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CONMEBOL 소속 10개국 21개 팀이 참가하여 우승을 다툰 대회로, 전년도 우승팀인 나시오날을 포함하여 각국의 리그 우승, 준우승팀들이 참가 자격을 얻었다. 조별 리그, 준결승을 거쳐 결승에서 CR 플라멩구와 CD 코브렐로아가 격돌했으며, 1, 2차전 합계 2-2로 승부를 가리지 못해 열린 플레이오프에서 플라멩구가 2-0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1년 축구 - 1980-81년 UEFA컵
1980-81년 UEFA컵은 31개국 64개 팀이 참가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입스위치 타운 FC가 AZ 알크마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1981년 축구 - 코파 델 레이 1980-81
코파 델 레이 1980-81 시즌은 스페인 축구 컵 대회로, 라리가부터 세군다 디비시온 B까지 138개 팀이 참가하여 FC 바르셀로나가 스포르팅 히혼을 꺾고 우승했으며, 우승팀에게는 컵 위너스 컵 진출 자격이 주어졌다.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시즌 - 199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9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2월 21일부터 6월 16일까지 열린 40번째 시즌으로, 브라질의 파우메이라스가 콜롬비아의 데포르티보 칼리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했으며, 파우메이라는 8강에서 코린치안스를 승부차기로 이기는 이변을 낳았다.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시즌 - 199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9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남미 축구 연맹이 주관한 39번째 대회로, 바스쿠 다 가마가 바르셀로나를 꺾고 우승했으며 멕시코와 베네수엘라 클럽들이 예선에 참가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 |
연도 | 1981년 |
개최 기간 | 1981년 3월 18일 – 11월 23일 |
참가 팀 수 | 21 |
참가 협회 수 | 10 |
경기 수 | 77 |
총 득점 | 221 |
이전 시즌 | 1980년 |
다음 시즌 | 1982년 |
결과 | |
우승 팀 | 플라멩구 |
우승 횟수 | 1회 |
준우승 팀 | 코브렐로아 |
개인 수상 | |
득점왕 | 지코 (11골) |
2. 참가 팀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는 CONMEBOL 10개 회원국의 리그에서 총 21개 팀이 참가했다. 각 팀의 참가 자격은 다음과 같다.
- 나시오날: 1980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 아르헨티나: 로사리오 센트랄은 1981년 캄페오나토 나시오날 우승팀, 리버 플레이트는 1981년 캄페오나토 메트로폴리타노 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1980 시즌 캄페오나토 나시오날과 캄페오나토 메트로폴리타노 우승팀이 참가한다.
- 볼리비아: 호르헤 윌스터만은 1980년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팀, 더 스트롱게스트는 준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 1980 시즌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참가한다.
- 브라질: 플라멩구는 1980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 우승팀,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준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1980 시즌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참가한다.
- 칠레: 코브렐로아는 1980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팀,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는 1980 리기야 프레-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1980 시즌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팀과 리기야 프레-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이 참가한다.
- 콜롬비아: 후니오르는 1980 캄페오나토 프로페시오날 우승팀, 데포르티보 칼리는 준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1980 시즌 캄페오나토 프로페시오날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참가한다.
- 에콰도르: 바르셀로나는 1980 캄페오나토 에콰토리아노 데 푸트볼 세리에 A 우승팀, 테크니코 우니베르시타리오는 준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1980 시즌 캄페오나토 에콰토리아노 데 푸트볼 세리에 A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참가한다.
- 페루: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1980 토르네오 데스센트랄리사도 우승팀, 아틀레티코 토리노는 준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1980 시즌 토르네오 데스센트랄리사도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참가한다.
- 우루과이: 페냐롤은 1980 리기야 프레-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 벨라 비스타는 준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1980 시즌 리기야 프레-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참가한다.
- 베네수엘라: 에스투디안테스 데 메리다는 1980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팀, 포르투게사는 준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베네수엘라에서는 1980 시즌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참가한다.
