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구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구연은 대한민국의 야구인으로 선수, 지도자, 해설 위원, 행정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선수 시절과 지도자 경력을 거쳐 1982년부터 MBC 야구 해설 위원으로 활동하며 인기를 얻었고, 이후 MBC 스포츠 하이라이트 진행, MBC 및 MBC 스포츠+ 야구 해설 위원 등으로 방송 활동을 이어갔다. KBO 야구발전위원장과 (주)KSN 대표 이사를 역임했으며, 2022년 3월 25일에는 KBO 총재로 선출되었다. 또한 야구 발전을 위한 사회 공헌 활동과 야구 인프라 개선 노력에도 힘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보 핀토스 감독 - 김진영 (야구인)
김진영은 대한민국의 야구인으로 1990년 은퇴 후 미국으로 이민, 플로리다주에서 여생을 보내다 2020년 노환으로 사망했다. - 청보 핀토스 감독 - 강태정
강태정은 대구의 초, 중,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건국대학교 체육학과와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체육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 KBO 총재 - 이웅희 (1931년)
이웅희는 서울대학교 공대 출신 언론인이자 정치인으로서, 기자 및 편집국장, 청와대 공보수석비서관, 문화공보부 장관, 그리고 3선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그의 활동은 언론 통제 및 정권 홍보에 대한 논란과 함께 민주주의 발전에 대한 기여 여부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다. - KBO 총재 - 홍재형
홍재형은 재무부 사무관으로 공직을 시작해 재무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을 역임한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이며, 국회의원과 국회부의장, 관세청장, 한국외환은행장, KBO 총재를 지냈다. - 한국 실업 야구 선수 - 김인식 (1947년)
김인식은 선수 시절 투수로 활동하다 은퇴 후 배문고, 상문고, 동국대학교 야구부 감독을 거쳐 프로야구 감독으로 활동하며 한국시리즈 우승, 아시안 게임 금메달, WBSC 프리미어12 우승 등을 이끌었고 현재는 KBO 규칙위원회 및 기술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 한국 실업 야구 선수 - 김진영 (야구인)
김진영은 대한민국의 야구인으로 1990년 은퇴 후 미국으로 이민, 플로리다주에서 여생을 보내다 2020년 노환으로 사망했다.
허구연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허구연 |
영문 표기 | Huh Goo-Yeon |
국적 | 대한민국 |
출신지 | 경상남도 진주시 |
생년월일 | 1951년 2월 25일 |
수비 위치 | 내야수 |
투구 | 우 |
타석 | 우 |
![]() | |
선수 경력 | |
선수 경력 | 상업은행(1970년) 한일은행(1975년~1978년) |
코치 경력 | |
코치 경력 | 롯데 자이언츠 수석코치(1987년~1989년) 토론토 블루제이스 마이너리그 코치(1990년) |
감독 경력 | |
감독 경력 | 청보 핀토스 감독(1986년) |
해설자 경력 | |
해설자 경력 | MBC 해설(1982년~1985년, 1991년~2022년) MBC 스포츠플러스 해설(2001년~2022년) |
기타 경력 | |
기타 경력 | 한국야구위원회 야구발전위원장(2019년~2020년) 일구회 부회장(2010년~) KBO 총재(2022년~) |
2. 선수 경력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1학년 때 부산으로 이주하여 성장했다.[1] 부산 대신초등학교 시절이던 1959년에 야구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경남중학교,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고려대 진학이 예정됐지만 동료의 진로 문제로[2] 상업은행으로 진로를 변경, 1970년에 입행하여 실업야구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71년 고려대학교 체육학과에 체육특기자로 진학하여 야구부 4번 타자로 활약하며 대학 야구 홈런왕에 등극하기도 했다. 1972년에는 예비고사를 쳐서 고려대 법학과에 재입학했다.
