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68년은 후한 건녕 원년으로, 후한 환제가 사망하고 영제가 즉위한 해이다. 신라에서는 이찬 계원이 사망하고 흥선이 이찬이 되었으며, 로마 제국에서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가 파노니아에서 마르코만니족을 정복했다. 조인, 고옹, 이통 등이 태어났으며, 주경, 교황 아니케투스, 한 환제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68년 | |
---|---|
168년 지도 정보 | |
기년 | |
로마 제국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8년, 루키우스 베루스 공동 황제 8년 |
연호 | |
후한 | 건녕 1년 |
일본 | 세이무 천황 38년 |
사건 | |
로마 제국 | 마르코만니 전쟁 발발 |
동해 연안 | 예족 족장 속로불예 등이 후한에 조공을 바치다. |
탄생 | |
날짜 미상 | 조모, 삼국 시대 오나라의 제3대 황제 (260년 몰) |
사망 | |
날짜 미상 | 클라우디우스 톨레마이오스, 고대 로마 이집트의 수학자, 천문학자, 지리학자, 점성술사, 음악 이론가 (100년 경 출생) |
2. 연호
3. 기년
4. 사건
168년에는 후한에서 한영제가 한환제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었고, 두묘와 두무, 진번 등이 조정을 이끌었으나 환관 조절 등에 의해 제거되었다. 신라에서는 아달라 이사금 15년에 이찬 계원이 사망하고 흥선이 이찬이 되었다. 로마 제국에서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와 루키우스 베루스가 마르코만니족을 정복하였다.[1]
4. 1. 후한
- 1월 25일(음력 12월 28일), 후한의 환제가 붕어하였다. 황후의 아버지인 두무는 태후에게 해독정후(解瀆亭侯) 유굉(劉宏)을 황제로 삼을 것을 아뢰었고, 이가 당시 12세의 영제이다. 당시 중상시(中常侍)였던 환관 조절은 어린 유굉을 궁궐로 모셔 왔다.[1]
- 2월 17일, 영제가 즉위하였다. 영제는 할아버지 유숙(劉淑)을 효원황(孝元皇)으로, 그 부인 하씨(夏氏)를 효원황후(孝元皇后)로 추존했다. 아버지 유장을 효인황(孝仁皇)으로 추존하고, 그의 묘를 신릉(慎陵)이라 이름지었으며, 어머니 동씨를 진원귀인(慎園貴人)에 봉했다. 조절은 황제 옹립에 공을 세워 장안향후(長安鄕侯)가 되었다. 황제가 어렸으므로 조정의 실권은 환제의 세 번째 황후인 두묘와 두씨의 아버지 두무, 그리고 두씨가 황후로 책봉될 때 공을 세웠던 진번이 쥐게 되었다.[1]
- 음력 5월, 유구가 태위에 임명되었다.[1]
- 환관 왕보와 조절이 두묘를 섬기며 아첨하자, 두무와 진번은 이들을 제거하려 했다. 두 사람은 번갈아 태후에게 환관 제거를 청했으나, 태후가 망설여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1]
- 음력 9월, 중상시 조절이 태부 진번, 대장군 두무, 상서령 윤훈, 시중 유유, 둔기교위(屯騎校尉) 풍술을 죽였다.[1]
- 음력 11월, 일식이 일어나 태위 유구가 면직되었다.[1]
- 한영제가 한환제를 계승하여 중국 한 왕조의 황제가 되었다. 연호는 건녕(建寧) 원년이다.[1]
4. 2. 신라
신라 아달라 이사금 15년[1]음력 4월, 신라 이찬 계원이 죽자, 흥선을 이찬으로 삼았다.[1]
4. 3. 로마 제국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와 그의 양제 루키우스 베루스는 로마를 떠나 아퀼레이아에 본부를 설치했다.[1]
- 로마 군대는 알프스 산맥을 넘어 파노니아로 진입하여 다뉴브 강 북쪽의 카르누툼에서 마르코만니족을 정복했다.
5. 탄생
6. 사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