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2시간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시간제는 하루를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시간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메소포타미아와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했다. 로마 시대에도 사용되었으며, 14세기에는 24시간 아날로그 다이얼 시계가 등장했으나, 12시간제는 이후에도 널리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십이지시를 사용했으나, 1895년 태양력 채택 이후 24시간제가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과 특히 방송, 언론 등에서 12시간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12시간제는 영어에서 a.m.과 p.m.으로 표기되며, 정오와 자정의 표기에서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12시간제는 주로 과거 대영 제국의 영향을 받은 국가들과 멕시코, 필리핀 등에서 사용되며, 운영체제에서도 설정 변경을 통해 활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각법 - 24시간제
    24시간제는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어 시간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오전/오후 혼동을 줄여 컴퓨터, 교통, 군사,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고대 이집트 천문학에서 기원하여 표준시 설정과 함께 확산되었다.
  • 시각법 - 십이시
    십이시는 고대 중국에서 하루를 12등분한 시간 단위로, 십이지와 대응되며 고유한 명칭으로도 불렸고 방위와 연결되어 다양한 용어에 영향을 주었으며, 시진을 세분화하기도 했으나, 명나라 시대에 24시간제 도입으로 소시도 사용되었다.
12시간제
개요
유형시간 체계
사용일상생활
시계
시간 기록
관련 항목24시간제
60진법
시간대
세부 사항
시간 범위1시부터 12시
하루 주기2회
표기오전 (ante meridiem, AM)
오후 (post meridiem, PM)
역사
기원고대 이집트
발전바빌로니아 천문학
장점 및 단점
장점직관적인 시간 표현
간단한 시간 계산
단점오전/오후 혼동 가능성
12시 정오/자정 모호성
기타
관련 표준ISO 8601 (일부 형식)
사용 국가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필리핀
인도 (일부)
영국 (일부)

2. 역사

12시간제는 메소포타미아고대 이집트에서 기원했다.[6] 아멘호테프 1세 무덤에서 발견된 해시계[7] 물시계[8] 각각 낮과 밤을 12시간으로 나누어 사용했다.

고대 로마는 낮을 12시간으로 균등하게 나누는 12시간제 시계를 사용했고, 밤은 4개의 야경으로 나누었다.

14세기 최초의 기계식 시계는 24시간 아날로그 다이얼을 사용했다. 이는 천문학자들이 아스트롤라베와 해시계에 익숙했고,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겉보기 운동을 모델링하려는 열망 때문이었다. 북유럽에서는 로마 숫자를 사용하여 12시간 숫자 체계를 표시했지만, ''오전''과 ''오후'' 시간을 모두 표시하는 이중-XII 시스템을 사용했다. 웰스와 엑서터에서 이 시스템을 볼 수 있다.

15세기와 16세기를 거치면서, 12시간 아날로그 다이얼과 시간 시스템은 북유럽에서 일반 대중에게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24시간 아날로그 다이얼은 천문 시계나 크로노미터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 사용되었다.

오늘날 대부분의 아날로그 시계와 손목시계는 12시간 다이얼을 사용하며, 짧은 시침은 12시간마다 한 번, 하루에 두 번 회전한다. 일부 시계는 12시간 숫자 링과 함께 24시간을 나타내는 안쪽 링을 가지고 있어, 24시간 표기법으로도 읽을 수 있다.

2. 1. 한국의 12시간제 역사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십이지신(十二支神)을 사용하여 시간을 나타내는 십이지시(十二時辰)를 사용해 왔다. 예를 들어, 자시(子時)는 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 오시(午時)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를 의미한다.

1895년(고종 32) 조선 정부는 공식적으로 태양력을 채택하고, 1일을 24시간으로 나누는 현대적인 시간 체계를 도입했다.[46][47][48] 일본에서 정시법의 첫 도입을 명시한 "메이지 5년 11월 9일 태정관 포고 제337호(개력의 포고)"는 "오전", "오후"라는 말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 태정관 포고는 현재도 법령으로서 유효하다.[50] 이 고시는 오전과 오후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24시간을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시간을 표시하는 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12시간제와 24시간제가 혼용되었으며,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12시간제 사용이 더욱 일반화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12시간제는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방송, 언론 등에서는 12시간제 표현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3. 표기법

