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문디알리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0년 문디알리토는 FIFA 월드컵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개최된 대회이다. 1966년 FIFA 월드컵 우승국인 잉글랜드가 불참하여 네덜란드가 대신 참가했으며, 과거 FIFA 월드컵 우승국들이 초청되어 총 6개국이 참가했다. 6개국은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위 팀이 결승전을 치렀다. 결승전에서 우루과이는 브라질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0년 우루과이 - 우루과이 문민군부독재
우루과이 문민군부독재는 1973년부터 1985년까지 지속된 군부 독재 체제로, 경제 위기와 사회 불안 속에서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좌익을 탄압하고 인권을 침해했으며, 1985년 민주주의로 복귀했으나 독재의 유산은 논쟁의 대상이 된다. - 1981년 우루과이 - 우루과이 문민군부독재
우루과이 문민군부독재는 1973년부터 1985년까지 지속된 군부 독재 체제로, 경제 위기와 사회 불안 속에서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좌익을 탄압하고 인권을 침해했으며, 1985년 민주주의로 복귀했으나 독재의 유산은 논쟁의 대상이 된다. - 1980년 12월 - 존 레논 피살 사건
1980년 12월 8일 밤, 비틀즈 멤버 존 레논이 뉴욕 다코타 아파트 앞에서 팬 마크 데이비드 채프먼에게 총격당해 사망한 이 사건은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으며, 채프먼은 종신형을 선고받았고 레논의 음악은 평화와 자유의 상징이 되었다. - 1980년 12월 - 1980년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1980년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은 그 해 영화계의 뛰어난 업적을 기려 작품상과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분노의 황소》, 감독상을 수상한 《테스》,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광부의 딸》의 시시 스페이식 외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이 진행되었다.
1980년 문디알리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월드 챔피언스 골드컵 |
기타 명칭 | 코파 데 오로 데 캄페오네스 문디알레스 우루과이 1980–81 |
![]() | |
개최국 | 우루과이 |
개최 기간 | 1980년 12월 30일 – 1981년 1월 10일 |
참가 연맹 | 2개 |
참가 팀 수 | 6개 |
개최 도시 | 1개 |
경기장 수 | 1개 |
결과 | |
우승 | 우루과이 |
준우승 | 브라질 |
준우승 국기 버전 | 1968 |
경기 수 | 7 |
총 득점 | 19 |
총 관중 | 255000 |
최다 득점자 | 왈데마르 빅토리노 (3골) |
최우수 선수 | 루벤 파스 |
2. 역사
대회에는 과거 FIFA 월드컵 우승국이 초청되었다. 그러나 1966년 FIFA 월드컵 우승국인 잉글랜드는 참가를 거부하여, 대신 네덜란드가 참가했다. 6개국이 2개의 조로 나뉘어 풀 리그전을 펼쳤고, 각 조 1위팀끼리 결승전을 치렀다.
1980년 문디알리토에는 1980년까지 FIFA 월드컵 우승 경력이 있는 5개국과 1966년 FIFA 월드컵 우승국인 잉글랜드를 대신하여 네덜란드가 초청되었다. 잉글랜드는 대회 참가를 거부하였다.[1]
3. 참가국
3. 1. 참가국 목록
국가 | 비고 |
---|---|
우루과이 | 개최국, 1930년 FIFA 월드컵, 1950년 FIFA 월드컵 우승 |
이탈리아 | 1934년 FIFA 월드컵, 1938년 FIFA 월드컵 우승 |
서독 | 1954년 FIFA 월드컵, 1974년 FIFA 월드컵 우승 |
브라질 | 1958년 FIFA 월드컵, 1962년 FIFA 월드컵, 1970년 FIFA 월드컵 우승 |
아르헨티나 | 1978년 FIFA 월드컵 우승 |
네덜란드 | 1974년 FIFA 월드컵, 1978년 FIFA 월드컵 준우승 (1966년 FIFA 월드컵 우승국 잉글랜드가 참가를 거절하여 대신 참가) |
4. 대회 진행 방식
6개 참가국은 3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하였다. A조는 네덜란드, 이탈리아, 우루과이로 구성되었고, B조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서독으로 구성되었다. 각 조 1위 팀은 결승전에 진출하여 우승팀을 가렸다.[1]
5. 조별 리그
1980년 문디알리토의 조별 리그는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A조에서는 우루과이가 2승으로 결승에 진출했고, 이탈리아와 네덜란드는 각각 1무 1패(승점 1점)를 기록했다.[7] B조에서는 브라질이 1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며 결승에 진출했고, 아르헨티나는 브라질에 골득실에서 밀려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서독은 2패로 탈락했다.
5. 1. A조
우루과이는 2승으로 A조 1위를 차지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1980년 12월 30일 베난시오 라모스와 왈데마르 빅토리노의 득점에 힘입어 네덜란드를 2:0으로 꺾었고,[7] 1981년 1월 3일에는 훌리오 모랄레스와 빅토리노의 연속골로 이탈리아를 2:0으로 제압했다.[7]이탈리아와 네덜란드는 1981년 1월 6일 맞대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7] 카를로 안첼로티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페터르스가 곧바로 동점골을 터뜨렸다.[7] 두 팀은 각각 1무 1패, 승점 1점으로 대회를 마감했다.
5. 1. 1. 경기 결과
- 우루과이 2 : 0 네덜란드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 라모스
- * 빅토리노
- 관중: 65,000명
- 주심: 엔리케 라보 ()
; 1981년 1월 3일
- 우루과이 2 : 0 이탈리아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 모랄레스
- * 빅토리노
- 관중: 55,000명
- 주심: 에밀리오 구루세타 ()
; 1981년 1월 6일
- 이탈리아 1 : 1 네덜란드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 안첼로티
- * 페터르스
- 관중: 15,000명
- 주심: 프란츠 뵈러 ()
; 1981년 1월 4일
- 브라질 1 : 1 아르헨티나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 에데발도
- * 마라도나
- 관중: 60,000명
- 주심: 에리히 리네마이어 ()
; 1981년 1월 7일
5. 2. B조
B조에서는 브라질이 1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아르헨티나는 1승 1무를 기록했으나, 브라질에 골득실에서 밀려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서독은 2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5. 2. 1. 경기 결과
디아스토니뉴 세레주
세르지뉴
제 세르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