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2년 유럽 공동체 감독 활동 헬리콥터 격추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2년 1월 7일, 유럽 공동체 감시단(ECMM) 소속 헬리콥터가 유고슬라비아 공군에 의해 격추되어 5명의 관측단원이 사망한 사건이다. 당시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발발 후, ECMM은 분쟁 감시 임무를 수행 중이었다. 이탈리아 육군 소속 헬리콥터 2대가 헝가리에서 크로아티아 영공으로 진입했고, 유고슬라비아 공군 전투기가 이를 요격하여 1대가 격추되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국제 사회의 규탄이 이어졌고, 관련자 처벌 및 재판이 진행되었다. 생존자 및 사망자에게는 훈장이 추서되었으며, 매년 추모식이 열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유럽 연합 관계 - 크로아티아의 유럽 연합 가입
  • 크로아티아-유럽 연합 관계 - 크로아티아의 유로 주화
    크로아티아의 유로 주화는 2023년 유로존 가입을 계기로 도입되었으며, 크로아티아 바둑판 무늬 배경에 크로아티아 지도, 담비, 니콜라 테슬라, 글라골 문자 등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 1992년 크로아티아 - 두브로브니크 포위전
    두브로브니크 포위전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유고슬라비아 인민군과 몬테네그로군이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를 포위, 공격하여 점령 후 세르비아나 몬테네그로에 병합하려다 실패한 사건으로,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인 두브로브니크 구시가지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전쟁 범죄 논란을 야기했다.
  • 1992년 크로아티아 - 1991년 크로아티아의 유고슬라비아 전역
    1991년 크로아티아의 유고슬라비아 전역은 크로아티아 독립 선언 후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이 개입하여 세르비아계 반군을 지원하며 시작된 무력 충돌로, 격렬한 전투와 휴전 시도, 그리고 자치 지역 수립 및 전쟁 범죄 등의 장기적인 여파를 남겼다.
  • 1992년 항공 사고 - 타이항공 311편 추락 사고
    타이항공 311편 추락 사고는 1992년 태국 방콕발 네팔 카트만두행 타이항공 여객기가 랑탕 국립공원에 추락하여 탑승자 113명 전원이 사망한 사고로, 기상 악화, 소통 문제, 기장 판단 착오 등이 원인으로 작용했으며 한국인 2명도 사망했다.
  • 1992년 항공 사고 - 마르틴에어 495편 충돌 사고
    마르틴에어 495편 충돌 사고는 1992년 포르투갈 파루 공항에 착륙하던 마르틴에어 DC-10 여객기가 악천후 속에서 추락하여 56명이 사망하고 284명이 부상당한 사고이다.
1992년 유럽 공동체 감독 활동 헬리콥터 격추 사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제목1992년 유럽 공동체 감독 활동 헬리콥터 격추 사건
일부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일부
위치포드루테, 크로아티아 인근
날짜1992년 1월 7일
목표유럽 공동체 감독 활동 헬리콥터
유형항공기 격추
사망자유럽 공동체 옵저버 5명
시행 세력유고슬라비아 공군
작전 정보
목표유럽 공동체 감독 활동 헬리콥터
추가 정보
크로아티아 지도 (1992년 1월). 세르비아/JNA 점령 지역은 빨간색으로 강조 표시됨.
1992년 1월 크로아티아 지도. 세르비아/JNA 점령 지역은 빨간색으로 강조 표시됨.

2. 배경

1990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열린 총선거에서 사회주의 정부가 패배하고 민족주의 성향의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이 집권하자 민족 갈등이 심화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ugoslovenska Narodna Armija|유고슬라벤스카 나로드나 아르미야sr)은 크로아티아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크로아티아 영토방위군(Teritorijalna obrana|테리토리알나 오브라나sr)의 무기를 전부 압수하였다.[1]

1990년 8월 17일, 크로아티아계 세르비아인들은 크닌 주변 달마티아 배후지, 리카, 코르둔, 바노비나 및 크로아티아 동부 지역에서 공개적인 반란을 일으켰다. 1991년 3월에는 파크라츠 충돌이 발생하면서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으로 확대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세르비아계 반군을 지원했다. 4월 초, 크로아티아 내 세르비아계 지도자들은 SAO 크라이나 지역을 세르비아와 통합하겠다고 발표했다.

