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독일에서 개최된 대회로, 2006년 FIFA 월드컵 개최국인 독일과 2002년 FIFA 월드컵 우승팀 브라질을 포함한 8개국이 참가했다.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결승에서 꺾고 우승했으며, 아드리아누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독일과 멕시코가 3, 4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브라질은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를 4-1로 꺾고 우승했으며, 아드리아누의 멀티골과 카카, 호나우지뉴의 득점으로 승리했고, 호나우지뉴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선수 명단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선수 명단은 2005년 독일에서 열린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한 8개국(오스트레일리아, 독일, 튀니지, 아르헨티나, 그리스, 일본, 멕시코, 브라질)의 선수 정보(감독, 포지션별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소속 클럽 등)를 담고 있습니다. - 2005년 독일 - 2005년 월드 게임
2005년 월드 게임은 독일 뒤스부르크에서 열린 국제경기연맹총회 주관의 비올림픽 종목 종합 스포츠 대회로, 러시아가 1위를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6개의 메달을 획득했지만 심판 판정 논란과 운영 미숙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 2005년 독일 - 제55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제55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2005년에 개최되어 다양한 영화들이 상영되었으며, U-Carmen eKhayelitsha가 황금곰상을, 공작과 소피 숄 - 마지막 날들이 은곰상을 수상했다.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국 - 타히티 축구 국가대표팀
타히티 축구 국가대표팀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를 대표하는 팀으로 타히티 축구 연맹에서 관리하며, OFC 네이션스컵 2012년 우승으로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출전했고 남태평양 게임 축구 최다 우승국이다.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국 -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은 1895년 창립된 칠레 축구 협회에서 운영하는 남미의 국가대표 축구팀으로, 1962년 자국 월드컵 3위, 2015년과 2016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현재는 세대교체를 진행 중이며, 아르헨티나와 페루를 라이벌로 두고 특히 페루와의 경기는 '태평양 더비'로 불린다.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개최 연도 | 2005 |
다른 이름 | Konföderationen-Pokal 2005 FIFA-Konföderationen-Pokal 2005 |
![]() | |
개최국 | 독일 |
개최 기간 | 6월 15일 – 6월 29일 |
참가 팀 수 | 8 |
참가 연맹 수 | 6 |
경기장 수 | 5 |
도시 수 | 5 |
결과 | |
우승팀 | 브라질 |
우승 횟수 | 2 |
준우승팀 | 아르헨티나 |
3위팀 | 독일 |
4위팀 | 멕시코 |
통계 | |
총 경기 수 | 16 |
총 득점 수 | 56 |
총 관중 수 | 603106 |
득점왕 | 아드리아누 (5골) |
최우수 선수 | 아드리아누 |
페어 플레이 상 | 그리스 |
이전 및 다음 대회 | |
이전 대회 | 2003 |
다음 대회 | 2009 |
2. 참가국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는 총 8개 팀이 참가했다. 참가팀은 2006년 FIFA 월드컵 개최국과 각 대륙별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팀으로 구성되었다.
2. 1. 참가 자격 및 팀 선정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는 다음과 같은 팀들이 참가했다.팀 | 대륙 연맹 | 참가 자격 | 참가 자격 확보일 | 출전 횟수 |
---|---|---|---|---|
독일 | UEFA | 2006년 FIFA 월드컵 개최국 | 2000년 7월 7일 | 2회 |
브라질 | CONMEBOL | 2002년 FIFA 월드컵 우승 | 2002년 6월 30일 | 5회 |
멕시코 | CONCACAF | 2003년 CONCACAF 골드컵 우승 | 2003년 7월 27일 | 5회 |
튀니지 | CAF |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 2004년 2월 14일 | 1회 |
그리스 | UEFA | UEFA 유로 2004 우승 | 2004년 7월 4일 | 1회 |
아르헨티나 | CONMEBOL | 2004년 코파 아메리카 준우승[1] | 2004년 7월 21일 | 3회 |
일본 | AFC | 2004년 AFC 아시안컵 우승 | 2004년 8월 7일 | 4회 |
오스트레일리아 | OFC | 2004년 OFC 네이션스컵 우승 | 2004년 10월 12일 | 3회 |
2004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 팀인 브라질은 이미 2002년 FIFA 월드컵 우승 팀 자격으로 진출이 확정된 상태였다. 일반적으로 이런 경우에는 FIFA 월드컵 준우승 팀이 진출하게 되어 있었지만, 당시 2002년 FIFA 월드컵 준우승 팀이었던 독일은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한 상태였다. 이에 따라 2004년 코파 아메리카 준우승 팀인 아르헨티나가 추가로 진출하였다.[1]
2. 2. 참가국 목록
국가대표팀 | 자격 | 출전 횟수 |
---|---|---|
독일 | 2006년 FIFA 월드컵 개최국 | 2번째 출전 |
브라질 | 2002년 FIFA 월드컵 우승 팀, 2004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 팀 | 5번째 출전 |
멕시코 | 2003년 CONCACAF 골드컵 우승 팀 | 5번째 출전 |
튀니지 |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팀 | 1번째 출전 |
그리스 | UEFA 유로 2004 우승 팀 | 1번째 출전 |
아르헨티나 | 2004년 코파 아메리카 준우승 팀[1] | 3번째 출전 |
일본 | 2004년 AFC 아시안컵 우승 팀 | 4번째 출전 |
오스트레일리아 | 2004년 OFC 네이션스컵 우승 팀 | 3번째 출전 |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독일의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각 도시와 경기장, 수용 인원은 다음과 같다.
