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현곤은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포지션은 내야수였다. 광주제일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를 거쳐 2002년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아마추어 시절에는 1997년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3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2001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타율과 홈런 1위를 차지하며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프로에서는 2007년 타격왕과 최다 안타상을 수상하며 최고의 시즌을 보냈으며, 2012년 NC 다이노스로 이적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014년 은퇴 후에는 코치로 활동하며,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정동초등학교 동문 - 선동열
선동열은 아마추어 시절부터 야구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MVP를 수상했고, KBO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KBO 리그 통산 평균자책점 1.20, WHIP 0.80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웠으며, 은퇴 후에는 프로 야구팀 감독과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위원 겸 KBO 기술위원이다. - 송정동초등학교 동문 - 최희섭
최희섭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출신으로,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 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에서 뛰었으며, 현재 MBC 스포츠플러스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KBO 타율상 수상자 - 김선빈 (야구 선수)
김선빈은 KIA 타이거즈의 프로 야구 선수로, 뛰어난 수비력과 타격 능력을 바탕으로 팀의 주전 유격수이자 '작은 거인'으로 불리며 2017년 타격왕, 2024년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하는 등 꾸준한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 KBO 타율상 수상자 - 박용택
박용택은 LG 트윈스에서 19시즌 동안 활약하며 KBO 리그 최초로 통산 2500안타를 달성하고 도루왕, 타격왕, 골든글러브 수상 등 많은 기록을 남긴 후 은퇴하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며, LG 트윈스에서 그의 등번호를 영구결번으로 지정했다. - KBO 안타상 수상자 - 박한이
박한이는 KBO 리그에서 19시즌 동안 활약하며 통산 안타 3위, 득점 4위, 출전 경기 4위를 기록하고 골든글러브와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이자 현 삼성 라이온즈 코치이다. - KBO 안타상 수상자 - 이승엽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현 두산 베어스 감독인 이승엽은 KBO 리그 최초 50홈런 및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세우며 '국민 타자'로 활약했고, 일본 프로야구 선수 생활 후 KBO 리그로 복귀하여 은퇴, 이후 방송 해설 및 사회 활동을 거쳐 두산 베어스 감독으로 부임했다.
이현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현곤 |
한글 표기 | 이현곤 |
한자 표기 | 李賢坤 |
로마자 표기 | I Hyeon-gon |
출생 | 1980년 2월 21일 |
출생지 |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현재 광주광역시) |
신체 | 키 183cm / 체중 83kg |
포지션 | 유격수, 3루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연도 | 1998년 (고졸 우선 지명, 2002년 입단) |
선수 경력 | |
선수 | 기아 타이거즈 (2002년 ~ 2012년) NC 다이노스 (2013년 ~ 2014년) |
코치 경력 | |
코치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지도자 연수 코치 (2014년 ~ 2015년) 창원 다이노스 수비 코치 (2015년 ~ 2017년) NC 다이노스 수비 코치 (2018년 ~ 2019년) 기아 타이거즈 1루/주루 코치 (2020년 ~ 2021년) 기아 타이거즈 수비 코치 (2022년) 기아 타이거즈 작전 코치 (2023년 ~ 현재) |
클럽 | |
고등학교 | 광주제일고등학교 |
대학교 | 연세대학교 |
등번호 | |
선수 | 31번 |
코치 | 80번 |
KBO 리그 기록 | |
첫 출장 | 2002년 5월 2일, 수원 현대 유니콘스전 |
마지막 출장 | 2014년 9월 9일, 마산 삼성 라이온즈전 |
타율 | 0.273 |
홈런 | 23개 |
타점 | 265점 |
수상 | |
수상 내역 | 한국시리즈 우승 (2009년) 2007년 KBO 타격왕 2007년 KBO 최다 안타 |
2. 선수 경력
광주제일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2002년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4][5][6] 2003년 시즌부터 타이거즈의 주전 3루수로 활약하며 129경기에서 타율 0.263, 92안타, 5홈런, 43타점을 기록했다. 2006년 준플레이오프 2차전에서는 류현진을 상대로 만루 홈런을 쳐내 팀 승리에 기여했다.[2]
2007년 시즌에는 137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338(타율 1위), 153안타(안타 1위), 63득점, 31개의 2루타, 48타점, 43볼넷을 기록하며 최고의 해를 보냈다.[3] 그러나 2008년 시즌에는 타율이 0.257로 하락하며 부진했다.
