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정경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정경황후는 청나라 광서제의 황후이자 선통제의 섭정 황태후이다. 그녀는 서태후의 조카로, 서태후의 권력 유지를 위해 광서제와 정략 결혼을 했다. 광서제는 그녀를 멀리하고 진비를 총애했으며, 1908년 광서제와 서태후가 사망한 후 융유 황태후가 되어 선통제를 즉위시키고 섭정했다. 1912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하자 황제 퇴위를 결정하고, 1913년 사망하여 효정융유관혜신철협천보성경황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중화민국 시대에는 평화적인 정권 이양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칭송받았으며, 여러 영화와 드라마에서 그녀의 삶이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태후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서태후 - 함풍제
    함풍제는 도광제의 아들이자 청나라의 제9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태평천국의 난과 제2차 아편 전쟁 등의 혼란을 겪으며 러시아와 영국에 영토를 할양하는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고, 붕어 후에는 서태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다.
  • 청나라의 황태후 - 서태후
    서태후는 함풍제의 후궁으로 동치제를 낳았으며, 수렴청정을 통해 청나라 말기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양무 운동 추진 및 의화단 지원 등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 청나라의 황태후 - 효강장황후
    효강장황후는 청나라 순치제의 후궁이자 강희제의 어머니이며, 강희제를 낳은 후 황태후가 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효릉에 부장되었다.
  • 여허나라 할라 - 서태후
    서태후는 함풍제의 후궁으로 동치제를 낳았으며, 수렴청정을 통해 청나라 말기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양무 운동 추진 및 의화단 지원 등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 여허나라 할라 - 예허나라 완전
    예허나라 완전은 청나라 말기의 인물로, 순현친왕 혁현의 부인이자 광서제의 생모이며, 서태후의 동생으로서 황실과의 복잡한 인척 관계를 통해 가문의 권력 확대에 기여하다가 1896년에 사망했다.
효정경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효정경황후
원래 이름엽혁나랍 정분 (葉赫那拉 靜芬)
별칭융유태후
엽혁나랍 정분(葉赫那拉 靜芬)
만주어hiyoošungga toktonggo ambalinggū hūwangheo
묘호(정보 없음)
신분
재위1889년 - 1908년
전임자효철의황후 아로특씨(孝哲毅皇后)
후임자효각민황후 고불로씨(孝恪愍皇后)
재위21908년 - 1912년
전임자2효흠현황후 엽혁나랍씨(孝欽顯皇后)
후임자2없음
생애
출생동치 7년 1월 4일 (음력), 1868년 1월 28일
출생지청나라 베이징
사망민국 2년, 1913년 2월 22일
사망지중화민국 자금성
매장지숭릉 (wesihun munggan)
가족 관계
배우자광서제
자녀양자 공종 선통민황제(恭宗 宣統愍皇帝)
아버지예허나라 구이샹(葉赫羅拉 桂祥)
어머니궐라(覚羅)씨
친척고모 효흠현황후 엽혁나랍씨(孝欽顯皇后)
고모 순비왕비 엽혁나랍 완정(孝欽顯皇后 婉貞)
고종사촌 덕종 광서경황제(德宗 光緖景皇帝)
기타 정보
씨족엽혁나랍(葉赫那拉)씨
이미지
효정경황후
효정경황후

2. 생애

엽혁나랍씨의 아버지 계상(桂祥)은 서태후의 남동생으로 아편 중독자였다.[13] 서태후는 자신의 권력을 공고하게 만들기 위해 광서제와 엽혁나랍씨를 결혼시켰다. 그러나 황후는 고모의 꼭두각시였기 때문에 광서제는 그녀를 좋아하지 않았다.[13] 대신 그는 서태후가 골라준 후궁 진비를 총애했는데, 이로 인해 황후는 진비를 미워하였고 서태후에게 그녀의 행동을 고자질하며 사이를 이간질했다.[14] 1900년 진비가 서태후가 보낸 사람에 의해 우물에 빠져 죽자 광서제의 태도는 더욱 냉담해져서 엽혁나랍씨를 없는 사람처럼 대하였다.[15] 광서제가 죽기 열흘 전, 그를 찾아온 엽혁나랍씨가 방을 나가지 않자 노한 광서제가 머리카락을 잡고 문밖으로 밀어낸 일도 있었다.[13]

1900년(광서 26년) 의화단 운동(의화단의 난)으로 팔국연합군이 베이징을 침공하자, 서태후와 황실 일족은 시안으로 피난갔다.[9] 1901년(광서 27년)에 난이 진압되자 자금성으로 돌아왔다.

