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67년 1월 17일부터 2월 2일까지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의 센테나리오 경기장에서 개최된 대회이다. 예선에서 칠레와 파라과이가 본선에 진출했으며, 결선 리그에서는 우루과이가 4승 1무의 성적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아르헨티나가 2위, 칠레가 3위를 기록했으며, 루이스 아르티메가 5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7년 2월 - 미국 수정 헌법 제25조
미국 수정 헌법 제25조는 대통령 유고 시 권한 승계와 직무 수행 불능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1967년에 비준된 헌법 조항이다. - 1967년 2월 - 짜빈동 전투
짜빈동 전투는 베트남 전쟁 중 베트남 인민군 및 남베트남 해방민족전선과 대한민국 해병대 제2여단이 벌인 전투로, 1967년 2월 15일 새벽 베트콩의 기습으로 시작되어 대한민국 해병대가 화력 우위로 공격을 격퇴하며 "남베트남에서 15개월 동안 거둔 가장 큰 승리"라는 평가를 받았다. - 1967년 1월 -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67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자유민주당이 과반수를 차지하며 승리했으나, 흑운 사건으로 인한 국민적 정치 불신 속에서 투표율이 감소하고 소규모 야당이 약진하는 등 정치 개혁 요구를 반영한 선거였다. - 1967년 1월 - 우주 조약
우주 조약은 외계 공간의 평화적 이용과 탐사를 위한 원칙을 담고 있으며, 핵무기 및 대량 살상 무기 배치를 금지하고 우주 비행사를 인류의 사절로 간주하며, 1967년에 발효되어 115개 국가가 당사국이다.
196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남아메리카 축구 선수권 대회 |
개최국 | 우루과이 |
개최 연도 | 1967년 |
참가 팀 수 | 6 |
개최 기간 | 1월 17일 – 2월 2일 |
참가 연맹 | 1 |
경기장 수 | 1 |
개최 도시 수 | 1 |
우승국 | 우루과이 |
우승 횟수 | 11 |
준우승국 | 아르헨티나 |
3위 | 칠레 |
4위 | 파라과이 |
통계 | |
총 경기 수 | 15 |
총 득점 수 | 49 |
득점왕 | 루이스 아르티메 (5골)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63년 |
다음 대회 | 1975년 |
2. 예선
예선 경기는 1966년 11월 30일부터 12월 28일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예선 결과, '''칠레'''와 '''파라과이'''가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2. 1. 칠레 vs 콜롬비아
칠레와 콜롬비아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예선 플레이오프를 치렀다.1차전은 1966년 11월 30일 칠레 산티아고의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칠레에서 열렸다. 칠레가 콜롬비아를 5-2로 크게 이겼다. 칠레는 페드로 아라야(7'), 이그나시오 프리에토(23'), 오스발도 카스트로(40' PK, 49'), 마누엘 사베드라(61')가 골을 넣었고, 콜롬비아는 델리오 감보아(71')와 카논(72')이 득점했다. 이 경기는 80,000명의 관중이 지켜봤으며, 페루의 아르투로 야마사키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2차전은 1966년 12월 11일 콜롬비아 보고타의 에스타디오 엘 캄핀에서 열렸다. 양 팀은 득점 없이 0-0으로 비겼다. 이 경기에는 17,000명의 관중이 입장했으며, 1차전과 마찬가지로 아르투로 야마사키 심판이 경기를 진행했다.
두 경기 합계 5-2로 '''칠레'''가 196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2. 2. 파라과이 vs 에콰도르
모든 경기는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에 위치한 센테나리오 경기장에서 열렸다. 이 경기장은 65,235명을 수용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196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선수 명단 문서를 참고.
결선 리그는 1967년 1월 17일부터 2월 2일까지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의 센테나리오 경기장에서 열렸다.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칠레, 파라과이,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6개 팀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1][2][3][4][5][6]
'''1차전'''
1966년 12월 21일 과야킬의 에스타디오 모델로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에콰도르와 파라과이가 2-2로 비겼다. 에콰도르는 폴로 카레라(56분)와 워싱턴 무뇨스(58분)가 득점했고, 파라과이는 후안 로하스(85분, 페널티킥)와 베니그노 아포다카(88분)가 득점했다. 경기에는 47,000명의 관중이 모였으며, 심판은 아르헨티나의 두발 고이코에체아가 맡았다.
'''2차전'''
1966년 12월 28일 아순시온의 에스타디오 마누엘 페레이라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파라과이가 에콰도르를 3-1로 이겼다. 파라과이는 셀리노 모라(7분, 10분)와 아리스티데스 델 푸에르토(60분)가 골을 넣었고, 에콰도르는 워싱턴 무뇨스(81분)가 한 골을 만회했다. 경기에는 25,000명의 관중이 있었으며, 심판은 페루의 세사르 오로스코가 맡았다.