2. 1. CONMEBOL (1 시드)
1980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은 자동으로 다음 해 대회에 진출할 자격을 얻었다.2. 2. 아르헨티나 (2 시드)
아르헨티나에서는 1980 시즌 캄페오나토 나시오날 우승팀과 캄페오나토 메트로폴리타노 우승팀이 이 대회에 참가했다.2. 3. 볼리비아 (2 시드)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는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 1980 시즌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참가했다.2. 4. 브라질 (2 시드)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는 브라질의 1980 시즌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참가했다.2. 5. 칠레 (2 시드)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는 칠레에서 2개의 팀이 참가했다. 1980 시즌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팀과 리기야 프레-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이 그 자격을 얻었다.2. 6. 콜롬비아 (2 시드)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는 콜롬비아의 1980 시즌 캄페오나토 프로페시오날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참가했다.2. 7. 에콰도르 (2 시드)
에콰도르에서는 1980 시즌 캄페오나토 에콰토리아노 데 푸트볼 세리에 A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이 대회에 참가했다.2. 8. 파라과이 (2 시드)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는 파라과이의 1980 시즌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참가했다.2. 9. 페루 (2 시드)
1980 시즌 토르네오 데스센트랄리사도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참가했다.2. 10. 우루과이 (2 시드)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는 우루과이에서 1980 시즌 리기야 프레-리베르타도레스의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참가했다.2. 11. 베네수엘라 (2 시드)
베네수엘라에서는 1980 시즌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대회에 참가했다.3. 조 추첨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각 국가의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다른 국가의 참가팀과 함께 같은 조에 배정되었다. 198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인 나시오날을 포함한 우루과이의 3개 클럽은 준결승전부터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각 조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조 | 2조 | 3조 | 4조 | 5조 |
---|---|---|---|---|
=== 1조 ===
1조에서는 데포르티보 칼리가 4승 2패로 조 1위를 차지했다. 리버 플레이트, 로사리오 센트랄, 후니오르가 그 뒤를 이었다. 각 팀 간의 경기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DCA | RPI | ROS | JUN | |
---|---|---|---|---|
데포르티보 칼리 | bgcolor="#CCCCCC"| | 2–1 | 1–0 | 4–1 |
리버 플레이트 | 1–2 | bgcolor="#CCCCCC"| | 3–2 | 3–0 |
로사리오 센트랄 | 2–1 | 0–1 | bgcolor="#CCCCCC"| | 5–0 |
후니오르 | 1–0 | 0–0 | 1–2 | bgcolor="#CCCCCC"| |
=== 2조 ===
2조에서는 페냐롤이 5승 1무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베야 비스타, 에스투디안테스 데 메리다, 포르투게사가 그 뒤를 이었다.
PEN | BVI | EST | POR | |
---|---|---|---|---|
페냐롤 | bgcolor="#CCCCCC"| | 3–1 | 4–2 | 3–0 |
베야 비스타 | 0–0 | bgcolor="#CCCCCC"| | 3–1 | 4–0 |
에스투디안테스 데 메리다 | 0–2 | 1–4 | bgcolor="#CCCCCC"| | 1–1 |
포르투게사 | 0–1 | 0–4 | 0–0 | bgcolor="#CCCCCC"| |
=== 3조 ===
3조에서는 플라멩구와 아틀레치쿠 미네이루가 승점과 골득실까지 같아 1위 결정전을 치르게 되었다. 세로 포르테뇨와 올림피아는 각각 1승도 거두지 못하며 탈락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플라멩구 | 6 | 2 | 4 | 0 | 14 | 9 | +5 | 8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6 | 2 | 4 | 0 | 8 | 6 | +2 | 8 |
세로 포르테뇨 | 6 | 1 | 2 | 3 | 9 | 12 | −3 | 4 |
올림피아 | 6 | 0 | 4 | 2 | 1 | 5 | −4 | 4 |
FLA | MIN | CPO | OLI | |
---|---|---|---|---|
플라멩구 | bgcolor="#CCCCCC"| | 2–2 | 5–2 | 1–1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2–2 | bgcolor="#CCCCCC"| | 2–2 | 1–0 |
세로 포르테뇨 | 2–4 | 0–1 | bgcolor="#CCCCCC"| | 0–0 |
올림피아 | 0–0 | 0–0 | 0–3 | bgcolor="#CCCCCC"| |
1981년 7월 3일,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와 플라멩구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에데르가 28분과 63분에 득점했고, 플라멩구의 누네스 (65분)와 마리뉴 (85분)가 득점했다. 경기는 미네이랑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63,153명의 관중이 운집했다.
1981년 7월 7일, 세로 포르테뇨와 올림피아는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0-0으로 비겼다.
1981년 7월 14일, 플라멩구는 마라카낭에서 세로 포르테뇨를 5-2로 이겼다. 지코가 20분과 27분에 득점했고, 바로니뉴 (47분), 누네스 (62분)가 득점했다. 세로 포르테뇨의 히메네스 (62분)와 훌리오 도스 산토스 (90분)가 만회골을 넣었다. 관중은 25,967명이었고, 주심은 카를루스 몬탈반이었다.
1981년 7월 17일, 올림피아와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0-0으로 비겼다.
1981년 7월 21일, 세로 포르테뇨는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에게 0-1로 패했다.
1981년 7월 24일, 플라멩구와 올림피아는 마라카낭에서 1-1로 비겼다. 아딜리우가 22분에 득점했고, 솔라린데가 60분에 동점골을 넣었다. 관중은 38,718명이었고, 주심은 아벨 녜코였다.
1981년 7월 28일,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미네이랑 경기장에서 올림피아를 1-0으로 꺾었다.
1981년 7월 31일,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와 세로 포르테뇨는 미네이랑 경기장에서 2-2로 비겼다.
1981년 8월 7일, 플라멩구와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마라카낭에서 2-2로 비겼다. 누네스 (67분)와 치타 (69분)가 득점했고, 팔리냐 (62분)와 헤이날두 (69분)가 득점했다. 관중은 62,763명이었고, 주심은 카를루스 호자 마르틴스였다.
