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2년 한국시리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2년 한국시리즈는 KBO 리그 출범 첫 해에 열린 한국시리즈로, 전기 리그 우승팀 OB 베어스와 후기 리그 우승팀 삼성 라이온즈가 맞붙었다. 1차전은 무승부로 종료되었고, 이후 OB 베어스가 4승 1무 1패의 성적으로 삼성 라이온즈를 꺾고 초대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김유동은 6차전에서 만루 홈런을 기록하며 MVP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2년 10월 - 1982년 일본 시리즈
    세이부 라이온즈가 주니치 드래건스를 4승 2패로 꺾고 우승한 1982년 일본 시리즈는 데이터 야구 도입, 투수 분업 시스템 중요성 부각 등 일본 야구 역사에 영향을 미쳤으며, 히가시오 오사무 MVP 수상, 한국 프로야구 출범 영향, 주니치 팬 소동과 돌멩이 사건 등 논란을 낳았다.
  • 1982년 10월 - 가쓰타 기요타카
    가쓰타 기요타카는 과거 전과를 숨기고 소방관으로 근무하며 유흥업소 여성을 상대로 강도살인 등의 범죄를 저지르다 경찰관 습격 및 권총 강탈 후 연쇄 강도살인으로 체포되어 사형이 집행된 일본의 연쇄 살인범으로, 그의 사건은 사형 제도 논쟁을 야기했다.
  • OB 베어스 포스트시즌 - 1995년 한국시리즈
    OB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가 맞붙은 1995년 한국시리즈는 OB 베어스가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우승을 차지했으며, OB 베어스는 정규 시즌 1위로 직행, 롯데 자이언츠는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진출, 각 방송사 TV와 라디오로 중계되었다.
  • OB 베어스 포스트시즌 - 1987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1987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은 해태 타이거즈가 플레이오프에서 OB 베어스를 꺾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여 삼성 라이온즈를 4전 전승으로 꺾고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한 해이다.
  • 1982년 야구 - 레드 쇼인딘스트
    레드 쇼인딘스트는 "레드"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 코치로, 뛰어난 수비력과 양손 타격 능력으로 10번의 올스타에 선정되었으며, 선수와 감독으로서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하고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이다.
  • 1982년 야구 - 1982년 일본 시리즈
    세이부 라이온즈가 주니치 드래건스를 4승 2패로 꺾고 우승한 1982년 일본 시리즈는 데이터 야구 도입, 투수 분업 시스템 중요성 부각 등 일본 야구 역사에 영향을 미쳤으며, 히가시오 오사무 MVP 수상, 한국 프로야구 출범 영향, 주니치 팬 소동과 돌멩이 사건 등 논란을 낳았다.
1982년 한국시리즈
1982년 한국시리즈 정보
개최 연도1982년
우승 팀 로고오비 베어스
준우승 팀 로고삼성 라이온즈
우승 팀OB 베어스 (전기 1위)
우승 팀 승리 수4
무승부 수1
우승 팀 감독김영덕
우승 팀 시즌 성적56승 24패
전기리그 1위 (29승 11패)
후기리그 2위 (27승 13패)
상대 팀삼성 라이온즈 (후기 1위)
상대 팀 승리 수1
상대 팀 감독서영무
상대 팀 시즌 성적54승 26패
전기리그 2위 (26승 14패)
후기리그 1위 (28승 12패)
경기 일정1982년 10월 5일 ~ 10월 12일
MVP김유동

2. 프로야구 출범 첫 시즌

1982년 3월 27일, KBO 리그가 출범하면서 한국 스포츠 역사에 새로운 장이 열렸다. 리그는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각 리그 우승팀이 한국시리즈에서 맞붙는 방식이었다. 전기 리그에서는 OB 베어스가, 후기 리그에서는 삼성 라이온즈가 우승을 차지했다.

