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6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6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각 국가의 선수 명단을 정리한 문서이다. 잉글랜드에서 개최된 이 대회에는 총 16개국이 참가했으며, 각 팀은 감독 1명과 22명의 선수로 구성되었다. 문서에는 각 국가별 선수 명단, 포지션, 생년월일, 소속 클럽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우승팀 잉글랜드, 3위를 차지한 포르투갈, 8강에 진출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의 주요 선수들에 대한 설명이 덧붙여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FIFA 월드컵 -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은 잉글랜드(개최국)와 브라질(전 대회 우승국)을 제외한 14장의 본선 진출 티켓을 놓고 74개국이 경쟁했으며, 대륙별 예선을 통해 진출국이 결정되었고, 특히 아프리카 국가들의 보이콧 등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하는 이변이 있었다. - 1966년 FIFA 월드컵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 이탈리아 (1966년 FIFA 월드컵)
1966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이탈리아를 1-0으로 꺾고 아시아 팀 최초 월드컵 승리를 기록했으며 박두익이 결승골을 넣어 이탈리아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 불가리아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196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196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은 칠레에서 열린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유고슬라비아, 우루과이, 콜롬비아, 소련, 칠레, 이탈리아, 스위스, 서독, 체코슬로바키아, 멕시코, 스페인, 브라질, 잉글랜드, 아르헨티나, 불가리아, 헝가리 국가대표팀의 선수와 감독 정보를 포함한다. - 불가리아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1970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1970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은 197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국가별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명단을 담은 문서로, 우승팀을 포함한 주요 참가국들의 감독, 선수 정보 및 조별 리그, 경기 결과 정보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 1966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 레오넬 산체스
레오넬 산체스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에 칠레 축구계에서 활약하며 칠레 대학교의 상징적인 선수이자 1962년 FIFA 월드컵 득점왕을 차지했고, IFFHS 선정 20세기 남미 최고의 축구 선수 40인에 선정될 정도로 칠레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 전설적인 축구 선수이다. - 1966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아시아 최초 8강 진출 후 침체기를 겪었으나, 2010년 월드컵 본선 진출과 2026년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최종 진출을 통해 재도약을 시도하고 있으며, 평양 릉라도 5월1일 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종일관 선수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66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 |
---|---|
1966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 |
![]() | |
대회 | 1966년 FIFA 월드컵 |
날짜 | 1966년 7월 11일 ~ 7월 30일 |
참가국 수 | 16개국 |
관련 틀 | 틀:1966 FIFA 월드컵 |
선수 명단 | |
아르헨티나 | 1966년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선수 명단 |
브라질 | 1966년 FIFA 월드컵 브라질 선수 명단 |
불가리아 | 1966년 FIFA 월드컵 불가리아 선수 명단 |
칠레 | 1966년 FIFA 월드컵 칠레 선수 명단 |
잉글랜드 | 1966년 FIFA 월드컵 잉글랜드 선수 명단 |
프랑스 | 1966년 FIFA 월드컵 프랑스 선수 명단 |
헝가리 | 1966년 FIFA 월드컵 헝가리 선수 명단 |
이탈리아 | 1966년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선수 명단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966년 FIFA 월드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 명단 |
멕시코 | 1966년 FIFA 월드컵 멕시코 선수 명단 |
포르투갈 | 1966년 FIFA 월드컵 포르투갈 선수 명단 |
소련 | 1966년 FIFA 월드컵 소련 선수 명단 |
스페인 | 1966년 FIFA 월드컵 스페인 선수 명단 |
스위스 | 1966년 FIFA 월드컵 스위스 선수 명단 |
우루과이 | 1966년 FIFA 월드컵 우루과이 선수 명단 |
서독 | 1966년 FIFA 월드컵 서독 선수 명단 |
2. 대회 개요
2. 1. 조 추첨 결과
2. 2. 경기 규칙
3. 참가 선수 명단
3. 1. 1조
3. 1. 1. {{축구나라|잉글랜드}}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한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감독은 앨프 램지였다. 램지 감독은 당시 혁신적인 전술과 뛰어난 리더십으로 잉글랜드 대표팀을 이끌었다.
