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2년 태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2년 태풍은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25개의 태풍을 포함하여 총 37개의 열대 저기압 활동이 있었던 해이다. 이 중 19개의 태풍이 태풍 세력으로 발달했으며, 특히 3월에 열대 저기압 활동이 활발했다. 이 해에는 여러 국가에서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는데, 특히 대한민국, 일본, 필리핀 등에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컸다. 주요 태풍으로는 매미, 넬슨, 베스, 세실, 낸시 등이 있으며, 베스는 일본에 큰 피해를 입혀 이름이 퇴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2년 태풍 - 태풍 세실 (1982년)
    태풍 세실 (1982년)은 1982년 7월 말에 발생하여 대만, 일본, 대한민국에 피해를 입힌 태풍으로, 최대 풍속 230km/h의 강한 세력을 보였으며 대한민국에 상륙하여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다.
  • 1982년 자연재해 - 나가사키 대수해
    1982년 7월 23일, 기록적인 폭우로 나가사키현 일대에서 발생한 나가사키 대수해는 하천 범람, 산사태, 토석류를 야기하여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와 문화재 피해를 초래했다.
  • 1982년 자연재해 - 엘치촌산
    엘치촌 산은 멕시코 치아파스주에 위치한 화산으로, 1982년 대규모 분화로 화쇄류와 라하르를 동반하여 막대한 피해를 야기했으며, 이산화황 분출로 전 세계적인 기온 하락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는 산성 분화구 호가 형성되어 있다.
1982년 태풍
시즌 개요
해당 분지북서태평양
연도1982년
첫 번째 태풍 발생일1982년 1월 19일
마지막 태풍 소멸일1982년 12월 11일
가장 강한 태풍 (최대 풍속 기준)베스
가장 강한 태풍 (최대 풍속)125 노트 (230 km/h)
가장 강한 태풍 (최저 기압)900 hPa
가장 강한 태풍 (최저 기압 기준)태풍 맥
가장 강한 태풍 (최대 풍속)120 노트 (220 km/h)
가장 강한 태풍 (최저 기압)895 hPa
평균 풍속10 노트
총 열대 저기압37개
총 태풍 발생 수25개
총 허리케인 발생 수19개
총 강한 태풍 발생 수3개 (비공식)
사망자 수805명
재산 피해액24억 1,000만 달러 초과
이전 시즌1981년
다음 시즌1983년
1982년 태평양 태풍 시즌 요약 지도
1982년 태평양 태풍 시즌 요약 지도

2. 발생 현황

1982년에는 총 37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으며, 그 중 26개가 열대폭풍으로 발달하였다. 이 중 19개의 폭풍이 태풍 세력으로 발달했고, 그 중 2개는 매우 강한 태풍 세력이었다. 3월에는 3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여 1967년 이후 가장 활발한 시기를 보였으며, 5월에는 1개, 6월에는 3개, 7월에는 4개, 8월에는 5개, 9월에는 6개, 10월에는 4개, 11월에는 1개, 12월에는 1개가 발생했다.[7] 태풍 파멜라(Pamela)는 이 해 가장 오래 지속된 열대 저기압이었다. 16개의 열대 저기압이 상륙했는데, 필리핀 8개, 중국 4개, 베트남 3개, 일본 3개였다.[7]

7월 28일 1500 UTC의 태풍 앤디(왼쪽)와 베스(오른쪽)의 위성 사진


3월에는 열대 폭풍 매미가 필리핀베트남에 영향을 주었다. 넬슨은 시즌 첫 번째 태풍으로, 필리핀 남부를 거쳐 베트남 근처에서 소멸되었다. 오데사는 해상에서 소멸되었고, 5월에 발생한 Pat는 일본 해상에서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6월 말 발생한 루비는 일본 동쪽 해상에서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7월 초, 테스는 대만에 도달하기 전에 약화되었고, 일본 기상청은 발이 테스의 연장선이라고 밝혔다.[1] 스킵은 일본 남쪽으로 이동했고, 위노나는 필리핀 북부, 하이난 섬을 거쳐 중국 남부에서 소멸되었다. 앤디는 남쪽에서 발생하여 대만을 거쳐 중국 남부로 이동했고, 베스는 일본에 상륙했다.

8월에는 세실이 북한에 상륙했고, Dot는 대만 남부와 중국 동남부로 이동했다. 엘리스는 일본 남부로 방향을 틀었고, 페이는 필리핀 중부와 대만 사이를 배회했다. 고든은 일본 해상에서 방향을 틀었다.