전기 리그 순위
순위구단승률
1OB 베어스29110.752
2삼성 라이온즈26140.650
3MBC 청룡22180.550
4해태 타이거즈20200.500
5롯데 자이언츠13270.325
6삼미 슈퍼스타즈10300.250



후기 리그 순위
순위구단승률
1삼성 라이온즈28120.700
2OB 베어스27130.675
3MBC 청룡24160.600
4해태 타이거즈18220.450
4롯데 자이언츠18220.450
6삼미 슈퍼스타즈5350.125


2. 1. 전기 리그 순위

OB 베어스가 29승 11패로 전기 리그 1위를 차지했고, 삼성 라이온즈가 26승 14패로 그 뒤를 이어 2위를 기록했다.[1]

2. 2. 후기 리그 순위

삼성 라이온즈가 후기 리그에서 28승 12패로 1위를, OB 베어스가 27승 13패로 2위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전기 리그 우승팀인 OB 베어스와 후기 리그 우승팀인 삼성 라이온즈가 1982년 한국시리즈에서 맞붙게 되었다.

3. 경기 결과

OB 베어스가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4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1982년 한국시리즈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 정규 시즌 전기 리그는 OB 베어스가, 후기 리그는 삼성 라이온즈가 우승하여 한국시리즈가 7전 4선승제로 치러졌다.[1]

경기날짜 및 장소결과비고
1차전10월 5일, 대전 한밭 운동장 야구장3:3 무승부15회 연장
2차전10월 6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삼성 9:0 OB
3차전10월 8일, 동대문야구장OB 5:3 삼성
4차전10월 9일, 동대문야구장OB 7:6 삼성
5차전10월 10일, 동대문야구장OB 5:4 삼성
6차전10월 12일, 동대문야구장OB 8:3 삼성OB 베어스, 한국시리즈 우승


3. 1. 1차전

1982년 10월 5일, 대전 한밭 운동장 야구장에서 1차전이 개최되었다. 삼성 라이온즈OB 베어스는 15회까지 가는 접전 끝에 3:3 무승부를 기록, 한국시리즈 최초의 무승부 경기로 기록되었다.[1] 삼성 함학수는 한국시리즈 최초의 홈런을 기록했다.[1]

1차전 선발 투수로 삼성은 권영호가, OB는 강철원이 각각 등판하였다.[1] OB는 1회말 윤동균이 중견수 앞 안타를 치고 나간 상황에서 신경식의 좌익수를 넘어가는 적시 2루타와 김유동의 중견수 앞 적시타로 먼저 2점을 얻었다.[1] 5회말에도 윤동균이 2루타를 치고 나간 상황에서 김우열이 우익수 앞 적시타로 3-0으로 달아났다.[1]

6회초 삼성은 오대석이만수가 연속 볼넷으로 나간 후 1사 상황에서 함학수가 OB 선발 강철원의 낮은 직구를 걷어 올려 왼쪽 담장을 넘기는 2점 홈런을 터뜨렸다.[1] 9회초 2사 상황에서 삼성은 배대웅이 중견수 키를 넘기는 적시 2루타를 기록하며 3-3 동점이 되었다.[1]

이후 양 팀은 투수전으로 팽팽히 맞섰다.[1] 특히 OB의 선우대영은 예상을 깨고 6이닝 동안 무실점으로 호투하였다.[1] 양 팀은 15회말까지 4시간 35분 동안 승부를 가리지 못하였다.[1]

3. 2. 2차전

10월 6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 삼성OB를 9:0으로 크게 이기며 한국시리즈 첫 승을 거두었다. 삼성 이선희는 한국시리즈 최초의 승리 투수가 되었다.

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득점안타에러
OB 베어스00000000005-
삼성 라이온즈06020001X99-
* 승리투수: 이선희 * 패전투수: 계형철 * 세이브투수: 성낙수



2회말 삼성은 함학수의 안타, 볼넷, 허규옥의 스리 번트로 만든 무사 만루에서 김한근의 2타점 적시타, 계형철의 폭투와 내야 실책으로 2점을 추가했다. OB는 투수를 박상열로 교체했지만, 삼성은 다시 2점을 더해 6:0으로 앞서나갔다.