1981년 8월 8일, 올림피아는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세로 포르테뇨에게 0-3으로 패했다.
1981년 8월 11일, 세로 포르테뇨는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플라멩구에게 2-4로 패했다. 아코스트 (69분)와 히메네스 (72분)가 득점했지만, 바로니뉴 (7분)와 지코 (58분, 65분, 70분)가 득점했다. 관중은 13,000명이었고, 주심은 호케 세룰로였다.
1981년 8월 14일, 올림피아와 플라멩구는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0-0으로 비겼다. 관중은 25,000명이었고, 주심은 호세 마르티네스 바잔이었다.
==== 3조 플레이오프 ====
플라멩구와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1981년 8월 21일 에스타디오 세라 도라다에서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경기는 0-0으로 진행되던 중, 주심 호세 호베르투 라이트가 전반 37분에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선수 5명을 퇴장시키면서 중단되었다. 7명 미만의 선수를 보유한 팀은 실격 처리된다는 규정에 따라 플라멩구가 승리했다. 이 어처구니 없는 판정은 당시 심판의 자질 논란을 불러 일으켰으며, 지금까지도 브라질 축구계의 흑역사로 남아있다.
팀 1 | 결과 | 팀 2 |
---|---|---|
플라멩구 플라멩구/Flamengopor | 0-0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아틀레치쿠 미네이루/Atlético Mineiropor |
=== 4조 ===
4조에서는 더 스트롱기스트와 호르헤 윌스테르만이 승점이 같아 1위 결정전을 통해 호르헤 윌스테르만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STR | JWI | BAR | UNI | |
---|---|---|---|---|
더 스트롱기스트 | bgcolor="#CCCCCC"| | 2–0 | 1–0 | 4–2 |
호르헤 윌스테르만 | 3–2 | bgcolor="#CCCCCC"| | 1–0 | 3–1 |
바르셀로나 | 2–1 | 3–0 | bgcolor="#CCCCCC"| | 2–1 |
테크니코 우니베르시타리오 | 2–3 | 1–2 | 4–1 | bgcolor="#CCCCCC"| |
==== 4조 플레이오프 ====
=== 5조 ===
5조에서는 코브렐로아가 조 1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스포르팅 크리스탈,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 아틀레티코 토리노가 그 뒤를 이었다.
4. 그룹 스테이지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그룹 스테이지는 각 조별 리그 경기 결과와 순위를 보여준다. 1980년 대회 우승팀인 나시오날(우루과이)는 2라운드부터 출전한다.
2조에서는 페냐롤이 5승 1무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며 1위를 차지했다. 베야 비스타가 4승 1무 1패로 그 뒤를 이었다. 에스투디안테스 데 메리다와 포르투게사는 각각 2무 4패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다음은 2조의 상세 결과이다.
각 팀별 맞대결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N | BVI | EST | POR | |
---|---|---|---|---|
페냐롤 | bgcolor="#CCCCCC"| | 3–1 | 4–2 | 3–0 |
베야 비스타 | 0–0 | bgcolor="#CCCCCC"| | 3–1 | 4–0 |
에스투디안테스 데 메리다 | 0–2 | 1–4 | bgcolor="#CCCCCC"| | 1–1 |
포르투게사 | 0–1 | 0–4 | 0–0 | bgcolor="#CCCCCC"| |
3조에서는 플라멩구와 아틀레치쿠 미네이루가 승점 8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플레이오프에서 플라멩구가 승리하며 1위를 차지했다. 세로 포르테뇨와 올림피아는 각각 승점 4점으로 탈락했다.
1981년 7월 3일,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와 플라멩구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1981년 7월 7일, 세로 포르테뇨와 올림피아는 0-0으로 비겼다. 1981년 7월 14일, 플라멩구는 세로 포르테뇨를 5-2로 이겼다. 1981년 7월 17일, 올림피아와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0-0으로 비겼다. 1981년 7월 21일, 세로 포르테뇨는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에게 0-1로 패했다. 1981년 7월 24일, 플라멩구와 올림피아는 1-1로 비겼다. 1981년 7월 28일,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올림피아를 1-0으로 꺾었다. 1981년 7월 31일,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와 세로 포르테뇨는 2-2로 비겼다. 1981년 8월 7일, 플라멩구와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2-2로 비겼다. 1981년 8월 8일, 올림피아는 세로 포르테뇨에게 0-3으로 패했다. 1981년 8월 11일, 세로 포르테뇨는 플라멩구에게 2-4로 패했다. 1981년 8월 14일, 올림피아와 플라멩구는 0-0으로 비겼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플라멩구 | 6 | 2 | 4 | 0 | 14 | 9 | 5 | 8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6 | 2 | 4 | 0 | 8 | 6 | 2 | 8 |
세로 포르테뇨 | 6 | 1 | 2 | 3 | 9 | 12 | -3 | 4 |
올림피아 | 6 | 0 | 4 | 2 | 1 | 5 | -4 | 4 |
플라멩구와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1위 결정전에서 맞붙었지만,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선수 5명이 퇴장당하며 플라멩구가 부전승으로 승리했다.