- '''수비수(DF)'''
- * 조지 코헨 (풀럼)
- * 레이 윌슨 (에버턴)
- * 잭 찰턴 (리즈 유나이티드)
- * 보비 무어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 주장
- * 지미 암필드 (블랙풀)
- * 제리 번 (리버풀)
- * 노먼 헌터 (리즈 유나이티드)
- '''미드필더(MF)'''
- * 노비 스타일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 앨런 볼 (블랙풀)
- * 보비 찰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 마틴 피터스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 * 론 플라워스 (울버햄튼 원더러스)
- * 이안 캘러헌 (리버풀)
- * 조지 이스텀 (아스널)
- '''공격수(FW)'''
- * 지미 그리브스 (토트넘 홋스퍼)
- * 제프 허스트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 * 존 코넬리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 테리 페인 (사우샘프턴)
- * 로저 헌트 (리버풀)
특히, 보비 찰턴은 뛰어난 공격력과 정확한 슈팅으로 잉글랜드 공격을 주도했으며, 주장 보비 무어는 강인한 수비력과 리더십으로 팀을 이끌었다. 고든 뱅크스는 뛰어난 선방 능력으로 잉글랜드의 골문을 든든하게 지켰다.
3. 1. 2. {{축구나라|우루과이}}
마주르키에비치 (GK)트로체 (DF) - 주장
마니세라 (DF)
포를란 (MF)
곤살베스 (DF)
카에타노 (MF)
코르테스 (MF)
우루스멘디 (FW)
사시아 (FW)
페드로 로차 (FW)
도밍고 페레스 (FW)
로베르토 소사 (GK)
넬손 디아스 (DF)
에밀리오 알바레스 (DF)
우비냐 (DF)
엘리세오 알바레스 (DF)
살바 (MF)
비에라 (FW)
엑토르 실바 (MF)
루이스 라모스 (DF)
에스파라고 (MF)
타이보 (GK)
감독: 비에라
3. 1. 3. {{축구나라|멕시코|1934}}
- '''감독:''' 이그나시오 트렐레스
- '''선수 명단:'''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장 경기 수 | 소속 클럽 |
---|---|---|---|---|---|
1 | GK | 안토니오 카르바할 | 1929년 6월 7일 (37세) | 46 | 레온 |
2 | DF | 아르투로 차이레스 | 1937년 3월 14일 (29세) | 19 | 과달라하라 |
3 | DF | 구스타보 페냐 (주장) | 1941년 11월 22일 (24세) | 24 | 오로 |
4 | DF | 헤수스 델 무로 | 1937년 11월 30일 (28세) | 29 | 베라크루스 |
5 | DF | 이그나시오 야우레기 | 1938년 7월 31일 (27세) | 28 | 몬테레이 |
6 | MF | 이시도로 디아스 | 1940년 3월 14일 (26세) | 34 | 과달라하라 |
7 | MF | 펠리페 루발카바 | 1941년 2월 16일 (25세) | 21 | 오로 |
8 | FW | 아론 파디야 | 1942년 7월 10일 (24세) | 16 | UNAM |
9 | FW | 에르네스토 시스네로스 | 1940년 10월 26일 (25세) | 14 | 아틀라스 |
10 | FW | 하비에르 프라고소 | 1942년 4월 19일 (24세) | 13 | 아메리카 |
11 | FW | 프란시스코 하라 | 1941년 2월 3일 (25세) | 6 | 과달라하라 |
12 | GK | 이그나시오 칼데론 | 1943년 12월 13일 (22세) | 14 | 과달라하라 |
13 | MF | 호세 루이스 곤살레스 | 1942년 9월 14일 (23세) | 7 | 넥사카 |
14 | DF | 가브리엘 누녜스 | 1942년 2월 6일 (24세) | 6 | 사카테펙 |
15 | DF | 기예르모 에르난데스 | 1942년 6월 25일 (24세) | 5 | 아틀라스 |
16 | MF | 루이스 레게이로 | 1943년 12월 22일 (22세) | 1 | UNAM |
17 | MF | 마그달레노 메르카도 | 1944년 4월 4일 (22세) | 4 | 아틀라스 |
18 | MF | 엘리야스 무뇨스 | 1941년 11월 3일 (24세) | 3 | UNAM |
19 | FW | 살바도르 레예스 | 1936년 9월 20일 (29세) | 46 | 과달라하라 |
20 | FW | 엔리케 보르하 | 1945년 12월 20일 (20세) | 1 | UNAM |
21 | FW | 라미로 나바로 | 1943년 5월 25일 (23세) | 4 | 오로 |
22 | GK | 하비에르 바르가스 | 1941년 11월 22일 (24세) | 2 | 아틀라스 |
3. 1. 4. {{축구나라|프랑스}}
앙리 게랭 감독의 지휘 아래,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6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 다음은 당시 선수 명단이다.- '''골키퍼(GK)'''