4회말 삼성은 배대웅의 3루타 등으로 2점을, 8회말 1점을 추가하며 승리했다.

삼성 선발 이선희는 5⅔이닝 3안타 무실점, 구원 투수 성낙수는 3⅓이닝 2안타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팀 승리에 기여했다.

한편, 이날 경기에서 OB 유지훤이 더블 플레이를 만들었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OB 선수들이 초반 대량 실점에 경기를 포기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3. 3. 3차전

10월 8일 동대문야구장에서 열린 3차전에서 OB 베어스가 삼성 라이온즈를 5:3으로 꺾고 시리즈 첫 승을 신고했다. 선우대영이 승리 투수가 되었고, 박철순이 세이브를 기록했으며, 권영호가 패전 투수가 되었다. 삼성의 정현발은 8회에 2점 홈런을 쳤다.[1]

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득점안타
삼성 라이온즈00010002038
OB 베어스00102110X511
* 승리 투수: 선우대영 * 패전 투수: 권영호 * 세이브 투수: 박철순
* 홈런: 정현발 (8회 2점, 삼성)


3. 4. 4차전

10월 9일 동대문야구장에서 4차전이 개최되었다. OB 베어스가 삼성 라이온즈를 7:6으로 꺾고 시리즈 전적 2승 1무 1패를 기록했다. OB는 황태환이 승리 투수가 되었고, 박철순이 세이브를 기록했으며, 삼성의 황규봉은 패전 투수가 되었다. OB의 김우열은 4회에 1점 홈런을, 정종현은 5회에 1점 홈런을 쳤고, 삼성의 장태수는 3회에 2점 홈런을 기록했다.[1]

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득점안타에러
OB 베어스0001105007--
삼성 라이온즈0022002006--
승리 투수황태환
패전 투수황규봉
세이브 투수박철순
홈런OB : 김우열(4회 1점), 정종현(5회 1점)


3. 5. 5차전

10월 10일, 동대문야구장에서 1982년 한국시리즈 5차전이 개최되었다. OB 베어스가 삼성 라이온즈를 5:4로 꺾고 3승 1무 1패를 기록, 우승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득점안타에러
삼성 라이온즈0000202004--
OB 베어스3010000015--
승리 투수: 황태환 패전 투수: 이선희
홈런: 오대석(5회 2점), 박찬(7회 2점, 이상 삼성), 김유동(1회 2점), 김우열(3회 1점, 이상 OB)


3. 6. 6차전

10월 12일, 동대문야구장에서 열린 1982년 한국시리즈 6차전에서 OB 베어스가 삼성 라이온즈를 8:3으로 꺾고 시리즈 전적 4승 1무 1패로 한국시리즈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1] OB의 김유동은 9회초 역전 만루 홈런을 터뜨려 한국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1]

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득점안타에러
OB 베어스0110100058--
삼성 라이온즈2010000003--
승리투수박철순
패전투수이선희
홈런김유동(OB, 2회 1점, 9회 4점)


4. 기타

1차전 시구는 당시 충청남도지사였던 유흥수가 맡았다.[1]

5. 방송 중계

1982년 한국시리즈는 KBS 1TV, KBS 2TV, MBC TV에서 TV 중계되었고, KBS 제1라디오, MBC AM에서 라디오로 중계되었다.[1]

5. 1. TV

KBS 1TV, KBS 2TV, MBC TV에서 중계되었다. 중계 방송사와 해설은 다음과 같다.

방송 채널캐스터(한국시리즈 차전)해설위원
KBS 1TV불명(5)하일성
KBS 2TV이장우(1), 이세진(3)
MBC TV불명(2), 김용(4), 임주완(6)허구연


5. 2. 라디오

KBS 제1라디오MBC AM을 통해 중계되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