할 때 존재한다. 외부 효과는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환경 경제학에서는 부정적인 외부 효과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고층 건물에서 발생하는 누수는 아래층에 영향을 미친다.[9] 또는 오염을 배출하는 기업은 일반적으로 오염이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비용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 결과, 시장이 오염을 고려하도록 요구받을 경우 존재할 '사회적으로 효율적인' 수준보다 더 많은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케네스 애로우와 제임스 미드는 외부 효과를 "사경제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잠재적 시장을 창출할 충분한 인센티브가 부족하고, 이 시장의 부재가 파레토 효율성의 손실을 초래하는 상황"으로 정의한다.[11] 경제학 용어로, 외부 효과는 제약 없는 시장이 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하지 못하는 시장 실패의 예이다.
신고전학파 경제학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경제학에서는 환경 문제를 외부 불경제의 일종으로 간주하며, 이를 내부화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그 수단으로 경제적 수단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오염 물질에 한계 환경 피해액과 동일한 액수의 세금을 부과하여 환경 피해 비용을 내부화하는 환경세나, 전체 최적 배출량을 미리 정해 '오염할 권리'로서 시장에서 분배하고 매매하는 배출권 거래 등의 경제적 수단을 통해 환경 문제 해결을 시도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경제 시스템의 물질 수지 시스템 구도를 살펴보면, 채취, 가공·조립, 소비의 모든 과정에서 환경 오염의 요인이 되는 폐기물이 발생한다. 오염의 경제학적 정의는 폐기물이 환경에 미치는 물질적 효과와 그 효과에 대한 인간의 반응에 달려 있다. 이른바 경제 용어인 외부 비용에는 건강 피해, 이환율·사망률·레크리에이션 감소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경제에서의 외부 비용을 고찰하는 것 또한 환경 경제학의 한 분야이다.
3. 3. 공유재와 공유지의 비극
공유재는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을 말한다. 개릿 하딘이 제시한 공유지의 비극은 이러한 공유 자원이 과도하게 사용되어 고갈될 위험이 있다는 것을 경고하는 개념이다.[12]공유지의 비극은 사람들이 공유지의 희소 가치를 무시하고 너무 많은 노력을 쏟아붓기 때문에 발생한다. 하딘은 제한이 없을 경우, 개방 접근 자원의 사용자는 자원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고 독점적 권리를 가질 때보다 더 많이 사용할 것이며, 이는 환경 파괴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12]
하지만, 엘리노어 오스트롬은 실제 공유 재산 자원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공유지의 비극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자치 규칙을 설정하기 위해 노력한 사례들을 연구하여, 공유 자원 관리에서 자치 규칙 설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2]
3. 4. 공공재
공공재는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으며, 한 사람의 소비가 다른 사람의 소비를 감소시키지 않는 재화나 서비스를 말한다. 깨끗한 공기, 국방 등이 공공재의 예시이다. 공공재는 시장에서 적절하게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기후 변화 완화 노력은 공공재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어떤 사람의 환경 자원 접근을 배제하는 데 비용이 너무 많이 들 경우, 그 자원은 공유 재산 자원(자원에 대한 경합이 있어 한 사람의 자원 사용이 다른 사람의 자원 사용 기회를 감소시키는 경우) 또는 공공재(자원 사용이 비경합적인 경우)라고 불린다. 배제가 불가능한 경우, 시장 할당은 비효율적일 가능성이 높다.[12]
이러한 문제는 오랫동안 인식되어 왔다. 하딘 (1968)의 공유지의 비극 개념은 배제 불가능성과 공유 재산과 관련된 문제점을 널리 알렸다. "공유지"는 환경 자산 자체를 의미하며, "공유 재산 자원" 또는 "공유 풀 자원"은 일부 집단이 다른 사람을 배제하기 위한 계획을 고안하여 미래의 이익 흐름을 포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재산권 체제를 의미한다. "개방 접근"은 아무도 소유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소유권이 없음을 의미한다.[12]
기본적인 문제는 사람들이 공유지의 희소 가치를 무시하면 너무 많은 노력을 쏟게 되어 자원을 과잉 채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예: 어업). 하딘은 제한이 없을 경우, 개방 접근 자원의 사용자는 자원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고 독점적 권리를 가질 때보다 더 많이 사용할 것이며, 이는 환경 파괴로 이어질 것이라고 이론화한다. 그러나, 실제 공유 재산 자원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공유지의 비극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자치 규칙을 설정하기 위해 노력한 것에 대한 오스트롬 (1990)의 연구를 참조하라.[12]
기후 변화 완화 효과는 사회적 이익이 시장 가격에 완전히 반영되지 않는 공공재의 예이다. 개인 한계 편익이 사회적 편익보다 작기 때문에 시장은 기후 변화 완화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한다. 기후 변화의 위험은 비경합적이고 배제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는 공공재이다. 이러한 노력은 한 사람에게 제공되는 기후 완화가 다른 사람이 누리는 완화 수준을 감소시키지 않기 때문에 비경합적이다. 또한, 누구도 배제할 수 없는 글로벌한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배제 불가능한 행위이다. 탄소 감축에 투자하려는 국가의 인센티브는 다른 국가의 노력에 "무임승차"할 수 있기 때문에 감소한다. 1세기 전, 스웨덴 경제학자 크누트 빅셀 (1896)은 사람들이 공공재에 대한 선호를 숨기면서도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도 그 이익을 누릴 수 있기 때문에 공공재가 시장에 의해 부족하게 제공될 수 있음을 처음으로 논의했다.