- 마르셀 오부르 (마르셀 우부르/Marcel Aubour프랑스어, 리옹)
- 조르주 카르뉘 (조르주 카르누스/Georges Carnus프랑스어, 스타드 프랑세)
- 조니 슈트 (조니 슈스/Johnny Schuth프랑스어, 스트라스부르)
- '''수비수(DF)'''
- 마르셀 아르텔레사 (마르셀 아르텔레사/Marcel Artelesa프랑스어, 모나코) - 주장
- 베르나르 보스키에 (베르나르 보스키르/Bernard Bosquier프랑스어, 소쇼)
- 로베르 뷔진스키 (로베르트 부진스키/Robert Budzynski프랑스어, 낭트)
- 앙드레 쇼르다 (안드리 초르다/André Chorda프랑스어, 보르도)
- 엑토르 드 부르갱 (엑토 드 부르고잉/Hector De Bourgoing프랑스어, 보르도)
- 가브리엘 드 미셸 (가브리엘 드 미쉘/Gabriel De Michèle프랑스어, 낭트)
- 장 조르카에프 (장 조르카에프/Jean Djorkaeff프랑스어, 리옹)
- 장-클로드 피우미 (장 클라우드 피우미/Jean-Claude Piumi프랑스어, 발랑시엔)
- '''미드필더(MF)'''
- 조제프 보넬 (조셉 보넬/Joseph Bonnel프랑스어, 발랑시엔)
- 이브 에르베 (이베 에벳/Yves Herbet프랑스어, 스당)
- 로베르 에르뱅 (로베르 에르뱅/Robert Herbin프랑스어, 생테티엔)
- 뤼시앵 뮐러 (뤼시앙 뮈예르/Lucien Muller프랑스어, 바르셀로나)
- 자크 시몽 (자크 시몽/Jacques Simon프랑스어, 낭트)
- '''공격수(FW)'''
- 에드몽 바라프 (에드몽 베르하프/Edmond Baraffe프랑스어, 툴루즈)
- 네스토르 콤빈 (네스토르 콩뱅/Nestor Combin프랑스어, 바레세)
- 디디에 쿠에쿠 (디디에 쿠에쿠/Didier Couécou프랑스어, 보르도)
- 필리프 곤데 (필리페 곤뎃/Philippe Gondet프랑스어, 낭트)
- 제라르 오세 (제라르 오르시/Gérard Hausser프랑스어, 스트라스부르)
- 로랑 로부쉬 (로랑 로부시/Laurent Robuschi프랑스어, 보르도)
3. 2. 2조
3. 2. 1. {{축구나라|서독}}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서독 대표팀의 감독은 헬무트 쇤이었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경기 수 | 소속 클럽 |
---|---|---|---|---|---|
1 | GK | 한스 틸코프스키 | 1935년 7월 12일 | 32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de |
2 | DF | 호르스트-디터 횓트게스 | 1943년 9월 10일 | 13 | 베르더 브레멘de |
3 | DF | 카를하인츠 슐링어 | 1939년 3월 31일 | 31 | AC 밀란it |
4 | MF | 프란츠 베켄바우어 | 1945년 9월 11일 | 8 | FC 바이에른 뮌헨de |
5 | DF | 빌리 슐츠 | 1938년 10월 4일 | 31 | 함부르크 SVde |
6 | DF | 볼프강 베버 | 1944년 6월 26일 | 12 | 1. FC 쾰른de |
7 | MF | 알베르트 브륄스 | 1937년 3월 26일 | 23 | 브레시아 칼초it |
8 | FW | 헬무트 할러 | 1939년 7월 21일 | 22 | 볼로냐 FC 1909it |
9 | FW | 우베 젤러 (주장) | 1936년 11월 5일 | 48 | 함부르크 SVde |
10 | FW | 지크프리트 헬트 | 1942년 8월 7일 | 4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de |
11 | FW | 로타어 에머리히 | 1941년 11월 29일 | 1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de |
12 | MF | 볼프강 오베라트 | 1943년 9월 29일 | 16 | 1. FC 쾰른de |
13 | FW | 하인츠 호르니히 | 1937년 9월 28일 | 7 | 1. FC 쾰른de |
14 | DF | 프리델 루츠 | 1939년 1월 21일 | 11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de |
15 | DF | 베른트 파츠케 | 1943년 3월 14일 | 2 | TSV 1860 뮌헨de |
16 | MF | 막스 로렌츠 | 1939년 8월 19일 | 7 | 베르더 브레멘de |
17 | DF | 볼프강 파울 | 1940년 1월 25일 | 0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de |
18 | DF | 클라우스-디터 질로프 | 1942년 2월 27일 | 8 | VfB 슈투트가르트de |
19 | FW | 베르너 크라머 | 1940년 1월 23일 | 11 | MSV 뒤스부르크de |
20 | FW | 위르겐 그라보프스키 | 1944년 7월 7일 | 3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de |