팀 1 | 결과 | 팀 2 |
---|---|---|
플라멩구 플라멩구/Flamengopor | 0-0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아틀레치쿠 미네이루/Atlético Mineiropor |
4조에서는 더 스트롱기스트와 호르헤 윌스테르만이 승점 동률을 기록, 1위 결정전을 통해 호르헤 윌스테르만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각 팀별 맞대결 결과는 다음과 같다.
STR | JWI | BAR | UNI | |
---|---|---|---|---|
더 스트롱기스트 | bgcolor="#CCCCCC"| | 2–0 | 1–0 | 4–2 |
호르헤 윌스테르만 | 3–2 | bgcolor="#CCCCCC"| | 1–0 | 3–1 |
바르셀로나 | 2–1 | 3–0 | bgcolor="#CCCCCC"| | 2–1 |
테크니코 우니베르시타리오 | 2–3 | 1–2 | 4–1 | bgcolor="#CCCCCC"| |
1위 결정전 결과는 다음과 같다.
5조에서는 코브렐로아가 3승 3무로 1위를 차지했다. 스포르팅 크리스탈이 3승 2무 1패로 그 뒤를 이었으며,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와 아틀레티코 토리노는 각각 2승 2무 2패, 1무 5패로 탈락했다.
각 팀별 맞대결 결과는 다음과 같다.
COB | CRI | UCH | TOR | |
---|---|---|---|---|
코브렐로아 | bgcolor="#CCCCCC"| | 6–1 | 1–0 | 6–1 |
스포르팅 크리스탈 | 0–0 | bgcolor="#CCCCCC"| | 3–2 | 2–1 |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 | 0–0 | 1–1 | bgcolor="#CCCCCC"| | 3–0 |
아틀레티코 토리노 | 1–1 | 1–2 | 1–2 | bgcolor="#CCCCCC"| |
4. 1. 1조
DCA | RPI | ROS | JUN | |
---|---|---|---|---|
데포르티보 칼리 | bgcolor="#CCCCCC"| | 2–1 | 1–0 | 4–1 |
리버 플레이트 | 1–2 | bgcolor="#CCCCCC"| | 3–2 | 3–0 |
로사리오 센트랄 | 2–1 | 0–1 | bgcolor="#CCCCCC"| | 5–0 |
후니오르 | 1–0 | 0–0 | 1–2 | bgcolor="#CCCCCC"| |
팀 | 승점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데포르티보 칼리 | 8 | 6 | 4 | 0 | 2 | 10 | 6 | 4 |
리베르 플라테 | 7 | 6 | 3 | 1 | 2 | 9 | 6 | 3 |
로사리오 센트랄 | 6 | 6 | 3 | 0 | 3 | 11 | 7 | 4 |
주니오르 | 3 | 6 | 1 | 1 | 4 | 3 | 14 | -11 |
4. 2. 2조
PEN | BVI | EST | POR | |
---|---|---|---|---|
페냐롤 | bgcolor="#CCCCCC"| | 3–1 | 4–2 | 3–0 |
베야 비스타 | 0–0 | bgcolor="#CCCCCC"| | 3–1 | 4–0 |
에스투디안테스 데 메리다 | 0–2 | 1–4 | bgcolor="#CCCCCC"| | 1–1 |
포르투게사 | 0–1 | 0–4 | 0–0 | bgcolor="#CCCCCC"| |
4. 3. 3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플라멩구 | 6 | 2 | 4 | 0 | 14 | 9 | +5 | 8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6 | 2 | 4 | 0 | 8 | 6 | +2 | 8 |
세로 포르테뇨 | 6 | 1 | 2 | 3 | 9 | 12 | −3 | 4 |
올림피아 | 6 | 0 | 4 | 2 | 1 | 5 | −4 | 4 |
FLA | MIN | CPO | OLI | |
---|---|---|---|---|
플라멩구 | bgcolor="#CCCCCC"| | 2–2 | 5–2 | 1–1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2–2 | bgcolor="#CCCCCC"| | 2–2 | 1–0 |
세로 포르테뇨 | 2–4 | 0–1 | bgcolor="#CCCCCC"| | 0–0 |
올림피아 | 0–0 | 0–0 | 0–3 | bgcolor="#CCCCCC"| |
1981년 7월 3일,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와 플라멩구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에데르가 28분과 63분에 득점했고, 플라멩구의 누네스 (65분)와 마리뉴 (85분)가 득점했다. 경기는 미네이랑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63,153명의 관중이 운집했다. 주심은 브라질의 호세 호베르투 라이트였다.
1981년 7월 7일, 세로 포르테뇨와 올림피아는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0-0으로 비겼다.
