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종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종난은 황푸군관학교 출신으로 국민혁명군에서 복무하며 북벌, 중원대전 등에서 활약했고 장제스의 총애를 받았다. 중일 전쟁 중에는 서북 지역을 관할하며 '서북왕'으로 불렸으나, 국공 내전 시기에는 옌안 점령 이후 공산당에 밀려 패배했다. 이후 대만으로 도주하여 군사 고문 등을 역임했으며, 측근의 공산당 스파이 활동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는 유능한 지휘관이었지만, 정치적 상황과 상관의 전략적 오류, 측근의 배신 등으로 인해 불운한 말년을 보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푸 군관학교 동문 - 안춘생
    안춘생은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으로, 광복 후 육군 장성, 국회의원, 광복회 회장, 독립기념관장 등을 역임하며 국가에 기여했다.
  • 황푸 군관학교 동문 - 김광협
    김광협은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에 참여한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 되었으나, 김일성 주체사상 비판으로 숙청된 인물이다.
  • 중국의 반공주의자 - 후스
    후스는 중국의 철학자, 문학가,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백화문 운동을 주도하여 중국 문학 혁명에 기여하고 실용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학문 연구와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베이징 대학 교수, 중화민국 주미대사, 베이징 대학 총장, 중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 중국의 반공주의자 - 리덩후이
    리덩후이는 중화민국의 정치인으로, 장징궈 총통에 의해 발탁되어 총통직을 승계한 후 대만의 민주화 개혁을 주도하며 '대만 민주주의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양안 관계에서는 양국론을 제시하여 중화인민공화국과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퇴임 후에는 대만 독립 운동을 지지했다.
  • 중국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허룽 (1896년)
    허룽은 중국 공산당의 군사 지도자이자 인민해방군 원수로서, 난창 봉기의 주역이었으며 중국혁명에 기여했고, 의적 활동으로 시작해 농민군을 이끌며 국공합작, 항일전쟁, 국공 내전에서 활약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요직을 지냈으나 문화대혁명 중 사망 후 복권되어 그의 업적은 기념되고 있다.
  • 중국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류화칭
    류화칭은 국공 내전 참전 후 해군에서 복무하며 해군 현대화에 기여하고 해군 사령원과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한 중국 군인이자 정치가로, 톈안먼 사건 당시 계엄령 부대를 지휘했으며 정치국 상무위원을 지냈다.
후종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호종남
호종남 장군
별칭서북의 매
출생일1896년 5월 16일
사망일1962년 2월 14일
출생지청나라 저장성 닝보시 정하이구
사망지타이베이시, 타이완
묘지양밍산, 타이베이
군사 경력
소속중화민국
복무 기간1924년–1959년
최종 계급대장
주요 지휘제2연대, 제1사단 (1926년 7월)
제1사단, 제1군 (1927년 5월)
제22사단 (1927년 11월)
제2여단, 제1사단 (1928년 4월)
제1사단 (재편, 1930년)
제1군 (1936년 4월)
제17군 (1938년)
제34집단군 (1938년)
제8군구 (1940년)
제1군구 (1944년)
참전북벌
장계 전쟁
장펑옌 전쟁
중국 내전 (1935년–1951년)
중일 전쟁
상하이 전투
우한 전투
제1차 타이완 해협 위기
훈장청천백일훈장, 보정훈장
기타
이후 활동저장성 성장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1924년 황푸 군관학교 제1기생으로 입학하여 졸업 후 국민혁명군에 편입, 천중밍, 류전환, 양시민 토벌에 종군했다. 1926년 북벌 시작 후 국민혁명군 제2단 단장으로 승진하여, 장시성과 항저우에서 쑨촨팡 군대를 격파했다. 1927년 제1사 부사단장 겸 제2단 단장으로 승진, 같은 해 11월 제1군 제22사단장이 되었다.[1] 1928년 군축으로 제1사 제2여단장으로 옮겼다. 장제스와 반장제스파 간의 내전에서 장제스 휘하에서 전투에 임했고, 중원 대전에서 공을 세워 1930년 제1군 제1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 대장정 중인 중국 공산당(홍군)을 산시성 남부에서 요격했으나 실패했다. 1935년 중국 국민당 제5기 중앙감찰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36년 제1군 군장 겸 제1사 사단장으로 승격되었다. 중일 전쟁 발발 후 상하이에서 일본군 요격(제2차 상하이 사변)에 참가했고, 제17군단 군단장으로 승진했다.