1991년 5월, 크로아티아 정부는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Zbor narodne garde|즈보르 나로드네 가르데hr)를 창설했지만, 9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13호로 유엔의 무기 금수 조치가 내려져 어려움을 겪었다. 7월, 유럽 공동체브리유니 협정을 중재하여 유럽 공동체 감독 활동(ECMM)을 시작했다. ECMM은 슬로베니아10일 전쟁에서 교전 중단과 유고 인민군 철수를 감시했다. 그러나 8월 16일, ECMM 헬리콥터가 슬라보니아 서부에서 세르비아계 반군의 공격을 받아 조종사가 부상당했고, 9월 1일 ECMM의 감시 범위는 크로아티아로 확대되었다.

1991년 10월 8일, 크로아티아는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고, 한 달 후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은 크로아티아 육군(Hrvatska vojska|흐르바츠카 보이츠카hr)으로 개칭되었다. 두브로브니크 포위전부코바르 전투는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에서 가장 치열했던 전투였다. 11월,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유고 인민군은 밴스 계획에 합의하여 유엔보호군 산하 유엔보호구역(UNPROFOR)으로 민간인을 보호하고 크로아티아 내 유엔 평화유지군을 주둔시키기로 했다. 정전 협정은 1992년 1월 3일 발효되었다. 1991년 12월, 유럽 공동체는 1992년 1월 15일 크로아티아를 국가승인한다고 발표했다.

2. 1.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발발

1990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열린 총선거에서 사회주의 정부가 패배하고 민족주의 성향의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이 집권하자 민족 갈등이 심화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ugoslovenska Narodna Armija|유고슬라벤스카 나로드나 아르미야sr)은 크로아티아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크로아티아 영토방위군(Teritorijalna obrana|테리토리알나 오브라나sr)의 무기를 전부 압수하였다.[1] 1990년 8월 17일에는 양 민족간 긴장이 폭발하여 세르브계 크로아티아인이 스플리트에서 북쪽으로 60 km 떨어진 크닌을 중심으로 리카, 코르둔, 바노비나, 슬라보니아 등 크로아티아 정부에 반대하여 대대적인 반란을 일으켰다.[2][3]

1991년 3월 세르브계 반군과 크로아티아 특수경찰 사이 파크라츠 충돌이 일어나며 양 측간의 분쟁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이 때 유고 인민군이 개입하면서 세르브계 크로아티아 병력을 점점 더 많이 지원하였다. 4월 초에는 크로아티아 내에서 세르브계가 장악한 지역의 지도자들이 모여 자신들이 통제하고 있는 SAO 크라이나 지역을 세르비아와 통합하겠다고 발표하였다. 5월에는 크로아티아 정부가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Zbor narodne garde|즈보르 나로드네 가르데hr)를 창설하였으나, 9월부터 시작된 유엔의 무기 금수 조치(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13호)로 군대 운영에 큰 차질이 생겼다. 7월 체결된 유럽 공동체 중재의 브리유니 협정으로 유럽 공동체는 유럽 공동체 감독 활동(ECMM)을 통해 옵저버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했다. 유럽 공동체는 인접한 슬로베니아에서 일어난 10일 전쟁에서의 교전 상태 해제 및 슬로베니아의 유고 인민군 철수 여부를 감시하였다. 그러나 8월 16일, 슬라보니아 서부에서 세르브계 반군의 총격으로 ECMM 헬리콥터의 조종사 1명이 부상을 입었다. 결국 9월 1일부로 ECMM의 군사 감시 범위가 크로아티아로 확대되었다.

1991년 10월 8일,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포했으며, 한 달 후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은 크로아티아 육군(Hrvatska vojska|흐르바츠카 보이츠카hr)으로 개칭하였다. 1991년 크로아티아의 유고슬라비아 전역이 진행되던 중간 두브로브니크 전투부코바르 전투는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에서 가장 치열했던 전투였다. 11월에는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유고 인민군이 유엔보호군 산하 유엔보호구역(UNPROFOR)으로 민간인을 보호하고 크로아티아 내 유엔 평화유지군을 주둔시킨다는 정전 계획인 밴스 계획에 합의하였다. 정전 협정은 1992년 1월 3일부로 발효되었다. 1991년 12월, 유럽 공동체는 1992년 1월 15일부로 크로아티아를 국가승인하며 정식으로 수교하겠다고 발표하였다.

2. 2.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개입과 국제사회의 중재 노력

1990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열린 총선거에서 사회주의 정부가 패배하고 민족주의 성향의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이 집권하자 민족 갈등이 심화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크로아티아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크로아티아 영토방위군(TO)의 무기를 전부 압수하였다.[1] 1991년 3월 세르브계 반군과 크로아티아 특수경찰 사이 파크라츠 충돌이 일어나며 양측 간의 분쟁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으로 확대되었고,[2] 이때 유고 인민군이 개입하면서 세르브계 크로아티아 병력을 점점 더 많이 지원하였다.[3] 4월 초에는 크로아티아 내에서 세르브계가 장악한 지역의 지도자들이 모여 자신들이 통제하고 있는 SAO 크라이나 지역을 세르비아와 통합하겠다고 발표하였다.

