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초반 경기후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0년대 초반 경기후퇴는 1980년대 초반에 발생한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들의 통화 긴축 정책,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인한 유가 급등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로 인해 미국, 캐나다, 서독, 이탈리아, 영국, 일본 등 G7 국가들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동시에 증가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었다. 미국은 두 차례의 경기 침체를 겪었으며, 실업률이 급증하며 사회적 혼란을 겪었다. 영국은 대처 정부의 통화주의 정책으로 인한 산업 쇠퇴와 실업 증가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일본은 비교적 완만한 영향을 받았다. 경기 침체는 라틴 아메리카 부채 위기, 저축 대부 조합 위기 등 장기적인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후퇴 - 경제 불황
경제 불황은 상품 구매 능력 부족이 지속되는 상태로, 실질 GDP 감소율이 10%를 초과하거나 2년 이상 지속되는 경기 침체를 의미하며, 역사적 사례 분석을 통해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경기후퇴 - 장기불황
장기불황은 1873년 공황으로 시작되어 1890년대까지 이어진 전 세계적인 경제 침체기로, 유럽 정치 질서 재편과 철도 사업 확장 시기에 발생하여 통화주의자들은 금 부족을, 다른 연구자들은 콘드라티에프 파동 등을 원인으로 지목하며 각국 정부는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는 등 대응을 모색했다. - 1982년 미국 - 시카고 타이레놀 살인 사건
시카고 타이레놀 살인 사건은 1982년 타이레놀 캡슐에 시안화물을 주입하여 7명이 사망한 사건으로, 기업 위기 관리와 포장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1982년 미국 - 제54회 아카데미상
1982년 3월 29일에 개최된 제54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은 하워드 W. 코크가 제작하고 조니 카슨이 사회를 맡았으며, 《런던의 늑대 인간》의 릭 베이커가 첫 분장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고, 작품상은 《불의 전차》, 감독상은 워렌 비티, 남녀주연상은 헨리 폰다와 캐서린 헵번에게 돌아갔다. - 1980년대 경제 - 고도경제성장
고도경제성장은 1954년부터 1973년까지 일본에서 연평균 10% 이상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며 "동양의 기적"이라 불릴 만큼 빠른 경제 회복과 성장을 이룬 현상을 말한다. - 1980년대 경제 - 페레스트로이카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1985년부터 1991년까지 추진한 페레스트로이카는 침체된 소련 경제 회복과 사회주의 체제 개혁을 위한 정치, 경제 개혁 정책이었으나, 경제난 심화, 민족 갈등, 정치적 혼란을 야기하여 소련 붕괴의 한 원인이 되었으며, 냉전 종식과 동구권 민주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사회주의 체제 붕괴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1980년대 초반 경기후퇴 | |
---|---|
개요 | |
![]() | |
기간 | 1980년–1982년 |
원인 | 전 세계적인 높은 인플레이션 비율에 대처하기 위한 긴축 통화 정책 |
결과 | 전 세계적인 실업률 급증 부의 불평등 심화 이혼율 증가 도시 쇠퇴 저축 대부 조합 위기 악화 임금 정체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비율 하락 |
2. 배경
1980년대 초반의 경기 침체는 미국 및 기타 선진국들의 통화 정책 긴축을 포함한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했다.[3] 이는 1979년 에너지 위기에 의해 더욱 악화되었는데, 이 위기는 이란 혁명으로 인해 1979년과 1980년 초에 유가가 급등하면서 발생했다.[3] 유가 급등은 이미 높은 수준이던 여러 주요 선진국의 인플레이션율을 두 자릿수 최고치로 끌어올렸으며, 미국, 캐나다, 서독, 이탈리아, 영국 및 일본과 같은 국가들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등 통화 정책을 긴축했다.[3] 이들 G7 국가들은 실제로 각각 1980년 일부 기간에 경제 생산량이 잠시 감소했다가 잠시 확장되는 "더블딥" 침체를 겪었으며, 이어서 1981년 중반부터 시작되어 1982년 11월에 끝나는 더 가파르고 더 긴 기간의 경제 위축을 겪었다.[6] 이러한 국가들 대부분은 높은 인플레이션율과 높은 실업률이 공존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경험했다.
