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선수 명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선수 명단은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부 경기에 참가한 선수들의 명단이다. 아르헨티나, 포르투갈, 튀니지, 미국이 A조에, 스페인, 프랑스, 호주, 사우디아라비아가 B조에, 대한민국, 이탈리아, 멕시코, 가나가 C조에, 브라질, 나이지리아, 일본, 헝가리가 D조에 속해 조별 리그를 치렀다. 나이지리아가 금메달을, 아르헨티나가 은메달을, 브라질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종목은 미국의 5개 도시에서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아르헨티나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경기는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미국이 금메달, 중국이 은메달, 노르웨이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튀니지 하계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 - 타라크 디아브
    타라크 디아브는 튀니지의 전직 축구 선수로, 1977년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이자 튀니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으로, 1978년 FIFA 월드컵에서 튀니지가 월드컵 사상 최초로 승리한 아프리카 국가대표팀이 되는 데 기여했으며 은퇴 후에는 텔레비전 축구 해설가 및 스포츠 분석가로 활동하고 있다.
  • 튀니지 하계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 -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은 서울 올림픽 축구 대회에 참가한 여러 국가들의 선수 명단을 감독, 포지션, 선수 정보와 함께 상세히 나열하고 각 팀의 조별 리그 결과 및 주요 경기 내용을 간략하게 언급한다.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선수 명단
대회 정보
대회1996년 하계 올림픽
종목축구
날짜1996년 7월 20일 ~ 8월 3일
참가국 수16개국
선수 수297명
메달 정보
금메달나이지리아
은메달아르헨티나
동메달브라질

2. 조별 리그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축구 남자부 조별 리그는 총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에는 4개 팀이 속해 있었으며, 조별 리그 결과 각 조 상위 2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2. 1. A조

A조아르헨티나, 포르투갈, 튀니지, 미국이 속해 있었으며, 다니엘 파사레야 감독이 이끄는 아르헨티나는 에르난 크레스포, 클라우디오 로페스 등의 활약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고, 넬루 빈가다 감독이 이끄는 포르투갈은 누누 고메스, 루이 조르제 등 유망주들을 중심으로 조별 리그를 통과했다. 헨리크 카스페르차크 (폴란드) 감독의 튀니지와 브루스 아레나 감독이 이끄는 미국은 홈 이점을 안고 올림픽에 참가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 1. 1. 아르헨티나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소속팀
1GK카를로스 보시오1973년 12월 1일에스투디안테스 데 라 플라타
2DF로베르토 아얄라1973년 4월 14일나폴리
3DF호세 차모1969년 5월 17일라치오
4DF하비에르 사네티1973년 8월 10일인테르
5MF마티아스 알메이다1973년 12월 21일리버 플레이트
6DF로베르토 센시니1966년 10월 12일파르마
7FW클라우디오 로페스1974년 7월 17일발렌시아
8MF디에고 시메오네1970년 4월 28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9FW에르난 크레스포1975년 7월 5일파르마
10MF아리엘 오르테가1974년 3월 4일리버 플레이트
11MF우고 모랄레스1974년 7월 30일라누스
12GK파블로 카바예로1974년 4월 13일벨레스 사르스필드
13MF마우리시오 피네다1975년 7월 13일보카 주니어스
14DF파블로 파스1973년 1월 27일반필드
15MF크리스티안 바세다스1973년 2월 16일벨레스 사르스필드
16MF구스타보 로페스1973년 4월 13일레알 사라고사
17FW마르셀로 델가도1973년 3월 24일라싱 클럽
18MF마르셀로 가야르도1976년 1월 18일리버 플레이트


2. 1. 2. 포르투갈

넬루 빈가다 감독이 이끄는 포르투갈 대표팀은 누누 고메스, 루이 조르제 등 유망주들을 중심으로 조별 리그를 통과했다.

2. 1. 3. 튀니지

튀니지는 헨리크 카스페르차크 (폴란드) 감독의 지휘 아래, 아프리카 예선을 통과하여 올림픽에 진출했다.