5월에는 크로아티아 정부가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ZNG)을 창설하였으나, 9월부터 시작된 유엔의 무기 금수 조치(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13호)로 군대 운영에 큰 차질이 생겼다. 7월 체결된 유럽 공동체 중재의 브리유니 협정으로 유럽 공동체는 옵저버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했고 이를 유럽 공동체 감독 활동(ECMM)으로 운영하였다. 유럽 공동체는 인접한 슬로베니아에서 일어난 10일 전쟁에서의 교전 상태 해제 및 슬로베니아의 유고 인민군 철수 여부를 감시하였다. 하지만 8월 16일, 슬라보니아 서부에서 세르브계 반군의 총격으로 ECMM 헬리콥터의 조종사 1명이 부상을 입었다. 결국 9월 1일부로 ECMM의 군사 감시 범위가 크로아티아로 확대되었다.

2. 3. 밴스 계획과 정전 협정

1990년 크로아티아 총선에서 사회주의 정부가 패배하고 민족주의 성향의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이 집권하자 민족 갈등이 심화되었다. 1991년 3월 세르브계 반군과 크로아티아 특수경찰 사이 파크라츠 충돌이 일어나며 양 측간의 분쟁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이때 유고 인민군이 개입하면서 세르브계 크로아티아 병력을 점점 더 많이 지원하였다.

7월 유럽 공동체 중재의 브리유니 협정으로 유럽 공동체는 옵저버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했고 이를 유럽 공동체 감독 활동(ECMM)으로 운영하였다.[1] 유럽 공동체는 인접한 슬로베니아에서 일어난 10일 전쟁에서의 교전 상태 해제 감시[2] 및 슬로베니아의 유고 인민군 철수 여부를 감시하였다.[3] 하지만 8월 16일, 슬라보니아 서부에서 세르브계 반군의 총격으로 ECMM 헬리콥터의 조종사 1명이 부상을 입었다. 결국 9월 1일부로 ECMM의 군사 감시 범위가 크로아티아로 확대되었다.

11월에는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유고 인민군이 유엔보호군 산하 유엔보호구역(UNPROFOR)으로 민간인을 보호하고 크로아티아 내 유엔 평화유지군을 주둔시킨다는 정전 계획인 밴스 계획에 합의하였다. 정전 협정은 1992년 1월 3일부로 발효되었다. 1991년 12월, 유럽 공동체는 1992년 1월 15일부로 크로아티아를 국가승인하며 정식으로 수교하겠다고 발표하였다.

3. 사건

1992년 1월 7일, 유럽 공동체 감시단 (ECMM) 소속 이탈리아 육군 아구스타-벨 206L 헬리콥터 2대가 헝가리에서 크로아티아 영공으로 진입했다. 이 헬리콥터들은 흰색으로 도색되었고 무장을 갖추지 않았으며, 베오그라드에서 커포슈바르를 거쳐 자그레브로 비행 중이었다.

오스트리아군의 레이더 기록. 차코베츠, 바라주딘, 그라나가 표시되어 있다.


유고슬라비아 공군은 미코얀-구레비치 MiG-21 전투기를 출격시켜 헬리콥터를 요격했고, R-60 미사일을 발사하여 헬리콥터 1대를 격추했다. 격추된 헬리콥터는 자그레브 북쪽 노비마로프시 포드루테 마을 근처에 추락했고, 다른 헬리콥터는 비상 착륙했다.

3. 1. 헬리콥터 비행과 유고슬라비아 공군의 요격

1992년 1월 7일, 유럽 공동체 감시단(ECMM)이 운영하는 이탈리아 육군 소속 아구스타-벨 206L 헬리콥터 2대가 헝가리에서 크로아티아 영공으로 진입했다.[1] 헬리콥터는 흰색으로 칠해져 있었고 무장을 갖추지 않았다.[2] 이 헬리콥터는 유고슬라비아의 수도 베오그라드에서 헝가리 커포슈바르를 거쳐 자그레브까지 비행할 계획이었다.[3] 베오그라드의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헝가리까지는 비행허가를 내렸으나 크로아티아 영공에서는 비행이 허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조종사들에게 자그레브까지 비행할 수 없다고 미리 경고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유럽 공동체 측은 유고슬라비아 항공 관제 측에서 사전 승인을 받은 비행이었다고 반박했다.[3] 비행 계획은 유고슬라비아 공군 작전센터로 전달되었으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비하치에 있던 제5항공군단으로는 전달받지 못했다.[1]

사건에 연루된 헬리콥터와 같은 기종인 이탈리아 육군 소속 아구스타-벨 206.