전 세계적으로, 일부 국가들이 1980년 및/또는 1981년에 경제 생산량 감소를 경험했지만, 경제 활동의 가장 광범위하고 급격한 세계적 감소와 실업률의 가장 큰 증가는 1982년에 발생했으며, 세계 은행은 이 침체를 "1982년 세계 경기 침체"로 명명했다.[3] 미국과 일본과 같은 주요 경제국들이 비교적 일찍 침체에서 벗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가들이 1983년까지 침체에 머물렀으며 높은 실업률은 최소 1985년까지 대부분의 OECD 국가에 계속 영향을 미쳤다.[4] 1980년대 초반의 경기 침체의 장기적인 영향은 라틴 아메리카 부채 위기, 카리브해 및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장기적인 경기 침체,[3] 미국의 저축 대부 위기와 1990년대 전반에 걸친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의 일반적인 채택에 기여했다.
2. 1. 인플레이션과 긴축 통화 정책
1980년대 초반의 경기 침체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발생했는데, 특히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들의 긴축 통화 정책이 큰 영향을 미쳤다.[3] 이란 혁명으로 촉발된 1979년 에너지 위기로 인해 유가가 급등하면서, 이미 높았던 인플레이션율이 더욱 악화되었다.[3] 미국, 캐나다, 서독, 이탈리아, 영국, 일본 등 G7 국가들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등 통화 정책을 긴축했다.[3] 이들 국가는 1980년 짧은 기간의 경기 침체와 회복을 반복하는 "더블딥" 침체를 겪었고, 이후 1981년 중반부터 1982년 11월까지 더 심각한 경기 침체를 겪었다.[6] 높은 인플레이션과 높은 실업률이 공존하는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났다.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평균 3.2%였던 인플레이션은 1973년 석유 파동 이후 7.7%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1975년에는 9.1%로 최고치를 기록했고, 1979년에는 11.3%, 1980년에는 13.5%로 급등했다.[28][37] 1980년에는 짧은 경기 침체가 발생했고, 주택, 철강 제조, 자동차 등 주요 산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38]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는 높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정책을 반복했다.[39] 연방준비제도 의장 폴 볼커(Paul Volcker)는 통화 공급 증가율을 늦추고 금리를 인상했다. 연방 기금 금리는 1979년 약 11%에서 1981년 6월 20%까지 상승했고, 기준 금리는 1982년 6월 21.5%에 달했다.[30][40]
2. 2. 스태그플레이션
1980년대 초반의 경기 침체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했는데, 특히 미국 및 기타 선진국들의 통화 정책 긴축이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3] 이는 이란 혁명으로 촉발된 1979년 에너지 위기로 인해 유가가 급등하면서 더욱 악화되었다.[3] 유가 급등은 이미 높았던 주요 선진국의 인플레이션율을 더욱 끌어올렸고, 미국, 캐나다, 서독, 이탈리아, 영국, 일본 등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등 통화 정책을 긴축했다.[3] 이들 G7 국가들은 1980년에 잠시 경제 생산량이 감소했다가 확장되는 "더블딥" 침체를 겪었고, 이후 1981년 중반부터 1982년 11월까지 더 길고 가파른 경제 위축을 겪었다.[6] 이들 국가 대부분은 높은 인플레이션율과 높은 실업률이 공존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경험했다.세계적으로, 일부 국가들이 1980년 및/또는 1981년에 경제 생산량 감소를 경험했지만, 가장 광범위하고 급격한 경제 활동 감소와 실업률 증가는 1982년에 발생했으며, 세계 은행은 이를 "1982년 세계 경기 침체"로 명명했다.[3] 미국과 일본 등은 비교적 일찍 침체에서 벗어났지만, 많은 국가들이 1983년까지 침체에 머물렀고, 높은 실업률은 최소 1985년까지 대부분의 OECD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4] 1980년대 초반의 경기 침체는 라틴 아메리카 부채 위기, 카리브해 및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장기적인 경기 침체,[3] 미국의 저축 대부 위기와 1990년대 전반에 걸친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 채택에 영향을 주었다.
