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코파 아메리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9년 코파 아메리카는 파라과이에서 개최된 대회로, 4개 도시의 경기장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브라질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리바우두와 호나우두가 득점왕을 기록했다. 10개의 남미 축구 연맹 회원국과 초청팀인 멕시코, 일본이 참가했다.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브라질은 결승전에서 우루과이를 3-0으로 꺾고 6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라과이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30년 FIFA 월드컵
2030년 FIFA 월드컵은 스페인, 포르투갈, 모로코가 공동 개최하고,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파라과이가 100주년 기념 경기를 개최하며, 총 48개 팀이 참가하여 각 대륙별 예선을 거쳐 본선 진출팀을 결정한다. - 파라과이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9년 FIFA 비치사커 월드컵
2019년 FIFA 비치사커 월드컵은 파라과이 루케에서 개최되어 파라과이를 포함한 16개 팀이 참가, 포르투갈이 우승, 일본의 오즈 모레이라가 MVP를 수상했다. - 1999년 7월 - 199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99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멕시코에서 개최되어 멕시코가 브라질을 꺾고 우승했으며 호나우지뉴가 골든볼과 골든부트를 수상했다. - 1999년 7월 - 1999년 팬아메리칸 게임
1999년 팬아메리칸 게임은 캐나다 위니펙에서 42개국이 참가하여 34개 종목, 330개의 경기가 치러진 범아메리카 대륙 종합 스포츠 대회로, 비치 발리볼, 인라인 하키가 처음 도입되었고 여자 축구와 수구 토너먼트가 처음 개최되었으며 미국이 메달 순위 1위를 차지했다.
1999년 코파 아메리카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코파 아메리카 1999 |
연도 | 1999년 |
개최국 | 파라과이 |
기간 | 1999년 6월 29일 – 1999년 7월 18일 |
참가 팀 수 | 12 |
참가 연맹 수 | 3 |
경기장 수 | 5 |
도시 수 | 4 |
결과 | |
우승 | 브라질 |
우승 횟수 | 6회 |
준우승 | 우루과이 |
3위 | 멕시코 |
4위 | 칠레 |
총 경기 수 | 26 |
총 득점 수 | 74 |
개인 기록 | |
득점왕 | 히바우두 (BRA): 5골 호나우두 (BRA): 5골 |
최우수 선수 | 히바우두 (BRA) |
대회 통계 | |
이전 대회 | 1997년 |
다음 대회 | 2001년 |
시각 자료 | |
![]()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1999년 코파 아메리카는 파라과이의 4개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개막전과 결승전은 아순시온의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열렸다.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이미지 |
---|---|---|---|
페드로후안카바예로 | 모누멘탈 리오 파라피티 | 30,000명 | ![]() |
시우다드델에스테 | 에스타디오 안토니오 오도네 사루비 | 28,000명 | ![]() |
아순시온 |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 | 36,000명 | |
에스타디오 헤네랄 파블로 로하스 | 32,910명 | ![]() | |
루케 | 에스타디오 펠리시아노 카세레스 | 25,000명 | ![]() |
이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회원국 10개국 모두 참가했다. 참가 팀 수를 12개 팀으로 늘리기 위해 CONMEBOL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의 멕시코(네 번째 초청)와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일본을 초청했다.
1999년 코파 아메리카 조별 리그는 1999년 6월 29일부터 7월 7일까지 진행되었다. 참가국들은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의 공개 추첨을 통해 4개국씩 3개 조로 나뉘었다. 각 조는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이 부여되었다.
3. 참가국
남아메리카 축구 연맹 소속 10개국과 초청국 2개국을 포함해 총 12개국이 참가했다. 초청국 2개국은 멕시코와 일본이었다.
이 대회에서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 이외 지역에서 처음으로 초청국이 선발되었는데, 아시아 축구 연맹(AFC) 소속 일본이 초청된 것은 특기할 만한 일이다. 일본의 코파 아메리카 초청과 관련하여 프랑스의 스포츠 신문 레키프가 일본 축구 협회에서 남아메리카 축구 연맹에 자금을 제공했다고 보도했지만, 일본 축구 협회는 이를 부인했다.[2]
4. 조별 리그
각 조 1위와 2위 팀은 8강에 직행했으며,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두 팀(칠레, 우루과이)이 추가로 8강에 합류했다.
순위 결정 방식만약 조별 리그 종료 후 여러 팀의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순서대로 순위를 결정했다.