12시간제는 하루를 오전(a.m.)과 오후(p.m.) 두 부분으로 나누어 시간을 나타낸다. 오전은 자정(밤 12시)부터 정오(낮 12시) 전까지, 오후는 정오부터 자정 전까지이다. 영어에서는 "a.m.", "p.m."과 같이 약어를 사용하여 시간을 표기하며, AM/PM, am/pm, A.M./P.M. 등 다양한 표기 방식이 있다. 한국어에서는 "오전 10시", "오후 3시"와 같이 "오전", "오후"를 시간 앞에 붙여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38]

영어의 경우 오전은 "ante meridiem"(a.m.), 오후는 "post meridiem"(p.m.)이라고 하며, 이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42] 영어에서는 "1:00 p.m." 또는 "1 p.m."과 같이 숫자 뒤에 a.m./p.m.을 붙이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다. 일본에서는 "PM 1시"와 같은 표현은 물론, "오후 1:00"과 같은 표기도 일상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오후 1시"라고 쓰거나, 콜론을 사용할 경우 "'''PM 1:00'''"과 같이 영어 표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부분의 언어에는 "정오 전"과 "정오 후"에 대한 공식적인 약어가 없으며, 구두로 또는 비공식적으로 12시간제를 사용한다.[11] 러시아어, 히브리어 등에서는 "아침 9시" 또는 "밤 3시"와 같은 비공식적인 표현을 사용한다.

3. 1. 정오와 자정의 표기 문제

12시간제에서는 정오와 자정을 표기하는 방법에 있어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오전 12시"와 "오후 12시"라는 표현이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자정 2시간 후는 오전 2시, 정오 2시간 후는 오후 2시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자정 12시간 후인 정오는 '오전 12시', 정오 12시간 후인 자정은 '오후 12시'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정오나 자정 부근의 시간을 표현할 때 혼란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 '오전 12시 20분'을 정오 20분 후로 해석하면, 정오가 지났음에도 '오전'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게 되어 오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에서는 정오를 '오후 0시'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지만, 표준적인 표기법은 아니다. 국립천문대 홍보 보급실은 '오후 0시 20분'과 같이 표현하는 것이 좋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57]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12시 정오(noon)' 또는 '12시 자정(midnight)'과 같이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을 권장한다.[34] NIST 웹사이트에서는 "오전 12시와 오후 12시는 모호하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34]

다양한 표기법에 따른 시간
장치 또는 스타일 가이드자정
하루의 시작
정오자정
하루의 종료
24시간제 표기00:0012:0024:00 또는 다음 날 00:00
디지털 시계 (12시간제)오전 12:00오후 12:00오전 12:00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34]자정정오자정
오후 11:59
AP 통신 스타일[30]정오자정
캐나다 통신(Canadian Press),[35] 영국 표준[36]자정정오자정


4. 활용

12시간제는 영국, 미국, 캐나다(퀘벡 제외), 호주 등 과거 대영 제국의 영향을 받은 국가들을 비롯하여 여러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6] 많은 국가에서 공식적으로는 24시간제를 사용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12시간제가 여전히 많이 사용된다. 윈도우를 비롯한 대부분의 운영체제와 유닉스 계열 시스템은 제한된 수의 언어 및 지역 설정에 대해 12시간 표기법을 기본적으로 활성화하기도 한다.[10]

12시간제는 구어에서 흔히 "... 오전", "... 오후", "... 저녁", "... 밤"과 같은 구문을 사용한다. 1795년판 '라이더스 브리티시 멀린' 연감과 1773년 런던에서 발행된 유사한 연감에서 이 용어들을 사용했다.[9] 영어권 국가와 일부 스페인어권 국가를 제외하고는 '오전'(a.m.)과 '오후'(p.m.)라는 용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모르는 경우가 많다.

다른 국가에서 12시간 또는 24시간 시계 사용 현황을 보여주는 세계 지도

4. 1. 한국에서의 활용

대한민국에서는 공식적으로 24시간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일상생활에서는 12시간제가 널리 사용된다. 방송, 언론, 광고 등에서는 12시간제 표현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오전", "오후"와 함께 시간을 명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중교통, 금융, 병원 등 정확한 시간 정보가 중요한 분야에서는 24시간제가 주로 사용된다.

