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명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명제는 만주를 통일하고 후금을 건국한 인물이다. 그는 1559년 건주여진의 유력 가문에서 태어나, 명나라 군대에서 병사로 복무하며 중국 문화와 군사 전략을 익혔다. 1583년 조부와 부친의 죽음으로 명나라에 반기를 들고, 건주여진의 여러 부족을 통합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1616년 허투알라에서 칸으로 즉위하고 후금을 건국했으며, 1618년 칠대한을 발표하며 명나라에 선전포고를 했다. 이후 사르후 전투에서 승리하고 요동 지역을 장악했으나, 1626년 영원성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사망했다. 그는 만주 문자를 창제하고 팔기 제도를 정비하는 등 후금의 기틀을 다졌으며, 여러 부인과 자녀를 두어 후금의 정치와 군사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금의 칸 - 숭덕제
숭덕제는 청나라의 제2대 황제이자 후금의 칸으로, 국호를 청으로 바꾸고 내몽골 복속, 조선 정복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한족 관료 등용과 육부 설치로 통치 체제를 정비하여 청나라의 중국 대륙 지배 기반을 마련했다. - 무단장시 출신 - 서금강
쉬금강은 광저우 미술 학원 출신으로 화가 관산월의 제자였으나 홍콩으로 건너가 1987년 배우로 데뷔, 다양한 악역 및 에로 영화에 출연하며 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였고 최근에는 중국 본토 영화 산업에서도 활동하며 화가로서도 인정받는 다재다능한 예술가이다. - 무단장시 출신 - 한경
한경은 중국 헤이룽장성 출신의 나나이족 혈통을 가진 중국인 가수로, 과거 슈퍼주니어의 멤버이자 슈퍼주니어-M의 리더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중국에서 솔로 가수 및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 청나라의 추존황제 - 탁시
탁시는 건주좌위지휘사 맹특목의 아들이자 누르하치의 아버지로, 부족 통합과 세력 확장을 통해 자립적인 세력 기반을 구축하려 했으며 사후 청나라 현조 선황제로 추존되었다. - 청나라의 추존황제 - 먼터무
먼터무는 여진족 지도자로서, 몽골의 침략을 피해 남하하여 조선의 이성계 휘하에 있다가 명나라에 귀부하여 건주좌위지휘사를 지냈으며, 7성야인반란 때 전사 후 청나라 시조로 추존되었다.
천명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후금 칸 |
휘 | 아이신 교로 누르하치 |
만주어 | (Nurgaci) |
몽골어 | (Nurhach) |
묘호 | 태조(太祖) |
시호 |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립극인효예무단의흠안홍문정업고황제(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睿武端毅欽安弘文定業高皇帝)' |
칸호 | 암바 겅기연 한(Amba Genggiyen Han), 수러 겅기연 한(Sure Genggiyen Han), 압카이 풀링가 아이신 구룬 한(Abkai Fulingga Aisin Gurun Han) |
존호 | '복육열국영명황제(覆育列國英明皇帝)' |
몽골식 존칭 | 쿤두렌 칸 |
출생일 | 1559년 5월 14일 |
출생지 | 헤투알라, 명나라 만주 |
사망일 | 1626년 9월 30일 |
사망지 | 아이지푸, 후금 |
묻힌 곳 | 복릉 |
아버지 | 탁시 |
어머니 | 선황후 |
통치 | |
재위 기간 | 1616년 2월 17일 ~ 1626년 9월 30일 |
연호 | 천명(天命) |
연호 (만주어) | Abkai fulingga |
연호 (몽골어) | Tengri-yin Bošugtu |
가계 | |
배우자 | 원비 퉁기야씨 계비 푸차씨 효자고황후 여허나라씨 효열무황후 울라나라씨 |
자녀 | 추옌 다이샨, 예친왕 망굴타이 아바타이, 안친왕 홍타이지 아지게, 영친왕 라이무부 도르곤, 예친왕 도도, 예친왕 |
기타 | |
종교 | 샤머니즘 |
2. 이름
누르하치는 만주어 이름으로 로 표기한다.[2] '멧돼지 가죽'이라는 뜻과[2] '멧돼지처럼 용감한 사람'이라는 뜻이 있다.[3]
누르하치는 1559년 5월 14일에 태어났다. 건주여진의 유력 가문 출신으로, 할아버지 조강가는 헤투알라에 거주하며 명나라 요동총병관(遼東總兵官) 이성량의 후원을 받던 여진족 추장이었다.[77][78][79] 누르하치의 집안은 건주여진의 숙수후부()에 속했다.[80]
누르하치는 미약한 세력으로 시작하여 주변 부족들을 정복하고 복속시키면서 점차 세력을 확장했다. 건주여진 통일 이후, 해서여진과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조선 왕국에서는 "누르하치"[63] 외에도 "노을가적"()[64], "노가적"[65], "노추(老酋)"[66] 등으로 불렀다.