21 | GK | 귄터 베르나르트 | 1939년 11월 4일 | 4 | 베르더 브레멘de |
22 | GK | 제프 마이어 | 1944년 2월 28일 | 1 | FC 바이에른 뮌헨de |
3. 2. 2. {{축구나라|아르헨티나}}
1966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감독: 후안 카를로스 로렌소
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 | 출장 수 | 골 | 소속팀 |
---|---|---|---|---|---|
안토니오 로마 | GK | 1932년 7월 13일 | 33 | 보카 주니어스 | |
롤란도 이루스타 | GK | 1938년 3월 27일 | 0 | 라누스 | |
우고 가티 | GK | 1944년 8월 19일 | 0 | 리버 플레이트 | |
로베르토 페르푸모 | DF | 1942년 10월 3일 | 4 | 레이싱 클럽 | |
호세 바라카 | MF | 1932년 5월 27일 | 26 | 산로렌소 | |
오스카 칼릭스 | MF | 1939년 11월 18일 | 0 | 산로렌소 | |
실비오 마르솔리니 | DF | 1940년 10월 4일 | 13 | 보카 주니어스 | |
로베르토 페레이로 | DF | 1935년 4월 25일 | 15 | 인데펜디엔테 | |
카르멜로 시메오네 | MF | 1934년 9월 22일 | 21 | 보카 주니어스 | |
안토니오 라틴 (주장) | MF | 1937년 5월 16일 | 26 | 보카 주니어스 | |
호세 오마르 파스토리사 | MF | 1942년 5월 23일 | 0 | 인데펜디엔테 | |
라파엘 알브레히트 | MF | 1941년 8월 23일 | 20 | 산로렌소 | |
넬손 로페스 | DF | 1941년 6월 24일 | 0 | 반필드 | |
마리오 찰두 | FW | 1942년 6월 6일 | 5 | 산로렌소 | |
호르헤 솔라리 | MF | 1941년 11월 11일 | 1 | 리버 플레이트 | |
알베르토 마리오 곤잘레스 | FW | 1941년 8월 21일 | 10 | 보카 주니어스 | |
후안 카를로스 사르나리 | MF | 1942년 1월 22일 | 0 | 리버 플레이트 | |
알프레도 로하스 | FW | 1937년 2월 20일 | 11 | 보카 주니어스 | |
루이스 아르티메 | FW | 1938년 12월 2일 | 16 | 인데펜디엔테 | |
에르민도 오네가 | FW | 1940년 4월 30일 | 24 | 리버 플레이트 | |
오스카 마스 | FW | 1946년 10월 29일 | 9 | 리버 플레이트 | |
아니발 타라비니 | FW | 1941년 8월 4일 | 1 | 인데펜디엔테 |
3. 2. 3. {{축구나라|스페인|1945}}
비얄롱가 감독이 이끄는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6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 다음은 당시 선수 명단이다.- '''수비수 (DF)'''
- 산치스 (레알 마드리드 CF)
- 엘라디오 (FC 바르셀로나)
- 리비야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레이하 (레알 사라고사)
- 올리베야 (FC 바르셀로나)
- 가예고 (FC 바르셀로나)
- '''미드필더 (MF)'''
- 델 솔 (유벤투스 FC)
- 소코 (레알 마드리드 CF) (주장)
- 글라리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우파르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피리 (레알 마드리드 CF)
- 푸스테 (FC 바르셀로나)
- 페이로 (인테르나치오날레)
- 아델라르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공격수 (FW)'''
- 아만시오 (레알 마드리드 CF)
- 마르셀리노 (레알 사라고사)
- 수아레스 (인테르나치오날레)
- 헨토 (레알 마드리드 CF)
- 라페트라 (레알 사라고사)
3. 2. 4. {{축구나라|스위스}}
포니 감독 (이탈리아)- 1 카를 엘세너 (GK)
- 2 빌리 알레만
- 3 쿠르트 암브루스터
- 4 하인츠 베니
- 5 르네 브로드만 (주장)
- 6 리하르트 뒤르
- 7 한스루디 퓌러
- 8 비토레 고타르디
- 9 앙드레 그로베티
- 10 로베르트 호프
- 11 쾨비 쿤
- 12 레오 아이히만
- 13 프리츠 큔츨리
- 14 베르너 라임그루버
- 15 카를 오데르마트
- 16 르네-피에르 캥탱
- 17 장-클로드 신델홀츠
- 18 하인츠 슈나이터
- 19 자비에 슈티얼리
- 20 엘리 타켈라
- 21 조르주 빌레미에
- 22 마리오 프로스페리
3. 3. 3조
3. 3. 1. {{축구나라|포르투갈}}
1966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르투갈은 이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감독은 글로리아였다.
