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한국프로야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7년 한국프로야구는 경기 운영 방식, 규칙, 그리고 선수 이동에 다양한 변화가 있었으며, SK 와이번스가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플레이오프는 2위 팀 홈구장에서 1, 2, 5차전을, 준 플레이오프 승리 팀 홈구장에서 3, 4차전을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서머 리그가 신설되어 최고의 승률을 올린 팀에 상금을 수여했다. 또한 스트라이크 존, 마운드 높이, 공인구 규정이 변경되었고, 2군 리그 경기 수가 증가했으며, 퓨처스 올스타전이 개최되었다. SK 와이번스는 김성근 감독 영입 후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하고, 한국시리즈에서 1, 2차전을 패배 후 우승하는 기록을 세웠다. 두산 베어스의 다니엘 리오스는 용병 최초 20승을 달성했고, 양준혁은 개인 통산 2000안타와 3500루타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대한민국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2007년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는 이명박 후보가 48.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경제 대통령 이미지와 정권 교체 여론, BBK 주가 조작 의혹 논란, 낮은 투표율, 지역별 표심 차이 등이 특징이다. - 2007년 대한민국 - BBK 주가 조작 사건
BBK 주가 조작 사건은 김경준이 설립한 BBK와 관련된 사건으로, 이명박 전 대통령의 연루 의혹이 핵심 쟁점이며, 자금 횡령 및 주가 조작 혐의로 기소되었고, 2007년 대선에 영향을 미쳤다. - 2007년 야구 - 커트 실링
커트 실링은 1988년부터 2009년까지 메이저 리그에서 투수로 활동하며 월드 시리즈 MVP를 수상하고 3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했으며, 통산 3,000탈삼진을 달성하고 은퇴 후에는 ESPN 해설가로 활동했으나 해고되었고 사업가로도 활동했다. - 2007년 야구 - 팀 웨이크필드
팀 웨이크필드는 플로리다 공과대학교 출신으로 MLB에서 19시즌 동안 너클볼 투수로 활약하며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2004년 월드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통산 200승을 기록했으며, 은퇴 후 해설가로 활동하다 2023년 뇌암으로 사망했다. - KBO 리그 시즌 - 2017년 KBO 리그
2017년 KBO 리그는 FA 제도 개편, 감독 교체, 비디오 판독 시스템 개선 등 변화 속에서 KIA 타이거즈가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며, 김선빈의 고타율, 최정의 홈런 및 장타율, 러프의 타점, 피어밴드의 평균자책점 등 주요 기록들이 나왔다. - KBO 리그 시즌 - 2000년 한국프로야구
2000년 한국프로야구는 현대 유니콘스가 우승하고 매직리그와 드림리그로 나뉘어 정규시즌이 진행되었으며, 현대 유니콘스가 통합 1위를 기록했지만 한국시리즈에서 삼성 라이온즈에게 패해 준우승했다.
2007년 한국프로야구 | |
---|---|
2007년 삼성 PAVV 프로 야구 시즌 정보 | |
리그 | 한국프로야구 |
스포츠 | 야구 |
![]() | |
시즌 기간 | 2007년 |
참가 팀 수 | 8 |
팀당 경기 수 | 126 |
시즌 | 정규 시즌 |
시즌 결과 | |
정규 시즌 우승 팀 | SK 와이번스 |
리그 챔피언 | SK 와이번스 |
준우승 팀 | 두산 베어스 |
시즌 MVP | 다니엘 리오스 (두산) |
시즌 MVP 링크 | KBO 리그 최우수 선수상 |
플레이오프 | 리그 포스트시즌 |
포스트시즌 결과 | |
준플레이오프 | 한화 이글스 2 - 1 삼성 라이온즈 |
플레이오프 | 두산 베어스 3 - 0 한화 이글스 |
한국시리즈 | |
한국시리즈 | 2007년 한국시리즈 |
한국시리즈 우승 팀 | SK 와이번스 |
한국시리즈 준우승 팀 | 두산 베어스 |
한국시리즈 MVP | 김재현 (SK) |
한국시리즈 MVP 링크 | 한국시리즈 최우수 선수상 |
개인 수상 | |
시즌 MVP | 다니엘 리오스 (두산) |
신인왕 | 임태훈 (두산) |
시즌 연혁 | |
이전 시즌 | 2006년 한국프로야구 |
다음 시즌 | 2008년 한국프로야구 |
2. 달라진 규정
2007년 프로야구에서는 경기 운영 및 리그 운영 방식에 여러 변화가 있었다. 플레이오프 경기 순서, 경기 시간, 서머 리그, 스트라이크 존, 마운드 높이, 공인구, 2군 리그, 퓨처스 올스타전, 신고 선수 등록일 및 드래프트 규정 등이 변경되었다.[1]
2. 1. 경기 운영
- '''플레이오프 경기 순서''': 2위 팀 홈구장에서 1, 2, 5차전을, 준플레이오프 승리 팀 홈구장에서 3, 4차전 경기를 갖는다.