3. 초기 생애
어린 시절, 누르하치는 어머니를 일찍 여의고 계모와 사이가 좋지 않아 14세에 집을 나와 외조부인 왕고에게 의탁했다. 왕고는 도독의 지위에 있었고, 한자를 읽을 수 있으며 문무에 뛰어난 인물이었다. 왕고는 무예에 뛰어난 손자를 귀여워했다. 1574년, 왕고는 명나라와 마찰을 거듭한 끝에 거병했지만 참패하여 붙잡혀 베이징으로 보내져 처형되었고, 이때 누르하치도 붙잡혔지만 간신히 도망쳐 아버지의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 때 타분바얀의 딸 하하나 자친(퉁갸 씨)과 결혼했지만 아버지의 후처와 그녀에게 현혹된 아버지에게 냉대받아 다시 집을 나왔다.[81][82] 이후, 누르하치는 요동 총병 이성량의 부하가 되었다. 건장하고 승마, 궁술 등이 뛰어난 누르하치는 이성량의 눈에 띄게 되었다. 그는 이성량의 집에서 병사로 자라면서 무순에서 궁정의 공식 언어인 중국어를 배웠다. 또한, 중국 소설 ''삼국지연의''와 ''수호전''을 읽으며 중국의 군사 및 정치 전략을 익혔다.[4][5][6]
1582년, 니칸 와이란이 명나라 군대를 이끌고 구러성(古勒城, 현재 신빈현에 위치)을 공격했을 때, 조강가와 아버지 탁시는 손녀를 걱정하여 구러성으로 달려갔으나 전투 중에 모두 사망했다.[4][5][6]
이후 누르하치는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니칸 와이란에게 복수하려 하였고, 명나라는 그의 아버지의 유해를 돌려주고 무역 특허를 부여했으며 그를 조강가의 후계자로 인정했다. 그러나 누르하치는 니칸 와이란의 인도를 요구했지만 거절당했다.[4][5][6]
4. 여진 통일
1593년 해서여진의 예허를 중심으로 하다, 울라, 호이파 등이 연합하여 9부 연합군을 결성, 건주여진을 공격하였으나, 구러 전투에서 누르하치가 이끄는 건주여진군에 대패하였다.[90][91] 이 승리로 여진족 통일의 주도권을 잡았다.
이후 하다(1599년[92]), 호이파(1607년), 울라(1613년) 등 해서여진 부족들을 차례로 정복하였다. 1619년 사르후 전투에서 명나라와 여허부의 연합군을 격파하고 여허를 복속시킴으로써 대부분의 여진 부족을 통합하였다.[93]
4. 1. 건주여진 통일
부 출신인 누르하치의 조부와 부친이 아타이를 공격하던 명군에게 살해당한 후, 요동 총병 이성량은 그를 달래기 위해 칙서와 말을 하사하고 지휘 직위를 주도록 명나라 조정에 건의했다.[86] 그러나 이성량과는 달리 요동 관원들은 니칸 와이란에게 더 많은 호의를 베풀었고, 이는 누르하치의 불만을 샀다.[86]
당시 건주여진에는 숙수후부, 후너허부, 왕야부, 동오부 등 여러 강한 세력이 있었다. 이들은 명 조정이 니칸 와이란을 지지하는 것을 보고 누르하치와 가까이 하지 않았다.[81]
누르하치는 명 조정에 니칸 와이란이 조부와 부친의 죽음을 사주했다고 주장하며 그를 넘겨줄 것을 요구했지만, 명 조정은 응답하지 않았다. 이에 누르하치는 복수를 명분으로 군대를 일으켜 니칸 와이란에게 전쟁을 선포했다.[86]
1583년 5월, 누르하치는 니칸 와이란이 성주로 있는 투런() 성을 공격했다. 비록 노미나가 니칸 와이란과 내통하여 누르하치의 출정 시기를 누설했지만, 투런성은 함락되었고 니칸 와이란은 피신했다.[86] 누르하치는 이후 노미나의 세력을 제거하고 바르다이(巴爾達, )성까지 함락했다.[86]
투런성과 사르후성을 얻은 후, 숙수후 부민 대부분이 누르하치에게 편입되었다. 누르하치는 이들을 잘 대해주었지만, 그의 일족은 이에 불만을 품고 누르하치를 모살하려 했고, 이 과정에서 누르하치의 시위와 매부 가하샨이 목숨을 잃었다.[86] 누르하치는 가하샨의 복수를 위해 마르둔() 성채에서 격전을 벌여 승리하고, 이듬해 동오부를 합병했다.[86]