2004년 11월 1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조 추첨이 열렸다.
브라질은 2004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 팀 자격과 2002년 FIFA 월드컵 우승 팀 자격으로 이미 진출이 확정된 상태였다. 일반적으로 이런 경우에는 FIFA 월드컵 준우승 팀이 진출하게 되어 있었지만, 당시 2002년 FIFA 월드컵 준우승 팀이었던 독일은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여, 2004년 코파 아메리카 준우승 팀인 아르헨티나가 추가로 진출하였다.
3. 개최 도시 및 경기장
도시 경기장 이름 수용 인원 프랑크푸르트 코메르츠방크 아레나 48,132명 쾰른 라인에네르기슈타디온 46,120명 하노버 AWD 아레나 44,652명 라이프치히 첸트랄슈타디온 44,200명 뉘른베르크 프랑켄슈타디온 41,926명
이 경기장들은 모두 2006년 FIFA 월드컵에서도 사용되었다.[2] 원래 카이저슬라우테른의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도 경기장으로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2004년 5월 27일 시 당국이 경기장 완공 기한을 맞추기 위한 추가 비용 문제로 유치를 철회하였다.[2]
4. 조 추첨 및 시드 배정
같은 대륙별 축구 연맹에 속한 팀끼리는 같은 조에 넣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라 유럽 축구 연맹(UEFA), 남아메리카 축구 연맹(CONMEBOL)에 속한 팀들은 서로 다른 조에 배정되었다. 독일이 A조 1번째 자리(A1), 브라질이 B조 1번째 자리(B1)에 각각 자동으로 배정되었으며 아르헨티나는 A조, 그리스는 B조에 각각 배정되었다.포트 A 포트 B 포트 C | |
5. 선수 명단
6. 경기 결과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조별 리그를 거쳐 결선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준결승전에서는 독일과 브라질이 맞붙어 브라질이 3-2로 승리했고, 멕시코와 아르헨티나는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아르헨티나가 6-5로 승리했다. 3·4위전에서는 독일이 멕시코를 연장전 끝에 4-3으로 꺾었다. 결승전에서는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4-1로 크게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6. 1. 조별 리그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조별 리그는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의 경기는 2005년 6월 15일부터 6월 22일까지 독일에서 개최되었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CEST/UTC+2)을 따른다.
{| class="wikitable"
|+ 조별 리그 결과
|-
! A조
! B조
|-
|
|
|}
6. 1. 1. A조
- ---
- 2005년 6월 15일, 아르헨티나는 쾰른 라인에네르기슈타디온에서 튀니지를 2-1로 이겼다. 리켈메와 사비올라가 득점했고, 튀니지는 게맘디아가 페널티킥으로 한 골을 만회했다.
- 같은 날, 독일은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코메르츠방크 아레나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4-3으로 이겼다. 독일은 쿠라니, 메르테자커, 발라크, 포돌스키가 득점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스코코와 알로이지가 득점했다.
- 6월 18일, 튀니지는 쾰른에서 독일에게 0-3으로 졌다. 발라크, 슈바인슈타이거, 항케가 득점했다.
- 같은 날, 오스트레일리아는 뉘른베르크 프랑켄슈타디온에서 아르헨티나에게 2-4로 졌다. 알로이지가 두 골을 넣었고, 아르헨티나는 피게로아와 리켈메가 득점했다.
- 6월 21일, 오스트레일리아는 라이프치히 첸트랄슈타디온에서 튀니지에게 0-2로 졌다. 산투스가 두 골을 넣었다.