1. 전체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 차
2. 전체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총 득점 수
3. 해당 팀들 간의 경기 결과 (승자승 원칙)
4. 추첨조별 순위표 색상 키 bgcolor=ccffcc width=20 | 조 1위, 2위, 그리고 상위 두 팀의 3위 팀은 8강에 진출합니다
4. 1. A조
- ---
1999년 6월 29일, 파라과이와 볼리비아는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1] 같은 날, 페루는 일본을 3-2로 이겼다.[2]
1999년 7월 2일, 페루는 볼리비아를 1-0으로 꺾었고, 파라과이는 일본을 4-0으로 대파했다.
1999년 7월 5일, 볼리비아와 일본은 모누멘탈 리오 파라피티에서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같은 날, 파라과이는 페루를 1-0으로 이겼다.
4. 2. B조
B조는 브라질, 멕시코, 칠레, 베네수엘라 4개국으로 구성되어 리그전을 진행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브라질은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했다.
- 멕시코는 2승 1패로 2위를 기록했다.
- 칠레는 1승 2패로 3위를 차지했다.
- 베네수엘라는 3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경기 결과
날짜 | 경기 | 결과 | 경기장 |
---|---|---|---|
1999년 6월 30일 | 브라질 7 – 0 베네수엘라 | 에스타디오 안토니오 오도네 사루비, 시우다드델에스테 | |
1999년 6월 30일 | 칠레 0 – 1 멕시코 | 에스타디오 안토니오 오도네 사루비, 시우다드델에스테 | |
1999년 7월 3일 | 브라질 2 – 1 멕시코 | 에스타디오 안토니오 오도네 사루비, 시우다드델에스테 | |
1999년 7월 3일 | 칠레 3 – 0 베네수엘라 | 에스타디오 안토니오 오도네 사루비, 시우다드델에스테 | |
1999년 7월 6일 | 브라질 1 – 0 칠레 | 에스타디오 안토니오 오도네 사루비, 시우다드델에스테 | |
1999년 7월 6일 | 멕시코 3 – 1 베네수엘라 | 에스타디오 안토니오 오도네 사루비, 시우다드델에스테 |
브라질, 멕시코, 칠레가 8강에 진출했다.
브라질과 칠레의 경기는 심한 안개로 인해 85분에 중단되었고, 몇 분간 기다린 후 점수가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
4. 3. C조
C조는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에콰도르로 구성되었다. 경기는 1999년 7월 1일부터 7월 7일까지 진행되었다.- 콜롬비아는 3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 아르헨티나는 2승 1패로 2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 우루과이는 1승 2패로 3위를 차지했지만, 와일드카드로 8강에 진출했다.
- 에콰도르는 3패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경기 결과
- 1999년 7월 1일:
- * 아르헨티나 3 – 1 에콰도르 (에스타디오 펠리시아노 카세레스, 루케)
- * 우루과이 0 – 1 콜롬비아 (에스타디오 헤네랄 파블로 로하스, 아순시온)
- 1999년 7월 4일:
- * 아르헨티나 0 – 3 콜롬비아 (에스타디오 펠리시아노 카세레스, 루케)
- * 우루과이 2 – 1 에콰도르 (에스타디오 펠리시아노 카세레스, 루케)
- 1999년 7월 7일:
- * 우루과이 0 – 2 아르헨티나 (에스타디오 펠리시아노 카세레스, 루케)
- * 콜롬비아 2 – 1 에콰도르 (에스타디오 펠리시아노 카세레스, 루케)
4. 4.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1차 조별 예선 종료 후 각 조 3위 팀들의 성적을 비교하여 상위 2개 팀이 8강에 진출했다.5. 결선 토너먼트
1999년 코파 아메리카의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구성되었다.
8강전에서는 멕시코, 우루과이, 칠레, 브라질이 각각 페루, 파라과이, 콜롬비아, 아르헨티나를 꺾고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멕시코와 페루, 우루과이와 파라과이의 경기는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리 팀이 결정되었다.[1][2]
준결승전에서는 우루과이가 칠레를 승부차기 끝에 꺾었고, 브라질은 멕시코를 2-0으로 제압하며 결승전에 진출했다.
3·4위전에서는 멕시코가 칠레를 2-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1]
결승전에서는 브라질이 리바우두의 멀티골과 호나우두의 쐐기골에 힘입어 우루과이를 3-0으로 완파하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5. 1. 8강전
(승부차기 4 – 2)(승부차기 5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