9월에는 열대 폭풍 호프가 베트남으로 이동했고, 어빙은 필리핀 중부와 하이난 섬을 통과한 후 중국 동남부에서 소멸되었다. 주디는 일본 중부를 통과했고, 켄은 일본 남부를 통과했다. 롤라는 동쪽 해상에서 방향을 틀었고, 열대 저기압 22는 필리핀 동쪽 해상과 일본 남쪽에서 이동했다. Mac은 첫 번째 슈퍼 태풍으로, 일본 남동쪽 해상에서 방향을 틀었다.

10월에는 낸시가 필리핀 북부, 하이난 섬 남쪽을 지나 베트남 북부에 상륙했다. 열대 저기압 25는 필리핀 동쪽 해상과 일본 남쪽에서 이동했고, 태풍 오웬은 일본 남동쪽 해상에서 배회했다. 12월에는 파멜라가 필리핀 중부를 통과했고, 로저는 대만 동남쪽 해상에서 소멸되었다.

2. 1. 월별 태풍 발생 개수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31335531125


2. 2. 연간 태풍 활동

1982년 서태평양에서는 총 37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으며, 이 중 26개가 열대폭풍으로 발달했다. 이 중 19개의 폭풍이 태풍 세력으로 발달했으며, 그 중 2개는 매우 강한 태풍 세력이었다.

발생한 열대저기압주요 태풍비고
1월1
3월3넬슨1967년 이후 가장 활발
5월1
6월3
7월4앤디, 베스
8월5세실, 페이
9월6어빙, 주디, 켄
10월4낸시
11월1
12월1



3월에는 1967년 이후 가장 많은 3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다. 넬슨은 3월 말 필리핀 남부를 통과하여 베트남 근처에서 소멸되었다. 7월에는 앤디가 남쪽에서 발생하여 타이완을 거쳐 중국 남부로 이동했고, 베스는 일본에 상륙했다. 8월에는 세실이 북한에 상륙했고, 페이는 필리핀 중부와 타이완 사이를 배회했다. 9월에는 어빙과 주디가 일본 중부를 통과했고, 켄은 일본 남부를 통과했다. 10월에는 낸시가 필리핀 북부를 거쳐 베트남 북부에 상륙했다.

태풍 파멜라는 이 해 가장 오래 지속된 열대 저기압이었다.[7] 이 해에는 16개의 열대 저기압이 상륙했는데, 필리핀 8개, 중국 4개, 베트남 3개, 일본 3개였다.[7]

3. 주요 태풍

1982년에 발생한 주요 태풍들은 다음과 같다.


  • '''제2호 태풍 넬슨''': 남동쪽에서 발생하여 필리핀 중남부를 통과하며 56명의 사망자를 냈다. 이후 남중국해에서 세력이 약간 회복되었으나, 윈드 시어로 인해 약화되어 베트남 냐짱 동쪽 해상에서 소멸했다.[7]
  • '''제4호 태풍 팻''': 남서쪽에서 발생하여 아열대 고기압의 틈새를 통해 북상하며 급격히 발달했다. 이후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윈드 시어로 인해 약화되었고,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일본 근처에서 소멸했다.[21]
  • '''제5호 태풍 루비''': 남동쪽에서 발생하여 울리시 환초와 야프 섬 사이에서 표류하다가 북서쪽으로 이동 후 방향으로 북동진했다. 몬순 골짜기에서 분리된 후 꾸준히 발달하여 홋카이도 동쪽에서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야프 섬에 594.4mm의 많은 비를 뿌렸다.[24]
  • '''제6호 태풍 테스-밸''': 남중국해에서 몬순 저기압으로 형성되어 북상하다가 동-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중국 해안과 나란히 이동했다. 홍콩에 많은 비를 뿌렸으며, 타이완 해협에서 소멸했다.[25] 일본 기상청은 밸이 테스의 연속이라고 밝혔다.[7]
  • '''제8호 태풍 위노나''': 얍섬 부근에서 발생하여 루손에 상륙하여 2명의 사망자와 5,000명의 이재민을 발생시켰다. 남중국해에서 다시 발달하여 최대 강도에 도달했으나, 윈드 시어로 인해 약화되어 중국/베트남 해안에 도달하기 전에 소멸했다.[26]
  • '''제9호 태풍 앤디''': 남쪽 몬순 골에서 발생하여 대만 남부에 상륙하여 13명의 사망자를 냈다. 홍콩에도 많은 비를 뿌렸으며, 타이완 해협을 지나 중국 남동부에 상륙한 후 소멸했다.[26]
  • '''제10호 태풍 베스''': 콰잘레인 환초 부근에서 발생하여 일본 해안을 통과하며 95명의 사망자를 냈다. 이로 인해 베스라는 이름은 사용이 중단되었다.[28]
  • '''제11호 태풍 세실''': 추크주 북쪽에서 발생하여 타이완 동쪽에서 최대 풍속에 도달한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상륙했다.[29] 대한민국에 많은 비를 뿌려 35명의 사망자와 28명의 실종자, 28명의 부상자를 냈고, 6,20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총 피해액은 3000만달러에 달했다.[4]
  • '''제12호 태풍 도트''': 콰잘레인 환초 부근에서 발생하여 타이완을 통과한 후 중국 동부에 상륙하여 소멸했다.[36]
  • '''제13호 태풍 엘리스''': 포나페 남쪽 몬순 골짜기에서 발생하여 일본 남서부에 최대 711mm의 폭우를 내려 5명의 사망자를 냈다. 이후 동해에서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어 블라디보스토크 서쪽에서 소멸했다.[38]
  • '''제14호 태풍 페이''': 필리핀 남쪽에서 발생하여 루손섬에 상륙하여 32명의 사망자를 냈다. 이후 태풍 고든의 영향으로 약화와 재발달을 반복하다가 남중국해에서 소멸했다.[45]
  • '''제17호 태풍 어빙''': 남쪽 몬순 골짜기에서 발생하여 루손 섬 남쪽 끝을 강타하여 65명의 사망자와 26명의 부상자, 29명의 실종자를 냈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294000USD의 구호 자금 지원을 지시했다.[52]
  • '''제18호 태풍 주디''': 필리핀 동쪽에서 발생하여 일본 남동부에 상륙하여 25명의 사망자를 내고 많은 피해를 입혔다.[53]
  • '''제19호 태풍 켄''': 필리핀 해의 몬순 기압골 서쪽 끝에서 발생하여 오키나와에 많은 비를 뿌렸다. 이후 시코쿠에 상륙하여 5명의 사망자를 냈다.[54]
  • '''제21호 태풍 맥''': 포나페 동쪽에서 발생하여 근처를 통과하며 1500000USD의 피해를 입혔다. 이후 슈퍼 태풍으로 발달했다가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57]
  • '''제22호 태풍 낸시''': 루손섬에 상륙한 후 남중국해에서 다시 발달하여 베트남에 상륙했다. 폭우로 인해 309명의 사망자와 4600만달러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다.[20]
  • '''제23호 태풍 오웬''': 콰잘레인 동쪽에서 발생하여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가 다시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하는 특이한 경로를 보였다.[61]
  • '''제24호 태풍 파멜라''': 날짜 변경선 서쪽에서 발생하여 마셜 제도을 통과하며 광범위한 피해를 입혔다.[62]