- 같은 날, 아르헨티나와 독일은 뉘른베르크에서 2-2로 비겼다. 아르헨티나는 리켈메와 캄비아소가, 독일은 쿠라니와 아자모아가 득점했다.
6. 1. 2. B조
- ---
2005년 6월 16일 18:00(현지 시각) AWD 아레나(하노버)에서 열린 일본과 멕시코의 경기에서는 멕시코가 야나기사와에게 선제골을 내주었으나, 시나와 폰세카의 연속골로 2-1 역전승을 거두었다.[1] 관중 수는 24,036명이었고, 주심은 매슈 브리즈였다.
같은 날 20:45(현지 시각) 첸트랄슈타디온(라이프치히)에서 열린 브라질과 그리스의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아드리아누, 호비뉴, 주니뉴의 연속골로 3-0 완승을 거두었다.[2] 관중 수는 42,507명이었고, 주심은 류보시 미헬이었다.
- ---
2005년 6월 19일 18:00(현지 시각) 코메르츠방크 아레나(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열린 그리스와 일본의 경기에서는 일본이 오구로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3] 관중 수는 34,314명이었고, 주심은 헤르베르트 판델이었다.
같은 날 20:45(현지 시각) AWD 아레나(하노버)에서 열린 멕시코와 브라질의 경기에서는 멕시코가 보르헤티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4] 관중 수는 43,677명이었고, 주심은 로베르토 로세티였다.
- ---
2005년 6월 22일 20:45(현지 시각) 코메르츠방크 아레나(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열린 그리스와 멕시코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5] 관중 수는 31,285명이었고, 주심은 카를로스 아마리야였다.
같은 날 20:45(현지 시각) 라인에네르기슈타디온(쾰른)에서 열린 일본과 브라질의 경기에서는 난타전 끝에 2-2 무승부를 기록했다.[6] 일본은 나카무라와 오구로가 득점했고, 브라질은 호비뉴와 호나우지뉴가 득점했다. 관중 수는 44,922명이었고, 주심은 무라드 다미였다.
6. 2. 결선 토너먼트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선 토너먼트는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CEST/UTC+2)을 따랐다.준결승전에서는 독일과 브라질이 맞붙어 브라질이 3-2로 승리했고, 멕시코와 아르헨티나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아르헨티나가 6-5로 승리했다. 3·4위전에서는 독일이 멕시코를 연장전 끝에 4-3으로 꺾었다. 결승전에서는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4-1로 크게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6. 2. 1. 준결승전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준결승전은 2005년 6월 25일과 6월 26일에 각각 열렸다.6월 25일, 뉘른베르크의 프랑켄슈타디온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는 독일이 브라질에게 2-3으로 패했다. 독일은 루카스 포돌스키와 미하엘 발라크가 득점했지만, 브라질은 아드리아누가 두 골, 호나우지뉴가 페널티킥으로 한 골을 넣어 승리했다.
경기 | 날짜 | 장소 | 결과 | 득점 (독일) | 득점 (브라질) |
---|---|---|---|---|---|
독일 vs 브라질 | 2005년 6월 25일 | 프랑켄슈타디온, 뉘른베르크 | 2 – 3 | 포돌스키, 발라크 (페널티킥) | 아드리아누 2골, 호나우지뉴 (페널티킥) |
6월 26일, 하노버의 AWD 아레나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멕시코와 아르헨티나가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아르헨티나가 6-5로 승리했다. 멕시코는 카를로스 살시도가, 아르헨티나는 루시아노 피게로아가 득점했다.
이로써 브라질과 아르헨티나가 결승전에 진출했다.