1585년, 누르하치는 저천부의 자이퍈()성을 공격했다가 철군하는 과정에서 적의 공격을 받았으나 격파하고, 이후 저천부를 재정벌하여 멸망시켰다.[81]
1586년 7월, 누르하치는 니칸 와이란이 은거한 오르혼()성을 공격했다. 니칸 와이란은 도주했지만, 결국 명나라 요동도사(遼東都司)로 도주하던 중 자이사에게 참수되어 누르하치에게 바쳐졌다.[87]
이후 건주여진의 여러 부족이 누르하치에게 귀순하기 시작했다. 수완()의 우두머리 솔고(), 동오 우두머리의 손자 호호리(), 야르구() 촌장 후르한() 등이 1588년에 귀순했다.[87] 같은 해 9월, 누르하치는 완안성을 공격하여 왕야부를 병합했다.[87] 이로써 건주여진에 대한 누르하치의 통일 사업은 완료되었고,[86] 이듬해 명 조정은 누르하치를 도독첨사로 임명했다.[88]
4. 2. 해서여진과의 전쟁
1593년, 해서여진의 예허 국주 부자이와 나림불루, 하다의 국주 멍거불루, 울라의 국주 만타이의 동생 부잔타이, 호이파의 국주 바인다리를 포함한 9부 연합군이 건주여진을 공격했다.[89] 그러나 누르하치는 구러 산에서 매복과 장애물로 적을 유인하여 구러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고, 이 과정에서 부자이는 전사했다.[90][91]
1599년 10월, 누르하치는 슈르가치와 함께 하다를 공격하여 하다성을 함락하고 국주 멍거부루를 생포한 뒤 하다부민을 모두 건주여진으로 사민했다.[92] 1607년 9월에는 호이파부를, 1613년에는 울라부를 병합했다. 1619년 사르후 전투에서 예허부를 공격하여 복속시킴으로써, 누르하치는 야인여진을 제외한 여진족 통일을 완수했다.[93]
5. 후금 건국
ᡤᡠᡵᡠᠨ ᠪᡝ
ᡠᠵᡳᡵᡝ
ᡤᡝᠩᡤᡳᠶᡝᠨ
ᡥᠠᠨ|Geren gurun-be ujire genggiyen han|모든 국가에 혜택을 주는 훌륭한 칸}}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누르하치는 ᡝᡵᡩᡝᠨᡳ|erdeni|액이덕니mnc와 ᡬᠠᡬᠠᡳ|g'ag'ai|噶蓋mnc에게 몽골 문자를 바탕으로 만주 문자(무권점 문자)를 만들도록 명했다. 또한, 사회, 군사 조직인 팔기를 창시하여 만주족의 세력을 확대하는 기반을 다졌다.
5. 1. 팔기 제도
누르하치는 여진족 사회를 통합하고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팔기'''라는 독특한 군사, 행정 조직을 만들었다.[93] 팔기 제도는 후금의 군사력을 강화하고 국가를 운영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청나라 시기에도 유지되었다.6. 명과의 관계
누르하치는 명나라에 조공을 바치고 관직을 받는 등 표면적으로는 복종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니칸 와이란을 제거하여 조부와 부친의 복수를 하는 등 내심으로는 힘을 키워 명나라에 복수할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1595년 명나라 조정으로부터 용호장군 직첩을 받았으며, 1596년 조선을 상대로 여진국건주위관속이인주를 자칭했다.
1618년 '칠대한'이라는 격문을 발표하며 명나라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내고, 푸순과 청허를 공격하면서 본격적인 전쟁을 시작했다.
1619년 사르후 전투에서 명나라와 조선의 연합군을 격파하면서 요동 지역에서 후금의 우위를 확립했다.
