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프랑스에서 개최된 대회로, 2002년 FIFA 월드컵 우승국인 브라질, 개최국 프랑스를 포함한 8개 팀이 참가했다. 프랑스는 결승전에서 카메룬을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티에리 앙리가 골든볼과 골든슈를 모두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03년 프랑스 -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2003년 8월 프랑스 파리 근교 생드니의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203개국 1,679명의 선수들이 참가한 국제 육상 대회로, 킴 콜린스 남자 100m 우승과 히샴 엘 게루주의 1500m 4회 연속 우승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프랑스는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에서 카메룬을 상대로 티에리 앙리의 골든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우승을 차지했다.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선수 명단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선수 명단은 2003년 프랑스에서 열린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한 프랑스, 일본, 뉴질랜드, 콜롬비아, 카메룬, 튀르키예, 미국, 브라질을 포함한 각 국가대표팀의 감독과 선수들의 이름이 포지션별로 정리된 문서이다.
2003년 6월 - 마스 익스프레스 마스 익스프레스는 유럽 우주국에서 발사한 화성 탐사선으로, 화성의 내부, 표면, 대기 및 환경을 연구하며 과거 마스 96 임무의 목표를 달성하고 외생물학 연구를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궤도선과 착륙선으로 구성되어 화성을 탐사하고 있다.
2003년 6월 - 제25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제25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는 2003년에 개최되었으며, 세르게이 보드로프 심사위원장 아래 대한민국 영화 《지구를 지켜라!》 등을 포함한 영화 경쟁 부문에서 스페인, 이탈리아 합작 영화 《미스터리의 종말》이 황금 성 게오르기 상을, 장준환 감독이 감독상을 수상했다.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유치 신청은 2002년 5월 1일에 마감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포르투갈, 미국이 단독 유치를 신청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이집트가 공동 유치를 신청했다.[2][3]프랑스-스위스도 공동 유치를 신청했으나 구체화되지는 않았다.[2][3]국제 축구 연맹(FIFA) 집행위원회는 2002년 9월 24일에 열린 회의에서 프랑스를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개최국으로 선정했다.[4]
같은 대륙별 축구 연맹에 속한 팀끼리는 같은 조에 넣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라 유럽 축구 연맹(UEFA), 남아메리카 축구 연맹(CONMEBOL)에 속한 팀들은 서로 다른 조에 배정되었다. 프랑스가 A조 1번째 자리(A1), 브라질이 B조 1번째 자리(B1)에 각각 자동으로 배정되었으며 콜롬비아는 A조, 튀르키예는 B조에 각각 배정되었다.
포트 A
포트 B
포트 C
6. 선수 명단
7. 조별 리그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조별 리그는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CEST/UTC+2)을 기준으로 한다.
A조에서는 프랑스가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했고, 콜롬비아가 2승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일본은 1승 2패로 3위, 뉴질랜드는 3패로 4위에 머물렀다.
B조에서는 카메룬이 2승 1무로 1위를 차지했고, 튀르키예가 1승 1무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브라질은 1승 1무 1패로 튀르키예와 승점이 같았지만 골득실에서 밀려 3위로 탈락했고, 미국은 1무 2패로 4위에 그쳤다.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선 토너먼트는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구성되었다. 준결승전은 6월 26일에 리옹과 생드니에서 각각 열렸으며, 카메룬과 프랑스가 각각 콜롬비아와 튀르키예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특히 카메룬과 콜롬비아의 경기에서는 카메룬의 마르크비비앙 푀 선수가 경기 도중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1]
6월 28일생테티엔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튀르키예가 콜롬비아를 2-1로 이겼다. 6월 29일생드니에서 개최된 결승전에서는 프랑스가 연장전 끝에 티에리 앙리의 골든골로 카메룬을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03년6월 28일 18시(중부유럽여름시간), 프랑스생테티엔의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에서 콜롬비아와 튀르키예 간의 3·4위전 경기가 열렸다.[1] 에르난데스가 후반 63분에 콜롬비아의 선제골을 넣었으나, 툰자이가 전반 2분에, 오칸이 후반 86분에 각각 득점하여 튀르키예가 2-1로 승리하였다.[1] 이날 경기에는 18,237명의 관중이 입장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의 마크 실드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1]
4강 진출 팀은 결승전 및 3, 4위전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토너먼트에서 승부차기로 경기가 가려진 경우에는 FIFA의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기재한다. 축구 통계 관례에 따라, 연장전에서 결정된 경기는 승리와 패배로 계산되며, 승부차기로 결정된 경기는 무승부로 계산된다.[8]
12. 기타
처음에는 전년 2002 FIFA 월드컵 한일 대회 준우승국인 독일이 참가국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출전을 포기했다. 대신 동 대회 3위인 터키가 출전했다.
6월 26일 준결승 카메룬 대 콜롬비아 경기에서는 카메룬의 마르크 비비앙 푀가 경기 중 쓰러져 사망하는 비극이 발생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다음 2005년 독일 대회부터 4년에 한 번씩, FIFA 월드컵 전년도에 본 대회와 같은 국가에서 개최되는 리허설 대회로 개최되고, 조별 리그 일정에도 일정한 여유를 두게 되었다(단, 한때 컨페더레이션스컵을 폐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고도 한다).
2006년 2006 FIFA 월드컵 독일 대회의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출전권은 1개로 예정되어 있었지만, 이 대회에서 뉴질랜드의 참패는 나중에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출전권이 0.5개로 줄어드는 원인이 되었다(자세한 내용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오세아니아의 국제 대회 상황 참조).
일본 민영 방송 사상 최초로 TBS와 후지텔레비의 공동 중계가 이루어져 큰 화제가 되었다. 이것은 FIFA 월드컵, 하계 올림픽 이외의 국제 대회(FIFA U-20 월드컵·FIFA U-17 월드컵 포함)에 대해 일본 민영 방송에서 TBS와 CX가 FIFA와 준독점적으로 방영권을 획득한 것에 따른 것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urkey accept Confederations Cup invitation
https://www.uefa.com[...] [2]
웹사이트
Egypt, South Africa gunning for 2003 FIFA Confederations Cup
http://www.panapress[...]
panapress.com
2002-03-14
[3]
웹사이트
USA bids to host 2003 Confederations Cup
http://www.soccerame[...]
socceramerica.com
2002-07-03
[4]
웹사이트
FIFA Executive Committee designates France as hosts of 2003 FIFA Confederations Cup
https://web.archive.[...]
FIFA
2002-09-24
[5]
문서
Tuncay Şanlı's Silver Shoe Award
[6]
문서
Lowest number of minutes played (170)
[7]
뉴스
FIFA Confederations Cup official awards
https://web.archive.[...]
2003-06-29
[8]
웹사이트
Statistical Kit: FIFA Confederations Cup (FCC 2017 post-event edition) – Ranking by tournament
https://digitalhub.f[...]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7-07-10
[9]
문서
터키의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
[10]
웹사이트
컨페드컵, 4년마다 열릴 전망
http://sports.news.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