3. 1. 제1호 태풍 매미

Mamie영어는 3월 15일에 발생하여 3월 24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90 hPa, 10분 최대 풍속은 50 kt/h였다.[20]

3. 2. 제2호 태풍 넬슨

'''제2호 태풍 넬슨(NELSON)'''은 3월 18일에 발생하여 3월 31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35 hPa, 1분 최대 풍속은 105노트(Knot)였다.[20]

3. 3. 제3호 태풍 오데사

1982년 3월 26일, 북위 2도, 동경 159도 부근에서 조직화되지 않은 뇌우 지역이 감지되었다. 일본 해안에서 상당한 사이클로제네시스(cyclogenesis, 온대 저기압 발생)로 인해 북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이 대류 클러스터 내에서 순환 중심이 며칠 동안 발달했다. 3월 29일 오후에는 열대폭풍으로 발달했다. 중층 기압골이 사이클론을 향해 남서쪽으로 뻗어 있었다. 폭풍의 북쪽에서 북서쪽으로 강한 리지가 형성되면서, 오데사는 북서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멈추고 3월 30일과 3월 31일 경에 10kn로 동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중층 기압골이 계속 동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오데사는 다시 북쪽으로, 결국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었고, 사이클론의 북쪽에서 리지가 형성되었다. 서쪽으로 진로를 변경한 후, 강도가 다시 강해져서 4월 2일 오후에 태풍의 세력에 도달했다. 오데사의 세력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아열대 고기압의 약세로 인해 대류가 북동쪽으로 유도되어 뇌우가 중심에서 떨어져 나갔다. 급격한 약화가 뒤따랐고, 사이클론은 4월 4일 오후에 소멸되었다.[20]

이 사이클론의 발생은 1967년 이후 서북 태평양에서 열대 저기압이 가장 활발하게 형성된 3월을 마감했다. 오데사는 기후학적 관점에서 독특했는데, 3월에 일반적으로 북쪽으로 이동하는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동쪽과 서쪽으로 이동했다.[20]

3. 4. 제4호 태풍 패트

1982년 제4호 태풍 패트(PAT)는 5월 18일에 발생하여 5월 23일에 소멸하였다. 10분 최대 풍속은 90노트, 1분 최대 풍속은 105노트, 최저 기압은 945hPa이었다.[26]

3. 5. 제5호 태풍 루비

1982년 6월 21일에 발생하여 6월 27일에 소멸하였다. 10분 최대 풍속은 70노트, 1분 최대 풍속은 75노트, 최저 기압은 975hPa를 기록했다.[20]

3. 6. 제6호 태풍 테스-밸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테스(Tess)"라는 국제명을 가진 열대 저기압과 "발(Val)"이라는 국제명을 가진 열대 저기압을 각각 2개의 다른 열대 저기압으로 분석했지만, 일본 기상청은 하나의 열대 저기압으로 분석했다.