2. 1. 초기 생애

약물 상인의 가정에서 태어났다. 1912년(중화민국) 우싱 중학교에서 공부했다. 졸업 후 교원이 되었다.

2. 2. 황포군관학교와 북벌

1924년 황포군관학교 제1기생으로 입학하여 졸업 후 국민혁명군에 편입, 천중밍 토벌과 류전환, 양시민 토벌에 종군했다. 1926년 북벌 시작 후 국민혁명군 제2단 단장으로 승진하여, 장시성과 항저우에서 쑨촨팡이 이끄는 즈리 군벌 군세를 격파하는 군공을 세웠다. 1927년 5월, 제1사 부사단장 겸 제2단 단장으로 승진했다.[1] 같은 해 11월, 제1군 제22사단장에 임명되었다. 1928년 8월, 군축으로 제1사 제2여단 여단장으로 옮겨갔다.

2. 3. 중원대전과 반장전쟁

장제스와 반장제스파 간의 내전에서 후종난은 장제스 휘하에서 용맹하게 전투에 임했다. 중원 대전에서 군공을 세워, 1930년 11월에 제1군 제1사단장으로 사실상 임명되었다(정식으로는 이듬해 겨울에 취임).

2. 4. 대장정 시기 홍군 요격

후종난은 대장정 중인 중국 공산당(홍군) 토벌을 위해 산시성 남부에서 이를 요격했지만, 큰 손해를 입고 돌파를 허용당했다.

3. 중일 전쟁 시기

후종난은 상하이 전투와 우한 전투에 참여하여 일본군과 싸웠다. 이 과정에서 그는 뛰어난 지휘 능력을 보여주며 탕언보, 쉐유에 등과 함께 일본군이 두려워하는 국민당 장군 중 한 명으로 꼽히게 되었다. 그러나 장제스의 명령으로 산시성의 공산주의 기지를 봉쇄하는 임무를 맡게 되면서, 이후 전쟁에는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

1939년 제34집단군 총사령, 1942년 제8전구 부사령관 겸 제34집단군 총사령, 1945년 제1전구 사령관으로 승진했다. 그는 시안을 거점으로 40만 명의 병력을 지휘하며 중국 서북부를 관할하여 "서북왕"으로 불렸다. 중일 전쟁 기간 중에는 산간닝 변경구를 봉쇄하며 중국 공산당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3. 1. 상하이 전투와 우한 전투

후종난은 상하이 전투와 우한 전투에 참여하여 제17군, 제34집단군, 제8전구, 제1전구를 지휘했다. 이 전투에서 자신의 능력을 증명했고, 탕언보, 쉐유에 등과 함께 일본 제국이 깊이 두려워하고 존경하는 중국 국민당 장군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러나 전장에서의 영광은 오래가지 못했고, 일본군은 기뻐했지만, 후종난은 이 전투 이후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고,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장제스가 후종난에게 40만 명이 넘는 국민당 군대를 맡겨 산시성의 공산주의 기지를 봉쇄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후종난은 일본 침략군과 싸우며 전장에서 조국을 위해 죽는 것을 더 원했을 것이고, 그의 측근에 침투한 공산주의 첩자들조차도 후종난이 때때로 일본과 싸우려는 열의를 보였다는 것을 인정해야 했지만, 전문 군인으로서 그는 나머지 전쟁 기간 동안 이 직책을 수행하면서 장제스가 내린 명령을 충실히 수행했다.

3. 2. 서북왕 시기

1939년 제34집단군 총사령, 1942년 제8전구 부사령장관 겸 제34집단군 총사령, 1945년 제1전구 사령장관으로 승진했다. 총 40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시안을 거점으로 중국 서북부를 관할하여 "'''서북왕'''"으로 불렸다. 중일 전쟁 기간 중 산간닝 변경구를 봉쇄하며 공산당에 대한 경계를 강화했다. 다이리와의 우정을 통해 군통 요원 예샤디와 약혼, 1948년에 결혼했다.