6. 1. 칠대한
1618년 4월, 누르하치는 "칠대한"이라는 격문을 발표하고 명나라에 선전포고를 했다. 이 문서에는 명나라가 여허에 가담하여 여진국을 공격한 것과, 조부 기오창가와 아버지 탁시가 명군에게 사살당한 것 등이 적혀 있었다.[86] 칠대한은 누르하치가 명나라에 전쟁을 일으키는 명분이 되었다.6. 2. 사르후 전투 (1619)


1619년 4월 29일, 명나라는 여허와 조선의 군사를 휘하에 두고 47만 명의 대군으로, 총대장 양호를 배치하여 두송 군 3만, 마린 군 1만 5천, 이여백 군 2만 5천, 유정 군 1만으로 나누어 4로에서 누르하치의 거성인 허투알라로 침공했다.[86] 북쪽은 마린 군 1만 5천과 여허 군 1만, 서쪽은 두송, 보정총병 왕선 2만 5천, 동쪽은 이여백 군 2만 5천, 남쪽은 유정 군 2만 8천으로 공격했다.[86] 무순 근처의 사르후( ᠰᠠᡵᡥᡡ|sarhūmnc)에서 10만을 칭하는 후금군과 격돌했는데, 실제 수는 절반 정도였다고 한다.[86] 수적으로는 후금군이 불리했지만, 명나라 장군들이 공을 다투어 돌출한 탓에 각개 격파되었고, 전투 중 모래 먼지가 날려 이를 틈타 후금군이 명나라 군을 기습하여 대승을 거두었다.[86]
7. 조선과의 관계
누르하치는 조선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 조선을 명나라의 속국으로 간주하고 경계했다. 1596년 누르하치는 조선을 상대로 여진국건주위관속이인주(女眞國建州衛管束夷人之主)를 자칭했다.[92] 사르후 전투 이후, 후금은 조선에 압력을 가하며 중립을 강요했고, 이는 훗날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의 배경이 되었다. 광해군의 중립 외교는 당시 조선이 처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반영한 것이었지만, 결과적으로 후금의 성장을 막지 못하고 침략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8. 죽음과 유산
1626년 영원성 전투에서 명나라 장군 원숭환에게 패배한 누르하치는 같은 해 8월 11일에 68세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심양 동쪽 교외의 복릉에 안장되었다.[90]
누르하치는 후계자를 명확히 지명하지 않아 사후 후계 분쟁이 발생했으나, 결국 여덟째 아들 홍타이지가 뒤를 이어 후금의 칸이 되었다.
누르하치는 팔기라는 군사 조직을 창시하여 만주족의 세력 확대 기반을 다졌고, 몽골 문자를 개량한 만주 문자(무권점 문자)를 제정하여 훗날 청나라 공식 문자로 사용되도록 했다. 또한, 통일된 여진족 국가를 건설하여 훗날 청나라가 중국 대륙을 정복하고 지배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8. 1. 영원성 전투 (1626)
1626년, 누르하치는 명나라 영내로 쳐들어가기 위해 산해관을 함락시키려 했다. 그러나 그 앞의 영원성에서 명나라 장군 원숭환이 포르투갈제 紅衣大炮|홍이대포중국어를 대량으로 배치하여 후금군을 맞이했다(영원 전투).[90]원숭환의 명성을 들은 누르하치는 항복을 권고하며 높은 지위를 약속했지만, 원숭환은 거절했다.[90] 명군은 불과 1만 명이었지만, 요동 사람들을 동원하여 방어에 나섰고, 원숭환은 원군이 올 것이라고 말하며 사기를 북돋았다. 명나라 군의 철저한 항전에 후금군은 궤멸되어 퇴각했다. 이 전투는 누르하치의 처음이자 마지막 패배였다. 그러나 이대로 물러나면 권위가 실추될 것을 우려하여, 누르하치는 각화도를 공격해 식량과 군선 2천 척을 불태웠다. 이 전투에서 누르하치는 등에 상처를 입었다.[90]
9. 가족
누르하치는 여러 명의 부인과 자녀를 두었으며, 이들은 후금의 정치와 군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그의 아들들인 추잉, 다이샨, 망굴타이, 홍타이지 등은 후금의 권력 투쟁과 정복 전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02][104][108]
봉호 | 이름(성씨) | 생몰년도 | 별칭 | 비고 |
---|---|---|---|---|
태비(太妃) | 보르지기트 하오샨 (博爾濟吉特 浩善) | ? ~ 1655년 | ||
측비(側妃) | 이르건기오로 라이 (伊爾根覺羅 賴) | |||
측비(側妃) | 예허나라 추오치 (葉赫納喇 綽奇) | 효자고황후의 동생. | ||
측비(側妃) | 보르지기트 씨 (博爾濟吉特氏) | ? ~ 1643년 | ||
측비(側妃) | 하다나라 아민저저 (哈達納喇 阿敏哲哲) |