2009년 시즌에는 주전 유격수로 120경기에 출전했지만, 타율 0.253, 2홈런, 33타점, 92안타로 타격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2009년 한국시리즈에서는 7경기에서 타율 0.316을 기록하고 4차전에서 솔로 홈런을 치는 등 활약하며 팀 우승에 기여했다.
2010년 이후 젊은 선수들의 성장과 이범호의 합류로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고, 2012년 시즌 후 FA를 선언하여 NC 다이노스로 이적했다.[8] 2013년 시즌 초반 주전 유격수로 기회를 얻었으나 타석에서 부진하여 벤치로 물러났다. 2014년에는 출장 기회가 거의 없었고, 8월 21일 은퇴를 선언했다.[8]
2. 1. 아마추어 시절
광주제일고등학교 시절 1루수 최희섭, 2루수 송원국, 유격수 정성훈과 함께 주전 3루수로 활약했다.[4] 1998년 고졸우선지명을 받았다. 연세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2001년에는 연세대 조용준, 고려대 이택근, 한양대 김민우 등과 함께 야구 월드컵 국가대표팀에 선발됐다.[5]1997년 캐나다에서 열린 1997년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5위를 차지한 대한민국 청소년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3개의 홈런을 포함하여 .480의 타율을 기록하며 정근봉, 최희섭, 이진영과 함께 공격을 이끌었다. (정근봉은 이 대회 MVP를 수상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1998년 KBO 드래프트에서 해태 타이거즈의 1차 지명을 받았지만, 곧바로 프로로 진출하는 대신 연세대학교에 진학했다. 같은 해 1998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1999년 11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열린 1999년 인터컨티넨탈 컵에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처음 출전했다.
2000년 3학년 때, 연세대학교가 전국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는 데 기여했으며, 타점왕과 함께 MVP를 수상했고, 2000년 하계 올림픽 최종 5인 예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1]
2001년 4학년 때,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대만에서 열린 2001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팀은 은메달을 획득했고, 이현곤은 홈런과 타율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11월, 2001년 야구 월드컵에 참가하여 .292의 타율을 기록하며 유틸리티 내야수로서 2루수, 3루수, 유격수를 소화했다.
2002년에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였다.
2. 2. KIA 타이거즈 시절
2002년 기아 타이거즈에 입단하였다.[6] 2002년 5월 2일 KBO 프로 리그에 데뷔했다. 2004년 병역 비리에 연루되어 2005년 3월에 공익근무요원으로 입소했으나, 지병인 갑상선 질환으로 2006년 3월에 의병 소집 해제돼 곧바로 복귀했다.[6]2003년 시즌 타이거즈의 3루수 주전으로 자리 잡았고, 129경기에서 타율 0.263, 92안타, 5홈런, 43타점을 기록했다. 2006년 준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트리플 크라운 수상자 류현진을 상대로 6회에 만루 홈런을 쳐내며 KIA 타이거즈가 한화 이글스를 6-1로 꺾는 데 크게 기여했다.[2]
2007년 시즌은 그의 선수 경력에서 최고의 해였다. 137번의 정규 시즌 경기에 모두 출전하여 타율(.338), 안타(153개), 득점(63점), 2루타(31개), 타점(48점), 볼넷(43개)에서 개인 최고 기록을 세웠다. 이현곤은 첫 타율 타이틀을 획득했고, KBO 리그 안타 부문 1위를 차지했다.[3] 11월에 이현곤은 다시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2007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으나, 대회에서 단 3번의 타석만을 소화했고, 주로 경기에서 대주자로 출전했다.
이듬해 이현곤의 성적은 하락했다. 그의 타율은 2008년 시즌에 0.257로 떨어졌고, 타순에서 하위 타순으로 내려갔다. 40타점을 기록하고 100개 이상의 안타(102개)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2008 KBO 시즌에서 가장 실망스러운 공격형 선수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
2009년 이현곤은 타이거즈의 주전 유격수로 120경기에 출전했다. 그러나 타석에서 고전하여 시즌 내내 9번 타순으로 경기를 치렀고, 3시즌 연속 100개 이상의 안타를 기록하는 데 실패했다. 개인 최고 기록인 11개의 도루를 기록했지만, 시즌을 타율 0.253, 2홈런, 33타점, 92안타로 마감하며 선수 경력에서 두 번째로 낮은 타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9년 한국시리즈에서 7경기에서 0.316의 타율을 기록하고 4차전에서 솔로 홈런을 치는 등 뛰어난 공격력을 보여주며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를 받았다. 2009년 11월 14일, 2009 KBO-NPB 클럽 챔피언십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상대로 9회에 대타로 나와 위르핀 오비도를 상대로 2루타를 쳐 타점을 올렸다.