- '''미드필더:'''
- 페리스 (스포르팅 CP)
- 일라리우 (스포르팅 CP)
- 콜루나 (주장) (벤피카)
- 시몽이스 (벤피카)
- 호제 아우구스투 (벤피카)
- 페르난두 크루스 (벤피카)
- 그라사 (비토리아 드 세투발)
- 핀투 (포르투)
특히, 에우제비우는 9골을 기록하며 포르투갈을 3위로 이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뛰어난 득점력과 기술로 세계적인 스타로 발돋움했다.
3. 3. 2. {{축구나라|헝가리}}
감독: 버로티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경기 | 골 | 소속팀 |
---|---|---|---|---|---|---|
1 | GK | 센티미할리 | 1939년 6월 13일 | 20 | 우이페슈트 | |
2 | DF | 카포스타 | 1942년 6월 7일 | 3 | 우이페슈트 | |
3 | DF | 마트러이 | 1932년 11월 20일 | 71 | 페렌츠바로시 | |
4 | DF | 소바리 | 1940년 12월 21일 | 16 | 우이페슈트 | |
5 | DF | 메쇠이 | 1941년 7월 16일 | 37 | 바샤시 | |
6 | MF | 시포시 (주장) | 1932년 12월 13일 | 71 | 부다페스트 혼베드 | |
7 | FW | 베네 | 1944년 12월 17일 | 17 | 우이페슈트 | |
8 | MF | 버르거 | 1945년 1월 1일 | 3 | 페렌츠바로시 | |
9 | FW | 얼베르트 | 1941년 9월 15일 | 51 | 페렌츠바로시 | |
10 | FW | 퍼르커시 | 1942년 3월 27일 | 13 | 바샤시 | |
11 | MF | 라코시 | 1938년 10월 9일 | 27 | 페렌츠바로시 | |
12 | FW | 페니베시 | 1933년 9월 20일 | 76 | 페렌츠바로시 | |
13 | MF | 마테우스 | 1937년 3월 25일 | 5 | 바샤시 | |
14 | MF | I. 너지 | 1939년 4월 14일 | 19 | MTK 부다페스트 | |
15 | FW | 몰나르 | 1939년 12월 2일 | 1 | 바샤시 | |
16 | FW | 티치 | 1935년 3월 21일 | 71 | 부다페스트 혼베드 | |
17 | DF | 세페시 | 1939년 7월 17일 | 2 | 터터버녀 | |
18 | DF | 이하스 | 1941년 3월 6일 | 9 | 바샤시 | |
19 | FW | 푸슈카시 | 1944년 8월 3일 | 2 | 바샤시 | |
20 | FW | A. 너지 | 1944년 5월 16일 | 3 | 부다페스트 혼베드 | |
21 | GK | 겔레이 | 1938년 6월 29일 | 7 | 터터버녀 | |
22 | GK | 게치 | 1944년 6월 13일 | 2 | 페렌츠바로시 |
3. 3. 3. {{축구나라|브라질|1960}}
감독은 비센치 페올라였다.- 기우마르
- 자우마 산투스
- 피델리스
- 벨리니
- 브리투
- 아우타이르
- 오를란두
- 파울루 엔히케
- 히우두
- 펠레
- 제르송
- 망가
- 데니우송
- 리마
- 지투
- 가힌샤
- 자이르지뉴
- 알신두
- 시우바
- 토스탕
- 파라나
- 에두
브라질은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헝가리, 포르투갈에 패하고 불가리아에만 승리하여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특히 펠레는 불가리아전에서 상대 선수에게 부상을 당해 전력에서 이탈했고, 이는 브라질의 탈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3. 4. {{축구나라|불가리아|1948}}
1966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불가리아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감독: 루돌프 비틀라칠/Rudolf Vytlačilcs
번호 | 포지션 | 이름 | 출장 경기 수 | 소속 클럽 |
---|---|---|---|---|
1 | GK | 게오르기 나이데노프 | 49 | CSKA 소피아 |
2 | DF | 알렉산더르 샬라마노프 | 13 | 슬라비아 소피아 |
3 | DF | 이반 부트소프 | 21 | 레프스키 소피아 |
4 | DF | 보리스 가가넬로프 | 23 | CSKA 소피아 |
5 | DF | 디미터르 페네프 | 17 | CSKA 소피아 |
6 | DF | 도브로미르 제체프 | 13 | 스파르타크 소피아 |
7 | MF | 딘코 데르멘드지에프 | 6 | 보테프 플로브디프 |
8 | MF | 스토얀 키토프 | 20 | 스파르타크 소피아 |
9 | FW | 게오르기 아스파루호프 | 25 | 레프스키 소피아 |
10 | FW | 페타르 제코프 | 5 | 베로에 스타라 자고라 |
11 | FW | 이반 콜레프 | 73 | CSKA 소피아 |
12 | MF | 바실 메토디에프 | 17 | 로코모티프 소피아 |