봉호 | 시호 | 이름 | 별칭 | 생몰년도 | 생모 | 자식 | 비고 | |
---|---|---|---|---|---|---|---|---|
장남 | 다라광략패륵 (多羅廣略貝勒) | 아이신기오로 추연 (愛新覺羅 褚英) | 1580년 ~ 1615년 | 원비 동가 씨 | 3남 1녀 | [103] | ||
차남 | 화석예친왕 (和碩禮親王) | 열(烈) | 아이신기오로 다이샨 (愛新覺羅 代善) | 1583년 ~ 1648년 | 원비 동가 씨 | 8남 | ||
3남 | 진국공 (鎭國公) | 근민(勤敏) | 아이신기오로 아바이 (愛新覺羅 阿拜) | 1585년 ~ 1648년 | 서비 조가씨 | 7남 | ||
4남 | 삼등진국장군 (三等鎭國將軍) | 극결(克潔) | 아이신기오로 탕구다이 (愛新覺羅 湯古代) | 1585년 ~ 1640년 | 서비 뉴호록 씨 | 2남 | [107] | |
5남 | 이혁패륵 (已革貝勒) | 아이신기오로 망굴타이 (愛新覺羅 莽古爾泰) | 1587년 ~ 1633년 | 계비 부찰 씨 | 9남 | [109] | ||
6남 | 보국공 (輔國公) | 각후(愨厚) | 아이신기오로 타바이 (愛新覺羅 塔拜) | 1589년 ~ 1639년 | 서비 뉴호록 씨 | 8남 | ||
7남 | 화석요여친왕 (和碩饒餘親王) | 민(敏) | 아이신기오로 아바타이 (愛新覺羅 阿巴泰) | 1589년 ~ 1646년 | 측비 이이근각라 씨 | 5남 4녀 | ||
8남 | 패륵(貝勒) | 아이신기오로 홍타이지 (愛新覺羅 皇太極) | 1592년 ~ 1643년 | 효자고황후 엽혁나랍씨 | 11남 14녀 | 제2대 황제 숭덕제. | ||
9남 | 진국공 (鎭國公) | 각희(恪僖) | 아이신기오로 바부타이 (愛新覺羅 巴布泰) | 1592년 ~ 1655년 | 서비 가목호각라씨 | 3남 | ||
10남 | 이혁패륵 (已革貝勒) | 아이신기오로 더걸러이 (愛新覺羅 德格類) | 1592년 ~ 1635년 | 계비 부찰 씨 | 3남 | [114] | ||
11남 | 이혁진국장군 (已革鎭國將軍) | 아이신기오로 바부하이 (愛新覺羅 巴布海) | 1596년 ~ 1643년 | 서비 가목호각라 씨 | 1남 | [116] | ||
12남 | 이혁영친왕 (已革英親王) | 아이신기오로 아지거 (愛新覺羅 阿濟格) | 1605년 ~ 1651년 | 효열무황후 오랍나랍 씨 | 12남 | [118] | ||
13남 | 보국공 (輔國公) | 개직(介直) | 아이신기오로 라임부 (愛新覺羅 賴慕布) | 1611년 ~ 1646년 | 서비 서림각라 씨 | 1남 | ||
14남 | 화석예친왕 (和碩睿親王) | 충(忠) | 아이신기오로 도르곤 (愛新覺羅 多爾袞) | 1612년 ~ 1650년 | 효열무황후 오랍나랍 씨 | 1녀 | [121] | |
15남 | 화석예친왕 (和碩豫親王) | 통(通) | 아이신기오로 도도 (愛新覺羅 多鐸) | 1614년 ~ 1649년 | 효열무황후 오랍나랍 씨 | 8남 | ||
16남 | 홍대자 (紅帶子) | 아이신기오로 피양구 (愛新覺羅 費揚果) | 1620년 ~ 1640년 | 4남 2녀 |
'''정실 부인'''
- '''원비''' (퉁기야 씨족, 1560–1592), 이름 '''하하나 자칭'''
- '''넨저''' , 정1품 공주 '''단장''' (1578년 4월 8일 – 1652년 8/9월), 첫째 딸
- 1588년 만주 동고 씨족의 호호리와 결혼하여 자녀(아들 2명)를 낳음
- '''추잉''', 정3품 친왕 '''광략''' (1580 – 1615년 10월 14일), 첫째 아들
- '''다이샨''', 정1품 친왕 '''리리에''' (1583년 8월 19일 – 1648년 11월 25일), 둘째 아들
- '''계비''' (푸차 씨족, ? – 1620), 이름 '''군데이'''
- '''망굴타이''', 정3품 친왕 (1587 – 1633년 1월 11일), 다섯째 아들
- '''망구지''' (1590 – 1636년 1/2월), 셋째 딸
- 1601년 2/3월 만주 하다-나라 씨족의 우르구다이와 결혼
- 1627년 아오한 보르지긴 씨족의 소노무 두구렌과 결혼
- '''더글레이''', 정3품 친왕 (1597년 1월 10일 – 1635년 11월 11일), 열째 아들
- '''효자고황후''' (예허-나라 씨족, 1575 – 1603년 10월 31일), 이름 '''멍구저저'''
- '''홍타이지''', '''태종''' (1592년 11월 28일 – 1643년 9월 21일), 여덟째 아들
- '''효렬무황후''' (울라-나라 씨족, 1590 – 1626년 10월 1일), 이름 '''아바하이'''
- '''아지거''', 정1품 친왕 '''잉''' (1605년 8월 28일 – 1651년 11월 28일), 열두째 아들