3. 7. 제7호 태풍 스킵

제7호 태풍 스킵은 1982년 6월 29일에 발생하여 7월 3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92 hPa, 10분 최대 풍속은 45노트(85 km/h), 1분 최대 풍속은 50노트(95 km/h)였다.[20]

3. 8. 제8호 태풍 위노나

'''제8호 태풍 위노나(WINONA)'''는 1982년 7월 10일에 발생하여 7월 18일에 소멸하였다. 10분 최대 풍속은 50노트, 1분 최대 풍속은 55노트, 최저 기압은 985hPa이었다.[20]

3. 9. 제9호 태풍 앤디

남쪽 몬순 골의 북쪽 가장자리에서 이 시스템이 형성되었다. 형성 전, 저고도 서풍은 북위 10도 남쪽에서 날짜 변경선까지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7월 20일, 몬순 골이 분리되었고, 중간 부분은 앤디가 되었다(베스는 동쪽 부분에서 형성). 7월 22일, 괌 남쪽 지역은 뇌우 활동과 조직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날 아침, 열대폭풍이 되었다. 7월 23일 앤디의 중심은 잠깐 노출되었다가 뇌우 활동 아래로 다시 이동했다. 괌 남쪽을 돌며 사이클론은 북서쪽으로 이동하며 세력을 키웠다. 7월 25일 북위 18도 부근에서 북동쪽의 능선이 강화되면서 앤디는 서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이 시스템은 7월 28일과 29일 오랫동안 강력한 태풍으로 유지된 후 대만 남부에 상륙했다.

홍콩에는 폭우가 쏟아져 테이츠 카언에 205.3mm의 강수량을 기록했다.[7] 대만 동부에도 홍수 피해가 집중되었다. 타이완 해협을 지나 서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7월 30일 중국 남동부에서 마지막 상륙을 하고 소멸했다.[26] 앤디로 인해 대만에서 13명이 사망했다.[7]

3. 10. 제10호 태풍 베스



1982년 제10호 태풍 베스는 일본에 상륙하여 맹렬한 산사태를 일으키고 막대한 재산 피해를 입혔으며, 95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베스라는 이름은 이 태풍을 마지막으로 퇴출되었고, 이후 '브렌다'로 대체되었다.[20]

3. 11. 제11호 태풍 세실

1982년 8월 4일에 발생하여 8월 15일에 소멸하였다. 태풍 세실은 한반도에 상륙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대한민국에서는 폭우와 산사태로 인해 35명이 사망하고 28명이 실종되었으며, 28명이 부상을 입었다.[42] 또한 1,300여 채의 가옥이 침수되고 6,20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산청군과 창원시가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42] 총 피해액은 3천만 미국 달러(3000만달러)에 달했다.[42]

3. 12. 제12호 태풍 도트

'''제12호 태풍 도트(DOT)'''는 1982년 8월 8일에 발생하여 8월 18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60 hPa, 10분 최대 풍속은 80노트(약 41 m/s)였다.[20]

3. 13. 제13호 태풍 엘리스

1982년 제13호 태풍 엘리스는 8월 19일에 발생하여 8월 28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15 hPa, 10분 최대 풍속은 100 노트(knots)였다.[45]

3. 14. 제14호 태풍 페이

'''1982년 제14호 태풍 페이'''는 8월 22일에 발생하여 8월 31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60 hPa, 10분 최대 풍속은 80노트(41 m/s)였다.

3. 15. 제15호 태풍 고든

1982년 8월 27일에 발생하여 9월 6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45 hPa, 10분 최대 풍속은 90노트(knot), 1분 최대 풍속은 100노트였다.[47]

3. 16. 제16호 태풍 호프

1982년 9월 4일에 발생하여 9월 8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80 hPa, 10분 최대 풍속은 55 노트였다.[20]

3. 17. 제17호 태풍 어빙

'''제17호 태풍 어빙'''(Irving)은 9월 5일에 발생하여 9월 16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50 hPa, 10분 최대 풍속은 85노트(kn)였다.[53] 제18호 태풍 주디와 함께 발생했다.

3. 18. 제18호 태풍 주디

'''1982년 제18호 태풍 주디'''는 9월 6일에 발생하여 9월 13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55 hPa, 10분 최대 풍속은 80노트(knot), 1분 최대 풍속은 90노트였다.