3. 각국의 영향
3. 1. 미국
;출처: 미국 경제 분석국]]
캐나다와 마찬가지로, 1980년대 초반 미국의 경기 침체는 기술적으로 두 번의 분리된 경기 하강으로 구성되었으며, 1980년 1월에 시작하여 1980년 7월에 완만한 성장세를 보였고, 1981년 7월부터 1982년 11월까지 더 심각한 경기 침체가 있었다.[27][28][29][30] 한 가지 원인은 높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는 연방 준비 제도의 긴축 통화 정책이었다.[31] 1973년 석유 파동과 1979년 에너지 위기의 여파로, 스태그플레이션이 경제를 괴롭히기 시작했다.
3. 1. 1. 실업률 증가

실업은 1974년 1월 5.1%에서 1975년 5월 최고치인 9.0%로 상승했다. 1979년 5월까지 5.6%로 점차 감소했지만, 실업률은 다시 상승하기 시작했다. 1980년 4월에는 6.9%로 급증했고, 1980년 5월에는 7.5%로 증가했다. 1980년 1월부터 7월까지의 완만한 경기 침체로 인해 실업률이 높게 유지되었지만, 경제 회복에도 불구하고 1981년 말까지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약 7.5%)을 유지했다.[32] 1982년 중반, 일리노이주 록퍼드는 25%로 모든 대도시 지역 중 가장 높은 실업률을 기록했다.[33] 1982년 9월, 미시간주는 14.5%로 전국 최고를 기록했고, 앨라배마주가 14.3%로 2위, 웨스트버지니아주가 14.0%로 3위를 기록했다. 영스타운-워런 대도시 지역은 18.7%로 모든 대도시 지역 중 가장 높은 실업률을 기록했고, 코네티컷주 스탬퍼드는 3.5%로 가장 낮은 실업률을 기록했다.[34]
경기 침체의 정점은 1982년 11월과 12월에 발생했으며, 전국 실업률은 10.8%로 대공황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1월에는 웨스트버지니아주와 미시간주가 16.4%로 가장 높은 실업률을 기록했고, 앨라배마주가 15.3%로 3위를 기록했다. 사우스다코타주는 5.6%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실업률을 기록했다. 미시간주 플린트는 23.4%로 모든 대도시 지역 중 가장 높은 실업률을 기록했다.[35] 1983년 3월, 웨스트버지니아주의 실업률은 20.1%를 기록했다. 1983년 봄에는 30개 주가 두 자릿수 실업률을 기록했다. 1984년에 레이건이 재선되었을 때, 최신 실업률 수치(1984년 8월)에 따르면 웨스트버지니아주는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높은 실업률(13.6%)을 기록했고, 미시시피주(11.1%)와 앨라배마주(10.9%)가 그 뒤를 이었다.[36]
3. 1. 2. 폴 볼커의 긴축 정책
아무 내용도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폴 볼커의 긴축 정책'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summary` 또는 `source` 정보가 제공되어야 합니다.3. 1. 3. 회복

케인스 경제학자들에 따르면, 재정 적자 지출과 금리 인하의 조합이 점진적으로 경제 회복을 이끌 것이라고 했다.[59] 많은 경제학자들은 또한 상당히 낮아진 세율이 회복에 크게 기여했다고 주장한다. 1982년 12월 10.8%의 최고 실업률에서 1984년 미국 대통령 선거일에 7.2%로 떨어질 때까지 점차 개선되었다.[32] 거의 200만 명이 실업자 대열에서 벗어났다.[60] 인플레이션은 1981년 10.3%에서 1983년 3.2%로 하락했다.[28][61] 법인 소득은 1983년 7월~9월 분기에 1982년 같은 기간에 비해 29% 증가했다. 가장 극적인 개선은 종이 및 임산물, 고무, 항공사, 자동차 산업과 같이 경기 침체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산업에서 이루어졌다.[60]
3. 2. 캐나다