1, 2차전 합계 5-3으로 '''파라과이'''가 196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3. 경기 장소
4. 참가 선수 명단
5. 결선 리그
모든 경기는 몬테비데오의 센테나리오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7][8][9][10][11][12]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우루과이는 4승 1무 무패의 성적으로 통산 11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2월 2일 열린 아르헨티나와의 마지막 경기는 사실상의 결승전이었으며, 우루과이가 1-0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확정지었다.[9]
5. 1. 경기 결과
- ---
'''1967년 1월 17일'''[7]
우루과이 4 – 0 볼리비아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15,000) / 심판: 라미레즈 (파라과이)
- '''득점''': 로차 (5′), 몬테로 카스티요 (44′), 트론코소 (50′ 자책골), 오야르비데 (81′)
- ---
'''1967년 1월 18일'''[8]
칠레 2 – 0 베네수엘라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7,000) / 심판: 라미레즈 (파라과이)
- '''득점''': 마르코스 (12′, 41′)
- ---
'''1967년 1월 18일'''[9]
아르헨티나 4 – 1 파라과이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12,000) / 심판: 가스크 (칠레)
- '''득점''': 마스 (3′), 베르나오 (71′), 아르티메 (73′), 알브레히트 (89′ 페널티) / 모라 (67′)
- ---
'''1967년 1월 21일'''[10]
우루과이 4 – 0 베네수엘라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7,000) / 심판: 지 케이로스 (브라질)
- '''득점''': 우루스멘디 (5′, 81′), 오야르비데 (62′, 68′)
- ---
'''1967년 1월 22일'''[11]
칠레 4 – 2 파라과이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6,000) / 심판: 고이코체아 (아르헨티나)
- '''득점''': 가야르도 (9′, 44′), 아라야 (72′, 81′) / 리베로스 (5′), 아포다카 (85′)
- ---
'''1967년 1월 22일'''[12]
아르헨티나 1 – 0 볼리비아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6,000) / 심판: 지 케이로스 (브라질)
- '''득점''': 베르나오 (67′)
- ---
'''1967년 1월 25일'''[7]
파라과이 1 – 0 볼리비아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5,000) / 심판: 마리노 (칠레)
- '''득점''': 델 푸에르토 (14′)
- ---
'''1967년 1월 25일'''[8]
아르헨티나 5 – 1 베네수엘라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2,500) / 심판: 가스크 (칠레)
- '''득점''': 아르티메 (18′, 65′, 88′), 카로네 (31′), 마르졸리니 (53′) / 산타나 (72′)
- ---
'''1967년 1월 26일'''[9]
우루과이 2 – 2 칠레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30,000) / 심판: 라미레즈 (파라과이)
- '''득점''': 로차 (15′ 페널티), 오야르비데 (68′) / 가야르도 (2′), 마르코스 (37′)
- ---
'''1967년 1월 28일'''[10]
베네수엘라 3 – 0 볼리비아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11,000) / 심판: 가스크 (칠레)
- '''득점''': 라벨로 (59′, 84′), 산타나 (67′)
- ---
'''1967년 1월 28일'''[11]
아르헨티나 2 – 0 칠레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14,000) / 심판: 라미레즈 (파라과이)
- '''득점''': 사르나리 (36′), 아르티메 (80′)
- ---
'''1967년 1월 29일'''[12]
우루과이 2 – 0 파라과이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17,000) / 심판: 가스크 (칠레)
- '''득점''': 페레스 (32′), 우루스멘디 (66′)
- ---
'''1967년 2월 1일'''[7]
파라과이 5 – 3 베네수엘라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1,500) / 심판: 마리노 (칠레)
- '''득점''': 모라 (11′, 22′), 로하스 (16′, 29′), 콜만 (81′) / 멘도사 (3′), 산타나 (32′), 스코비노 (89′)
- ---
'''1967년 2월 1일'''[8]
칠레 0 – 0 볼리비아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1,500) / 심판: 고이코체아 (아르헨티나)
- ---
'''1967년 2월 2일'''[9]
우루과이 1 – 0 아르헨티나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65,000) / 심판: 가스크 (칠레)
- '''득점''': 로차 (74′)
5. 2. 주요 경기
'''1967년 1월 17일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15,000명)[7][8]우루과이 4 – 0 볼리비아
- 득점: 로차 (5'), 훌리오 몬테로 카스티요 (44'), 로베르토 트론코소 (50', 자책골), 호르헤 오야르비데 (81')
- 심판: 이시드로 라미레즈 (파라과이)
'''1967년 1월 18일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12,000명)[9][10]
아르헨티나 4 – 1 파라과이
- 아르헨티나 득점: 마스 (3'), 라울 베르나오 (71'), 루이스 아르티메 (73'), 라파엘 알브레히트 (89', 페널티킥)
- 파라과이 득점: 셀리노 모라 (67')
- 심판: 마리오 가스크 (칠레)
'''1967년 2월 2일 - 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관중: 65,000명)[11][12]
우루과이 1 – 0 아르헨티나
- 득점: 로차 (74')
- 심판: 마리오 가스크 (칠레)
이 경기는 사실상의 결승전으로, 우루과이의 대회 우승을 확정지었다.
6. 우승
우루과이
11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