3. 19. 제19호 태풍 켄

1982년 태풍 제19호 켄은 1982년 9월 16일에 발생하여 9월 25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40 hPa, 10분 최대 풍속은 95노트(약 49 m/s), 1분 최대 풍속은 110노트(약 57 m/s)였다.

3. 20. 제20호 태풍 롤라

태풍 롤라(LOLA)는 1982년 9월 15일에 발생하여 9월 20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90 hPa이었고, 10분 최대 풍속은 45노트, 1분 최대 풍속은 50노트였다.[56]

발생일소멸일최저 기압10분 최대 풍속1분 최대 풍속
9월 15일9월 20일990 hPa45 노트50 노트



태풍 롤라

3. 21. 제21호 태풍 맥

1982년 9월 28일, 포나페 동쪽에서 지속적인 지상 순환이 발생했다. 10월 1일, 상층 환경이 개선되면서 대류가 조직화되기 시작했고, 그날 밤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했다. 서북서쪽으로 이동하면서, 맥(Mac)은 10월 3일 아침 강한 열대 폭풍으로 근처를 통과했다. 섬 남부 지역의 폭우와 강풍으로 인해 1500000USD의 피해가 발생했다.[57] 맥은 빠르게 세력을 키워 곧 태풍으로 발달했으며, 10월 5일에는 슈퍼 태풍이 되었다.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아열대 고기압의 약세 지역으로 진입한 이 폭풍은 10월 6일 고기압 축을 지나면서 북동쪽으로 가속했다. 사이클론이 서서히 약화되는 동안 편서풍대의 주 흐름으로의 가속이 계속되었고, 맥은 10월 9일 오후에 태풍 세력의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57]

최대 풍속 (기상청 분석 · 10분간 평균)
순위태풍국제명연도최대 풍속 (kt)
11979년 태풍 20호Tip1979년140
22013년 태풍 30호Haiyan2013년125
2010년 태풍 13호Megi2010년
1982년 태풍 10호Bess1982년
52021년 태풍 2호Surigae2021년120
2020년 태풍 19호Goni2020년
2016년 태풍 14호Meranti2016년
1991년 태풍 28호Yuri1991년
1990년 태풍 19호Flo1990년
1986년 태풍 3호Lola1986년
1985년 태풍 22호Dot1985년
1984년 태풍 22호Vanessa1984년
1983년 태풍 5호Abby1983년
1982년 태풍 21호Mac1982년
1981년 태풍 22호Elsie1981년
1980년 태풍 19호Wynne1980년
1978년 태풍 26호Rita1978년


3. 22. 제22호 태풍 낸시

태풍 낸시는 10월 10일에 발생하여 10월 14일 동부 루손섬에 상륙했다. 낸시의 바람은 열대 폭풍 수준으로 약화되었지만, 남중국해에서 다시 세력을 키워 80kn의 태풍으로 발달했다. 10월 18일, 북부 베트남에 상륙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소멸되었다. 이 시스템에 동반된 폭우로 인해 309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4600만달러 (1982년 기준)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다.[20]

3. 23. 제23호 태풍 오웬

1982년 제23호 태풍 오웬은 10월 14일 북위 18도, 동경 141도 부근에서 발생한 약한 순환이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10월 15일 아침에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하였다. 중심 부근의 대류는 곧 약해져서 10월 16일에는 노출된 저고도 소용돌이가 되었으나, 북서쪽으로 진행하면서 며칠 동안 그 형태를 유지했다. 10월 18일에는 몇몇 대류 밴드가 시스템으로 돌아왔고, 10월 19일 초에 이 순환은 발달하는 태풍 오웬에 흡수되었다.[60]

1982년 제23호 태풍 오웬은 10월 16일에 발생하여 10월 28일에 소멸하였다. 10분 최대 풍속은 90노트, 1분 최대 풍속은 105노트, 최저 기압은 940hPa이었다.

3. 24. 제24호 태풍 파멜라

제24호 태풍 파멜라는 1982년 11월 24일에 발생하여 12월 8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40 hPa, 10분 최대 풍속은 90노트(kn), 1분 최대 풍속은 100노트(kn)였다.[61]

3. 25. 제25호 태풍 로저

'''제25호 태풍 로저'''(ROGER)는 1982년 12월 8일에 발생하여 12월 10일에 소멸한 태풍이다. 최저 기압은 980 hPa, 최대 풍속은 65kn(1분 평균) 및 60kn(10분 평균)였다.[62]

4. 영향 및 피해

1982년 태풍은 여러 국가에 걸쳐 다양한 피해를 입혔다. 특히 필리핀, 일본, 베트남, 대한민국 등이 큰 피해를 보았다.

