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쇼와 시대에서 헤이세이 시대로 연호가 바뀌고, 오릭스 버펄로스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가 창단된 해에 2경기로 치러졌다. 1차전에서는 퍼시픽 리그가 센트럴 리그를 6:0으로 이겼으며, 롯데의 무라타 조지가 MVP로 선정되었다. 2차전에서는 센트럴 리그가 4:1로 승리했으며, 주니치의 히코노 도시카쓰가 MVP를 차지했다. 경기는 TV와 라디오를 통해 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야구 - 1989년 일본 시리즈
    1989년 일본 시리즈는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긴테쓰 버펄로스를 4승 3패로 꺾고 우승했으며, 고마다 노리히로가 MVP를, 아라이 히로마사가 감투상을 수상했다.
  • 1989년 야구 - 1989년 한국시리즈
    1989년 한국시리즈는 정규 시즌 1위 빙그레 이글스와 플레이오프 승리팀 해태 타이거즈의 대결이며, 해태 타이거즈가 4승 1패로 승리하여 한국시리즈 4연패를 달성했다.
  • 1989년 7월 - 아시아 태평양 박람회
    1989년 후쿠오카시 시제 시행 100주년을 기념하여 개최된 아시아 태평양 박람회는 '새로운 세계의 만남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70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동원했으나, 예산 낭비 및 환경 문제 등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 1989년 7월 -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은 1989년 평양에서 177개국 22,000여 명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국제 행사로, "반제국주의 연대, 평화와 우정을 위하여"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되었으나, 북한 경제에 타격을 주고 남북 관계 악화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텔레비전 중계가 처음 시작된 해에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이 맞붙어 1, 2차전 모두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으며, 나카니시 후토시와 야마우치 가즈히로가 MVP를 수상했고, 찰리 루이스는 외국인 선수 최초로 포수로 선발 출전했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최고 선수들이 참가한 2경기 시리즈로, 각 리그가 1승씩을 거두었으며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들과 보충 선수들이 참가했고 TV와 라디오로 중계되었다.
198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대회 정보
명칭1989 산요 올스타 게임
후원삼양 전기
감독
센트럴 리그 감독호시노 센이치
퍼시픽 리그 감독모리 마사아키
팬 투표
센트럴 리그 최다 득표 선수이케야마 다카히로
퍼시픽 리그 최다 득표 선수가도타 히로미쓰
경기 1
날짜7월 25일
장소메이지 진구 야구장
원정팀퍼시픽 리그
홈팀센트럴 리그
스코어6 - 0
MVP무라타 조지
경기 2
날짜7월 26일
장소후지이데라 구장
원정팀센트럴 리그
홈팀퍼시픽 리그
스코어4 - 1
MVP히코노 도시카쓰

2. 경기 개요

전년도 일본 시리즈에서 3년 연속 우승한 세이부 라이온스모리 마사아키 감독이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을 지휘했고, 센트럴 리그 우승팀 주니치 드래건스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을 지휘했다.[1]

1차전에서는 롯데의 베테랑 투수 무라타 조지퍼시픽 리그 올스타팀 선발 투수로 나와 3이닝 동안 2피안타, 3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올스타전 MVP를 수상했다.[1] 2차전에서는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 감독이자 주니치 소속인 호시노 센이치 감독의 선수들이 활약했는데, 특히 히코노 도시카쓰, 우노 마사루, 나카무라 다케시 등이 공격과 수비에서 좋은 모습을 보였다. 히코노는 3회에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 투수 니시자키 유키히로(닛폰햄)를 상대로 솔로 홈런을 쳐 2차전 MVP가 됐다.[1]

2. 1. 시대적 배경

1989년 1월 7일, 쇼와 천황이 붕어하면서 연호가 쇼와에서 헤이세이로 바뀌었다.[1] 오릭스 브레이브스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가 창단되어 프로 야구계에 변화가 있었으며, 26년간 3경기 체제로 진행되던 올스타전이 이 해부터 2경기로 단축됐다.[1]

2. 2. 경기 방식

전년도에 3년 연속 일본 시리즈 정상에 오른 세이부 라이온스모리 마사아키 감독이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을 지휘했고, 센트럴 리그 우승을 이끈 주니치 드래건스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의 지휘를 맡았다. 1월 7일 쇼와 천황붕어하면서 연호가 쇼와에서 헤이세이로 바뀌었고, 프로 야구계에도 오릭스 브레이브스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가 창단하여 26년간 3경기 체제였던 올스타전이 이 해부터 2경기로 단축됐다.

