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5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2005년에 개최된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으로,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선수들이 참가했다. 1차전은 센트럴 리그가 6-5로 승리했으며, 2차전은 센트럴 리그가 5-3으로 승리하며 센트럴 리그가 2승을 거두었다. 각 경기 MVP는 긴조 다쓰히코와 마에다 도모노리가 각각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야구 - 2005년 한국프로야구
2005년 한국프로야구는 병역 비리 파동으로 경기 수가 축소된 가운데 삼성 라이온즈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조성민, 장종훈 등의 선수 활약과 선동열, 김재박 감독 관련 화제가 있었다. - 2005년 야구 - 2005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2005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는 일본이 대한민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대한민국은 윤여국 감독과 김광현, 류현진 등 유망주들을 중심으로 준우승을 차지했다. - 2005년 7월 - 2005년 런던 폭탄 테러
2005년 런던 폭탄 테러는 런던 지하철과 버스를 대상으로 발생한 동시다발적인 자살 폭탄 테러로, 56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당했으며, 테러범들은 알카에다 지지와 이라크 전쟁에 대한 반감을 범행 동기로 주장하여 영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 2005년 7월 - 2005년 월드 게임
2005년 월드 게임은 독일 뒤스부르크에서 열린 국제경기연맹총회 주관의 비올림픽 종목 종합 스포츠 대회로, 러시아가 1위를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6개의 메달을 획득했지만 심판 판정 논란과 운영 미숙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텔레비전 중계가 처음 시작된 해에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이 맞붙어 1, 2차전 모두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으며, 나카니시 후토시와 야마우치 가즈히로가 MVP를 수상했고, 찰리 루이스는 외국인 선수 최초로 포수로 선발 출전했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최고 선수들이 참가한 2경기 시리즈로, 각 리그가 1승씩을 거두었으며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들과 보충 선수들이 참가했고 TV와 라디오로 중계되었다.
2005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
---|---|
대회 정보 | |
명칭 | 2005 산요 올스타 게임 |
스폰서 | 산요 전기 |
참가팀 정보 | |
센트럴 리그 감독 | 오치아이 히로미쓰 |
퍼시픽 리그 감독 | 이토 쓰토무 |
센트럴 리그 최다 팬 투표 선수 | 아카호시 노리히로 |
퍼시픽 리그 최다 팬 투표 선수 | 조지마 겐지 |
1차전 정보 | |
일정 | 7월 22일 |
개최지 | 인보이스 세이부 돔 |
원정팀 | 센트럴 리그 |
홈팀 | 퍼시픽 리그 |
경기 결과 | 6-5 |
1차전 MVP | 긴조 다쓰히코 |
2차전 정보 | |
일정 | 7월 23일 |
개최지 | 한신 고시엔 구장 |
원정팀 | 퍼시픽 리그 |
홈팀 | 센트럴 리그 |
경기 결과 | 3-5 |
2차전 MVP | 마에다 도모노리 |
2. 출장 선수
전년도에 이어 세이부 라이온즈의 이토 쓰토무 감독이 올퍼시픽 리그 팀을 이끌었고, 주니치 드래곤즈 감독 오치아이 히로미츠가 올센트럴 리그 팀을 지휘했다.