1981년 7월 14일, 플라멩구는 마라카낭에서 세로 포르테뇨를 5-2로 이겼다. 지코가 20분과 27분에 득점했고, 바로니뉴 (47분), 누네스 (62분)가 득점했다. 세로 포르테뇨의 히메네스 (62분)와 훌리오 도스 산토스 (90분)가 만회골을 넣었다. 관중은 25,967명이었고, 주심은 카를루스 몬탈반이었다.
1981년 7월 17일, 올림피아와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0-0으로 비겼다.
1981년 7월 21일, 세로 포르테뇨는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에게 0-1로 패했다.
1981년 7월 24일, 플라멩구와 올림피아는 마라카낭에서 1-1로 비겼다. 아딜리우가 22분에 득점했고, 솔라린데가 60분에 동점골을 넣었다. 관중은 38,718명이었고, 주심은 아벨 녜코였다.
1981년 7월 28일,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미네이랑 경기장에서 올림피아를 1-0으로 꺾었다.
1981년 7월 31일,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와 세로 포르테뇨는 미네이랑 경기장에서 2-2로 비겼다.
1981년 8월 7일, 플라멩구와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마라카낭에서 2-2로 비겼다. 누네스 (67분)와 치타 (69분)가 득점했고, 팔리냐 (62분)와 헤이날두 (69분)가 득점했다. 관중은 62,763명이었고, 주심은 카를루스 호자 마르틴스였다.
1981년 8월 8일, 올림피아는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세로 포르테뇨에게 0-3으로 패했다.
1981년 8월 11일, 세로 포르테뇨는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플라멩구에게 2-4로 패했다. 아코스트 (69분)와 히메네스 (72분)가 득점했지만, 바로니뉴 (7분)와 지코 (58분, 65분, 70분)가 득점했다. 관중은 13,000명이었고, 주심은 호케 세룰로였다.
1981년 8월 14일, 올림피아와 플라멩구는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0-0으로 비겼다. 관중은 25,000명이었고, 주심은 호세 마르티네스 바잔이었다.
- ---
1위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플라멩구와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1981년 8월 21일 에스타디오 세라 도라다에서 0-0으로 비겼다. 호세 호베르투 라이트 심판은 전반 37분에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선수 5명을 퇴장시켜 경기가 중단되었다. 축구 협회 규칙에 따라 7명 미만의 선수를 보유한 팀은 실격 처리된다. 따라서 플라멩구가 부전승으로 승리했다.
팀 | 승점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플라멩구 | 8 | 6 | 2 | 4 | 0 | 14 | 9 | 5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8 | 6 | 2 | 4 | 0 | 8 | 6 | 2 |
세로 포르테뇨 | 4 | 6 | 1 | 2 | 3 | 9 | 12 | -3 |
올림피아 | 4 | 6 | 0 | 4 | 2 | 1 | 5 | -4 |
4. 3. 1. 플레이오프
팀 1 | 결과 | 팀 2 |
---|---|---|
플라멩구 플라멩구/Flamengopor | 0-0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아틀레치쿠 미네이루/Atlético Mineiropor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는 플라멩구와의 경기에서 0-0으로 팽팽하게 맞서고 있었다. 하지만 어이없게도 선수 5명이 퇴장당하며 6명만 남게 되는 황당한 상황이 벌어졌다. 결국 경기를 속행할 수 없게 되면서 플라멩구의 승리로 처리되었다.
더 스트롱게스트(The Strongest) | 1–4 | 호르헤 윌스테르만(Club Jorge Wilstermann) |
---|---|---|
4. 4. 4조
다음은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4조의 경기 결과이다.STR | JWI | BAR | UNI | |
---|---|---|---|---|
더 스트롱기스트 | bgcolor="#CCCCCC"| | 2–0 | 1–0 | 4–2 |
호르헤 윌스테르만 | 3–2 | bgcolor="#CCCCCC"| | 1–0 | 3–1 |
바르셀로나 | 2–1 | 3–0 | bgcolor="#CCCCCC"| | 2–1 |
테크니코 우니베르시타리오 | 2–3 | 1–2 | 4–1 | bgcolor="#CCCCCC"| |
4조에서는 더 스트롱기스트와 호르헤 윌스테르만이 승점 동률을 기록하며 1위 결정전을 치렀다.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더 스트롱게스트 | 8 | 6 | 4 | 0 | 2 | 13 | 9 | 4 |
호르헤 윌스터만 | 8 | 6 | 4 | 0 | 2 | 9 | 9 | 0 |
바르셀로나 | 6 | 6 | 3 | 0 | 3 | 8 | 8 | 0 |
테크니코 우니베르시타리오 | 2 | 6 | 1 | 0 | 5 | 11 | 15 | -4 |
다음은 1위 결정전 결과이다.