4. 국공 내전 시기

1945년 중일 전쟁이 끝난 후, 장제스의 명령을 받아 중국 공산당 토벌 계획을 세웠다. 1947년 봄, 산간닝 변경구를 향해 진격을 시작하여 중국 인민 해방군과 전투를 벌였다. 옌안을 점령했지만, 이미 인민 해방군의 주력 부대는 철수한 뒤였다.[1]

이후 인민 해방군 토벌을 시도했지만, 주력 부대를 포착하지 못하고 오히려 병력이 분산되어 각개격파 당했다. 1948년 봄부터 인민 해방군의 대규모 반격이 시작되어 4월 22일 옌안을 다시 빼앗겼다.[2] 1949년 5월 20일, 시안에서 철수했고, 패전을 거듭하며 쓰촨성으로 도주했다.[2] 청두에서 장제스의 명령에 따라 중국 서남부 유지를 위해 노력했지만, 12월 9일 윈난성과 쓰촨성의 주요 인사들이 공산당 측으로 전향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2]

1949년 12월, 루한류원후이 등이 공산당 측으로 전향하자, 장제스는 아들 장징궈와 함께 청두에서 타이완으로 철수했다. 후종난도 하이난섬으로 피신했지만, 장제스의 엄명으로 시창에서 저항을 계속했다. 그러나 1950년 3월, 시창 함락이 임박해지자 결국 타이완으로 도주했다.[2]

4. 1. 옌안 점령과 초기 성공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후종난은 중국 공산당과 전투를 벌였다. 1947년 봄, 산간닝 변경구를 향해 진공을 시작했고, 3월 19일에 옌안을 점령했다. 이 과정에서 마 가벌 무슬림 기병대의 지원을 받았다.

후종난의 군대가 옌안으로 진격


그러나 중국 인민 해방군의 주력 부대는 이미 그곳을 철수한 뒤였다.[1]

4. 2. 전략적 한계와 패전

후종난은 옌안 점령에는 성공했지만, 중국 인민 해방군의 주력을 포착하지 못했다. 오히려 병력이 분산되어 각개격파 당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른 지휘관에게 병력이 배정되어, 후종난에게는 25만 명만 남았기 때문이다.

1948년 봄부터 인민해방군의 대규모 반격이 시작되었고, 4월 22일에는 옌안을 다시 빼앗겼다.[2] 1949년 5월 20일, 후종난은 시안에서 철수해야 했고, 이후 패전을 거듭하며 쓰촨성으로 도주했다.[2] 청두에서 장제스의 명령에 따라 중국 서남부 유지를 위해 노력했지만, 12월 9일 윈난성과 쓰촨성의 주요 인사들이 공산당 측으로 전향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2]

4. 3. 국민당의 패인

장제스의 지나친 자신감과 영토 고수에 대한 집착은 중국 국민당의 실패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 북서부의 험준한 지형은 게릴라전에 유리했고, 국민당군은 새로 점령한 지역을 방어하기 위해 병력을 분산시켜야 했다. 정치적 상징성 때문에 옌안을 포기하지 못하고 병력을 집중시키지 못한 것도 패인이었다.

예를 들어, 산시성의 옛 공산당 수도인 옌안을 점령하고 지키는 데 8만 명의 병력이 필요했지만, 정치적 상징성은 장제스와 국민당이 포기하기에는 너무 컸다. 그 결과 정치적 열정이 군사적 실용성을 압도했다. 후종난은 옌안을 점령할 때 마 가벌 무슬림 기병대의 지원을 받았다.

후종난과 그의 부대에 대한 또 다른 문제는 장제스가 정복한 땅을 고수하려는 집착이었다. 그 지역은 비교적 작지만 고도로 기동력 있는 기계화 부대가 지키기에는 너무 넓고 험준하여, 대규모 병력이 이러한 지역을 지키기 위해 지리적으로 고립된 지역에 주둔해야 했다. 이러한 막대한 병력이 필요한 이유는 국민당의 군사 작전 동안 중국 공산당의 주력이 어떤 식으로든 손상되지 않았고 여전히 국민당을 공격할 수 있었으며, 장제스의 과도한 자신감으로 인해 그는 게릴라전을 벌이는 2만 명의 공산당 주력이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는 치명적인 오류로 드러났다.

1948년 3월, 이촨에서 펑더화이는 공산군을 이끌고 후종난의 부대를 기습 공격하여 2만 명의 사상자를 냈고, 6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쓰촨성에 도달하기 위해 산시성 남부로 진격했다. 후종난 장군은 무슬림 지사 마훙쿠이에게 즉각적인 도움을 요청했고, 마훙쿠이는 두 개의 무슬림 기병 사단을 보냈다. 그들은 바오지에서 공산군을 격파하고 공산군에게 2만 명의 사망자를 내어 간쑤성으로 몰아냈다.