포지션선수명생년월일당시 소속팀
GK초크리 엘 오에르1966년 8월 15일Espérance Sportive de Tunis|에스페랑스 스포르티브 드 튀니스프랑스어
FW이메드 벤 유네스1974년 6월 16일Étoile Sportive du Sahel|에투알 스포르티브 뒤 사엘프랑스어
DF로피 바코우체1973년 6월 19일Étoile Sportive du Sahel|에투알 스포르티브 뒤 사엘프랑스어
DF칼레드 바드라1973년 4월 8일Espérance Sportive de Tunis|에스페랑스 스포르티브 드 튀니스프랑스어
DF모하메드 므카체르1975년 5월 25일Étoile Sportive du Sahel|에투알 스포르티브 뒤 사엘프랑스어
DF페리드 쇼샤네1973년 4월 19일Étoile Sportive du Sahel|에투알 스포르티브 뒤 사엘프랑스어
MF마헤르 칸자리1973년 3월 17일Stade Tunisien|스타드 튀니시앙프랑스어
MF주베이르 바야1971년 5월 16일Étoile Sportive du Sahel|에투알 스포르티브 뒤 사엘프랑스어
FW하산 랍시1974년 2월 23일Espérance Sportive de Tunis|에스페랑스 스포르티브 드 튀니스프랑스어
MF카이에스 고드바네1976년 1월 7일Étoile Sportive du Sahel|에투알 스포르티브 뒤 사엘프랑스어
FW아델 셀리미1972년 11월 16일Club Africain|클럽 아프리칸프랑스어
MF마루안 보크리1974년 12월 28일Espérance Sportive de Tunis|에스페랑스 스포르티브 드 튀니스프랑스어
MF리아드 부아지지1973년 4월 8일Étoile Sportive du Sahel|에투알 스포르티브 뒤 사엘프랑스어
DF사브리 자발라1973년 6월 28일Avenir Sportive de La Marsa|아브니르 스포르티브 드 라 마르사프랑스어
DF라디 자이디1975년 8월 30일Étoile Sportive du Sahel|에투알 스포르티브 뒤 사엘프랑스어
GK함디 바바1975년 8월 12일Étoile Sportive du Sahel|에투알 스포르티브 뒤 사엘프랑스어
MF타레크 벤 슈루다1976년 10월 13일Avenir Sportive de La Marsa|아브니르 스포르티브 드 라 마르사프랑스어
FW메디 벤 슬리마네1974년 1월 1일Avenir Sportive de La Marsa|아브니르 스포르티브 드 라 마르사프랑스어


2. 1. 4. 미국

브루스 아레나 감독이 이끄는 미국은 홈 이점을 안고 올림픽에 참가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 2. B조

B조에는 스페인, 프랑스, 호주, 사우디아라비아가 속해 있었다. 하비에르 클레멘테 감독이 이끄는 스페인과 레몽 도메네크 감독이 이끄는 프랑스가 8강에 진출했다.

  • 스페인은 라울 곤살레스, 가이즈카 멘디에타 등 뛰어난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8강에서 아르헨티나에 패하며 탈락했다.
  • 프랑스는 로베르 피레스, 실뱅 윌토르, 파트리크 비에이라 등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8강에 진출했으나, 포르투갈에 패하며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 사우디아라비아는 브라질 출신 이보 워트만 감독이 이끌었으며, 아시아 예선을 거쳐 올림픽에 진출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3전 전패로 탈락했다.


'''프랑스 선수 명단'''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소속팀
1GK리오넬 레티지1973년 5월 28일 (23세)니스
2DF마르탱 제투1974년 12월 15일 (21세)스트라스부르
3DF제롬 보니셀1973년 1월 4일 (23세)몽펠리에
4DF플로랑 라빌1973년 8월 7일 (22세)리옹
5DF패트릭 모로1973년 11월 3일 (22세)바스티아
6MF패트릭 비에이라1976년 6월 23일 (20세)AC 밀란
7MF클로드 마켈렐레1973년 2월 18일 (23세)낭트
8MF비카시 도라소1973년 10월 10일 (22세)르아브르
9FW플로리앙 모리스1974년 5월 20일 (22세)리옹
10MF앙투안 시비에르스키1974년 8월 5일 (21세)
11MF로베르 피레스1973년 10월 29일 (22세)메스
12DF조프레 토예스1973년 5월 18일 (23세)보르도
13DF뱅상 칸델라1973년 10월 24일 (22세)갱강
14MF올리비에 다쿠르1974년 9월 25일 (21세)스트라스부르
15FW토니 바일레스1973년 4월 10일 (23세)랑스
16GK뱅상 페르난데스1975년 1월 31일 (21세)샤토루
17FW실뱅 윌토르1974년 5월 10일 (22세)
18MF실뱅 레그윈스키1973년 6월 10일 (23세)AS 모나코
20DF우마르 디엥1972년 12월 30일 (23세)파리 생제르맹