2005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프로 야구 개혁 원년에 세・파 교류전이 시작되면서 "볼거리가 적은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지만, SHINJO(닛폰햄)의 야구 용품 관련 퍼포먼스와 크룬(요코하마)의 161km/h 강속구 등 화제가 풍성했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는 7월 중순에 개최되었으나, 이 해부터 세・파 교류전 일정과 우천 중단 시 예비 일정 확보를 위해 7월 하순으로 변경되었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에서는 이소베 코이치 선수가 유일하게 출전하여 라쿠텐 구단 최초의 올스타전 출전 선수가 되었다.[1]
2. 1. 센트럴 리그
센트럴 리그 | |||
---|---|---|---|
감독 | 오치아이 히로미쓰 | 주니치 | |
코치 | 와카마쓰 쓰토무 | 야쿠르트 | |
호리우치 쓰네오 | 요미우리 | ||
선발 투수 | 구로다 히로키 | 히로시마 | 2 |
중간 계투 | 후지카와 규지 | 한신 | 첫 출장 |
마무리 투수 | 이가라시 료타 | 야쿠르트 | 5 |
투수 | 가와카미 겐신 | 주니치 | 4 |
이와세 히토키 | 주니치 | 4 | |
후지이 슈고 | 야쿠르트 | 2 | |
이시이 히로토시 | 야쿠르트 | 2 | |
우에하라 고지 | 요미우리 | 7 | |
구도 기미야스 | 요미우리 | 10 | |
시모야나기 쓰요시 | 한신 | 4 | |
마크 크룬 | 요코하마 | 첫 출장 | |
포수 | 후루타 아쓰야 | 야쿠르트 | 16 |
다니시게 모토노부 | 주니치 | 8 | |
야노 아키히로 | 한신 | 5 | |
1루수 | 기요하라 가즈히로 | 요미우리 | 18 |
2루수 | 후지모토 아쓰시 | 한신 | 2 |
3루수 | 이마오카 마코토 | 한신 | 5 |
유격수 | 도리타니 다카시 | 한신 | 첫 출장 |
내야수 | 아라키 마사히로 | 주니치 | 첫 출장 |
이바타 히로카즈 | 주니치 | 3 | |
이와무라 아키노리 | 야쿠르트 | 3 | |
아라이 다카히로 | 히로시마 | 2 | |
다네다 히토시 | 요코하마 | 3 | |
외야수 | 아카호시 노리히로 | 한신 | 2 |
가네모토 도모아키 | 한신 | 8 | |
마에다 도모노리 | 히로시마 | 5 | |
아오키 노리치카 | 야쿠르트 | 첫 출장 | |
긴조 다쓰히코 | 요코하마 | 2 |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 그 외에는 감독 추천에 의한 출장, 숫자는 출장 횟수이다.
2. 2. 퍼시픽 리그
감독 | 코치 | 선발 투수 | 중간 계투 | 마무리 투수 | 투수 | 포수 | 1루수 | 2루수 | 3루수 | 유격수 | 내야수 | 외야수 | 지명타자 |
---|---|---|---|---|---|---|---|---|---|---|---|---|---|
이토 쓰토무 (세이부) | 오 사다하루 (소프트뱅크) 시라이 가즈유키 (닛폰햄) | 마쓰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7 | 야부타 야스히코 (지바 롯데) 첫 출장 | 고바야시 마사히데 (지바 롯데) 4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4 호아시 가즈유키 (세이부) 첫 출장 요시타케 신타로 (소프트뱅크) 첫 출장 스기우치 도시야 (소프트뱅크) 첫 출장 가네무라 사토루 (닛폰햄) 3 시미즈 나오유키 (지바 롯데) 2 와타나베 슌스케 (지바 롯데) 2 고바야시 히로유키 (지바 롯데) 3 | 조지마 겐지 (소프트뱅크) 9 사토자키 도모야 (지바 롯데) 첫 출장 | 마쓰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6 | 니시오카 쓰요시 (지바 롯데) 첫 출장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7 | 가와사키 무네노리 (소프트뱅크) 2 | 이시이 요시히토 (세이부) 첫 출장 기모토 구니유키 (닛폰햄) 첫 출장 M. 프랑코 (지바 롯데) 첫 출장 후쿠우라 가즈야 (지바 롯데) 3 이승엽 (지바 롯데) 첫 출장 히라노 게이이치 (오릭스) 첫 출장 | SHINJO (닛폰햄) 6 이소베 고이치 (라쿠텐) 2 와다 가즈히로 (세이부) 3 미야지 가쓰히코 (소프트뱅크) 첫 출장 | J. 줄레타 (소프트뱅크) 2 |
:* 트레이 힐만 감독이 개인 사정으로 긴급 귀국했기 때문에 시라이 가즈유키 코치가 대신 출장.[1]
3. 경기 결과
7월 23일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센트럴 리그가 퍼시픽 리그를 5대 3으로 이겼다. MVP는 마에다 도모노리(히로시마 도요 카프)가 차지했다.[2]
경기는 18시 12분(JST)에 시작하여 2시간 45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관중 수는 45,296명이었다.