- '''경기 시간''': 평일 경기 개시 시간은 구단이 자율로 18시와 18시 30분 중에서 결정하며,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는 17시에 시작한다.
- '''서머 리그''': 7월 15일부터 8월 14일까지 23경기를 서머리그 기간으로 정하고, 이 기간 동안 최고 승률을 올린 팀에게 2억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최우수선수와 우수선수에게도 각각 500만원과 200만원을 지급한다. 이는 여름철 선수와 구단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제도로, 서머리그 성적은 정규시즌 성적에 포함된다. 2008년부터 베이징 올림픽으로 인해 폐지되었다.
- '''스트라이크 존''': 좌우 폭을 좁히고 위아래를 넓혔다. 포수가 공을 잡을 때 공이 홈플레이트 좌우 안쪽으로 들어와야 스트라이크로 판정된다.
- '''마운드 높이''': 33cm에서 25.4cm로 낮추었다.
- '''공인구''': 공의 둘레가 22.9cm에서 23.1cm로 커졌고, 공의 반발력도 높아졌다.
- '''2군 리그''': 전년도에는 총 384경기를 치렀으나, 2007 시즌에는 남부리그 팀당 90경기, 북부리그 팀당 84경기로 총 432경기로 늘어났다.
- '''퓨처스 올스타전''': 2군 선수들 중 감독 추천 선수를 뽑아 '퓨처스 올스타전'을 개최한다.
- '''신고 선수 등록일과 드래프트''': 신고 선수의 1군 등록 가능일을 7월 1일에서 6월 1일로 앞당겼고, 신인 드래프트 1차 지명권은 팀당 2명에서 1명으로 줄었다.[1]
2. 2. 리그 운영
- '''플레이오프 경기 순서''': 2위팀 홈구장에서 1, 2, 5차전을, 준 플레이오프 승리팀 홈구장에서 3, 4차전 경기를 갖는다.
- '''경기 시간''': 평일 경기 개시 시간은 18시와 18시 30분 중에서 구단이 자율로 결정, 토요일과 일요일, 공휴일에는 17시 개시.
- '''서머 리그''': 7월 15일부터 8월 14일까지 23경기를 서머리그 기간으로 해, 그 기간 동안 최고의 승률을 올린 팀에게 2억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최우수선수와 우수선수에게도 각각 500만원과 200만원이 주어진다. 여름에 지치게 되는 선수, 구단들에게 좀 더 흥미있는 경기를 유발하도록 만들어진 제도이며, 서머리그의 성적은 별도가 아닌 정규시즌 성적에 포함된다. 2008년부터 베이징올림픽으로 인해 폐지되었다.
- '''스트라이크 존''': 좌우 폭을 좁히고 위 아래를 넓혔다. 포수가 공을 잡을 때 공이 홈플레이트의 좌우 안쪽으로 들어가야 스트라이크다.
- '''마운드 높이''': 33cm에서 25.4cm로 낮추었다.
- '''공인구''': 공의 둘레가 22.9cm에서 23.1cm로 커지고, 공의 반발력도 높였다.
- '''2군 리그''': 지난해는 모두 384경기를 치렀지만, 2007 시즌에서 남부리그는 팀당 90경기, 북부리그는 팀당 84경기로 모두 432경기로 늘어났다.
- '''퓨쳐스 올스타전''': 2군 선수들끼리 감독 추천 선수를 뽑아 '퓨쳐스 올스타전'을 치른다.