4. 환경 가치 평가
환경경제학의 주요 주제 중 하나는 환경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천연 자원의 가치는 종종 시장 가격에 반영되지 않는데, 이는 자원 남용과 과소 투자를 초래할 수 있다.[13] 따라서 환경 정책 수립에 있어 이러한 환경의 가치를 측정하는 것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환경 가치 평가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평가 방법
설명
활용 예시
여행 비용 분석
드러난 행동이나 관찰된 가격을 기반으로 가치를 추정
헤도닉 모형
드러난 행동이나 관찰된 가격을 기반으로 가치를 추정
주택 가격, 여행 경비, 공원 방문 비용을 통해 환경이 경제적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14]
조건부 가치 측정
지불 의사(WTP)나 환경적 가치의 파괴에 대한 보상(받을 의향이 있는 금액, WTA)을 묻는 설문조사 형태
선택 모형
진술된 선호 방법론을 사용하여 비사용 가치를 추정
생태계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또는 유형적 편익,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 천연 자원의 가치에는 사용 가치와 간접 가치가 모두 포함된다(생태 경제학의 본질 섹션 참조). 비사용 가치에는 존재 가치, 선택 가치, 유산 가치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생태계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없이 다양한 종의 존재 자체에 가치를 둘 수 있다. 이러한 종의 존재는 어떤 인간적 목적을 위해 사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선택 가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식물에 대한 약물 연구가 진행될 수 있다. 개인은 자녀에게 깨끗한 환경을 물려줄 수 있는 능력에 가치를 둘 수 있다.[13]
대한민국에서는 환경 가치 평가를 통해 환경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고, 환경 개선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5. 환경경제학의 원칙
환경경제학은 생태학적 관점에서 경제학을 재구축하려는 생태경제학, 마르크스 경제학적 관점에서 정치 체제와 시민 사회의 역할을 중시하는 환경 정치 경제학 등 여러 학파로 나뉜다. 국제화된 물질 순환을 지역으로 되돌리려는 지역 통화 논의, 지역 공동체의 주민과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개발 참여 및 로컬 코먼스 관리를 논하는 풀뿌리 민간 활성화 논의 등도 여기에 포함된다.[15]
경제와 자원 문제를 생각할 때, 자원은 비재생 가능 자원과 재생 가능 자원으로 크게 분류된다.