캐나다 경제는 1980년대 초반 전반적인 약세를 보였으며, 특히 1982년에는 실질 GDP가 3.2% 급감했다.[7] 다른 G7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캐나다도 1980년대 초반에 두 차례의 경제 침체를 겪었다.[6] 1981-82년 경기 침체 기간 동안 캐나다의 실질 GDP는 5% 감소했으며, 실업률은 12%로 정점을 찍었다.[10]캐나다는 1980년대 초반의 경기 침체 기간 동안 미국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금리, 실업률을 기록했다.[11] 1970년대 후반 북미 전역에서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었지만, 캐나다에서는 변동환율제도로 인해 캐나다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서 미국 수입품 구매 비용이 더 비싸져 인플레이션이 더욱 심화되었다.[12] 캐나다의 인플레이션율은 1980년 10.2%, 1981년 12.5%, 1982년 10.8%로 상승한 후 1983년에는 5.8%로 하락했다.[13]
1970년대, 특히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인한 전 세계 석유 공급 중단은 유가 급등을 야기하여 대부분의 캐나다인들에게 재정적으로 큰 타격을 입혔다. 유가는 10년 초 배럴당 3달러에서 거의 배럴당 40달러까지 치솟았다.[12]
캐나다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 금리를 인상했으며, 1981년 8월에는 금리가 21%로 정점을 찍었다. 1982년 초, 앨버타의 석유 호황은 과도한 확장과 심각한 세계 경기 침체로 인한 유가 폭락으로 종료되었다.[12] 유콘의 광산업 또한 큰 타격을 입어 1982년 말에는 전국적으로 7만 명 이상의 광부가 실업 상태였다.[11]
1982년 11월 캐나다의 GDP는 눈에 띄게 증가하며 경기 침체가 종료되었지만, 고용 증가는 더디게 회복되었다.[9] 1982년과 1983년 평균 실업률은 각각 11.1%와 12%로, 1981년의 7.6%에서 급격히 상승했다.[13] 경기 침체의 영향과 기업 구조 조정으로 인해 캐나다의 실업률은 1986년까지 10% 이상을 유지했다.[13]
3. 3. 영국

1980년대 초반, 경기 침체가 영국을 강타했다. 이는 1970년대 대부분 동안 영국 경제를 괴롭혔던 일련의 위기 이후에 발생했으며, 1960년대 중반부터 실업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마거릿 대처가 이끄는 보수당이 1979년 5월 총선에서 승리하여 제임스 캘러헌의 노동당을 권좌에서 몰아냈을 때, 영국은 수많은 공공 부문 노동자들이 파업을 벌였던 불만의 겨울을 막 겪은 참이었다. 당시 인플레이션은 약 10%였고, 약 150만 명이 실업 상태로, 이는 1974년 100만 명, 1970년 58만 명, 1964년 30만 명을 넘어서는 수치였다.[15] 대처는 통화주의 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공공 부문 노동자들의 파업을 줄이기 위해 노동조합 관련 법률을 개정하려고 했다.[16]
대처의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은 환율을 상승시켰고, 그 결과 수입품 가격이 저렴해지고 파운드화 강세로 인해 영국 제품의 수출 시장 가격이 상승하여 많은 공장, 조선소 및 탄광이 문을 닫게 되었다. 인플레이션은 1980년에 22%로 정점을 찍은 후 1982년 말까지 10% 미만으로 떨어졌고, 1983년 봄까지 15년 만에 최저치인 4%까지 하락했다. 파업 또한 1950년대 초 이후 최저 수준이었고, 임금 상승률은 1983년까지 3.8%로 상승했다.[17]