- '''도르곤''', 정1품 친왕 '''루이중''' (1612년 11월 17일 – 1650년 12월 31일), 열넷째 아들
- '''도도''', 정1품 친왕 '''유통''' (1614년 4월 2일 – 1649년 4월 29일), 열다섯째 아들
'''측실 부인'''
- '''수강비''' (코르친 보르지긴 씨족, 1599 – 1666년 1월 21일)
- '''측비''' (하다-나라 씨족), 이름 '''아민 저저'''
- '''측비''' (이르겐-기오로 씨족)
- '''옌저''', 정2품 공주 (1587 – 1646년 8/9월), 둘째 딸
- 일라카와 결혼
- 만주 고로로 씨족의 다르한과 결혼
- '''아바타이''', 정1품 친왕 '''라오유민''' (1589년 7월 27일 – 1646년 5월 10일), 일곱째 아들
- '''측비''' (예허나라 씨족), 이름 '''나나쿤'''
- '''송구투''', 정2품 공주 (1612년 12월 28일 – 1646년 3/4월), 여덟째 딸
- 1625년 2월 22일 할하 보르지긴 씨족의 귈부시와 결혼
- '''측비''' (코르친 보르지긴 씨족, ? – 1644년 3/4월)
'''첩'''
- '''첩''' (자오지야 씨족)
- '''아바이''', 정1품 공작 '''친민''' (1585년 9월 8일 – 1648년 3월 14일), 셋째 아들
- '''첩''' (니오후루 씨족)
- '''탕구다이''', 정1품 장군 '''커제''' (1585년 12월 24일 – 1640년 11월 3일), 넷째 아들
- '''타바이''', 정2품 공작 '''췌허우''' (1589년 4월 2일 – 1639년 9월 6일), 여섯째 아들
- '''첩''' (자무후 기오로 씨족), 이름 '''전거'''
- '''바부타이''', 정1품 공작 '''커시''' (1592년 12월 13일 – 1655년 2월 27일), 아홉째 아들
- '''무쿠스''', 정2품 공주 (1595 – 1659년 6/7월), 넷째 딸
- 1608년 만주 울라-나라 씨족의 부잔타이와 결혼하여 자녀(아들 3명)를 낳음
- 만주 니오후루 씨족의 에이두와 결혼하여 자녀(아들 2명, 딸 1명)를 낳음
- 만주 니오후루 씨족의 투르게이와 결혼
- '''바부하이''', 정1품 장군 (1597년 1월 15일 – 1643년 9/10월), 열한째 아들
- ''다섯째 딸'' (1597–1613)
- 1608년 만주 니오후루 씨족의 다키와 결혼
- ''여섯째 딸'' (1600 – 1646년 10/11월)
- 1613년 만주 예허-나라 씨족의 수나와 결혼하여 자녀(아들 1명)를 낳음
- '''첩''' (이르겐-기오로 씨족)
- 정3품 부인 (1604년 4월 8일 – 1685년 7/8월), 일곱째 딸
- 1619년 11/12월 만주 나라씨의 어자이와 결혼
- '''첩''' (시린-기오로 씨족)
- '''라이무부''', 정2품 공작 '''제즈''' (1612년 1월 26일 – 1646년 6월 23일), 열셋째 아들
- '''첩''', 이름 '''다이인자'''
- '''피양구''' (1620년 10/11월 – 1640), 열여섯째 아들
10. 평가
누르하치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수완을 바탕으로 여진족을 통일하고 후금(後金)을 건국하여 청나라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명나라 장군 이성량 휘하에서 병사로 복무하며 중국의 군사 및 정치 전략을 배웠고, 이를 바탕으로 세력을 확장했다.[4][5][6] 1584년,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복수를 명분으로 니칸 와이란을 공격하여 살해하고, 이후 수년간 건주 여진 부족과 마을을 정복하며 세력을 확장했다.[61]
그러나 그의 정복 전쟁은 많은 희생과 고통을 초래했으며, 특히 명나라와 조선 왕국에 대한 침략은 비판의 대상이 된다. 누르하치는 명나라의 신하를 자처하며 "용호 장군" 칭호를 받기도 했지만,[61] 결국 명나라를 배신하고 후금을 건국하여 명나라와 적대 관계가 되었다.
한국사의 관점에서 누르하치는 조선에 큰 피해를 입힌 침략자로 인식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누르하치를 "노을가적"(老乙加狄) 또는 "노가적"(奴可狄) 등으로 표기하며, 그의 본명을 "동달"(童㺚)로 기록하고 있다.[64][65][67] 그의 등장은 동아시아의 세력 균형을 무너뜨리고 혼란을 야기한 요인으로 평가된다.
참조
[1]
서적
大清盛世
https://books.google[...]
飛翔時代
[2]
논문
The Romanization of Early Manchu Regnal Names
https://journal.fi/s[...]