- '''신고 선수 등록일과 드래프트''': 신고 선수의 1군 등록 가능일이 7월 1일에서 6월 1일로 앞당겨졌고, 신인 드래프트 1차 지명권도 팀당 2명에서 1명으로 줄었다.[1]
3. 시즌 화제
- 2007년 시즌 총 관중수가 400만을 돌파하였다.[2]
- 삼성 라이온즈의 심정수 선수는 31홈런, 타율 0.258로 역대 최저 타율 홈런왕에 등극했다.[2]
- KIA 타이거즈의 이현곤 선수는 2홈런, 타율 0.338로 역대 최소 홈런 타율왕에 등극했다.[2]
3. 1. 구단별 화제
- 두산 베어스의 다니엘 리오스 투수는 외국인 선수로는 처음으로 20승을 넘어 22승을 달성하였다.[2]
- 롯데 자이언츠의 이대호 선수는 사직 야구장이 개장한 이래 처음으로 장외홈런을 날렸다.[2]
- 두산 베어스는 프로야구 최초로 한 시즌 동안 3명의 30도루 선수를 배출했다. 이종욱(47개), 고영민(36개), 민병헌(30개)이 그 주인공이다.[2]
- SK 와이번스는 김성근 감독 영입 후 시즌 내내 강팀의 면모를 보이며 1위를 차지했다. 한국시리즈에서는 두산 베어스에 1, 2차전을 내준 후 나머지 경기를 연승하여,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처음으로 한국시리즈 1, 2차전 패배 후 우승한 팀이 되었다.[2]
3. 2. KBO 리그 화제
- 두산 베어스의 다니엘 리오스 투수는 용병으로는 처음으로 20승 고지를 넘어 22승을 달성하였다.[2]
- 롯데 자이언츠의 이대호선수는 사직 야구장이 개장한 이래 처음으로 장외홈런을 날렸다.[2]
- 두산 베어스는 프로야구 최초로 한 시즌 동안 3명의 30도루 선수를 배출했다. 이종욱(47개), 고영민(36개), 민병헌(30개)[2]
- SK 와이번스는 김성근 감독 영입 후 시즌 내내 강한 면모를 보이며 1위를 차지했다. 한국시리즈에서는 두산 베어스에 1, 2차전을 내준 후 나머지 경기를 연승하여,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처음으로 한국시리즈 1, 2차전 패배 후 우승한 팀이 되었다.[2]
- 총 관중수가 400만을 돌파하였다.[2]
- 삼성 라이온즈의 심정수 선수는 31홈런에 타율 0.258로 역대 최저 타율 홈런왕에 등극했다.[2]
- KIA 타이거즈의 이현곤 선수는 2홈런과 타율 0.338로 역대 최소 홈런 타율왕에 등극했다.[2]
4. 선수 이동
2007년 시즌 동안 다음과 같은 선수 이동이 있었다.
- 시즌 전
- 세스 그레이싱어: KIA 타이거즈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일본)
- 이병규: LG 트윈스 → 주니치 드래건스 (일본)
- 박명환: 두산 베어스 → LG 트윈스
- 봉중근: 신시내티 레즈 (마이너) → LG 트윈스
- 팀 하리칼라: 삼성 라이온즈 → LG 트윈스
- 시즌 중
- 최희섭: 탬파베이 데블레이스 (마이너) → KIA 타이거즈[3]
4. 1. 시즌 전
- '''세스 그레이싱어''': KIA 타이거즈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일본)
- '''이병규''': LG 트윈스 → 주니치 드래건스 (일본)
- '''박명환''': 두산 베어스 → LG 트윈스
- '''봉중근''': 신시내티 레즈 (마이너) → LG 트윈스
- '''팀 하리칼라''': 삼성 라이온즈 → LG 트윈스
4. 2. 시즌 중
- '''최희섭''': 탬파베이 데블레이스 (마이너) → KIA 타이거즈[3]
5. 팀 순위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승률 | 게임차 | 기타 |
---|---|---|---|---|---|---|---|---|
1 | SK 와이번스 | 126 | 73 | 5 | 48 | 0.603 | 0.0 | |
2 | 두산 베어스 | 126 | 70 | 2 | 54 | 0.565 | 4.5 | |
3 | 한화 이글스 | 126 | 67 | 2 | 57 | 0.540 | 7.5 | |
4 | 삼성 라이온즈 | 126 | 62 | 4 | 60 | 0.508 | 11.5 | |
5 | LG 트윈스 | 126 | 58 | 6 | 62 | 0.483 | 14.5 | |
6 | 현대 유니콘스 | 126 | 56 | 1 | 69 | 0.448 | 19.0 | |
7 | 롯데 자이언츠 | 126 | 55 | 3 | 68 | 0.447 | 19.0 | |
8 | KIA 타이거즈 | 126 | 51 | 1 | 74 | 0.408 | 24.0 |
6. 포스트 시즌
2007년 포스트시즌은 10월 8일부터 시작되었으며, 정규 시즌 1위인 SK 와이번스가 2007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6. 1. 한국시리즈
2007년 한국시리즈는 SK 와이번스와 두산 베어스가 맞붙은 7전 4선승제 경기였다. 두산 베어스는 초반 두 경기를 승리하며 좋은 출발을 보였지만, SK 와이번스가 이후 4경기를 연달아 승리하며 6경기 만에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1]7. 기록
2007년 한국프로야구 시즌에는 다음과 같은 주목할 만한 기록들이 나왔다.