태풍 이름피해 지역피해액 (USD)사망자참고
마미 (아캉)필리핀, 베트남1000만달러54[64][65]
넬슨 (비싱)팔라우, 필리핀1260만달러112 (91)[65]
오데사미크로네시아 연방없음없음
팻 (클라링)필리핀없음없음
루비팔라우, 마리아나 제도, 일본없음없음 (23)
테스-발 (델링)중국, 대만, 류큐 열도없음없음
위노나 (에망)필리핀, 중국220.00000000000003만달러10 (2)[65]
앤디 (일리앙)마리아나 제도, 대만, 중국불명14
베스일본23.2억달러95
세실 (롤랭)대만, 중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불명54
닷 (미딩)대만, 중국불명없음
엘리스 (오양)일본불명5
페이 (노밍)필리핀, 대만176만달러29 (23)[65]
호프 (파싱)베트남불명없음
어빙 (루핑)필리핀, 중국1300만달러65 (29)[65]
주디 (수상)일본불명26 (8)
켄 (테링)일본불명5
맥 (우딩)마리아나 제도, 일본150만달러없음
낸시 (웰링)필리핀, 베트남5600만달러128 (30)
오웬마리아나 제도없음없음
파멜라 (아닝)미크로네시아 연방, 마리아나 제도, 필리핀불명없음
로저 (비당)필리핀불명없음


  • 필리핀: 태풍 낸시는 필리핀 북부를 통과하면서 5600만달러의 피해를 입혔고, 128명(추가로 30명 실종)이 사망했다. 태풍 어빙은 필리핀 전역, 특히 루손섬 남부 12개 주를 강타하여 나무를 쓰러뜨리고 지붕을 뜯어냈으며, 65명이 사망하고 29명이 실종되었다.
  • 일본: 태풍 베스는 일본에 23.2억달러의 피해를 입히고 95명의 사망자를 냈다. 태풍 주디는 일본 남동부에 상륙하여 26명의 사망자를 냈고, 태풍 켄은 시코쿠에 강풍과 폭우를 내려 5명이 사망했다.
  • 베트남: 열대 폭풍 마미는 베트남에 상륙한 후 산악 지형에서 급격히 약화되었으며, 열대 폭풍 호프는 남중국해를 거쳐 베트남으로 이동했다. 태풍 낸시는 베트남 북부에 상륙했다.
  • 대한민국: 태풍 세실의 영향으로 54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다.

4. 1. 대한민국

1982년 8월 4일부터 8월 14일까지 발생한 태풍 세실은 대한민국에 영향을 주었다. 매우 강력한 태풍으로 발달했던 세실은 대만, 중국을 거쳐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대한민국에서는 54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다.[65]

4. 2. 일본

태풍 세실의 영향으로 류큐 열도 인근에서 거친 파도가 발생하여 약 22366646.17kg톤의 월드 코스모스와 약 3314853.99kg톤의 선박이 조난을 겪었다.[7] 일본 본토에서는 미야자키현오이타현에서 3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미야자키현 히노카게에서는 2,100가구가 정전되고 500명의 주민이 대피했다.[32]

태풍 엘리스는 일본 남서부에 최대 711mm의 폭우를 내려 해당 지역의 생활에 큰 피해를 주었다. 일본 전역에서 5명이 사망했으며,[7] 나가사키현의 많은 주민들이 태풍 접근 전에 집에서 대피했다.[39] 규슈와 시코쿠 섬을 오가는 거의 모든 국내선 항공편이 취소되어 약 5,000명의 승객이 발이 묶였고, 시코쿠에서는 14,000가구가 정전을 겪었다.[40] 가고시마현미야자키현에서 각각 1명이 사망했다.[39] 전체적으로 20채의 가옥이 파괴되었고, 985채의 가옥이 침수되었으며, 6개의 다리가 유실되었고, 137곳에서 산사태가 발생했다.[41] 특히 미야자키, 가고시마 및 오이타현에서 발생한 19곳의 산사태로 인해 미야자키에서 4,604명이 집을 떠나야 했다.[42] 전국적으로 5명이 사망하고 27명이 부상당했다.[43]

태풍 주디는 70kn의 강풍을 동반하여 9월 12일 일본 남동부에 상륙했으며, 쏟아지는 폭우로 25명이 사망하고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53]

일본을 강타한 네 번째 태풍인 켄은 시코쿠에 최고 114kn의 강풍과 6시간 동안 221mm의 강수량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발생한 산사태로 수천 채의 가옥이 피해를 입었고,[54] 5명이 사망했다.[7]