1위 결정전 | 스코어 |
---|---|
더 스트롱게스트 | 1 |
호르헤 윌스터만 | 4 |
1위 결정전에서 호르헤 윌스테르만이 승리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4. 4. 1. 플레이오프
다음은 4조 1위 결정전 경기 결과이다.더 스트롱게스트(The Strongest) BOL/The Strongest | 더 스트롱기스트}} 호르헤 윌스테르만(Club Jorge Wilstermann) Club Jorge Wilstermann | 클루브 호르헤 윌스테르만bol |
---|---|---|
더 스트롱게스트 | 호르헤 윌스테르만 | |
4. 5. 5조
다음은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5조의 경기 결과이다.COB | CRI | UCH | TOR | |
---|---|---|---|---|
코브렐로아 | bgcolor="#CCCCCC"| | 6–1 | 1–0 | 6–1 |
스포르팅 크리스탈 | 0–0 | bgcolor="#CCCCCC"| | 3–2 | 2–1 |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 | 0–0 | 1–1 | bgcolor="#CCCCCC"| | 3–0 |
아틀레티코 토리노 | 1–1 | 1–2 | 1–2 | bgcolor="#CCCCCC"|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CD 코브렐로아 | 9 | 6 | 3 | 3 | 0 | 14 | 3 | 11 |
스포르팅 크리스탈 | 8 | 6 | 3 | 2 | 1 | 9 | 11 | -2 |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 | 6 | 6 | 2 | 2 | 2 | 8 | 6 | 2 |
아틀레티코 토리노 | 1 | 6 | 0 | 1 | 5 | 5 | 16 | -11 |
5. 준결승전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결승전은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B조에서는 코브렐로아, 나시오날, 페냐롤이 경쟁했다. 최종 결과, 코브렐로아가 3승 1무로 승점 7점을 획득하며 조 1위를 차지, 결승에 진출했다. 나시오날은 3무 1패로 승점 3점, 페냐롤은 2무 2패로 승점 2점을 얻는 데 그쳤다.
다음은 B조의 경기 결과이다.
각 팀 간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981년 9월 30일, 페냐롤과 나시오날은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1-1로 비겼다. 바르가스가 77분에 득점했고, 데 라 페냐가 44분에 득점했다.
- 1981년 10월 8일, 나시오날과 코브렐로아의 경기는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열렸으며, 코브렐로아가 2-1로 승리했다. 모랄레스가 49분에 득점했지만, 푸에블라가 62분, 올리베라가 83분에 득점하며 코브렐로아가 역전승을 거두었다.
- 1981년 10월 13일, 페냐롤과 코브렐로아의 경기는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진행되었고, 코브렐로아가 올리베라의 89분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 1981년 10월 21일, 나시오날과 페냐롤은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에스파라고가 73분에 득점했고, 마르세나로가 89분에 득점했다.
- 1981년 10월 28일, 코브렐로아와 페냐롤의 경기는 에스타디오 무니시팔에서 열렸으며, 코브렐로아가 4-2로 승리했다. 코브렐로아는 라울 고메스(1분), 빅토르 메렐로(30분, 66분PK), 오스카르 무뇨스(68분)가 득점했고, 페냐롤은 파스(70분PK), 바르가스(88분)가 득점했다.
- 1981년 11월 4일, 코브렐로아와 나시오날의 경기는 에스타디오 무니시팔에서 진행되었으며, 2-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코브렐로아는 오스카르 무뇨스(67분), 루사르도(73분, 자책골)가 득점했고, 나시오날은 카브레라(39분), 루사르도(90분, PK)가 득점했다.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CD 코브레로아 | 7 | 4 | 3 | 1 | 0 | 9 | 5 | 4 |
나시오날 | 3 | 4 | 0 | 3 | 1 | 5 | 6 | -1 |
페냐롤 | 2 | 4 | 0 | 2 | 2 | 4 | 7 | -3 |
5. 1. A조
FLA | ACA | JWI | |
---|---|---|---|
플라멩구 | bgcolor="#CCCCCC"| | 3–0 | 4–1 |
데포르티보 칼리 | 0–1 | bgcolor="#CCCCCC"| | 1–0 |
호르헤 윌스테르만 | 1–2 | 1–1 | bgcolor="#CCCCCC"| |
1981년 10월 2일, 데포르티보 칼리 ()와 플라멩구 ()의 경기: 0–1. 득점: 누네스(1'). 경기장: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파스쿠알 게레로, 칼리. 관중: 50,000명. 심판: Mário Lira.
1981년 10월 13일, 호르헤 윌스테르만 ()와 플라멩구 ()의 경기: 1–2. 득점: 멜가르(53'), 바로니뉴(13'), 아딜리우(64'). 경기장: 에스타디오 펠릭스 카프릴레스, 코차밤바. 심판: Enrique Labo.
1981년 10월 16일, 데포르티보 칼리 ()와 호르헤 윌스테르만 ()의 경기: 1–0. 경기장: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파스쿠알 게레로, 칼리.
1981년 10월 23일, 플라멩구 ()와 데포르티보 칼리 ()의 경기: 3–0. 득점: 지코(9', 82'), 치키뉴 카리오카(57'). 경기장: 마라카낭, 리우데자네이루. 관중: 28,847명. 심판: Juan Cardelino.