13 | FW | 디미터르 야키모프 | 35 | CSKA 소피아 |
14 | FW | 니콜라 코트코프 | 20 | 로코모티프 소피아 |
15 | DF | 디미터르 라르고프 | 19 | 슬라비아 소피아 |
16 | FW | 알렉산더르 코스토프 | 7 | 레프스키 소피아 |
17 | FW | 스테판 아바드지에프 | 27 | 레프스키 소피아 |
18 | MF | 에브게니 얀초프스키 | 9 | 베로에 스타라 자고라 |
19 | DF | 비딘 아포스톨로프 | 14 | 보테프 플로브디프 |
20 | MF | 이반 다비도프 | 1 | 슬라비아 소피아 |
21 | GK | 시메온 시메오노프 | 4 | 슬라비아 소피아 |
22 | GK | 이반 데야노프 | 9 | 로코모티프 소피아 |
- 보리스 가가넬로프가 불가리아 대표팀의 주장을 맡았다.
3. 4. 4조
3. 4. 1. {{축구나라|소련}}
1966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감독: 니콜라이 모로조프
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 | 출전 경기 수 | 득점 | 클럽 |
---|---|---|---|---|---|
레프 야신 | GK | 1929년 10월 22일 | 63 | 디나모 모스크바 | |
빅토르 세레브랴니코프 | FW | 1940년 3월 29일 | 7 | 디나모 키예프 | |
레오니트 오스트롭스키 | DF | 1936년 1월 17일 | 7 | 디나모 키예프 | |
블라디미르 포노마료프 | DF | 1940년 2월 18일 | 16 | CSKA 모스크바 | |
발렌틴 아포닌 | MF | 1939년 12월 22일 | 10 | SKA 로스토프 | |
알베르트 셰스테르뇨프 | DF | 1941년 6월 20일 | 28 | CSKA 모스크바 | |
무르타즈 후르칠라바 | MF | 1943년 1월 5일 | 5 | 디나모 트빌리시 | |
요제프 사보 | MF | 1940년 2월 29일 | 10 | 디나모 키예프 | |
빅토르 게트마노프 | DF | 1940년 5월 4일 | 5 | SKA 로스토프 | |
바실리 다닐로프 | DF | 1941년 5월 13일 | 13 | 제니트 레닌그라드 | |
이고르 치슬렌코 | MF | 1939년 1월 4일 | 26 | 디나모 모스크바 | |
발레리 보로닌 | MF | 1939년 7월 17일 | 46 | 토르페도 모스크바 | |
알렉세이 코르네예프 | DF | 1939년 2월 6일 | 4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
게오르기 시치나바 | MF | 1944년 9월 15일 | 5 | 디나모 트빌리시 | |
갈림잔 후사이노프 | FW | 1937년 6월 27일 | 26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
슬라바 메트레벨리 | FW | 1936년 5월 30일 | 42 | 디나모 트빌리시 | |
발레리 포르쿠얀 | FW | 1944년 10월 4일 | 0 | 디나모 키예프 | |
아나톨리 바니솁스키 | FW | 1946년 2월 23일 | 13 | 네프치 바쿠 | |
에두아르트 말로페예프 | FW | 1942년 6월 2일 | 15 | 디나모 민스크 | |
에두아르트 마르카로프 | FW | 1942년 6월 20일 | 1 | 네프치 바쿠 | |
안조르 카바자슈빌리 | GK | 1940년 7월 19일 | 9 | 토르페도 모스크바 | |
빅토르 바니코프 | GK | 1938년 4월 28일 | 7 | 디나모 키예프 |
소련 대표팀은 당대 최고의 골키퍼로 불리던 레프 야신을 필두로, 알베르트 셰스테르뇨프 등 뛰어난 수비진을 구축하여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특히, 레프 야신은 뛰어난 선방 능력으로 팀을 위기에서 여러 차례 구해내며 소련의 4강 진출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3. 4. 2. {{축구나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66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감독: 명례현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전 경기 수 | 소속 클럽 |
---|---|---|---|---|---|
1 | GK | 리찬명 | 1947년 1월 2일 | 0 | 기관차 |
2 | DF | 박리섭 | 1944년 1월 6일 | 0 | 압록강 |
3 | DF | 신영규 | 1942년 3월 30일 | 0 | 모란봉 |
4 | MF | 강봉칠 | 1943년 11월 7일 | 0 | 4.25 |
5 | DF | 임중선 | 1943년 7월 16일 | 0 | 모란봉 |
6 | MF | 임승휘 | 1946년 2월 3일 | 0 | 4.25 |
7 | FW | 박두익 | 1942년 3월 17일 | 0 | 모란봉 |
8 | FW | 박승진 | 1941년 1월 11일 | 0 | 모란봉 |