4. 3. 필리핀

태풍 어빙은 필리핀 전역에서 루손섬 남부 지역의 12개 주를 강타하여 나무를 쓰러뜨리고 지붕을 뜯어냈다.[49] 또한, 나무를 뿌리째 뽑고, 전력 및 전화선을 끊고, 산사태를 유발했으며 여러 국내선 항공편을 취소하게 만들었다. 학교는 휴교했다.[49] 알바이주소르소곤주에서만 7,890채의 가옥이 파손되었다. 그 결과 23,101가구, 즉 약 138,500명의 사람들이 집을 잃었다.[50]

전국적으로 65명이 사망하고 26명이 부상했으며 29명이 실종되었다. 총 44,383가구, 즉 248,040명의 주민이 대피소로 대피했다. 또한 18,488채의 가옥이 손상되었고 5,599채가 파괴되었다. 국가의 피해는 23.3억달러로 평가되었으며, 이 중 농작물 피해가 14.2억달러였다.[51] 폭풍 이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294000USD의 구호 자금 지원을 지시했다.[52]

4. 4. 기타 국가

1982년 서태평양에서는 총 37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으며, 이 중 26개가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다. 19개의 폭풍이 태풍 세력으로 발달했으며, 그 중 2개는 매우 강한 태풍 세력이었다. 16개의 열대 저기압이 상륙했는데, 필리핀을 통과한 것이 8개, 중국을 강타한 것이 4개, 베트남에 영향을 준 것이 3개, 일본을 통과한 것이 3개였다.

열대 폭풍 마미는 3월 중순에서 후반에 걸쳐 서태평양을 가로질러 필리핀과 베트남에 영향을 주었다. 3월 19일, 이 폭풍은 강해지면서 눈벽을 짧게 형성한 후 민다나오의 필리핀 동부 해안으로 상륙했다.[4] 일본 기상청과 JTWC는 각각 최대 풍속 95km/h와 115km/h를 추정했다.[6] 매미는 육상에서 약화되어 3월 21일 남중국해로 진입했다.[4] 3월 24일 정오, 매미는 냐짱에 상륙했고[4] 이후 산악 지형의 내륙에서 급격히 약화되었다.[7]

수리가오델수르는 열대 폭풍의 주 피해 지역이었으며,[11] 전국에서 117명이 사망했고,[9] 8명이 부상을 입었다.[65] 홍수로 인해 부키드논에서 13명이 사망했고,[10] 수리가오에서는 28명이 사망하고 41명이 실종되었으며,[11][12] 이 중 14명은 비스리그 해안의 고속정에 탑승하고 있었다.[12] 전국적으로, 이 사이클론은 11,147채의 가옥을 손상시키고[14] 1,880채를 파괴했으며,[15] 15,654명이 집을 잃고[16] 대부분이 대피소로 향했다.[17] 재산 피해는 1억달러였으며,[12] 여기에는 개인 및 정부 건물에서 발생한 4000만달러의 피해가 포함되었다.[10]

열대 폭풍 호프는 9월 초 남중국해를 거쳐 베트남으로 이동했다.

태풍 낸시는 꾸준히 서쪽으로 이동하는 태풍으로, 필리핀 북부를 거쳐 하이난섬 남쪽을 지나 베트남 북부에 상륙했다.

5. 태풍 이름

1982년 태풍 시즌 동안 서태평양에서 26개의 이름이 붙은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으며, 이들은 열대 폭풍으로 발전했다고 판단되었을 때 합동 태풍 경보 센터(Joint Typhoon Warning Center)에 의해 명명되었다. 이 이름들은 1979년의 수정된 목록에 기여되었다.

매미(Mamie)넬슨(Nelson)오데사(Odessa)팻(Pat)루비(Ruby)스킵(Skip)테스(Tess)밸(Val)위노나(Winona)앤디(Andy)베스(Bess)세실(Cecil)닷(Dot)
엘리스(Ellis)페이(Faye)고든(Gordon)호프(Hope)어빙(Irving)주디(Judy)켄(Ken)롤라(Lola)맥(Mac)낸시(Nancy)오웬(Owen)파멜라(Pamela)로저(Roger)