기록 | 선수 | 날짜 | 회 | 구장 | 기타 |
---|---|---|---|---|---|
사상 첫 개인 통산 2000안타[4] |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6월 9일 | 9회초 | 잠실구장 | 상대 투수 - 이승학 (두산 베어스) |
사상 첫 무보살 삼중살[5] | 손지환 (KIA 타이거즈) | 6월 13일 | 5회말 | 대구구장 | 상대 타자 -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상대 주자 - 양준혁, 심정수 (삼성 라이온즈) |
사상 첫 1이닝 3타자 9구 삼진[6] | 다니엘 리오스 (두산 베어스) | 6월 16일 | 8회말 | 문학구장 | 상대 타자 - 이진영 - 박경완 - 최정 (SK 와이번스) |
2타점 희생플라이[7] | 최희섭 (KIA 타이거즈) | 7월 14일 | 1회초 | 잠실구장 | 상대 투수 - 최원호 (LG 트윈스) |
올스타전 사상 첫 그라운드 홈런[8] | 이택근 (서군, 현대 유니콘스) | 7월 17일 | 5회말 | 사직구장 | 상대 투수 - 권혁 (삼성 라이온즈) |
사상 첫 개인 통산 3500루타[9] |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8월 4일 | 4회말 | 대구구장 | 상대 투수 - 마이크 로마노 (SK 와이번스) |
7. 1. 주요 기록
기록 | 선수 | 날짜 | 회 | 구장 | 기타 |
---|---|---|---|---|---|
사상 첫 개인 통산 2000안타[4] |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6월 9일 | 9회초 | 잠실구장 | 상대 투수 - 이승학 (두산 베어스) |
사상 첫 무보살 삼중살[5] | 손지환 (KIA 타이거즈) | 6월 13일 | 5회말 | 대구구장 | 상대 타자 -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상대 주자 - 양준혁, 심정수 (삼성 라이온즈) |
사상 첫 1이닝 3타자 9구 삼진[6] | 다니엘 리오스 (두산 베어스) | 6월 16일 | 8회말 | 문학구장 | 상대 타자 - 이진영 - 박경완 - 최정 (SK 와이번스) |
2타점 희생플라이 (1995년 이후 3번째)[7] | 최희섭 (KIA 타이거즈) | 7월 14일 | 1회초 | 잠실구장 | 상대 투수 - 최원호 (LG 트윈스) |
올스타전 사상 첫 그라운드 홈런[8] | 이택근 (서군, 현대 유니콘스) | 7월 17일 | 5회말 | 사직구장 | 상대 투수 - 권혁 (삼성 라이온즈) |
사상 첫 개인 통산 3500루타[9] |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8월 4일 | 4회말 | 대구구장 | 상대 투수 - 마이크 로마노 (SK 와이번스) |
7. 2. 외국인 타자 기록
팀 | 선수 | 포지션 | KBO 입단 년도 | 타율 | 홈런 | 타점 | 비고 |
---|---|---|---|---|---|---|---|
두산 베어스 | 없음 | 해당 사항 없음 | |||||
한화 이글스 | 제이콥 크루즈 | 외야수 | 2007 | .321 | 22 | 85 | |
현대 유니콘스 | 클리프 브룸바 | 외야수 | 2003 | .308 | 29 | 87 | |
KIA 타이거즈 | 래리 서튼 | 1루수 | 2005 | .274 | 3 | 10 | |
LG 트윈스 | 페드로 발데스 | 외야수 | 2007 | .283 | 13 | 72 | |
롯데 자이언츠 | 펠릭스 호세 | 외야수 | 1999 | .256 | 1 | 12 | |
삼성 라이온즈 | 없음 | 해당 사항 없음 | |||||
SK 와이번스 | 없음 | 해당 사항 없음 |
참조
[1]
뉴스
프로야구 서머리그 최고승률팀에 2억원
http://isplussvc.joi[...]
일간스포츠
[2]
서적
KBO 2008 프로야구 연감
http://www.koreabase[...]
[3]
뉴스
최희섭 기아 입단 확정…몸값 15억5천만원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7-09-27
[4]
뉴스
양준혁 2000안타 시대 열다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7-09-27
[5]
뉴스
KIA 손지환, ‘나홀로 삼중살’ 진기록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6]
뉴스
리오스,1이닝 9구 3탈삼진-국내 최초
http://www.cbs.co.kr[...]
노컷뉴스
[7]
뉴스
최희섭 '2타점 희생플라이' 포함 5타점
http://isplus.joins.[...]
일간스포츠
2007-10-06
[8]
뉴스
이택근 “이치로처럼…”… 올스타전 사상 첫 그라운드홈런
http://sports.khan.c[...]
스포츠경향
[9]
뉴스
"'3500루타' 양준혁, "더 열심히 치고 달리고 싶다""
http://osen.co.kr/ne[...]
오쎈
2007-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