[3]
웹사이트
What does Nurhachi's name mean in Chinese
https://daydaynews.c[...]
满族文化网 Manchu Culture Network
2020-07-08
[4]
서적
Global Crisis: War, Climate and Catastrophe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3
[5]
서적
The Military Collapse of China's Ming Dynasty, 1618-44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6]
서적
Chinese Lives: The People Who Made a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2013
[7]
문서
Matsumura Jun, p.131 ''A Re-examinations of the Story of the Founding of the Ch'ing Dynasty 『清朝開国説話再考』(in Japanese)
[8]
논문
New Light on The Origins of The Manchus
https://www.jstor.or[...]
1990
[9]
서적
China Marches West: The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Pt. 1; The Ch'ing Empire to 18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Headless State: Aristocratic Orders, Kinship Society, and Misrepresentations of Nomadic Inner Asi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12]
서적
Orphan Warriors: Three Manchu Generations and the End of the Qing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13]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4]
서적
Manchu: A Textbook for Reading Documents
https://books.google[...]
Natl Foreign Lg Resource Ctr
[15]
서적
From Ming to Ch'ing: Conquest, Region, and Continuity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서적
Servants of the Dynasty: Palace Women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
서적
Fall of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
서적
The Military Collapse of China's Ming Dynasty, 1618-44
https://books.google[...]
Routledge
[21]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2]
서적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李永芳将军的简介 李永芳的后代
http://www.lishiquwe[...]
2016-06-30
[24]
웹사이트
首个投降后金的明将李永芳
http://www.fs7000.co[...]
2016-06-30
[25]
웹사이트
第一个投降满清的明朝将领李寻仙jg用什么战宠永芳结局如何?
http://www.75800.com[...]
2016-06-30
[26]
웹사이트
第一個投降滿清的明朝將領結局如何?
https://read01.com/a[...]
[27]
서적
The Last Emperors: A Social History of Qing Imperial Institutio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8]
간행물
Li Shih-yao
[29]
웹사이트
李奉尧(?–1789)汉军镶黄旗人,二等伯李永芳四世孙也,清朝大臣。父元亮,官户部尚书,谥勤恪,李侍尧之弟。自官
http://12103081.wenh[...]
[30]
서적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1]
간행물
Nurhaci
[32]
서적
Expedições Militares Portuguêsas em Auxílio Mings Contra os Manchus, 1621-1647
http://archive.org/d[...]
Macau, China, Escola tipográfica salesiana
1937
[33]
문서
harvnb|Li|2002|p=52
[34]
문서
harvnb|Li|2002|p=51
[35]
문서
harvnb|Li|2002|p=52, note 127, citing harvnb|Fuchs|1935
[36]
ECCP
Abahai
[37]
서적
Early Manchu Recruitment of Chinese Scholar-official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72
[38]
서적
The Manchu era (1644-1912): arts of China's last imperial dynasty
https://books.google[...]
Art Gallery of Greater Victoria
2004
[39]
서적
The Augustan, Volumes 17-20
https://books.google[...]
Augustan Society
1975
[40]
서적
The Northern Region of Korea: History, Identit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1
[41]
서적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the Study of Early China
[42]
논문
Manchu Translations of Chou Dynasty Texts
1977
[43]
서적
A Chronology of Translation in China and the West: From the Legendary Period to 2004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44]
서적
China Marches West: The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the Study of Early China
[46]
서적
Literary Migrations: Traditional Chinese Fiction in Asia (17th–20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47]
서적
Bannermen Tales (Zidishu): Manchu Storytelling and Cultural Hybridity in the Qing Dynast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48]
웹사이트
The Textual History of Sanguo Yanyi: The Manchu Translation
http://www.babelston[...]
2016-10-11
[49]
서적
Eminent Chinese of the Ch'ing period: 1644-1912
https://books.google[...]
SMC publ.
[50]
ECCP
Dahai
[51]
논문
Sino-Manchu Translations at the Mukden Court
1979-10
[52]
서적
Journal of the North Chin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https://books.google[...]
Kelly & Walsh.
[53]
웹사이트
"Soldierly Methods'': Vade Mecum for an Iconoclastic Translation of ''Sun Zi bingfa''
http://sino-platonic[...]
2008-02
[54]
웹사이트
The Old Manchu Chronicles
https://www.manchust[...]
2024-06-18
[55]
웹사이트
Manchu Studies at Harvard
http://sites.fas.har[...]
2017-09-27
[56]
간행물
17世紀におけるマンジュ人の語る漢文化
https://doi.org/10.1[...]
京都大學人文科學研究所
2013-12
[57]
문서
『清太祖実録』巻10, 天命十一年八月庚戌条による。
[58]
문서
『満洲実録』乾隆本
[59]
문서
『努爾哈赤伝』2P
[60]
문서
『満文太祖高皇帝本紀書』嘉慶本
http://kanji.zinbun.[...]