자정(24시간제의 0시 00분)과 정오(24시간제의 12시 00분)는 오전과 오후의 경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그 부근의 12시간제 시각 표현에 대해 다양한 혼란이 있다. 특히, 정오(낮 12시) 또는 0시를 표현하는 "오전 12시", "오후 12시", "오후 0시" 등의 표현이 혼재하며, 정오부터 1시간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에 대한 표현 방법이나 가리키는 시각의 혼란이 예상된다. 오전·오후를 사용하지 않고 24시간제를 사용하면 이러한 혼란은 완전히 해결된다.[57][58]

하지만, 디지털 시계가 발달하면서, 12시간제 표기에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표현(오후 0시 20분)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

5. 장단점

12시간제는 하루를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시간을 표시하는 방식이다. 오전은 자정부터 정오까지, 오후는 정오부터 자정까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분은 시간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38]

하지만 12시간제는 몇 가지 단점도 가지고 있다. 우선, 정오와 자정의 표기가 혼란스러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오를 '오전 12시'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정오가 오전의 끝인지 오후의 시작인지 모호하게 만든다. 또한, 24시간제에 비해 시간 계산이 번거로울 수 있다.

말하기에서는 보통 시간을 가장 가까운 5분 단위로 반올림하거나, 가장 가까운 시각을 기준으로 몇 분 전 또는 후라고 표현한다. 예를 들어 5시 15분은 '4분의 1시간 5분'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5. 1. 한국 사회의 관점

대한민국에서는 12시간제와 24시간제가 혼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12시간제 사용은 개인의 선택과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시간 표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참조