'''사우디아라비아 선수 명단'''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소속팀
1GK후세인 알 사디크1973년 10월 15일 (22세)알 카디시야
2DF모하메드 알 자하니1975년 9월 28일 (20세)알 아흘리
3DF압둘라 알와케드 알 샤라니1975년 9월 29일 (20세)알 샤밥
4DF모하메드 알 킬라위*1971년 5월 24일 (25세)알 이티하드
5DF압둘라 주브로마위1973년 11월 15일 (22세)알 아흘리
6MF푸아드 안와르*1972년 10월 13일 (23세)알 샤밥
7MF카미스 알 자라니1976년 8월 3일 (19세)알 이티하드
8DF후세인 술라이마니1977년 1월 21일 (19세)알 아흘리
9FW함자 팔라타*1972년 10월 8일 (23세)오후드
10MF이브라힘 알 하르비1975년 7월 10일 (21세)알 나스르
11FW오베이드 알 도사리1975년 10월 2일 (20세)알 와흐다
12MF후세인 알 마사리1974년 8월 16일 (21세)알 힐랄
13MF할리드 알 라샤이드1974년 8월 3일 (21세)알 힐랄
14MF압둘라 알 카르니1976년 8월 8일 (19세)알 나스르
15DF압둘 아지즈 알 마르주그1975년 7월 16일 (21세)알 나스르
16MF카미스 알로이란 알 도사리1973년 9월 8일 (22세)알 힐랄
17FW압둘 라흐만 시핀1974년 6월 12일 (22세)알 아흘리
18GK라셰드 알 무그렌1977년 11월 7일 (18세)알 샤밥


2. 2. 1. 스페인

하비에르 클레멘테 감독이 이끄는 스페인은 라울 곤살레스, 가이즈카 멘디에타 등 뛰어난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8강에서 아르헨티나에 패하며 탈락했다.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출전 경기득점소속팀
1GK후안 루이스 모라Juan Luis Mora|후안 루이스 모라es1973년 7월 12일 (23세)레알 오비에도
2DF가이스카 멘디에타Gaizka Mendieta|가이스카 멘디에타es1974년 3월 27일 (22세)발렌시아 CF
3DF아구스틴 아란사발Agustín Aranzábal|아구스틴 아란사발es1973년 3월 15일 (23세)레알 소시에다드
4DF하비 나바로Javi Navarro|하비 나바로es1974년 2월 6일 (22세)발렌시아 CF
5MF산티아고 데니아Santiago Denia|산티아고 데니아es1974년 3월 9일 (22세)아틀레티코 마드리드
6MF오스카르 가르시아Óscar García|오스카르 가르시아es1973년 4월 26일 (23세)FC 바르셀로나
7FW라울 곤살레스Raúl González|라울 곤살레스es1977년 6월 27일 (19세)레알 마드리드 CF
8MF로베르토 이투아르테Roberto Ituarte|로베르토 이투아르테es1974년 9월 11일 (21세)RCD 에스파뇰
9MF세르히오 코리노Sergio Corino|세르히오 코리노es1974년 10월 10일 (21세)CP 메리다
10FW호세 이그나시오 사엔스José Ignacio Sáenz|호세 이그나시오 사엔스es1973년 9월 28일 (22세)발렌시아 CF
11MF이디아케스Idíakez|이디아케스es1973년 8월 24일 (22세)레알 소시에다드
12DF아이토르 카랑카Aitor Karanka|아이토르 카랑카es1973년 9월 18일 (22세)아틀레틱 빌바오
13GK호르헤 아이스푸루아Jorge Aizpurúa|호르헤 아이스푸루아es1974년 4월 24일 (22세)발렌시아 CF
14DF호세 사르미엔토José Manuel Suárez Rivas|호세 마누엘 수아레스 리바스es1974년 2월 18일 (22세)라싱 산탄데르
15MF이반 데 라 페냐Iván de la Peña|이반 데 라 페냐es1976년 5월 6일 (20세)FC 바르셀로나
16FW페르난도 모리엔테스Fernando Morientes|페르난도 모리엔테스es1976년 4월 5일 (20세)레알 사라고사
17FW다니 가르시아Daniel García Lara|다니엘 가르시아 라라es1974년 12월 22일 (21세)레알 사라고사
18MF하비에르 몬테시노스Javier Montecinos|하비에르 몬테시노스es1974년 9월 22일 (21세)CD 테네리페