비하치 인근의 유고슬라비아 공군 추적 레이다에 헬리콥터 2기가 포착되자, 비하치 인근의 젤랴바 공군 기지에서 대기하고 있던 미코얀-구레비치 MiG-21 2기에게 출격 및 요격 명령이 내려졌다. 제117전투항공단 제125중대에 배치된 미그기 2기는 각각 소위 에미르 시시치와 대위(군대)|다니옐 보로비치]]가 조종하고 있었다. 하지만 보로비치의 항공기는 엔진 문제로 긴급사태를 선언하면서 시시치 소위의 항공기만 홀로 이륙하였다. 시시치는 3000m 상공에서 헬리콥터를 발견한 후 제트기로 원형을 그려 비행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제트기가 돌아서자 헬리콥터가 제트기보다 600m 아래로 내려가 비행하는 것을 목격하였다. 시시치는 추가 명령을 요청하였고 헬리콥터를 격추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 명령은 젤랴바 공군 기지의 당직장교였던 중령 도브리보예 오파치치의 명령이었다.

시시치는 헬리콥터 앞을 향해 기관총을 쏘며 헬리콥터를 뒤쫓았으나, 제트기는 예광탄 무장을 하고 있지 않았으며 헬리콥터 조종사는 기관총 발포를 볼 수 없었다. 1000kph로 이동하던 제트기는 무장을 미사일로 바꿔 미사일 탐지기에 헬리콥터를 목표로 하였다. 시시치는 적외선유도 방식 R-60 미사일 2발을 발사하였다.[1] 미사일 중 하나는 두 헬리콥터 사이를 지나갔으며 나머지 하나는 선두 헬리콥터의 엔진에 명중하였다. 헬리콥터는 자그레브 북쪽의 노비마로프시 행정구역 안에 있는 포드루테 마을 근처에서 격추되었다. 두 번째 헬리콥터는 공격을 피하기 위해 급하게 지상으로 착륙하였다.[3]

3. 2. 미그-21 전투기의 공격



비하치 인근 유고슬라비아 공군 추적 레이다에 헬리콥터 2기가 포착되자, 젤랴바 공군 기지에서 대기 중이던 미코얀-구레비치 MiG-21 2기에게 요격 명령이 내려졌다.[3] 제117전투항공단 제125중대에 배치된 미그기 2기는 각각 소위 에미르 시시치와 대위(군대) 다니옐 보로비치가 조종했다. 보로비치의 항공기는 엔진 문제로 긴급사태를 선언, 시시치 중위의 항공기만 이륙하였다. 시시치는 3000m 상공에서 헬리콥터를 발견 후 제트기로 원을 그리며 비행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제트기가 돌자 헬리콥터가 제트기보다 600m 아래에서 비행하는 것을 목격하였다. 시시치는 추가 명령을 요청, 헬리콥터를 격추하라는 지시를 받았다.[3] 이 명령은 젤랴바 공군 기지 당직장교였던 중령 도브리보예 오파치치의 명령이었다.

시시치는 헬리콥터를 뒤쫓아 앞에서 기관총을 쏘았으나, 제트기는 예광탄 무장이 없어 헬리콥터 조종사는 기관총 발포를 볼 수 없었다. 1000kph로 이동하던 제트기는 무장을 미사일로 바꿔 미사일 탐지기에 헬리콥터를 목표로 하였다.[3] 시시치는 적외선유도 방식 R-60 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2] 미사일 중 하나는 두 헬리콥터 사이를 지나갔고, 다른 하나는 선두 헬리콥터 엔진에 명중했다.[3] 헬리콥터는 자그레브 북쪽 노비마로프시 포드루테 마을 근처에서 격추되었다. 두 번째 헬리콥터는 공격을 피하기 위해 급히 지상에 착륙했다.[1]

3. 3. 헬리콥터 추락과 탑승자 사망

1992년 1월 7일, 유럽 공동체 감시단(ECMM) 소속 이탈리아 육군 아구스타-벨 206L 헬리콥터 2대가 헝가리에서 크로아티아 영공으로 진입했다. 이 헬리콥터들은 흰색이었고, 무장을 하지 않았다.[1] 베오그라드에서 출발하여 커포슈바르를 거쳐 자그레브로 비행할 예정이었다.[2]