6. 2. 2. 3·4위전
2005년 6월 29일 라이프치히의 첸트랄슈타디온에서 열린 독일과 멕시코의 3·4위전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독일이 4-3으로 승리했다. 독일의 포돌스키가 전반 37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멕시코의 폰세카가 3분 뒤 동점골을 터뜨렸다.[1] 곧이어 슈바인슈타이거가 전반 41분에 추가골을 넣으며 독일이 다시 앞서나갔다.[1] 후반전에는 보르헤티가 58분에 다시 동점골을 만들었지만, 후트가 79분에 골을 넣어 독일이 3-2 리드를 잡았다.[1] 그러나 보르헤티가 후반 85분에 또 한 번 골을 넣으며 경기는 연장전으로 이어졌다.[1] 연장 전반 7분, 발라크가 결승골을 기록하며 독일이 4-3으로 승리했다.[1] 이 경기에는 43,335명의 관중이 입장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의 매슈 브리즈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1]6. 2. 3. 결승전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은 2005년 6월 29일 CEST 20시 45분, 독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의 코메르츠방크 아레나에서 열렸다. 브라질과 아르헨티나가 맞붙은 이 경기는 45,591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슬로바키아 출신 류보시 미헬 심판이 주관했다.[1]브라질은 아드리아누의 두 골(11분, 63분), 카카의 골(16분), 호나우지뉴의 골(47분)에 힘입어, 아이마르가 한 골(65분)을 만회한 아르헨티나를 4-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7. 최종 순위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1 | align=left| | 5 | 3 | 1 | 1 | 12 | 6 | +6 | 10 |
2 | align=left| | 5 | 2 | 2 | 1 | 10 | 10 | 0 | 8 |
3 | align=left| | 5 | 3 | 1 | 1 | 15 | 11 | +4 | 10 |
4 | align=left| | 5 | 2 | 2 | 1 | 7 | 6 | +1 | 8 |
5 | align=left| | 3 | 1 | 1 | 1 | 4 | 4 | 0 | 4 |
6 | align=left| | 3 | 1 | 0 | 2 | 3 | 5 | -2 | 3 |
7 | align=left| | 3 | 0 | 1 | 2 | 0 | 4 | -4 | 1 |
8 | align=left| | 3 | 0 | 0 | 3 | 5 | 10 | -5 | 0 |
- 4강 진출 팀은 결승전 및 3,4위전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 토너먼트에서 승부차기로 경기가 가려진 경우에는 FIFA의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기재한다.[6]
8. 수상
상 | 수상 선수·팀 | 비고 |
---|---|---|
골든볼(대회 MVP) | 아드리아누 | 우승 |
실버볼 | 후안 로만 리켈메 | 준우승 |
브론즈볼 | 호나우지뉴 | 우승 |
골든슈(득점왕) | 아드리아누 | 5득점 |
실버슈 | 미하엘 발락 | 4득점 |
브론즈슈 | 존 알로이지 | 4득점 |
골든글러브(최우수 GK) | 오스발도 산체스 | 5실점 |
페어플레이상 | 그리스 | 1회차 |
9. 득점 선수
Adriano영어는 5골을 넣어 득점왕을 수상했다.[4] 총 29명의 선수가 56골을 넣었으며, 자책골은 없었다.[5]
10. 기타
이 대회는 2년에 한 번씩 개최되었으나, 전 대회에서 카메룬 대표팀의 마르크 비비앙 포에 선수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는 사건을 계기로, 과밀 일정을 피하고 다음 FIFA 월드컵 운영 리허설을 실시한다는 관점에서, 이번 대회부터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을 FIFA 월드컵 본선의 전년도에, 동 대회 개최국에서 개최하는 사전 공식 대회로 공식적으로 정의하고, 조별 리그 일정에도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하였다.
10. 1. 오스트레일리아의 위기
오스트레일리아 대표팀은 이번 대회 A조 조별리그에서 승점 0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협회는 프랭크 파리나 감독을 경질하고, FIFA 월드컵 2회 연속 4강 진출을 이뤄낸 거스 히딩크 감독 영입을 결정했다. 히딩크 감독 영입에는 약 8억엔 상당의 자금과 열정이 필요했지만, 끈기 있는 협상 끝에 영입에 성공했다. 히딩크 감독은 오스트레일리아를 32년 만에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시켰고, 독일 대회에서도 16강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10. 2. 대회 의의 및 영향
그동안 이 대회는 2년에 한 번씩 개최되었으나, 전 대회에서 카메룬 대표팀의 마르크 비비앙 포에 선수의 급작스러운 사망을 계기로, 과밀 일정을 피하고 다음 FIFA 월드컵 운영 리허설을 실시한다는 관점을 고려하여, 이번 대회부터 컨페더레이션스컵을 FIFA 월드컵 본선의 전년도에, 동 대회 개최국에서 개최하는 사전 공식 대회로 공식적으로 정의하고, 조별 리그 일정에도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하였다.참조
[1]
뉴스
Argentina seal sixth FIFA Confederations Cup berth
https://web.archive.[...]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04-07-22
[2]
뉴스
Kaiserslautern declines Confederations Cup role
https://web.archive.[...]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04-05-27
[3]
웹사이트
FIFA Confederations Cup Germany 2005 Awards
https://web.archive.[...]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FIFA)
[4]
웹사이트
Awards
https://web.archive.[...]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5]
웹사이트
Statistics – Players – Top goals
https://web.archive.[...]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6]
웹사이트
Statistical Kit: FIFA Confederations Cup (FCC 2017 post-event edition) – Ranking by tournament
https://digitalhub.f[...]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7-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