2. 2. 2. 프랑스

레몽 도메네크 감독이 이끄는 프랑스는 로베르 피레스, 실뱅 윌토르, 파트리크 비에이라 등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8강에 진출했으나, 포르투갈에 패하며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2. 2. 3. 사우디아라비아

السعوديةar는 브라질 출신 이보 워트만 감독이 이끌었으며, 아시아 예선을 거쳐 올림픽에 진출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3전 전패로 탈락했다.

2. 3. C조

C조에는 대한민국, 이탈리아, 멕시코, 가나가 속해 있었다. 대한민국은 1승 2무로 선전했지만, 골득실 차이로 아쉽게 8강 진출에는 실패했다. 멕시코와 가나가 8강에 진출했다.

'''이탈리아'''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이름생년월일당시 소속팀
GK잔루카 팔리우카*1966-12-18|1966년 12월 18일영어인테르
GK잔루이지 부폰1978-01-28|1978년 1월 28일영어파르마
DF알레산드로 네스타1976-03-19|1976년 3월 19일영어라치오
DF파비오 칸나바로1973-09-13|1973년 9월 13일영어파르마
DF파비오 갈란테1973-11-20|1973년 11월 20일영어제노아
DF살바토레 프레시1973-01-16|1973년 1월 16일영어인테르
DF알레산드로 피스토네1975-07-27|1975년 7월 27일영어인테르
DF루이지 사르토르°1975-01-30|1975년 1월 30일영어비첸차
MF라파엘레 아메트라노1973-02-15|1973년 2월 15일영어우디네세
MF마시모 크리파*1965-05-17|1965년 5월 17일영어파르마
MF마시모 람빌라1973-03-04|1973년 3월 4일영어파르마
MF다미아노 토마시1974-05-17|1974년 5월 17일영어베로나
MF파비오 페키아1973-08-24|1973년 8월 24일영어나폴리
MF도메니코 모르페오1976-01-16|1976년 1월 16일영어아탈란타
MF안토니노 베르나르디니1974-06-21|1974년 6월 21일영어토리노
FW마르코 브란카*1965-01-06|1965년 1월 6일영어인테르
FW마르코 델베키오1973-04-07|1973년 4월 7일영어로마
FW크리스티아노 루카렐리1975-10-04|1975년 10월 4일영어코센차