팀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최종 득점 | 안타 | 에러 |
---|---|---|---|---|---|---|---|---|---|---|---|---|
센트럴 | 3 | 0 | 0 | 1 | 1 | 0 | 0 | 0 | X | 5 | 14 | 0 |
퍼시픽 | 0 | 0 | 0 | 2 | 0 | 1 | 0 | 0 | 0 | 3 | 11 | 2 |
- 승리 투수: 구로다 히로키(히로시마) (1승)
- 패전 투수: 스기우치 토시야(소프트뱅크) (1패)
- 세이브 투수: 후지카와 큐지(한신) (1세이브)
- 홈런:
- 퍼시픽: 이승엽 (롯데) 1호 (4회 2점, 시모야나기 쓰요시), 조지마 겐지(소프트뱅크) 1호 (6회 1점, 구도 기미야스)
- 출전 선수:
센트럴 리그 | 퍼시픽 리그 | ||||
---|---|---|---|---|---|
순서 | 포지션 | 선수 | 순서 | 포지션 | 선수 |
1 | (중) | 아카호시 노리히로 | 1 | (유) | 니시오카 쓰요시 |
2 | (3) | 이마오카 마코토 | 2 | (중) | 히라노 케이이치 |
3 | (좌) | 가네모토 도모아키 | 3 | (1) | 후쿠우라 카즈야 |
4 | (1) | 기요하라 가즈히로 | 4 | (지) | 마쓰나카 노부히코 |
5 | (지) | 이와무라 아키노리 | 5 | (포) | 조지마 겐지 |
6 | (우) | 마에다 도모노리 | 6 | (좌) | 이승엽 |
7 | (포) | 후루타 아쓰야 | 7 | (우) | 프랑코 |
8 | (유) | 도리타니 다카시 | 8 | (3) | 기모토 구니유키 |
9 | (2) | 후지모토 아쓰시 | 9 | (2) | 이시이 요시히토 |
(투) | 구로다 히로키 | (투) | 스기우치 토시야 |
3. 1. 1차전
インボイスSEIBUドーム일본어(현 세이부 돔)에서 열린 1차전은 센트럴 리그가 퍼시픽 리그를 6대 5로 이겼다. MVP는 긴조 다쓰히코(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가 차지했다.팀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최종 득점 | 안타 | 에러 |
---|---|---|---|---|---|---|---|---|---|---|---|---|
센트럴 | 1 | 1 | 0 | 0 | 1 | 3 | 0 | 0 | 0 | 6 | 13 | 0 |
퍼시픽 | 1 | 0 | 3 | 1 | 0 | 0 | 0 | 0 | 0 | 5 | 10 | 0 |
- 승리 투수: 이가라시 료타(야쿠르트)
- 패전 투수: 니시구치 후미야(세이부)
- 세이브 투수: 마크 크룬(요코하마)
- 홈런:
- 센트럴: 기요하라 가즈히로(요미우리·5회 1점)
- 퍼시픽: 오가사와라 미치히로(닛폰햄·1회 1점)
- 출전 선수:
센트럴 리그 | 퍼시픽 리그 | ||||
---|---|---|---|---|---|
순서 | 포지션 | 선수 | 순서 | 포지션 | 선수 |
1 | (중) | 아카호시 노리히로 | 1 | (우) | 이소베 고이치 |
2 | (우) | 긴조 다쓰히코 | 2 | (二) | 니시오카 쓰요시 |
3 | (좌) | 가네모토 도모아키 | 3 | (三)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
4 | (一) | 기요하라 가즈히로 | 4 | (一) | 마쓰나카 노부히코 |
5 | (지) | 마에다 도모노리 | 5 | (좌) | 와다 가즈히로 |
6 | (三) | 이마오카 마코토 | 6 | (지) | J. 줄레타 |
7 | (포) | 후루타 아쓰야 | 7 | (포) | 사토자키 도모야 |
8 | (유) | 도리타니 다카시 | 8 | (중) | 미야지 가쓰히코 |
9 | (二) | 후지모토 아쓰시 | 9 | (유) | 가와사키 무네노리 |
(투) | 우에하라 고지 | (투) | 마쓰자카 다이스케 |
3. 2. 2차전
7월 23일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센트럴 리그가 퍼시픽 리그를 5대 3으로 이겼다.[2] 이 경기 MVP는 마에다 도모노리(히로시마 도요 카프)였다.[2]4. 방송 중계
2005年일본어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TV와 라디오를 통해 중계되었다.
4. 1. TV 중계
(TV 아사히 계열)(한신 시니어 디렉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