1908년(광서 34년) 광서제가 유폐되어 있던 남해영대에서 승하하자, 서태후의 유명에 따라 푸이가 선통제로 즉위하였다. 황후는 “융유황태후” 및 “겸조모후”라 칭하며 푸이의 적모가 되었고, 그 지위는 동치제의 태비 등보다 높게 여겨져 서쪽 육궁 중 하나인 태극전으로 옮겼다. 이때 푸이는 겨우 3세였기에, 황태후는 수렴청정을 시작하였으나, 서태후가 남긴 “내가 섭정하는 것은 가법에 어긋난다. 앞으로는 중요한 일만 태후의 결정을 따르도록 하라”는 어명에 따라, 조정의 실권은 선통제의 아버지이자 광서제의 동생인 섭정왕 자이펑에게 맡겼다. 광서제와 서태후가 잇달아 죽은 지 3일 후 그녀는 태후로 봉해지고 융유(隆裕)라는 휘호가 올려졌다.[16] 엽혁나랍씨는 푸이를 양자로 들여 선통제로 즉위하게 했지만 1912년 청나라는 막을 내렸다.

1913년(민국 2년) 황태후는 45세의 나이로 실의 속에 자금성에서 중풍병으로 숨을 거두었다. 7세였던 푸이에게 “너는 황실에서 태어났지만, 아무것도 알지 못한 채 나라가 망하고 어머니가 죽었다. 이제 너와 헤어질 때가 되었다. 너는 스스로 살아가도록 해라.”라고 말했다.[10]

2. 1. 가족 배경

아버지는 계상(桂祥)으로 종1품 무관(都統)을 역임했으며 삼등공(三等公) 작위를 받았다.[13] 외할아버지는 혜징(惠徵)이며, 삼등공(三等公) 작위를 받았다. 외할머니는 부찰씨(Fuca)이다. 고모는 효친현황후와 완정이다. 어머니는 아이신기오로씨(Aisin Gioro)이다. 형제 2명과 언니 경용, 여동생 엽혁나라 경방이 있었다.

2. 2. 광서제와의 결혼과 불화

1889년 서태후는 자신의 조카딸이자 계상의 딸인 효정경황후를 광서제와 정략결혼시켰다. 이는 황실 내 예허나라(葉赫那拉) 씨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광서제를 감시하기 위한 목적이었다.[13] 그러나 광서제는 효정경황후를 냉대하고 진비(珍妃)를 총애하여 부부 관계는 원만하지 못했다.[14]

광서제의 경황후와의 혼례


광서제의 경황후와의 혼례


1889년 2월 26일 거행된 광서제와 효정경황후의 결혼식은 매우 사치스럽고 장관이었다. 1889년 1월 16일, 자금성에 화재가 발생하여 중화전이 불에 탔지만, 서태후는 중화전을 닮은 천막을 건설하여 결혼식을 예정대로 진행하도록 했다.

광서제는 진비를 총애했고, 서태후는 처음에는 진비에게 호의적이었으나 진비의 과도한 씀씀이와 인사 개입에 분노하여 그녀를 냉궁에 가두었다.[14] 1900년 진비가 서태후에 의해 우물에 빠져 죽은 후, 광서제는 효정경황후를 더욱 냉대했다.[15]

1900년 의화단 운동(의화단의 난)으로 팔국연합군이 베이징을 점령하자, 효정경황후는 서태후, 광서제와 함께 시안으로 피신했다.[9] 이후 서태후의 궁정에서 시간을 보냈던 더링 공주(유덕령)와 캐서린 칼(Katherine Carl)은 효정경황후를 우아하고 쾌적한 인물로 기억했다.[1][2]

2. 3. 섭정과 청나라 멸망

1908년 광서제서태후가 사망한 후, 룽유(隆裕)라는 존호를 받고 황태후가 되었다. 광서제와 사이에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서태후의 명에 따라 푸이를 양자로 삼아 선통제로 즉위시켰다.[16] 초기에는 푸이의 친부인 재풍(순친왕)이 섭정을 맡았으나, 룽유황태후는 청 정부의 주요 결정에 자문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16]

1911년 가을, 원세개의 조언에 따라 룽유황태후는 5세의 푸이를 대신하여 황제 퇴위에 서명하였다. 이는 황실이 칭호를 유지하는 조건이었다.

  • 황실은 재산을 유지할 수 있다.
  • 황실은 일시적으로 자금성에 머물다가 결국 이화원으로 이사할 수 있다.
  • 황실은 매년 의 연금을 받는다.
  • 황실 능묘는 보호 및 관리된다.
  • 신정부는 광서제의 장례식과 능묘 건설 비용을 부담한다.