참조

[1] 웹사이트 Typhoon 198206 (TESS/VAL). http://agora.ex.nii.[...] Digital Typhoon 2008-10-31
[2] 보고서 RSMC Best Track Data – 1980–1989 http://www.jma.go.jp[...] 1992-10-10
[3] 웹사이트 Annual Report on Activities of the RSMC Tokyo – Typhoon Center 2000 http://www.jma.go.jp[...]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01-02
[4] 보고서 Annual Tropical Cyclone Report: 1982 http://www.usno.navy[...] United States Navy, United States Airforce
[5] 서적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aoml.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s Atlantic Oceanographic and Meteorological Laboratory 2004-04-26
[6] 보고서 1982 Mamie:Mimie (1982073N07153) http://atms.unca.edu[...]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 보고서 Meteorological Results: 1982 http://www.hko.gov.h[...] Hong Kong Observatory
[8] 웹사이트 Tropical Storm 1W Best Track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2-12-17
[9] 보고서 EM-DAT Disaster List http://www.emdat.be/[...] Centre for Research on the Epidemiology of Disasters
[10] 뉴스 International News 1982-03-24
[11] 뉴스 International News 1982-03-22
[12] 뉴스 Killer storms in Philippines 1982-03-23
[13] 뉴스 Philippines braces for second pre-season typhoon 1982-03-23
[14] 보고서 Destructive Typhoons 1970-2003 http://baseportal.co[...] National Disaster Coordinating Council 2004-11-09
[15] 보고서 Destructive Typhoons 1970-2003 http://baseportal.co[...] National Disaster Coordinating Council 2004-11-09
[16] 뉴스 Philippines storm takes lives of 28 https://news.google.[...] 1982-03-23
[17] 뉴스 2nd storm threatens Philippines https://news.google.[...] 1982-03-22
[18] 뉴스 Typhoon Nelson lashes Philippines 1982-03-25
[19] 웹사이트 Typhoon Nelson.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5
[20] 웹사이트 Typhoon Odessa.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5
[21] 웹사이트 Typhoon Pat.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5
[22] 웹사이트 Typhoon Ruby.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5
[23] 뉴스 Foreign News Briefs 1982-06-27
[24] 서적 Tropical Cyclone Rainfall Data http://www.wpc.ncep.[...] United States Weather Prediction Center 2023-01-03
[25] 웹사이트 Tropical Storm Tess.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5
[26] 웹사이트 Chapter 3.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5
[27]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List of weather charts on July 17, 1982 (Sat) http://agora.ex.nii.[...]
[28] 웹사이트 Super Typhoon Bess.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5
[29] 웹사이트 Typhoon Cecil.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5
[30] 뉴스 International News 1982-08-11
[31] 뉴스 Landslide triggered by rain kills 18 1982-08-11
[32] 뉴스 Cecil leaves 5 dead or missing 1982-08-13
[33] 뉴스 International News 1982-08-14
[34] 뉴스 Foreign News Briefs 1982-08-16
[35] 뉴스 International News 1982-08-14
[36] 웹사이트 Typhoon Dot.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6
[37]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s in 2005. http://www.weather.g[...] Hong Kong Observatory 2007-02-19
[38] 웹사이트 Typhoon Ellis.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6
[39] 뉴스 Typhoon No. 13 Likely to Cut Across Kyushu 1982-08-26
[40] 뉴스 Pacific typhoons take heavy toll 1982-08-02
[41] 뉴스 Storm Leaves Four Dead In Southern Japan 1982-08-27
[42] 뉴스 International News 1982-08-26
[43] 뉴스 Typhoon No. 13 Leaves 5 Dead 1982-08-27
[44] 뉴스 3 Koreans Dead in Typhoon 1982-08-29
[45] 웹사이트 Typhoon Faye.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6
[46] 웹사이트 Typhoon Gordon.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6
[47] 웹사이트 Tropical Storm Hope.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6
[48] 웹사이트 Typhoon Irving.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6
[49] 뉴스 Tropical storm kills 12 1982-09-09
[50] 뉴스 Tropical storm Irving moves out to sea 1982-09-10
[51] 간행물 Destructive Typhoons 1970–2003 http://baseportal.co[...] National Disaster Coordinating Council 2004-11-09
[52] 뉴스 Death toll from Irving rises to 37 1982-09-11
[53] 웹사이트 Typhoon Judy.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5
[54] 웹사이트 Typhoon Ken.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5
[55] 웹사이트 Tropical Storm Lola.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6
[56]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22.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6
[57] 웹사이트 Super Typhoon Mac.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6
[58] 웹사이트 DEADLIEST TYPHOONS OF THE PHILIPPINES: (1947 - 2002). http://www.typhoon20[...] David Michael V. Padua 2007-01-05
[59] 웹사이트 Typhoon Nancy.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5
[60]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25.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6
[61] 웹사이트 Typhoon Owen.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6
[62] 웹사이트 Typhoon Pamela.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5
[63] 웹사이트 Typhoon Roger. http://www.usno.navy[...]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07-01-06
[64] 뉴스 Typhoon death toll rises to 18 1982-03-28
[65] 웹사이트 Destructive Typhoons 1970-2003 http://baseportal.co[...] National Disaster Coordinating Council 2004-11-09
[66] 웹사이트 デジタル台風:1982年シーズンの台風履歴 http://agora.ex.nii.[...] 2020-06-05
[67] 문서 국가태풍센터 자료실 - 내습빈도 http://www.kma.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