비재생 가능 자원: 고갈성 자원 (석유, 광산, (산림))
재생 가능 자원: 재생 가능한 자원 (어장)
환경경제학은 생태경제학과 관련이 있지만 다른 분야이다. 환경경제학자는 경제학적 도구를 사용하여 경제 문제를 다루며, 시장의 실패라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의존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한다. 반면 생태경제학자는 생태계와 공공사업에서의 경제적 활동과 인간에 중점을 두며, 경제학을 생태학의 한 분야로 간주한다. 생태경제학은 환경 문제에 대해 다원적인 접근 방식을 시도하며, 지속가능성과 환경 규모의 문제에 장기적인 시점을 둔다.[15]
두 그룹의 전문가들은 지지하는 철학이 달라 종종 다른 견해를 보인다. 생태학자들은 의무론적 윤리 문제를, 환경경제학자는 목적론적 윤리 문제를 제시한다. 어느 쪽이 옳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환경경제학자가 프로그램적인 경제 정책을 제시하는 데 반해, 생태경제학자는 이상주의적이다.[15]
지속 가능한 발전은 자원 경제학과 명확히 구분된다. 자연 자원 경제학은 자연 자원 스톡의 일부에 대한 최적의 상업적 개발을 검토하면서 시작되었지만, 자원 관리자와 정치적 결정자들은 자연 자원의 중요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환경" 경제와 "자연 자원" 경제를 구분하는 것은 어렵지만, 지속 가능성이라는 단어가 일반화된 지금은 명백하다. 정치 경제학의 행동 지침 대신 환경적임을 내세우는, 더 과격한 환경주의자들도 있다.[15]
환경 경제학은 자연 자본과 환경 금융을 두 개의 기둥으로 하며, 이는 생산에서의 자연 보호주의와 인간에 대한 생물 다양성의 가치라는 두 개의 지주로 생각된다. 자연 자본주의 이론은 물적 자본과 함께 자연의 기여를 언급함으로써 전통적인 환경 경제학보다 진보했다. 과격한 환경 경제학자들은 신고전파 경제학을 받아들이지 않고, 경제학보다 생태학이 더 우수하다고 인식하며, 자연 환경과 경제의 상호 작용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자본주의 및 공산주의를 넘어선 새로운 정치 경제학에 찬성했다.[15]
5. 1. 오염자 부담 원칙
오염자 부담 원칙은 1972년 독일에서 생성된 개념으로 OECD가 경제학의 기초 원리로 인정하였다. 오염자 부담 원칙은 오염을 유발한 자가 그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때로는 오염에 개입되지 않은 행위자가 오염에 대한 비용을 부담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오염을 일으키는 자(예를 들어 공장)가 앞으로 오염을 저감하고 시설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기 위한 공공정책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원칙이다. 실제로 프랑스의 수자원공사에서는 이와 같은 원칙을 적용하여 수돗물 사용자들에게 세금을 적용하고 있다.[15]
거의 모든 정부와 국가들은 기업과 기타 경제 주체들이 천연 자원을 보호하는 것보다 착취하는 데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는 다양한 유형의 보조금을 제공함으로써 환경 피해를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공공 보조금으로 인한 자연 파괴는 연간 4조달러~6조달러로 보수적으로 추정된다.[15]
5. 2. 예방 원칙
예방 원칙은 주로 보건상의 이유로 시장 거래가 제한되는 근거가 된다. 광우병, 유전자 조작 생물(GMO)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경우에 환경경제학에서는 예방 원칙이 적용되는 사태의 경제적, 환경적 결과를 함께 고려한다. 예방 원칙은 환경 파괴의 비가역성에 의해 성립한다.
6. 환경경제학의 적용
환경경제학은 경제 시스템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한다. 주요 4가지 기둥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많은 정부와 국가들이 기업에게 환경 보전보다 자원 착취를 유도하는 보조금을 지급하여 환경 파괴를 심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공공 보조금으로 인한 자연 파괴는 연간 4조달러~6조달러로 추정된다.[15] 세계 최대 산업은 연간 약 7.3조달러의 천연 자본을 무료로 소모한다.[21]
Trucost의 연구에 따르면,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는 5개 지역 부문은 다음과 같다.[22]
교토 의정서는 환경적 제약과 경제 개발의 균형을 조정하기 위한 국제 협약으로, 환경경제학의 원칙이 적용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환경경제학에서는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오염의 최적 수준을 정의한다. 교토 의정서에서 정의하는 오염의 최적은 생태학적 관점에서는 온실가스 배출을 완전히 중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시장경제학에서는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비용이 이미 시장 가격에 반영되었다고 주장한다. 환경경제학은 이 두 학파의 절충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교토 의정서 당사국으로서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이행하고 있다.
6. 2. 환경 정책 수단
환경 문제는 시장 실패로 인해 발생하므로,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정책이 필요하다. 환경경제학에서는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정책 수단을 제시한다.
환경 규제: "지휘 및 통제" 수단이라고도 불리며, 오염 물질 배출에 대한 제한을 적용한다. 현대에는 기업의 비용 차이를 고려하여 유틸리티 매개변수를 통합하는 방식으로 설계되기도 한다.[16]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의 CO2 배출 표준은 전체 차량의 평균 차량 바닥 면적(미국) 또는 평균 차량 중량(EU)과 연결된다.