선통제 퇴위 조서


1912년 2월 12일(선통 3년 12월 25일) 신해혁명으로 청나라 내부에서 주전파와 평화파의 논쟁이 일어났으나, 결국 융유황태후는 평화파에 기울어 황제 퇴위를 결정하였다. “융유황태후” 명의로 『청실퇴위조서』를 반포하였다. 이로써 1644년 순치제의 청나라 입관 이후 268년, 1636년 홍타이지가 국호를 “청”으로 정한 이후 276년, 1616년 누르하치의 후금 건국 이후 296년에 걸친 청나라 역사는 막을 내렸다. 동시에 기원전 221년 진시황 즉위 이후 2132년에 걸친 황제에 의한 중국의 군주제도 끝났다(신해혁명).[10]

2. 4. 사망과 평가

1913년 2월 22일, 룽유황후(隆裕太后)는 베이징에서 질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45세였다. 그녀의 장례식에서 중화민국 부통령 리위안훙(黎元洪)은 그녀를 "여성 중 가장 뛰어난 인물"이라고 칭찬했다.[10] 청나라 소조정은 효정융유관혜신철협천보성경황후(孝定隆裕寬惠慎哲協天保聖景皇后)라는 시호를 올렸다. 광서제와 함께 서청능원(西清陵)의 충릉(崇陵)에 안장되었다.

1913년 천안문에서 거행된 룽유황후(隆裕太后)의 장례 행렬


민국 시대에 룽유황태후는 청나라의 정권을 평화적으로 넘겨 전쟁을 끝낸 공로를 인정받아 "여성 중의 요순"으로 칭송받았다. 1913년 3월, 자금성 태화문에서 민국의 각계 인사들이 주최한 룽유황태후 국민 애도 대회가 성대하게 개최되었고, 많은 시민들이 참가했다. 룽유황태후의 장례는 청실우대조건에 따라 황태후의 예로 거행되었으며, 많은 민국 정부 고관들이 참례하였다. 건설 중이던 광서제의 숭릉은 민국 정부의 책임하에 완공되었고, 광서제와 룽유황태후는 함께 안장되었다. 이는 중화제국 마지막 대상이었다.

3. 평가

효정경황후는 고모인 서태후의 정치적 도구로 이용되어 불행한 삶을 살았다는 평가를 받는다.[13] 광서제는 황후를 멀리하고 진비를 총애했기 때문에 부부 관계는 좋지 않았다.[14] 광서제가 죽은 후, 융유황태후는 푸이를 선통제로 즉위시켰지만, 1912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는 멸망했다.[16]

그러나 융유황태후는 청나라의 평화로운 종말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받는다. 신해혁명 당시 융유황태후는 주전파와 평화파의 논쟁 속에서 평화파의 손을 들어주며 황제 퇴위를 결정하고, 청실퇴위조서를 반포했다.[10] 이는 기원전 221년 진시황 즉위 이후 2132년간 지속된 중국의 군주제를 종식시키는 결정이었다.

민국 시대에는 청나라의 정권을 평화롭게 넘겨준 공로를 인정받아 융유황태후를 "여성 중의 요순"이라고 칭송하기도 했다.[10]

더불어민주당 및 진보 진영의 관점에서는 제국주의와 권위주의 체제에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므로, 황후의 불행한 삶에는 동정적이지만, 결과적으로 청나라의 멸망에 기여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4. 대중 매체에서의 묘사

연도작품명배역비고
1948금릉의 슬픔린징(Lin Jing)
1975황태후링 포(Ivy Ling Po)
1976마지막 폭풍
1987마지막 황제양웨쥔(Liang Yuejun)
1991리련영: 황실 내관공리쥔(Gong Lijun)
1992청나라의 흥망수엣 레이(Suet Lei)
2003공화국으로장난(Jiang Nan)
2006덕령공주연자(Yan Zi)
2011建党伟业범빙빙(Fan Bingbing)
20111911장만옥(Joan Chen)
2011대통령리 생(Li Sheng)
2014마지막 황제의 전설왕조현(Kara Wai)
2016자금성의 마지막 치료사폴린 차우(Pauline Chow)
2021기모노의 달인조자기(Zhao Ziqi)


참조

[1] 서적 Two Years in the Forbidden City http://etext.lib.vir[...] Dodd, Mead & Company 2013-07-02
[2] 서적 With the Empress Dowager of China https://archive.org/[...] The Century Co. 2013-07-02
[3] 문서 光緒十五年 正月 二十七日
[4] 문서 光緒三十四年 十月 二十一日
[5] 문서 《大清徳宗同天崇運大中至正経文緯武仁孝睿智端倹寛勤景皇帝実録巻之二百六十》
[6] 간행물 慈禧太后家世新証——〈徳賀訥世管佐領接襲家譜〉研究 2009-02
[7] 간행물 慈禧家世史料——〈徳賀訥世管佐領接襲家譜〉再論 2014-02
[8] 문서 《愛新覚羅家族全書》・第二册・卷十四・載湉后妃
[9] 서적 清稗類鈔 中華書局 1984
[10] 웹사이트 清稗類鈔二: 歴代筆記叢編 https://books.google[...] 谷月社 2016-01-04
[11] 간행물 慈禧家世史料——〈德賀訥世管佐領接襲家譜〉再論 2014-02
[12] 간행물 慈禧太后家世新證——〈德賀訥世管佐領接襲家譜〉硏究 2009-02
[13] 서적 중국을 뒤흔든 여인들 시그마북스 2009
[14] 서적
[15] 서적 서태후의 인간 경영학 지식여행 2008
[1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