[61]
서적
神宗顯皇帝實錄
[62]
서적
神宗顯皇帝實錄
[63]
서적
朝鮮王朝實錄
[64]
서적
朝鮮王朝實錄
[65]
서적
朝鮮王朝實錄
[66]
서적
朝鮮王朝實錄
[67]
서적
朝鮮王朝實錄
[68]
서적
太祖高皇帝實錄
[69]
서적
清實錄
[70]
웹사이트
https://japanese.cri[...]
[71]
서적
『満和蒙和対訳満洲実録』
[72]
서적
만주족의 언어
대지문화사
[73]
기타
《han i araha jakūn gūsai manjusai mūkun hala be uheri ejehe bithe sioi》 ''mini taidzu han mafa taidzung han mafa abkai hese be ambarme alifi, dergi oci.''
[74]
기타
[75]
서적
『淸史圖典』第一册、太祖・太宗、99
[76]
역사기록
《[[광해군일기]]》 11년 1619년 4월 19일 기사에서는 누르하치[奴酋]의 칭호를 '''후금천명황제'''(後金天命皇帝)로 번역했다.
[77]
서적
만주족의 언어
대지문화사
[78]
서적
努尔哈赤传·正说清朝第一帝
北京出版社
[79]
기타
키타라
[80]
서적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81]
서적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2]
기타
《만주실록》
[83]
논문
중국의명대 동북강역 연구성과와 문제점 분석
인문과학 연구
[84]
서적
大清帝国
講談社
[85]
서적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86]
서적
努爾哈齊寫眞
遠流訂閱出版社新書快訊
[87]
서적
『桓仁建州女眞志』
桓因建州女眞志編纂會
[88]
서적
神宗顯皇帝實錄
[89]
서적
滿州實錄
[90]
역사기록
선조실록
[91]
서적
太祖武皇帝實錄
[92]
서적
太祖武皇帝實錄
[93]
기타
[94]
기타
[95]
서적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96]
기타
[97]
기타
[98]
기타
효자무황후(孝慈武皇后)
[99]
기타
[100]
기타
[101]
기타
황증조수강태비(皇曾祖壽康太妃)
[102]
기타
홍파도로(洪巴圖魯)/아이합도토문(阿爾哈圖土門)/광략태자(廣略太子)
[103]
기타
[104]
기타
고영파도로(古英巴圖魯)/대패륵(大貝勒)
[105]
기타
이등진국장군(二等鎭國將軍)
[106]
인명
삼등매륵장경(三等梅勒章京)
[107]
설명
역모 죄를 지어 종실에 축출당하나 사후에 복원됨.
[108]
인명
다라패륵(多羅貝勒)
[109]
설명
후에 봉호 추탈.
[110]
인명
삼등진국장군(三等鎭國將軍)
[111]
인명
다라요여패륵(多羅饒餘貝勒)/다라요여군왕(多羅饒餘郡王)
[112]
인명
일등진국장군(一等鎭國將軍)/보국공(輔國公)
[113]
인명
화석패륵(和碩貝勒)
[114]
설명
후에 봉호 추탈.
[115]
인명
진국장군(鎭國將軍)
[116]
설명
후에 봉호 추탈.
[117]
인명
다라패륵(多羅貝勒)/다라무영군왕(多羅武英郡王)/화석영친왕(和碩英親王)
[118]
설명
후에 봉호 추탈.
[119]
인명
봉은장군(奉恩將軍)
[120]
인명
황부섭정왕(皇父攝政王)/성종의황제(成宗義皇帝)
[121]
설명
숭덕제 사후에 [[순치제]]의 섭정왕이 되며, 사후 황제로 추존되나 역모로 인하여 추탈됨. 후에 예친왕으로 복원됨.
[122]
인명
다라예군왕(多羅豫郡王)/화석덕예친왕(和碩德豫親王)/보정숙덕예친왕(輔政叔德豫親王)
[123]
인명
문철(文哲)/동과격격(東果格格)/동과공주(東果公主)
[124]
인명
눈철격격(嫩哲格格)/첨하격격(沾河格格)/첨하공주(沾河公主)
[125]
인명
합달격격(哈達格格)/합달공주(哈達公主)
[126]
설명
역모 혐의로 인하여 폐서인됨.
[127]
인명
격격(格格)
[128]
인명
격격(格格)
[129]
인명
송국탁(松國托)/총고륜(聰古倫)
[130]
문서
《清史稿.后妃傳序》:“太祖初起,草創闊略,宫闈未有位號,但循國俗稱‘福晋’。福晋盖‘可敦’之轉音,史述后妃,后(後)人緣飾名之,非當時本稱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