9 | GK | 이근학 | 1940년 7월 7일 | ? | 모란봉 |
10 | FW | 강룡운 | 1942년 4월 25일 | 0 | 로동자 |
11 | MF | 한봉진 | 1945년 9월 2일 | 0 | 4.25 |
12 | FW | 김승일 | 1945년 9월 2일 | 0 | 모란봉 |
13 | DF | 오윤경 | 1941년 8월 6일 | 0 | 8.8 |
14 | DF | 하정원 | 1942년 4월 20일 | 0 | 8.8 |
15 | FW | 양승국 | 1944년 8월 19일 | 0 | 기관차 |
16 | MF | 리동운 | 1945년 7월 4일 | 0 | 로동자 |
17 | MF | 김봉환 | 1939년 7월 4일 | 0 | 기관차 |
18 | MF | 계승운 | 1943년 12월 26일 | ? | 로동자 |
19 | DF | 김영길 | 1944년 1월 29일 | ? | 로동자 |
20 | DF | 류창길 | 1940년 11월 5일 | ? | 기관차 |
21 | MF | 안세복 | 1946년 10월 29일 | 0 | 압록강 |
22 | FW | 리치안 | 1945년 7월 7일 | ? | 4.25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탈리아를 1-0으로 꺾는 이변을 일으키며 8강에 진출, 세계를 놀라게 했다.[1] 특히 박두익은 이탈리아전 결승골을 기록하며 팀 승리의 주역이 되었다. 리동운 역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명례현 감독의 뛰어난 지도력 아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강팀들을 상대로 대등한 경기를 펼쳤다.
2002년 기준으로, 당시 북한 선수단 중 생존자는 7명뿐이었다.[2] 이들의 이야기는 그들이 우리를 이길 수 있었던 게임이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1966년 월드컵 8강 진출은 당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스포츠를 통해 국위를 선양한 쾌거로 평가할 수 있다. 이는 훗날 남북한 축구 교류 및 협력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3. 4. 3. {{축구나라|이탈리아}}
감독은 에드문도 파브리였다.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수 | 소속 클럽 |
---|---|---|---|---|---|
1 | GK | 알베르토시 | 1939년 11월 2일 | 10 | 피오렌티나 |
2 | GK | 안촐린 | 1938년 4월 18일 | 1 | 유벤투스 |
3 | MF | 바리손 | 1936년 6월 23일 | 7 | 로마 |
4 | MF | 불가렐리 | 1940년 10월 24일 | 24 | 볼로냐 |
5 | DF | 부르니치 | 1939년 4월 25일 | 12 | 인테르 |
6 | DF | 파케티 | 1942년 7월 18일 | 21 | 인테르 |
7 | MF | 폴리 | 1938년 1월 21일 | 11 | 볼로냐 |
8 | DF | 과르네리 | 1938년 3월 7일 | 12 | 인테르 |
9 | DF | 자니치 | 1937년 3월 27일 | 5 | 볼로냐 |
10 | FW | 율리아노 | 1942년 12월 26일 | 1 | 나폴리 |
11 | DF | 란디니 | 1944년 1월 31일 | 1 | 인테르 |
12 | MF | 레온치니 | 1939년 9월 25일 | 1 | 유벤투스 |
13 | MF | 로데티 | 1942년 8월 10일 | 12 | 밀란 |
14 | FW | 마촐라 | 1942년 11월 8일 | 19 | 인테르 |
15 | FW | 메로니 | 1943년 2월 24일 | 5 | 토리노 |
16 | FW | 파스쿠티 | 1937년 6월 1일 | 15 | 볼로냐 |
17 | MF | 페라니 | 1939년 10월 27일 | 2 | 볼로냐 |
18 | GK | 피차발라 | 1939년 9월 14일 | 1 | 아탈란타 |
19 | FW | 리베라 | 1943년 8월 18일 | 23 | 밀란 |
20 | FW | 프란체스코 리초 | 1943년 5월 30일 | 2 | 칼리아리 |
21 | DF | 로사토 | 1943년 8월 18일 | 12 | 토리노 |
22 | DF | 살바도레 (주장) | 1939년 11월 29일 | 27 | 유벤투스 |
이탈리아는 조별 리그에서 칠레를 2-0으로 꺾었지만, 소련에 0-1로 패하고, 북한에 0-1로 충격적인 패배를 당하며 조기에 탈락했다. 이 경기는 이탈리아 축구 역사상 가장 큰 이변 중 하나로 기록되었으며, 이탈리아 축구계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3. 4. 4. {{축구나라|칠레}}
감독: 알라모스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전 경기 | 소속 클럽 |