'''멕시코'''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이름생년월일당시 소속팀
GK오스왈도 산체스1973-09-21|1973년 9월 21일영어아메리카
GK호르헤 캄포스*1966-10-15|1966년 10월 15일영어로스앤젤레스 갤럭시
DF클라우디오 수아레스*1968-12-16|1968년 12월 16일영어UNAM
DF다비드 오테오1973-07-27|1973년 7월 27일영어UNAM
DF두일리오 다비노1976-03-21|1976년 3월 21일영어UAG
DF프란시스코 산체스1973-01-30|1973년 1월 30일영어아메리카
DF파벨 파르도1976-07-26|1976년 7월 26일영어아틀라스
MF헤르만 비야1973-04-02|1973년 4월 2일영어아메리카
MF라울 라라1973-02-28|1973년 2월 28일영어아메리카
MF라파엘 가르시아1974-08-14|1974년 8월 14일영어UNAM
MF마누엘 솔1973-08-31|1973년 8월 31일영어넥사카
MF루이스 가르시아*1969-06-01|1969년 6월 1일영어아메리카
MF에드손 알바라도1975-09-27|1975년 9월 27일영어넥사카
MF헤수스 아레야노1973-05-08|1973년 5월 8일영어몬테레이
FW콰우테목 블랑코1973-01-17|1973년 1월 17일영어아메리카
FW엔리케 알파로1974-12-11|1974년 12월 11일영어톨루카
FW프란시스코 팔렌시아1973-04-28|1973년 4월 28일영어크루스 아술
FW호세 마누엘 아분디스1973-06-11|1973년 6월 11일영어톨루카


2. 3. 1. 대한민국

아나톨리 비쇼베츠 감독이 이끌었던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은 황선홍, 하석주, 이임생 등 와일드카드 선수들과 최용수, 윤정환 등 젊은 선수들의 조화로 기대를 모았다. 특히, 이탈리아와의 경기에서 1-2로 석패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다음은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 선수 명단이다.

포지션이름생년월일당시 소속팀
GK서동명1974-05-04|1974년 5월 4일영어울산 현대 호랑이
GK이대희1974-04-26|1974년 4월 26일영어아주대학교
DF박충균1973-06-20|1973년 6월 20일영어수원 삼성 블루윙즈
DF최성용1975-12-25|1975년 12월 25일영어고려대학교
DF이상훈1975-10-11|1975년 10월 11일영어동국대학교
DF이경수1973-10-28|1973년 10월 28일영어수원 삼성 블루윙즈
DF이기형1974-09-28|1974년 9월 28일영어수원 삼성 블루윙즈
DF김현수1973-02-14|1973년 2월 14일영어전남 드래곤즈
DF김상훈1973-06-03|1973년 6월 3일영어울산 현대 호랑이
DF이임생*1971-11-18|1971년 11월 18일영어부천 유공
DF최윤열1974-04-17|1974년 4월 17일영어경희대학교
DF이경춘°1969-04-14|1969년 4월 14일영어전북 다이노스
MF이우영1973-08-19|1973년 8월 19일영어大分トリニータ|오이타 트리니티일본어
MF윤정환1973-02-16|1973년 2월 16일영어부천 유공
MF하석주*1968-02-20|1968년 2월 20일영어부산 대우 로얄즈
FW정상남1975-09-07|1975년 9월 7일영어연세대학교
FW최용수1973-09-10|1973년 9월 10일영어안양 LG 치타스
FW이원식1973-05-16|1973년 5월 16일영어부천 유공
FW황선홍*1968-07-14|1968년 7월 14일영어포항 아톰즈



'*' 표시는 와일드카드(23세 초과 선수)를 나타낸다.

'°' 표시는 예비 선수에서 부상 선수 대체로 합류한 선수를 나타낸다.

2. 3. 2. 이탈리아

체사레 말디니 감독이 이끄는 이탈리아는 잔루이지 부폰, 파비오 칸나바로, 알레산드로 네스타 등 세계적인 선수들을 보유하고도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2. 3. 3. 가나

샘 아데이 감독이 이끄는 가나는 사무엘 쿠포르, 찰스 아코노르 등 유럽 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을 중심으로 8강에 진출했지만, 브라질에 패하며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2. 4. D조

D조에는 브라질, 나이지리아, 일본, 헝가리가 속해 있었다. 이 중 나이지리아브라질이 8강에 진출했다.

2. 4. 1. 브라질

마리우 자갈루pt 감독이 이끄는 브라질 대표팀은 호나우두, 히바우두, 베베투, 호베르투 카를루스 등 세계적인 스타 선수들을 앞세워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지만, 준결승에서 나이지리아에 패하며 동메달에 머물렀다.