1981년 10월 27일, 호르헤 윌스테르만 ()와 데포르티보 칼리 ()의 경기: 1–1. 경기장: 에스타디오 펠릭스 카프릴레스, 코차밤바.
1981년 10월 30일, 플라멩구 ()와 호르헤 윌스테르만 ()의 경기: 4–1. 득점: 누네스(9'), 아딜리우(39'), 안셀모(87'), 치키뉴 카리오카(90'), 타르보르가(2'). 경기장: 마라카낭, 리우데자네이루. 관중: 7,520명. 심판: Jorge Orellana.
1981년 10월 2일, 데포르티보 칼리 ()와 플라멩구 ()의 경기: 0 - 1. 득점: 누네스(1'). 경기장: 칼리, 에스타디오 파스칼 게레로. 심판: 마리우 리라. 관중: 50,000명.
1981년 10월 13일, 호르헤 윌스터만 ()와 플라멩구 ()의 경기: 1 - 2. 득점: 멜갈(53'), 바로니뇨(13'), 아지리오(64'). 경기장: 코차밤바, 에스타디오 펠릭스 카프릴레스. 심판: 엔리케 라보.
1981년 10월 16일, 데포르티보 칼리 ()와 호르헤 윌스터만 ()의 경기: 0 - 0. 경기장: 칼리, 에스타디오 파스칼 게레로.
1981년 10월 23일, 플라멩구 ()와 데포르티보 칼리 ()의 경기: 3 - 0. 득점: 지쿠(9', 82'), 치키뇨(57'). 경기장: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심판: 후안 카르델리노. 관중: 28,847명.
1981년 10월 27일, 데포르티보 칼리 ()와 호르헤 윌스터만 ()의 경기: 1 - 1. 득점: 안글로, 탈보르가. 경기장: 칼리, 에스타디오 파스칼 게레로.
1981년 10월 30일, 플라멩구 ()와 호르헤 윌스터만 ()의 경기: 4 - 1. 득점: 누네스(9'), 아지리오(39'), 안세우모(87'), 치키뇨(90'), 탈보르가(2'). 경기장: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심판: 호르헤 오레야나. 관중: 7,520명.
5. 2. B조
1981년 9월 30일, 페냐롤과 나시오날의 경기에서 1-1 무승부가 기록되었다. 바르가스가 77분 득점, 데 라 페냐가 44분 득점했다. 경기는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펼쳐졌다.
1981년 10월 8일, 나시오날과 코브렐로아의 경기에서 코브렐로아가 2-1로 승리했다. 모랄레스가 49분 득점했지만, 푸에블라가 62분, 올리베라가 83분 득점하며 역전승을 거두었다. 경기는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열렸다.
1981년 10월 13일, 페냐롤과 코브렐로아의 경기에서 코브렐로아가 1-0으로 승리했다. 올리베라가 89분 결승골을 기록했다. 경기는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진행되었다.
1981년 10월 21일, 나시오날과 페냐롤의 경기에서 1-1 무승부가 나왔다. 에스파라고가 73분 득점, 마르세나로가 89분 득점했다. 경기는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열렸다.
1981년 10월 28일, 코브렐로아와 페냐롤의 경기에서 코브렐로아가 4-2로 승리했다. 라울 고메스(1분), 빅토르 메렐로(30분, 66분PK), 오스카르 무뇨스(68분)가 코브렐로아의 득점을, 파스(70분PK), 바르가스(88분)가 페냐롤의 득점을 기록했다. 경기는 에스타디오 무니시팔에서 개최되었다.
1981년 11월 4일, 코브렐로아와 나시오날의 경기에서 2-2 무승부로 끝났다. 오스카르 무뇨스(67분), 루사르도(73분, 자책골)가 코브렐로아의 득점을, 카브레라(39분), 루사르도(90분, PK)가 나시오날의 득점을 기록했다. 경기는 에스타디오 무니시팔에서 진행되었다.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CD 코브레로아 | 7 | 4 | 3 | 1 | 0 | 9 | 5 | 4 |
나시오날 | 3 | 4 | 0 | 3 | 1 | 5 | 6 | -1 |
페냐롤 | 2 | 4 | 0 | 2 | 2 | 4 | 7 | -3 |
6. 결승전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은 CR 플라멩구와 CD 코브렐로아 간에 치러졌다. 자세한 내용은 1981 Copa Libertadores Finals에서 확인할 수 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플라멩구 플라멩구/Flamengobra | 2-2 | 코브렐로아 코브렐로아/Cobreloachi | 2-1 | 0-1 |
1차전은 1981년 11월 13일 마라카낭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플라멩구가 지쿠의 두 골(하나는 페널티킥)에 힘입어 메렐로가 한 골을 넣은 코브렐로아를 2-1로 꺾었다. 관중은 93,985명이었고, 심판은 아르헨티나의 에스포시토였다.