3. 출장 선수

센트럴 리그[2]퍼시픽 리그[2]
감독호시노 센이치주니치감독모리 마사아키세이부
코치후지타 모토시요미우리코치오기 아키라긴테쓰
야마모토 고지히로시마곤도 사다오닛폰햄
투수오바나 다카오
니시모토 다카시
마키하라 히로미
구와타 마스미
사이토 마사키
쓰다 쓰네미
나가토미 히로시
가와구치 가즈히사
나카야마 히로아키
나이토 나오유키
야마모토 마사히로
주니치투수니시자키 유키히로
마쓰누마 히로히사
와타나베 히사노부
아와노 히데유키
오노 가즈요시
사토 세이이치
사토 요시노리
호시노 노부유키
우시지마 가즈히코
무라타 조지
닛폰햄
포수나카오 다카요시
나카무라 다케시
다쓰카와 미쓰오
요미우리포수다무라 후지오
이토 쓰토무
나카지마 사토시
닛폰햄
1루수L. 패리쉬야쿠르트1루수기요하라 가즈히로세이부
2루수시노즈카 도시오요미우리2루수오이시 다이지로긴테쓰
3루수오카자키 가오루요미우리3루수마쓰나가 히로미오릭스
유격수이케야마 다카히로야쿠르트유격수다나카 유키오닛폰햄
내야수오치아이 히로미쓰
우노 마사루
쇼다 고조
와다 유타카
오카다 아키노부
주니치내야수쓰지 하쓰히코
이시게 히로미치
부머 W.
아이코 다케시
세이부
외야수하라 다쓰노리
W. 크로마티
이노우에 신지
히코노 도시카쓰
야마자키 겐이치
히로사와 가쓰미
오사나이 다카시▲
요미우리외야수가도타 히로미쓰
아키야마 고지
후지이 야스오
아라이 히로마사
야마모토 가즈노리
M. 디아즈
다카자와 히데아키
오릭스

3. 1. 센트럴 리그

센트럴 리그[2]
감독호시노 센이치주니치
코치후지타 모토시요미우리
야마모토 고지히로시마
투수니시모토 다카시주니치7
마키하라 히로미요미우리2
구와타 마스미요미우리3
사이토 마사키요미우리첫 출장
쓰다 쓰네미히로시마5
나가토미 히로시히로시마첫 출장
가와구치 가즈히사히로시마5
나카야마 히로아키다이요2
나이토 나오유키야쿠르트첫 출장
야마모토 마사히로주니치첫 출장
오바나 다카오야쿠르트4
포수나카오 다카요시요미우리3
나카무라 다케시주니치2
다쓰카와 미쓰오히로시마5
1루수L. 패리쉬야쿠르트첫 출장
2루수시노즈카 도시오요미우리8
3루수오카자키 가오루요미우리첫 출장
유격수이케야마 다카히로야쿠르트2
내야수오치아이 히로미쓰주니치9
우노 마사루주니치2
쇼다 고조히로시마3
와다 유타카한신첫 출장
오카다 아키노부한신7
외야수W. 크로마티요미우리2
이노우에 신지요미우리첫 출장
히코노 도시카쓰주니치첫 출장
야마자키 겐이치다이요첫 출장
히로사와 가쓰미야쿠르트3
오사나이 다카시▲히로시마2
하라 다쓰노리요미우리9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 ▲는 출장 사퇴 선수 발생에 의한 보충 선수이다.[2]

3. 2. 퍼시픽 리그

[2]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

4. 경기 결과

1989년 올스타전은 3년 연속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한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모리 마사아키 감독이 전 퍼시픽 리그(올 퍼)를 이끌었고, 센트럴 리그를 제패한 주니치 드래건스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전 센트럴 리그(올 센)를 이끌었다. 이 해는 쇼와 천황붕어하고 연호가 헤이세이로 바뀌었으며, 프로 야구계에도 오릭스 브레이브스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가 탄생했고, 26년간 3경기 체제였던 올스타전이 2경기로 단축된 해였다.

1차전에서는 롯데의 베테랑 무라타 초지가 전 퍼시픽 리그 선발 투수로 나와 3이닝 2피안타 3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하여 MVP를 받았다. 2차전에서는 주니치 드래건스 소속 선수들인 히코노 토시카츠, 우노 마사루, 나카무라 타케시 등이 활약했다.

4. 1. 1차전

1989년 7월 25일에 후지이데라 구장에서 열린 올스타전 1차전은 퍼시픽 리그가 센트럴 리그를 6대 0으로 꺾었다. 롯데 오리온즈의 무라타 조지가 3이닝 동안 2피안타 3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하여 MVP로 선정되었다.[1]

경기 초반부터 퍼시픽 리그가 득점 기회를 잡았다. 1회초 닛폰햄 파이터스의 다무라 후지오가 선제 솔로 홈런을 터뜨렸고, 3회초에도 다무라 후지오가 다시 한번 타점을 올렸다. 4회초에는 오릭스 브레이브스의 후지이 야스오가 2점 홈런을 쏘아 올리며 점수 차를 벌렸다.[1]

7회초에는 다이에 호크스의 야마모토 가즈노리가 솔로 홈런을 추가하며 퍼시픽 리그가 승기를 잡았다. 센트럴 리그는 3안타 빈공에 그치며 영봉패를 당했다.[1]