그러나 1982년 1월까지 실업률은 노동력의 12.5%에 달했는데, 이는 약 50년 동안 볼 수 없었던 수준이었다. 실업률은 그 후 몇 년 동안 비슷한 수준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북아일랜드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지역으로 실업률이 거의 20%에 달했다.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북부의 상당 지역에서 그 비율은 15%를 초과했다. 1983년 4월까지 영국은 근대 역사상 처음으로 상품 순 수입국이 되었다.[18] 타인사이드, 요크셔, 머지사이드, 사우스웨일스, 서부 스코틀랜드 및 웨스트 미들랜즈 지역은 산업 쇠퇴와 그에 따른 실업률 급증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잉글랜드 남동부에서만 실업률이 10% 미만으로 유지되었다.[19]
1980년대 초 경기 침체 이후 경제 회복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실업률은 1980년대 후반까지 거의 하락하지 않았다. 1986년까지 실업자 수가 300만 명을 넘어섰지만,[20] 그 다음 해에는 그 수치 아래로 떨어졌다.[21] 1989년 말까지 160만 명으로 감소했다.[22] 1982년 말까지 영국에서는 경제 성장이 회복되었지만, 대량 실업 시대는 끝나지 않았다. 1984년 여름까지 실업률은 330만 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대공황 시기에는 더 높은 비율의 노동 인구가 실업 상태였다. 실업률은 1987년 봄까지 300만 명 이상을 유지했으며, 당시 재무 장관 나이젤 로슨의 감세 정책으로 로슨 붐이 일어나 경제 호황을 일으키면서 실업률이 급격히 감소했다. 1988년 초에는 250만 명 아래로 떨어졌고, 1989년 초에는 20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1989년 말에는 160만 명을 조금 넘었는데, 이는 3년 전의 거의 절반 수준이었다.[25] 그러나 실업률 수치에는 논란이 많은 청년 훈련 계획의 성인 버전인 고용 훈련 계획에 배치되어 전일제 근무 시간에 동일한 수당을 받는 실업 수당 수급자는 포함되지 않았다. 1980년대 초반 경기 침체 이후 영국의 경제 회복을 돕는 다른 인센티브로는 전통 산업이 새로운 산업과 상업 개발로 대체된 탈산업화된 토지에 기업 특별 지구를 도입한 것이 있었다. 기업들은 이러한 지역에 기반을 설립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일시적인 세금 감면 및 면제를 받았다.[26]
3. 3. 1. 사회적 영향
1980년대 초반 경기 침체로 인한 대규모 실업과 사회적 불만은 1981년 영국 전역, 특히 톡스태스, 리버풀을 비롯한 여러 도시와 런던의 여러 지역에서 발생한 광범위한 폭동의 주요 원인으로 널리 인식되었다.[23] 1985년에는 경제가 불황에서 벗어난 지 3년이 되었지만, 실업률은 여전히 높았다. 런던을 포함한 영국 여러 지역에서 또 다른 폭동이 발생했다. 열악한 고용 기회와 사회적 불만이 다시 한번 폭동의 요인으로 여겨졌다.[24]3. 4. 일본
1970년대 내내 일본은 미국과 소련에 이어 세계 3위의 국민 총생산(GNP)을 기록했으며, 1980년 9,068달러에서 급증한 1990년 1인당 GNP 23,801달러로 주요 선진국 중 1위를 차지했다. 일본인들이 "잃어버린 10년"이라고 부르는 비교적 완만한 경제 침체 이후, 1986년 일본 경제는 1992년 다시 경기 침체기에 접어들 때까지 지속된 팽창기를 시작했다. 그러나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호황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지 못했다.1983년 도쿄 증권 거래소는 8,800엔에서 1986년 16,401엔으로 두 배로 증가했다. 그러나 26,646엔의 최고점에 도달한 급등은 1987년 10월 14일 "블랙 먼데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블랙 먼데이"는 미국 증시에 타격을 입혀 폭락을 야기한 폭락이었다. 그러다 1988년 4월까지 주가는 10월 최고 기록을 넘어 38,915엔을 기록했다.