1975년 2월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일은행 야구단에 들어가 실업야구로 복귀했다. 1975년, 1976년 2년 연속 실업야구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그러나 1976년 대전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있었던 한일 실업야구 올스타전에서 정강이뼈 골절상을 당했고, 결국 1978년 실업야구 시즌 도중 선수 생활을 마감해야 했다. 이후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에 진학, 금성계전(주)(현 LS산전)에 입사하여 회사 생활과 학업을 병행하여 1981년 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2. 1. 학창 시절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1학년 때 부산으로 이주하여 성장했다.[1] 대신초등학교, 경남중학교,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고려대 진학이 예정되었지만 동료의 진로 문제로 상업은행으로 진로를 변경했다.[2] 1971년 고려대학교 체육학과에 체육특기자로 진학하여 야구부 4번 타자로 활약하며 대학 야구 홈런왕에 등극하기도 했다. 1972년에는 예비고사를 쳐서 고려대 법학과에 재입학했다.2. 2. 실업 야구
허구연은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성장했다.[1]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70년 상업은행에 입행하여 실업 야구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1] 고등학교 2학년 때 고려대 진학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동료의 진로 문제로 상업은행으로 진로를 변경했다.[2]1975년 한일은행 야구단에 입단하여 실업 야구 선수로 복귀했다. 1975년과 1976년 2년 연속 실업야구 올스타에 선정되기도 했다.[1] 그러나 1976년 대전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정강이뼈 골절상을 당했고, 1978년 시즌 도중 선수 생활을 마감해야 했다.[1]
3. 지도자 경력
허구연은 선수 은퇴 후 지도자로 활동했다. 1985년 청보 핀토스 감독을 맡았으나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었고, 롯데 자이언츠 코치를 거쳐 토론토 블루제이스 산하 마이너 리그에서 코치로 활동했다.
3. 1. 코치
1987년 3월 5일부터 3년 계약 형식으로 고향팀 롯데 자이언츠 코치를 맡았다.[8] 그러나 경남고등학교 출신인 김청옥, 김성관 등과 함께 코칭스태프진을 구성하여 "경남고 일색"이라는 비판을 받았다.[9] 같은 해 부산 개막전에서 선수단 소개 중 롯데 코치로 소개되자[10] 2만 7천여 관중들이 열렬한 박수를 보냈다. 1989년 시즌 후, 청보 감독 전임자였던[11] 김진영 감독이 부임하면서 단행된 개편에 따라 김청옥, 김성관 코치 등과 함께 팀을 떠났다. 1990년에는 토론토 블루제이스 산하 마이너 리그에서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했으며, 이에 앞서 롯데 5대 감독(최종 김진영) 물망에 올랐으나 미국 유학으로 인해 무산되었다.[12]3. 2. 감독
1985년 10월 17일부터 3년 계약으로 청보 핀토스 감독을 맡았으나,[3] 성적 부진으로 1986년 5월 10일 강태정 수석코치에게 감독 대행을 맡기고 일본 연수를 떠났다.[4] 1986년 6월 12일 귀국하여 감독에 복귀했지만,[5] 후기 리그에서도 성적이 나아지지 않아 같은 해 8월 6일 다시 강태정 코치에게 감독 대행을 맡겼다.[6] 결국 1986년 9월 14일, 시즌이 7위로 마감되자 청보 핀토스는 허구연을 복귀시키지 않고 강태정의 직함에서 '대행'을 떼는 것으로 인사를 정리했다.[7]4. 해설 위원 경력
허구연은 1978년 동아방송에서 처음 야구 해설을 시작했다.[1] 1982년 KBO 리그가 출범하자 MBC의 야구 해설직을 맡았다.[1] 청보 핀토스 감독을 맡았던 1985년을 제외하고,[3] 1991년부터 박영길의 후임으로 MBC 및 MBC 스포츠+에서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다가 2022년 KBO 총재로 선임되면서 해설에서 물러났다.[13][19]
4. 1. 방송 활동
- MBC 수목드라마 - 이브의 모든 것(특별출연, 2000)
- 목요드라마 식샤를 합시다(tvN) - 구대영의 아버지 역(특별출연, 2013)
- KBS 드라마 스페셜 - 슬로우(KBS2) - (특별출연, 2017)
- 으라차차 와이키키 2(JTBC) - 스포츠 해설가 역(목소리, 특별출연, 2019)
- MBC 스포츠 하이라이트(고정진행, 1999)
- 마이 리틀 텔레비전(게스트 출연, 2015)
- MBC, MBC 스포츠+ 야구 해설 위원(1982~1985, 1991~2022)
- 황금어장 - 무릎팍도사(MBC, 게스트 출연, 2009)
- 2009 외인구단(MBC) - 해설자 역(2009)
- 세바퀴 - 게스트 출연(2010)
- 직업의 세계 - 일인자(EBS) - 야구를 말하다, 야구해설가 허구연 편(2013)
- 한국시리즈 프로야구의 중흥(SBS, 1995)
- 스포츠 매거진(MBC)
- 팟캐스트 인생수업 허구연편
2013년 7월에는 팟캐스트 녹음현장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하기도 했다.