---|---|---|---|---|---|
1 | FW | 페드로 아라야 토로 | 1942년 1월 23일 | 20 |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
2 | DF | 우고 베를리 | 1941년 12월 31일 | 0 | 아우닥스 클루브 스포르티보 이탈리아노es 아우닥스 이탈리아노es |
3 | MF | 카를로스 캄포스 산체스 | 1937년 2월 14일 | 10 |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
4 | MF | 움베르토 크루스 | 1939년 12월 8일 | 16 | 콜로 콜로es 콜로-콜로es |
5 | DF | 움베르토 도노소 | 1938년 10월 9일 | 14 |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
6 | DF | 루이스 에이사기레 | 1939년 6월 22일 | 38 |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
7 | DF | 엘리아스 피게로아 | 1946년 10월 25일 | 7 | 산티아고 완데르스es 산티아고 원더러스es |
8 | FW | 알베르토 푸이유 | 1940년 11월 22일 | 36 |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es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es |
9 | GK | 아단 고도이 | 1936년 11월 26일 | 14 |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es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es |
10 | MF | 로베르토 오드제 | 1944년 7월 30일 | 9 |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
11 | FW | 오노리노 란다 | 1942년 6월 1일 | 23 | 그린 크로스 테무코es 그린 크로스 테무코es |
12 | MF | 루벤 마르코스 | 1942년 12월 6일 | 17 |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
13 | GK | 후안 올리바레스 | 1941년 2월 20일 | 4 | 산티아고 완데르스es 산티아고 원더러스es |
14 | MF | 이그나시오 프리에토 | 1943년 9월 23일 | 15 |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es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es |
15 | MF | 하이메 라미레스 | 1931년 8월 14일 | 46 |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
16 | FW | 오를란도 라미레스 | 1943년 5월 7일 | 11 |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
17 | MF | 레오넬 산체스 | 1936년 4월 25일 | 77 |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
18 | MF | 아르만도 토바르 | 1938년 6월 7일 | 29 |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es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es |
19 | FW | 프란시스코 발데스 | 1943년 3월 19일 | 11 | 콜로 콜로es 콜로-콜로es |
20 | DF | 알베르토 발렌티니 | 1938년 11월 25일 | 17 | 콜로 콜로es 콜로-콜로es |
21 | DF | 우고 비야누에바 | 1939년 4월 9일 | 15 |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
22 | FW | 기예르모 야바르 | 1943년 3월 26일 | 11 |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es |
4. 경기 결과
4. 1. 조별 리그
4. 2. 결선 토너먼트
5. 최종 순위
6. 수상
7. 기록
8. 논란
9. 영향
10.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1966 FIFA World Cup England – Korea DPR – Overview
https://web.archive.[...]
FIFA
2018-03-23
[2]
뉴스
How little stars from North Korea were taken to Middlesbrough's heart
https://www.theguard[...]
2010-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