오염 할당량: 거래 가능한 배출 허가를 통해 오염 감소를 달성하는 방식이다. 기업은 오염 감소 비용과 허가 구매 비용을 비교하여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 미국의 이산화황 거래 프로그램이나 EU 배출권 거래 제도가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
오염에 대한 세금 및 관세: 오염 비용을 증가시켜 오염을 억제하고, 오염 수준이 감소하더라도 계속 작용하는 "역동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아서 피구가 제시한 피구 세가 대표적이다.[16]
더 잘 정의된 재산권: 코스 정리에 따르면, 거래 비용이 적고 협상 당사자 수가 제한적일 때 재산권을 할당하면 효율적인 해결책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현대 경제 이론은 비대칭적 정보가 존재하면 비효율적인 협상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17]
최종 가격에 환경적 외부 효과 고려: 기업이 최종 가격에 환경 비용을 포함하면 제본스 역설을 완화하고 혁신을 유도할 수 있다.
거의 모든 정부와 국가들은 기업과 기타 경제 주체들이 천연 자원을 보호하는 것보다 착취하는 데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는 다양한 유형의 보조금을 제공함으로써 환경 피해를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공공 보조금으로 인한 자연 파괴는 연간 4조달러~6조달러로 추정된다.[15]
세계 최대 산업은 연간 약 7.3조달러의 무료 천연 자본을 소모한다.[21] Trucost는 100개 이상의 직접적인 환경 영향을 평가하고 이를 6개의 주요 환경 성과 지표(EKPI)로 압축했다.[22] 다음 표는 전체 EKPI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EKPI별 5개 지역 부문에 대한 개요를 금전적 가치로 측정한 것이다.[22]
모든 EKPI에 걸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EKPI별 5개 지역-부문 순위(금전적 가치 측정 시)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은 지구 생태계에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물질(물, 탄소, 질소, 산소 등)의 순환을 의미한다. 인간의 경제 활동은 이러한 순환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환경 문제로 이어진다. 환경경제학은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을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환경경제학은 생태경제학과 관련이 있지만 다른 분야이다. 많은 환경경제학자들은 경제학자로 여겨진다. 경제적인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환경경제학이지만, 대부분은 소위 시장의 실패라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의존할 수 없다는 입장에 있다.[23] 대부분의 생태경제학자들은 생태학자로 여겨지며, 반대로 생태계와 공공사업에서의 경제적 활동과 인간에 중점을 둔다. 이 분야에서는 경제학자를 생태학의 한 분야로 여긴다. 생태경제학은 환경 문제에 대해 다원적인 접근 방식을 시도하며, 분명하게 지속가능성과 환경 규모의 문제에 장기적인 시점을 둔다.
이 두 그룹의 전문가들은 두 분야가 지지하는 철학이 다르다는 문제로 인해 종종 다른 견해를 보인다.[24] 많은 생태학자들은 의무론의 윤리 문제를 제시하고, 환경경제학자는 목적론의 윤리 문제를 제시한다. 어느 쪽이 옳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환경경제학자가 프로그램적인 경제 정책을 제시하는 데 반해, 생태경제학자는 이상주의적이다.
지속 가능한 발전은 자원 경제학과는 명확히 구분된다. 자연 자원 경제학은 연구자들의 주요 논점으로서 자연 자원 스톡의 일부에 대한 최적의 상업적 개발을 검토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자원의 관리자와 정치적 결정자들은 자연 자원의 중요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환경" 경제와 "자연 자원" 경제를 구분하는 것은 어렵지만, 지속 가능성이라는 단어가 일반화된 지금은 명백하다.
환경 경제학은 자연 자본주의와 환경 금융 이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각각 생산에서 자원 보존과 인간에 대한 생물 다양성의 가치와 관련된 환경 경제학의 두 하위 분과라고 할 수 있다.[24] 자연 자본주의 이론(호큰, 로빈스, 로빈스)은 자연 서비스를 물리적 자본과 동등하게 고려하는 세상을 구상함으로써 전통적인 환경 경제학보다 더 나아간다.
더 급진적인 녹색 경제학자들은 인간 경제와 자연 환경의 상호 작용을 더 강조하고 "경제는 생태의 5분의 3이다"를 인정하는 자본주의나 공산주의를 넘어선 새로운 정치 경제를 선호하며 신고전 경제학을 거부한다.[24] 이 정치 그룹은 재생 에너지 전환을 옹호한다.