일본의 경기 침체는 90년대까지 장기화되었고, 2000년대 초반까지 증가한 가격에서 회복하지 못했다. 결국 2002년에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4. 한국에 미친 영향
4. 1. 경제 성장률 둔화
4. 2. 3저 호황
5. 결과 및 평가
5. 1. 라틴 아메리카 부채 위기
5. 2. 저축 대부 조합 위기
참조
[1]
웹사이트
The Great Inflation
https://www.federalr[...]
2024-01-07
[2]
웹사이트
The Great Inflation
https://www.sjsu.edu[...]
San Jose State University
2024-01-07
[3]
간행물
Global Recessions
http://documents1.wo[...]
World Bank
2020-02-10
[4]
학술지
Recent Trends in Unemployment and the Labor Force: 10 Countries
http://www.bls.gov/o[...]
2011-04-13
[5]
간행물
What's the Real Cause of the Global Recession?
https://jancovici.co[...]
2008-10-31
[6]
학술지
Double Dips...or More
https://www.hoover.o[...]
[7]
웹사이트
Canada GDP Growth Rate 1961-2020
https://www.macrotre[...]
[8]
백과사전
Recession in Canada
https://www.thecanad[...]
[9]
간행물
Turning Points: Business Cycles in Canada Since 1926
https://www.cdhowe.o[...]
[10]
뉴스
The Worst Economic Times Since the Great Depression? A Reality Check
http://rotmaniib.blo[...]
2009-05-01
[11]
뉴스
Canada-Economy
http://www.nationsen[...]
[12]
뉴스
New Economic Realities
http://www.cbc.ca/hi[...]
[13]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14]
학술지
Trends, Peaks, and Troughs: National and Regional Employment Cycles in Canada
https://www.policysc[...]
University of Calgary
2013-07
[15]
뉴스
Unemployment
http://www.politics.[...]
2010-11-02
[16]
뉴스
Thatcher's Economic Policies
http://www.economics[...]
[17]
뉴스
How UK incomes have risen (and fallen) since 1948
https://www.telegrap[...]
Telegraph
2016-10-06
[18]
웹사이트
THE DEINDUSTRIAL REVOLUTION: THE RISE AND FALL OF UK MANUFACTURING, 1870-2010
https://www.cbr.cam.[...]
2018-08-30
[19]
뉴스
1982: UK unemployment tops three million
http://news.bbc.co.u[...]
1982-01-26
[20]
뉴스
20 Years Ago The Dole Queue Hit 3 Million - Today It Is The Workforce That's A Record
https://www.theguard[...]
2006-08-16
[21]
뉴스
1987: Thatcher's third victory
http://news.bbc.co.u[...]
2005-04-05
[22]
웹사이트
Economics Essays: Unemployment in the UK 2012
http://econ.economic[...]
Econ.economicshelp.org
2016-10-06
[23]
뉴스
Thatcher 'considered arming police' during 1981 riots
https://www.bbc.co.u[...]
2011-12-30
[24]
뉴스
Was Tottenham's riot a cry of rage?
https://www.bbc.co.u[...]
2011-08-07
[25]
웹사이트
Lawson Boom of Late 1980s
http://econ.economic[...]
Economics Help
2008-01
[26]
웹사이트
Brierley Hill Area Action Plan Preferred Options Baseline Report - Retail
http://www2.dudley.g[...]
2010-09-03
[27]
웹사이트
1980-82 Early 1980s Recession - Timeline - Slaying the Dragon of Debt - Regional Oral History Office -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https://bancroft.ber[...]
[28]
뉴스
Did the Federal Reserve Cause the Recession?
http://www.pkarchive[...]