이 경기에서 무라타 조지 외에도 아와노 히데유키, 우시지마 가즈히코, 와타나베 히사노부 등 퍼시픽 리그 투수들이 이어 던지며 센트럴 리그 타선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센트럴 리그에서는 니시모토 다카시를 시작으로 마키하라 히로미, 사이토 마사키 등 여러 투수가 등판했지만, 퍼시픽 리그 타선의 화력을 막아내지 못했다.[1]

1989년 올스타전 1차전 경기 결과[1]
123456789RHE
퍼시픽101300100670
센트럴000000000031



{| class="wikitable"

|+ 1989년 올스타전 1차전 출전 선수[1]

|-

! 퍼시픽 리그 !! 센트럴 리그

|-

|

타순수비선수
1(중)아키야마 고지
2(二)오이시 다이지로
3(一)부머 W.
4(좌)가도타 히로미쓰
5(三)기요하라 가즈히로
6(유)마쓰나가 히로미
7(우)후지이 야스오
8(포)다무라 후지오
9(투)무라타 조지



|

타순수비선수
1(중)W. 크로마티
2(二)쇼다 고조
3(三)오치아이 히로미쓰
4(一)L. 패리쉬
5(유)이케야마 다카히로
6(좌)야마자키 겐이치
7(우)히로사와 가쓰미
8(포)나카무라 다케시
9(투)니시모토 다카시



|}

4. 2. 2차전

1989년 7월 26일에 후지이데라 구장에서 열린 2차전은 센트럴 리그가 퍼시픽 리그를 4대 1로 이겼다. MVP는 히코노 도시카쓰(주니치 드래건스)가 차지했다.

'''센트럴 리그 vs 퍼시픽 리그'''

123456789RHE
센트럴001000021480
퍼시픽001000000160


  • '''승리 투수''': 나가토미 히로시(1승)
  • '''패전 투수''': 사토 세이이치(1패)
  • '''세이브''': 쓰다 쓰네미(1세이브)
  • '''홈런'''
  • 센트럴: 히코노 도시카쓰(1호, 솔로 - 니시자키 유키히로), 우노 마사루(1호, 솔로 - 사토 요시노리)
  • 퍼시픽: 부머 웰스(1호, 솔로 - 구와타 마스미)
  • 경기 시간: 2시간 24분


센트럴 리그 선발 라인업
타순포지션선수
1(좌)히코노 도시카쓰
2(二)와다 유타카
3(三)오카다 아키노부
4(一)L. 패리쉬
5(중)W. 크로마티
6(유)이케야마 다카히로
7(우)이노우에 신지
8(포)나카무라 다케시
9(투)구와타 마스미



퍼시픽 리그 선발 라인업
타순포지션선수
1(우)야마모토 가즈노리
2(중)아라이 히로마사
3(一)부머 웰스
4(좌)가도타 히로미쓰
5(三)기요하라 가즈히로
6(유)마쓰나가 히로미
7(二)오이시 다이지로
8(포)나카지마 사토시
9(투)오노 가즈요시


5. 미디어 중계

198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TV와 라디오를 통해 중계되었다.

1차전은 후지 TV, TV 아사히, NHK 종합에서, 2차전은 아사히 방송(TV 아사히 계열), NHK 종합에서 중계했다. 민영 방송사 간의 동시 중계는 이 해 1차전이 마지막이었다.

라디오 중계 방송사, 해설 및 실황은 아래 표와 같다.

구단방송사해설 및 실황
제1전
(7월 25일)
제2전
(7월 26일)


5. 1. TV 중계


  • 1차전(7월 25일)
  • * 민영 방송사 간의 동시 중계는 이 해의 1차전이 마지막이었다.
  • * 후지 TV
  • ** 실황: 오오카와 카즈히코
  • ** 해설: 니시모토 유키오, 타니자와 켄이치
  • ** 게스트 해설: 쿠리야마 히데키(야쿠르트), 츠노 히로시(닛폰햄)
  • ** 게스트: 가토 차, 시무라 켄, 아사노 유코, 야마다 쿠니코, 이시다 준이치, 스즈키 호나미, 헤미 마사타카
  • ** 리포터: 나가노 토모코, 나카이 미호
  • * TV 아사히
  • ** 실황: 아사오카 사토시
  • ** 해설: 타케가미 시로, 히가시오 오사무, 노무라 카츠야, 이나오 카즈히사, 야마모토 카즈유키, 쿠니사다 야스히로, 카와무라 히데후미
  • ** 게스트 해설: 나가시마 시게오
  • ** 게스트: 쿠로테츠 히로시, 쿠메 히로시, 코바야시 잇키 (이상, 뉴스 스테이션에서), 코니시키 야소키치, 미사토 미스즈
  • ** 롯폰기 TV 아사히 앞 특설 회장

진행: 오오쿠마 에이지(TV 아사히 아나운서)
게스트: 타카다 준지, 다초 클럽, 타나카 미나코

5. 2. 라디오 중계

(7월 25일)제2전
(7월 26일)


참조

[1] 서적 オールスターゲームの軌跡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1
[2] 서적 올스타전의 족적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베이스볼 매거진사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