유고슬라비아 공군의 미코얀-구레비치 MiG-21 전투기가 발사한 R-60 미사일 중 하나가 선두 헬리콥터의 엔진에 명중했다.[3] 이 헬리콥터는 자그레브 북쪽 노비마로프시 포드루테 마을 근처에서 격추되었다. 공격을 피하기 위해 두 번째 헬리콥터는 불시착했다.[2]

4. 여파

이 공격으로 이탈리아인 4명과 프랑스인 1명, 총 5명의 유럽 공동체 감시단(ECMM) 요원들이 사망했다.[1] 사망자는 헬리콥터 조종사 중령 엔초 벤투리니, 부조종사 참모 상사 마르코 마타, 주임 원사 피오렌초 라마치와 실바노 나탈레이며, 프랑스인 사망자는 해군 소령 장루프 에셴이다.[2] 이들은 제5육군항공연대 리젤 소속이었다. 두 번째 헬리콥터에는 외교관 1명과 이탈리아 ECMM 관측단 3명이 타고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부상 없이 생존했다.[3]

4. 1. 국제사회의 규탄과 유고슬라비아의 대응

유고슬라비아 공군의 헬리콥터 격추 사건은 유럽 안보 협력 회의(CSCE),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유럽 공동체 각료회의의 규탄을 받았다.[2] 이탈리아는 유고슬라비아 주재 자국 대사를 소환하고, 유고슬라비아와의 항공 관제 협정을 취소하여 야트 에어웨이스의 베오그라드-로마 항공편이 결항되었다. 유럽 공동체 감시단(ECMM)의 활동 역시 수 일간 중단되었다.

유고슬라비아 국방부는 장교 4명에 대한 군사 징계와 장교 1명에 대한 형사 소송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즈본코 유레비치 유고슬라비아 공군 사령관은 직무 정지 처분을 받았으며, 벨코 카디예비치 유고 연방 국방장관은 사건에 대해 사과하고 사임하였다.

4. 2. 관련자 처벌 및 재판

에미르 시시치 중위는 1992년 베오그라드 군사법원에 회부되었으나, 유럽 공동체 감독 활동(ECMM) 헬리콥터 2대를 불법 호송하던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 소속 헬리콥터를 향해 발포했다는 주장을 근거로 무죄 처분을 받았다.[1] 2008년 인터뷰에서 시시치는 ECMM 헬기가 폭발한 "세 번째 헬리콥터"가 만들어낸 불덩어리와 부딪쳐 추락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 그러나 이 주장은 젤랴바 공군 기지의 레이더 항적 기록 및 목격자들의 증언과 모순된다.[1]

시시치와 도브리보예 오파치치는 크로아티아에서 궐석재판을 통해 유죄 판결을 받고 각각 20년 형을 선고받았다.[1] 시시치는 2001년 헝가리 경찰에 체포된 후 2002년 이탈리아로 송환되어 5건의 살인 및 항공 사고 유발 혐의로 15년 형을 선고받았다.[1] 2006년 세르비아로 이송되었으며, 2008년 석방되었다.[1]

2013년, 로마 항소법원은 오파치치와 제5항공군단 사령관 류보미르 바이치 장군에게 각각 28년 형을 선고했으며, 보지다르 마르티노비치는 무죄 판결을 받았다.[1] 법원은 세르비아에게 희생자 가족들에게 950000EUR를 배상하라고 명령했다.[1]

4. 3. 추모와 훈장 추서

1993년 5월 25일, 이탈리아 정부는 격추 사건으로 사망한 ECMM 관측단원 4명에게 금제용기훈장을 추서하였고, 생존한 이탈리아인 관측단원 3명에게는 은제용기훈장을 수여하였다.[1] 장루프 에셴 중위는 프랑스에서 1992년 1월 17일 사후 소령으로 특진되었고, 같은 해 3월 10일 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 등급을,[3] 4월 14일에는 프랑스를 위해 싸우다 숨진 사람들에 추서되었다.

매년 포드루테에서 추모식이 열리고 있으며, 이 추모식에는 이탈리아군프랑스군 대표단, 유럽 연합, 프랑스, 이탈리아의 외교관 및 이탈리아의 군 및 정부 대표가 참석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first "died on mission" of the EU, it was 20 years ago - B2 Le Quotidien de l'Europe geopolitique https://www.bruxelle[...] 2012-01-17
[2] 뉴스 EC헬機격추 규탄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92-01-09
[3] 웹인용 ORDRE DE LA LEGION D'HONNEUR Décret du 10 mars 1992 portant nomination https://www.legifran[...] 레지프랑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