{{footballbox
| date = 1981년 11월 13일
| team1 = 플라멩구
| score = 2 - 1
| team2 = 코브레로아
| goals1 = 지쿠 (PK)
| goals2 = 빅토르 메레로
| stadium =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 attendance = 93,985
| referee = Esposito (아르헨티나)
}}
2차전은 1981년 11월 20일 에스타디오 나시오날에서 열렸다. 코브렐로아가 메렐로의 후반 골로 1-0으로 승리했다. 관중은 61,721명이었고, 심판은 우루과이의 라몬 바레토였다.
{{footballbox
| date = 1981년 11월 20일
| team1 = 코브레로아
| score = 1 - 0
| team2 = 플라멩구
| goals1 = 빅토르 메레로
| goals2 =
| stadium = 산티아고,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 attendance = 61,721
| referee = Ramón Barreto (우루과이)
}}
두 팀은 합계 2-2로 동률을 기록, 플레이오프가 1981년 11월 23일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열렸다. 플라멩구가 지쿠의 두 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 합계 4-2로 우승을 차지했다. 관중은 30,200명이었고, 심판은 우루과이의 로케 세룰로였다.
{{footballbox
| date = 1981년 11월 23일
| team1 = 플라멩구
| score=2 - 0
| team2 = 코브레로아
| goals1 = 지쿠
| goals2 =
| stadium = 몬테비데오,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 attendance = 30,200
| referee = Roque Cerullo (우루과이)
}}
{{Football kit | pattern_la = _red_hoops | pattern_b = _red_hoops_redvneck | pattern_ra = _red_hoops | leftarm = 000000 | body = FF0000 | rightarm = 000000 | shorts = FFFFFF | socks = FF0000 | pattern_so = _fla0910h | title = 플라멩구 | {{Football kit | leftarm =FF6600 | body =FF6600 | rightarm =FF6600 | shorts =FF6600 | socks =FF6600 | title = 코브레로아 |
{| width="100%"
|valign="top" width="50%"|
플라멩구: | ||||
width=25| | width=25| | |||
---|---|---|---|---|
GK | 20 | 라울 | ||
RB | 19 | N. 디아스 | ||
CB | 4 | 마리뇨 | ||
CB | 14 | 모젤 | ||
LB | 5 | 주니오르 | ||
DM | 6 | 안드라데 | ||
MF | 2 | 레안드로 | ||
AM | 10 | 지쿠 (c) | ||
FW | 12 | 치타 | ||
CF | 9 | 누네스 | ||
FW | 8 | 아질리오 | ||
교체 선수: | ||||
CF | 25 | 안세우모 | ||
감독: | ||||
파울루 세자르 카르페지아니 |
|valign="top" width="50%"|
코브레로아: | |||
width=25| | width=25| | ||
---|---|---|---|
GK | 1 | 오스카르 윌스 | |
RB | 2 | 우고 타비로 | |
CB | 3 | 후안 파에스 | |
CB | 4 | 마리오 소우토 | |
LB | 20 | 엔초 에스코바르 | |
DM | 6 | 에두아르도 히메네스 | |
CM | 14 | 아르만도 아라르콘 | |
CM | 8 | 빅토르 메레로 | |
RW | 11 | 엑토르 푸에블라 | |
CF | 9 | 호르헤 루이스 시비에로 | |
LW | 15 | 와싱턴 올리베이라 | |
교체 선수: | |||
FW | 7 | 오스카르 무뇨스 | |
감독: | |||
비센테 칸테코우아 |
|}
7. 우승
198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우승 팀은 브라질의 명문 클럽인 플라멩구였다. 이는 플라멩구의 첫 번째 우승이었다.
결승전은 플라멩구와 칠레의 코브렐로아 간에 3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결정되었다.
1차전은 1981년 11월 13일 마라카낭에서 열렸으며, 플라멩구가 지코의 페널티킥 골과 추가 득점에 힘입어 코브렐로아에 2-1로 승리했다. 코브렐로아는 메렐로가 한 골을 만회했다. 관중은 93,985명이었다.
2차전은 1981년 11월 20일 에스타디오 나시오날에서 열렸으며, 코브렐로아가 메렐로의 결승골로 1-0으로 승리하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관중은 61,721명이었다.
승부를 가리기 위한 3차전은 1981년 11월 23일 센테나리오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플라멩구가 지코의 멀티골에 힘입어 코브렐로아를 2-0으로 꺾고 합계 4-2로 우승을 차지했다. 관중은 30,200명이었다.
결승전에서 맹활약한 지코는 플라멩구의 우승을 이끈 핵심 선수로 평가받고 있다. 지코는 뛰어난 득점력과 리더십으로 팀을 이끌었으며, 특히 결승 3차전에서 2골을 모두 기록하며 팀의 우승을 확정짓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참조
[1]
뉴스
Cuando Flamengo tocó el cielo con las manos
https://www.ole.com.[...]
Olé
2021-07-14
[2]
웹사이트
RSSSF: Copa Libertadores 1981
https://www.rsssf.or[...]
[3]
뉴스
Flamengo campeón de la Libertadores 1981
https://www.clarin.c[...]
Clarín
2019-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