[1] Encyclopedia Time
[2] 웹사이트 Modular Arithmetic http://www.math.csus[...] 2016-08-25
[3] 웹사이트 Is noon 12 am or 12 pm? https://www.rmg.co.u[...] 2023-01-26
[4] 웹사이트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Style Manual - Chapter 12 - Numerals https://www.govinfo.[...] 2023-01-27
[5] 웹사이트 time of day, elapsed time https://www.noslangu[...] 2020-10-22
[6] 웹사이트 The History of Clocks http://www.arcytech.[...] 2008-10-13
[7] 웹사이트 Berlin instruments of the old Eg.time of day destination http://members.aon.a[...] 2006-06-13
[8] 웹사이트 Early Clocks https://www.nist.gov[...]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09-08-12
[9] 서적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catalogue entry for ''Rider's British merlin: for the year of Our Lord God 1795'' http://catalogue.nla[...] Printed for the Company of Stationers, and sold by R. Horsfield, at Stationers-hall, near Ludgate-street
[10] 웹사이트 How to customize how the time is displayed in Windows http://www.bleepingc[...] Bleeping Computer 2012-12-13
[11] Dictionary hora http://buscon.rae.es[...]
[12] 웹사이트 Small Capitals https://www.sussex.a[...] The University of Sussex 2024-10-30
[13] 웹사이트 9.39: Numerals versus words for time of day https://www.chicagom[...] The University of Chicago 2024-10-30
[14] 웹사이트 A more efficient way to denote am or pm https://www.jamesrob[...] 2022-08-30
[15] 문서 Hacker, Diana, A Writer's Reference, six edition, Bedford, St Martin's, Boston, 2007, section M4-c, p.308.
[16] 서적 Economist Style Guide The Economist 2018
[17] 서적 The Tongue and Quill https://static.e-pub[...] US Air Force 2015-05-27
[18] Dictionary quarter Houghton Mifflin 1992
[19] 서적 Little Dorrit 1855
[20] 웹사이트 Number five-and-twenty: A fading linguistic practice https://www.theneweu[...] 2020-05-17
[21] 웹사이트 Ask About English https://www.bbc.co.u[...] BBC 2021-01-13
[22] 간행물 TVTimes magazine 21-27 May 1983 part1 http://forums.doyour[...] 1983-05-21
[23] 서적 Chicago Manual of Sty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4
[24] 웹사이트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Style Manual https://www.govinfo.[...]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1953-01
[25] 웹사이트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Style Manual https://www.govinfo.[...]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2000
[26] 웹사이트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Style Manual https://www.govinfo.[...]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2008
[27] 웹사이트 http://jjy.nict.go.j[...] 1989-02-15
[28] 뉴스 https://www.nao.ac.j[...] 2022-01-19
[29] 서적 Chicago Manual of Sty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4
[30] 문서 Paula Froke, Anna Joe Bratton, Oskar Garcia, Jeff McMillan & Jerry Schwart, Eds., 54th ed., ''The Associated Press Stylebook and Briefing on Media Law'', New York: Basic Books, June 2019,
[31] Dictionary AM http://ahdictionary.[...] 2011
[32] 서적 Mapping Time: the Calendar and its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33] 웹사이트 GPO Style Manual. 2016. p.236 https://www.govinfo.[...] 2017-01-12
[34] 웹사이트 Times of Day FAQs https://www.nist.gov[...]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16-09-21
[35] 서적 The Canadian Press Stylebook 1999
[36] 웹사이트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FAQ-Time'' https://web.archive.[...] 2015-01-11
[37] 웹사이트 Cheshunt/Enfield Town to London Liverpool Street via Seven Sisters service Interim train timetables https://web.archive.[...] 2015-05-17
[38] 문서 午後は'''午后'''(ごご)とも書くが、この「后」は「後」と同じ意味の漢字である。
[39] 서적 なぜなに日本語もっと 三省堂 2019-06-22
[40] 뉴스 なぜ「午前中」とは言っても「午後中」とは言わないの? 飛ばす「ゲキ」は「激」じゃないの? 日本語の「なぜ?」「なに?」が大集合! https://prtimes.jp/m[...] PR TIMES 2019-06-21
[41] Youtube チコちゃんに叱られる!午前中と言うのに午後中と言わないのはなぜ? 10月8日 https://himantorend.[...] 2021-10-08
[42] 서적 時と暦 東京大学出版会 1997-05-12
[43] 간행물 時刻の稱へ方につきて https://www.asj.or.j[...] 日本天文學會 1915-12
[44] 문서 日本国語大辞典(第2版)の「午後」の項目は、これが正午から日没まで又は夜の12時(真夜中)までの時間を指すとして、経国集(827年)や高野山文書の久安6年(1150年)の用例などを載せる。
[45] 문서 時刻の定義方法で、定時法は1日を等分して区切るもの、不定時法は日の出から日没までを等分に、日没から翌日の日の出までを等分に区切るもの。不定時法では1日を等分するわけではなく、季節によっても間隔が異なる。
[46] 법령 太政官布告第三百三十七號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47] 웹사이트 明治五年太政官布告第三百三十七号(改暦ノ布告) https://laws.e-gov.g[...] 총무성행정管理局 2008-10-03
[48] 문서 出典と原典(詔書)で一部字体などが異なる可能性がある。特に「字」と「時」。
[49] 문서 平凡社『世界大百科事典』第2版「時刻」の項によると、平安時代の『延喜式』にある記述から(一部朝廷関係に限られたものの)定時法が採用されていたことがわかり、飛鳥時代に不定時法ながら十二支で時刻を示した用例がある。
[50] 간행물 日本のインフラ・グランドデザインの時代に思いを馳せる:日本標準時施行120周年 http://id.nii.ac.jp/[...] 日本ITU協会 2008-1
[51] 웹사이트 明治三十一年勅令第九十号(閏年ニ関スル件) https://laws.e-gov.g[...] 총무성행정管理局 2008-10-05
[52] 문서 原表は縦書き。
[53] 법령 太政官布告第三百三十七號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54] 문서 「字」は「時」に同じ。法規分類大全 〔第2〕(後の法令全書)による印影では、「十二時」となっている。これは布告に「但是迄時辰儀時刻ヲ'''何字'''ト唱來候處以後'''何時'''ト可偁事」とあり、この布告以降は、時刻を表す漢字を「字」から「時」に改めたことによる。
[55] 웹사이트 質問4-1)正午は午前12時?それとも、午後12時? https://www.nao.ac.j[...] 국립천문대
[56] 웹사이트 1997年人事院規則二〇―〇(任期付研究員の採用、給与及び勤務時間の特例) 十二条一項 https://laws.e-gov.g[...] 총무성행정管理局 2018-12-21
[57] 서적 天文台の電話番 国立天文台広報普及室 地人書館
[58] Citation 午前12時? 午後0時? http://jjy.nict.go.j[...] 정보통신연구기구 1989-02-15
[59] 문서 たとえば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60] 문서 1:00 p.m.の1時間前。
[61] 문서 1:00 a.m.の1時間前。
[62] URL 時のハテナにせまる!! ★ キッズタイム ★ 時と時計を楽しくまなぼう https://www.jcwa.or.[...]
[63] URL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Style Manual 2000 https://www.govinfo.[...]
[64] URL GPO Style Manual, An official guide to the form and style of Federal Government publishing, 2016 https://www.govinfo.[...]
[65] 문서 音による時刻表現での「分」を表し方では「時」の場合と異なり、0分の場合は無音すなわち「0回の音」で表現され、「0分 - 59分」の六十進法が用いられている。
[66] 문서 深夜から早朝の時間帯の民放ラジオ放送の番組表では、実際には29時(=翌5時)を以って日付および時刻表示を進める「29時間制」の採用例がみら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