2. 4. 2. 나이지리아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당시 소속팀
GK1에마뉘엘 바바야로1976년 12월 26일Plateau United영어
DF2셀레스틴 바바야로1978년 8월 29일R.S.C. Anderlecht|R.S.C. 안더레흐트프랑스어
DF3타리보 웨스트1974년 3월 26일AJ Auxerre|AJ 오세르프랑스어
FW4누안코 카누1976년 8월 1일AFC Ajax|AFC 아약스nl
DF5우체 오케추쿠1967년 9월 27일Fenerbahçe SK|페네르바흐체 SKtr
MF6에마뉘엘 아무니케1970년 12월 25일Sporting CP|스포르팅 CPpt
MF7티자니 바반기다1973년 12월 25일Roda JC|로다 JCnl
MF8윌슨 오루마1976년 12월 30일RC Lens|RC 랑스프랑스어
MF9테슬림 파투시1977년 9월 17일Ferencvárosi TC|페렌츠바로시 TChu
MF10제이 제이 오코차1973년 8월 14일Eintracht Frankfurt|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de
FW11빅토르 이크페바1973년 6월 12일AS Monaco FC|AS 모나코 FC프랑스어
DF12아비오둔 오바페미1973년 12월 25일Toulouse FC|툴루즈 FC프랑스어
FW13가르바 라왈1974년 5월 22일Espérance de Tunis|에스페랑스 드 튀니스ar
FW14다니엘 아모카치1972년 12월 30일Everton FC|에버턴 FC영어
MF15선데이 올리세1974년 9월 1일1. FC Köln|1. FC 쾰른de
DF16킹슬리 오비에크우1974년 11월 12일Go Ahead Eagles|고 어헤드 이글스nl
DF17모비 오파라쿠1976년 12월 1일R.S.C. Anderlecht|R.S.C. 안더레흐트프랑스어
GK18도수 조셉1977년 6월 19일Julius Berger F.C.|줄리어스 버거영어


2. 4. 3. 일본

니시노 아키라 감독이 이끄는 일본 대표팀은 마에조노 마사키요, 나카타 히데토시 등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올림픽에 참가하여 브라질을 1-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당시 소속팀
GK1가와구치 요시키川口 能活|가와구치 요시키일본어1975년 8월 15일요코하마 마리노스
GK18시모다 다카시下田 崇|시모다 다카시일본어1975년 11월 28일산프레체 히로시마
DF2시라이 히로유키白井 博幸|시라이 히로유키일본어1974년 6월 17일시미즈 에스펄스
DF3스즈키 히데토鈴木 秀人|스즈키 히데토일본어1974년 10월 7일주빌로 이와타
DF5다나카 마코토田中 誠|다나카 마코토일본어1975년 8월 8일주빌로 이와타
DF12우에무라 겐이치上村 健一|우에무라 겐이치일본어1974년 4월 22일산프레체 히로시마
DF13마쓰다 나오키松田 直樹|마쓰다 나오키일본어1977년 3월 14일요코하마 마리노스
MF4히로나가 유지広長 優志|히로나가 유지일본어1975년 7월 25일베르디 가와사키
MF6핫토리 토시히로服部 年宏|핫토리 도시히로일본어1973년 9월 23일주빌로 이와타
MF7마에조노 마사키요前園 真聖|마에조노 마사키요일본어1973년 10월 29일요코하마 플뤼겔스
MF8이토 테루요시伊東 輝悦|이토 데루요시일본어1974년 8월 31일시미즈 에스펄스
MF10엔도 아키히로遠藤 彰弘|엔도 아키히로일본어1975년 9월 18일요코하마 마리노스
MF14나카타 히데토시中田 英寿|나카타 히데토시일본어1977년 1월 22일벨마레 히라쓰카
MF15아키바 타다히로秋葉 忠宏|아키바 다다히로일본어1975년 10월 13일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MF17미치키 류지路木 龍次|미치키 류지일본어1973년 8월 25일산프레체 히로시마
FW9조 쇼지城 彰二|조 쇼지일본어1975년 6월 17일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FW11모리오카 시게루森岡 茂|모리오카 시게루일본어1973년 8월 12일감바 오사카
FW16마쓰바라 요시카松原 良香|마쓰바라 요시카일본어1974년 8월 19일시미즈 에스펄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