US World & News Report
1991-04-01
[29]
웹사이트
US Business Cycle Expansions and Contractions
https://www.nber.org[...]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09-03-10
[30]
뉴스
Federal Reserve Sees Little Growth in '81 With Continued High Rates
https://www.nytimes.[...]
1981-01-05
[31]
간행물
The Prospects for Economic Recovery
https://www.cbo.gov/[...]
Congressional Budget Office
1982-02
[32]
문서
Monetary Policy Report to the Congress
U.S. Federal Reserve Board
2007-02-14
[33]
뉴스
Rockford Unemployment: better off now or in the 1980s?
http://www.wrex.com/[...]
2011-07-18
[34]
뉴스
Michigan again sets the pace in unemployment
https://news.google.[...]
Lawrence Journal World
2016-10-06
[35]
뉴스
State's jobless rate trails only Michigan, West Virginia
https://news.google.[...]
The Gadsden Times
2016-10-06
[36]
뉴스
W.Va. ranked No. 2 in latest jobless figures
https://news.google.[...]
Williamson Daily News
1984-10-17
[37]
뉴스
Consumer Price Index for All Urban Consumers (CPI-U): U. S. city average, by expenditure category, August 2014
http://www.bls.gov/n[...]
2014-10-09
[38]
간행물
Unemployment Continued to Rise in 1982 as Recession Deepened
Monthly Labor Report
1983-02
[39]
웹사이트
Federal Funds Rate, Inflation, Unemployment: 1970–1990
http://research.stlo[...]
[40]
뉴스
Bank Lending Rate Set at Record 14% By Federal Reserve
https://www.nytimes.[...]
1981-05-05
[41]
간행물
History of the Eighties: Lessons for the Future
http://www.fdic.gov/[...]
Federal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1997-12
[42]
뉴스
Regulators See Bank Failures Rising Steadily
The Washington Post
1982-10-20
[43]
뉴스
Why So Many Banks Go Belly Up
http://www.time.com/[...]
1983-08-29
[44]
서적
Reforming Financial Institutions and Markets in the United States
Springer-Verlag
1994
[45]
서적
The Big Fix: Inside the S&L Scandal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1990
[46]
서적
The S&L Debacle: Public Policy Lessons for Bank and Thrift Regula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47]
서적
Where Deregulation Went Wrong: A Look at the Causes behind Savings and Loan Failures in the 1980s
Savings & Community Bankers of America
1988
[48]
간행물
Origin and Causes of the S&L Debacle: A Blueprint for Reform: A Report to the President and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http://babel.hathitr[...]
National Commission on Financial Institution Reform, Recovery and Enforcement
1993
[49]
서적
High Rollers: Inside the Savings and Loan Debacle
https://archive.org/[...]
Praeger
1990
[50]
간행물
Financial Audit: Resolution Trust Corporation's 1995 and 1994 Financial Statements
General Accounting Office
1996
[51]
뉴스
Reagan's 'Slight Recession'
https://www.nytimes.[...]
1981-10-20
[52]
서적
A Winter of Discontent: The Nuclear Freeze and American Politics
https://archive.org/[...]
Praeger
1990
[53]
서적
Why Americans Hate Welfare: Race, Media, and the Politics of Antipoverty Polic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
[54]
서적
Bastard Keynesianism: The Evolution of Economic Thinking and Policy-Making Since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Praeger
1996
[55]
서적
Morning in America: How Ronald Reagan Invented the 1980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56]
서적
2000
[57]
서적
Class and New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4
[58]
간행물
Reagan's Liberal Legacy
Washington Monthly
2003-01
[59]
잡지
The Case for Deficit Spending
http://www.tnr.com/a[...]
2009-11-25
[60]
잡지
A Lusty, Lopsided Recovery
http://www.time.com/[...]
1983-11-28
[61]
뉴스
Fed's Policy of Tight Money
https://www.nytimes.[...]
1981-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