법경제학 분야에서 환경법은 경제적 관점에서 연구된다. 환경법의 경제 분석은 구역 설정, 수용, 면허 발급, 제3자 책임, 안전 규제, 의무 보험 및 형사 제재와 같은 수단을 연구한다.
9. 비판 및 논쟁
환경경제학은 환경 문제를 외부 불경제로 보고, 환경세나 배출권 거래 제도 같은 경제적 수단을 통해 해결하려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에는 여러 비판과 논쟁이 따른다.
생태경제학, 마르크스 경제학에 기반한 환경 정치 경제학 등 다양한 학파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각각 생태계, 정치 체제, 시민 사회의 역할을 강조하며, 지역 통화, 지역 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개발 참여, 로컬 코먼스 관리 등 다양한 논의를 포함한다.
글로벌 경제와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 세계화가 생물 다양성을 무시하고 불평등 사회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환경경제학과 생태경제학은 서로 다른 철학적 기반을 가진다. 환경경제학은 목적론적 윤리에 기반하여 경제 정책을 제시하는 반면, 생태경제학은 의무론적 윤리에 기반하여 이상주의적 접근을 취한다. 세계화는 가격을 낮추기 위해 생물 다양성을 무시하고, 규제와 보호주의, 불평등 사회를 만들어내는 경향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Understanding Environmental Economics
https://www.investop[...]
2022-05-01
[2]
웹사이트
Environmental Economics
https://www.nber.org[...]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06-07-23
[3]
간행물
Ecological Economics: Themes, Approaches, and Differences with Environmental Economics
http://www.ima.kth.s[...]
Regional Environmental Change
2001
[4]
간행물
A Matter of Opinion: How Ecological and Neoclassical Environmental Economists Think about Sustainability and Economics
https://www.research[...]
2009
[5]
논문
An Intellectual History of Environmental Economics
2002
[6]
웹사이트
Paul Davidson's Economics
https://www.levyinst[...]
1998-09-13
[7]
서적
Environmental Economics in Theory and Practice
Palgrave, London
2007
[8]
서적
Environmental Economics an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https://www.routledg[...]
Routledge, New York
2019
[9]
간행물
The Internalisation Of Environmental Externalities Affecting Dwellings: A Review Of Court Cases In Hong Kong
Economic Affairs
2012
[10]
뉴스
Environmental degradation replaces classic imperialism
2012-05-03
[11]
서적
On the Nature of Externalities
Academic Press, New York
1976
[12]
서적
Governing the Comm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3]
문서
The Economics of Biodiversity: The Dasgupta Review Headline Messages
https://assets.publi[...]
UK Government Official Documents
2021-02
[14]
서적
Environmental and Natural Resource Economics: A Contemporary Approach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Company
2006
[15]
문서
The Economics of Biodiversity: The Dasgupta Review Headline Messages
https://assets.publi[...]
UK Government Official Documents
2021-02
[16]
서적
A little history of economics
Yale University Press
2018-02-27
[17]
논문
Efficient mechanisms for bilateral trading
http://www.kellogg.n[...]
1983
[18]
논문
Pollution claim settlements under private information
1989
[19]
논문
Pollution claim settlements reconsidered: Hidden information and bounded payments
2018
[20]
논문
The social cost problem, rights, and the (non)empty core
2019
[21]
웹사이트
None of the world's top industries would be profitable if they paid for the natural capital they use
https://grist.org/bu[...]
2022-12-14
[22]
웹사이트
Natural Capital at Risk: The Top 100 Externalities of Business
https://capitalscoal[...]
2022-12-14
[23]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ENVIRONMENTAL ECONOMICS: A VIEW FROM THE INSIDE
https://scholar.harv[...] [24]
문서
Mike Nickerson
[25]
논문
Envirodevonomics: A Research Agenda for an Emerging Field
2015
[26]
서적
Inclusive green growth the pathway to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2015-01-15
[27]
서적
The Economic Analysis of Environmental Policy and Law: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2003
[28]
웹사이트
The Bharatiya model: A unique path to inclusive development
https://www.policyci[...]
2024-10-07
[29]
웹사이트
Bharatiya Model of Development: Tackling global climate change the Indian way
https://www.downtoea[...]
2024-10-07
[30]
뉴스
Economic Survey 2024: Why India must look at climate change problem through Indian way, ditch western solutions
https://economictime[...]
The UNION FINANCE MINISTRY
2024-07-22
[31]
웹인용
http://www.nber.org/[...]
2006-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