5. 행정가 경력
허구연은 KBO 야구발전위원장, 야구정보회사인 (주)KSN의 대표 이사를 역임했다.[14] 2022년 3월 25일에는 KBO 총재로 선출되었다.[19]
6. 학력
7. 사회 공헌 활동
2000년부터 일간스포츠와 함께 ‘허구연 야구 발전 장학회’를 만들어 야구 발전에 지원하고 있다.[20] 2007년 2월에는 캄보디아 프놈펜 왕립 대학의 김길현 교수가 대학에 창단한 야구단에 기술 지도를 하고 야구 용품을 지원했다.[21] 2009년에는 강진 베이스볼 파크 중 한 면의 내야 인조잔디 공사비 등을 전액 부담하여 국내 최초의 개인 네이밍 야구장인 '허구연 필드'를 준공하는데 일조하였다.[22]
2012년에는 고양시에 다문화 및 새터민 어린이들을 위한 무지개리틀야구단을 창단하여 5~10월에 2주에 한 번씩 아이들에게 야구 훈련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8. 기타
허구연은 야구 관련 인프라 개선 및 확충에 많은 관심을 쏟는 야구인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어와 영어에도 능통하다.
8. 1. 야구 인프라 개선 노력
허구연은 야구 관련 인프라, 특히 노후화된 야구장 시설 개선 및 확충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특히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의 노후 시설을 여러 차례 지적했으며, KBO 야구발전실행위원회에서 야구장 건립 매뉴얼을 감수하기도 했다.[23]8. 2. 어록
- 아~ 대쓰요, 노쳐쓰요!
- 저 타구는 정말 독도를 넘긴거 같네요. "독도는 넘겼어요" 진짜 대마도까지 갔네요 대마도까지~ (2008년 하계 올림픽 준결승전 당시 이승엽 선수가 홈런을 쳤을 때 사용했던 말)
- 고마워요! 고마워요 사토~ (2008년 하계 올림픽 준결승전 당시 고영민 선수 친 홈런성 타구를 놓쳤을 때 사용했던 말. 당시 좌익수가 G.G.사토로 알려진 사토 다카히코였다.)
참조
[1]
뉴스
인물로 보는 부산야구 <20> 허구연(상)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01-08-28
[2]
뉴스
궁금하게 만들어라
https://n.news.naver[...]
매일경제
2019-08-12
[3]
뉴스
프로야구에 첫 34세 감독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85-10-18
[4]
뉴스
허(許)구연감독 일선서 후퇴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86-05-11
[5]
뉴스
허(許)구연감독 팀 복귀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86-06-13
[6]
뉴스
허(許)구연 감독 전격 해임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86-08-07
[7]
뉴스
핀토스,강(姜)태정 정식감독 임명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86-09-17
[8]
뉴스
許龜淵씨、롯데에 입단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87-03-05
[9]
뉴스
"실업(失業)"감독들,「구직(求職)작전」한창 "코치라도 괜찮다"각구단(各球団) 빈자리 물색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87-01-29
[10]
뉴스
프로야구소식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87-04-06
[11]
뉴스
[안녕! Mr. 전설] ‘국민해설가’ 허구연의 ‘짧은 외도’
https://sports.news.[...]
MK스포츠
2013-09-27
[12]
뉴스
[人+間(인+간)] 허구연 - 야구선수 15년 · 마이크 30년을 말하다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11-03-26
[13]
뉴스
[프로야구] "선수熱意 체력따라 팀 재편"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0-12-13
[14]
뉴스
[프로야구] "선수熱意 체력따라 팀 재편"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0-12-13
[15]
뉴스
[프로야구] "선수熱意 체력따라 팀 재편"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0-12-13
[16]
뉴스
청룡 감독에 김(金)영덕—김(金)진영씨등 4~5명 물망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87-07-21
[17]
뉴스
[프로야구] "선수熱意 체력따라 팀 재편"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0-12-13
[18]
뉴스
사령탑 대이동 "찻잔속 태풍"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1-10-15
[19]
뉴스
허구연 해설위원, 야구인 사상 첫 KBO 총재 선출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
뉴스
IS-허구연 장학회 수상자 확정
http://isplussvc.joi[...]
일간스포츠
[21]
뉴스
허구연 "캄보디아에 한국 야구 심고 왔죠"
http://isplus.joins.[...]
일간스포츠
[22]
뉴스
'허구연 야구장' 생긴다...국내 첫 '개인 네이밍'
http://sports.news.n[...]
[23]
뉴스
허구연 “인프라? 돔이 전부가 아니다”
https://sports.news.[...]
MK스포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