1949년 국민당의 방어선 전체가 무너져 내렸다. 후종난 장군은 리쭝런 대통령의 명령을 무시했고, 무슬림 장군 마훙쿠이는 이에 분노했다. 후는 또한 마훙쿠이와 다른 무슬림 마 가벌 장군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마훙쿠이는 리쭝런에게 그가 맡고 있던 모든 직위에서 사임하겠다는 전보를 보냈고, 타이완으로 도망갔으며, 그의 사촌 마훙빈이 그의 직위를 맡았다.

5. 대만으로의 철수와 말년

1950년 3월, 시창 함락 직전 후종난은 대만으로 도주했다. 대만 도착 후, 후종난은 감찰위원의 탄핵을 받았으나 장제스의 비호로 위기를 넘겼다. 1952년 여름, 저장성 정부 주석 겸 강절인민반공유격대 총지휘에 임명되어 다천도에서 공산당에 대한 저항 활동을 지휘했다. 1953년 총통부 전략고문위원회 고문, 1955년 9월 펑후 방어 사령관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12월부터 국방연구원에서 훈련을 받았다. 1959년 총통부 전략고문에 재임명되었다.

1962년 2월 14일, 타이베이시에서 향년 67세 (만 65세)로 사망했다.

6. 논란: 공산당 스파이설

융 치앙과 존 핼리데이가 저술한 『마오: 아무도 몰랐던 마오쩌둥』에서 후종난은 공산당의 "슬리퍼"(스파이)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2006년에 이 책이 대만에서 출판되려 하자, 후종난의 아들인 후웨이전(당시, 대만 주재 싱가포르 대표)과 구 황푸군관학교 출신들은 사실무근이라며 격노하며 출판사에 항의했다. 또한, 대만의 역사 연구자들로부터도 이 책 전체에 대한 의문과 비판이 잇따랐다. 출판사도 해당 기술에 대한 확실한 근거와 증거를 치앙과 핼리데이에 요구했지만, 납득할 만한 답변을 얻지 못해, 결국 출판사는 이 책의 출판을 포기했다[5]

한편, 후종난 자신이 "슬리퍼"였는지는 매우 의심스럽지만, 그의 측근과 부하에 공산당이 파견한 "슬리퍼"가 여러 명 존재했던 것은 사실이다.

7. 평가와 유산

후종난은 유능한 군사 지휘관이었지만, 장제스에게 충성스러운 부하로서 그의 명령에 이의를 제기하지 못했다. 그는 '서북왕'이라 불릴 정도로 정치적 영향력이 컸지만, 새로운 군벌이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장제스의 의도에 따랐다. 장제스의 전략적 오류로 인해 병력이 크게 감축되었음에도 반대하지 않았고, 결국 패배를 겪었다.[1]

세 번의 전투에서 23만 명 중 1만 3천여 명의 병력을 잃은 후, 국민당의 공산당 근거지에 대한 공세는 사실상 종료되었다. 공산당은 이 시기에 재정비할 시간을 벌었고, 전세를 역전시켰다. 장제스는 후종난에게 증원군을 보냈지만, 소규모 병력이 한 번에 하나씩 보내졌기 때문에 전황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1]

후종난의 실패는 군사적 능력 부족보다는 정치적 상황, 장제스의 전략적 오류, 그리고 측근의 배신 때문이었다. 그의 가장 신뢰받는 보좌관이었던 슝샹후이 소장은 저우언라이의 지시를 받은 공산당 스파이였다. 슝샹후이는 1937년부터 후종난의 비서로 일하며 정보를 빼돌렸고, 1947년 미국으로 유학을 간 후에야 후종난은 그의 정체를 알게 되었다.[1]

천청 등 후종난의 정적들은 그가 공산당을 비호했다고 비난했지만, 후종난은 두 번 모두 무혐의로 풀려났다. 제1차 타이완 해협 위기에서 중화민국 방어를 지휘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남겼으며, 1962년 사망할 때까지 총통 군사 전략 고문으로 활동했다.[1]

참조

[1] 서적 Chiang Kai Shek: China's Generalissimo and the Nation He Lost https://books.google[...] Carroll & Graf Publishers 2010-06-28
[2] 서적 Chiang Kai Shek: China's Generalissimo and the Nation He Lost https://books.google[...] Carroll & Graf Publishers 2010-06-28
[3] 간행물 China: Chest-Thumper https://web.archive.[...] 1948-05-17
[4] 서적 The memoirs of Li Tsung-jen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2010-06-28
[5] 문서 矢吹晋「『マオ―誰も知らなかった毛沢東』続報 - 『マオ』中国語版を葬った台湾の見識に見習うべし -」2006.5.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