2010년 이후 젊은 선수들의 성장과 이범호의 합류로 내야 유틸리티 선수로 기용되었지만, 2012년에는 단 6경기에 출전하는 데 그쳤다. 2012 시즌 이후 자유 계약으로 풀렸다.
2. 3. NC 다이노스 시절
2012년 11월 18일 FA를 선언하여 3년 간 10.5억원에 계약하며 팀의 창단 후 두 번째 FA 영입 선수가 되었다.[8] 이적 후 노진혁에게 주전 경쟁에서 밀려 많은 기회를 얻지 못했다.2013 시즌을 앞두고 NC 다이노스와 3년 계약을 맺었다. 2013년 4월 2일 다이노스 창단 첫 홈 경기에서 비록 롯데 자이언츠에게 4-0으로 패했지만, 다이노스 창단 역사상 첫 도루를 기록했다. 4월 3일 경기에서는 자이언츠 선발 고원준을 상대로 팀 창단 첫 2루타와 첫 득점을 올렸다. 시즌 초반 주전 유격수로 기회를 얻었으나, 타석에서 부진하여 4월까지 타율 0.225, 1타점에 그쳤다. 5월 초 김경문 감독은 신인 유격수 노진혁을 선발로 기용했고, 이현곤은 벤치로 물러났다.
2014년에는 출장 기회가 거의 없었고, 8월 21일 이번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할 것이라고 밝혔다.[8] 9월 9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역대 112번째 통산 10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3. 은퇴 이후
2014년 애리조나 교육 리그에 코치로 참여했고[9], NC 다이노스에서 은퇴한 선수 중 최초로 1년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았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스프링캠프에 합류 후 마이너리그 싱글A+ 레이크 엘시노어 스톰과 루키리그 AZL 파드리스에서 각각 6개월씩 머물렀다. 그는 “1년 동안 연수하면서 많은 것을 배워 지도자 생활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10]
2015년부터 고양 다이노스의 수비코치로 활동했으며, 2019년까지 NC 다이노스 코치를 맡았다. 2020년부터는 기아 타이거즈에 코치로 복귀한다.
4. 에피소드
2009년 10월 24일 한국시리즈 7차전에서 당시 SK 와이번스의 포수였던 정상호가 최정의 보내기 번트 때 2루로 슬라이딩하며 그를 덮쳤다.[11] 그 때 2루에서 최정의 공을 처리한 그는 1루로 송구하지 못했다.[11] 서재응과 정근우의 거센 신경전이 있어서 자칫 벤치 클리어링으로 이어질 뻔했으나 그가 정상호를 안아주며 서로 화해하는 제스처를 취해 경기가 원만하게 진행됐다.[11]
5. 출신 학교
6. 통산 기록
'''이현곤'''의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연도별 타격 성적 ===
연도 | 소속 | 나이 | 출장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루타 | 병살타 | 몸맞 | 희타 | 희플 | 고4 |
---|---|---|---|---|---|---|---|---|---|---|---|---|---|---|---|---|---|---|---|---|---|---|---|---|---|
2002 | KIA | 22 | 52 | 122 | 113 | 11 | 29 | 7 | 1 | 3 | 12 | 3 | 0 | 8 | 25 | .257 | .312 | .416 | .727 | 47 | 4 | 1 | 0 | 0 | 0 |
2003 | 23 | 129 | 397 | 350 | 42 | 92 | 15 | 0 | 5 | 43 | 8 | 4 | 25 | 41 | .263 | .316 | .349 | .664 | 122 | 3 | 3 | 17 | 2 | 0 | |
2004 | 24 | 68 | 139 | 116 | 17 | 32 | 9 | 0 | 1 | 10 | 3 | 0 | 11 | 14 | .276 | .364 | .379 | .743 | 44 | 5 | 5 | 7 | 0 | 0 | |
2006 | 26 | 77 | 272 | 247 | 27 | 60 | 14 | 1 | 5 | 27 | 2 | 5 | 12 | 39 | .243 | .281 | .368 | .650 | 91 | 8 | 2 | 9 | 2 | 0 | |
2007 | 27 | 126 | 521 | 453 | 63 | 153 | 31 | 0 | 2 | 48 | 4 | 2 | 43 | 61 | .338 | .393 | .419 | .812 | 190 | 11 | 3 | 13 | 8 | 0 | |
2008 | 28 | 112 | 435 | 393 | 33 | 101 | 19 | 2 | 2 | 40 | 5 | 5 | 30 | 51 | .257 | .312 | .331 | .642 | 130 | 12 | 3 | 4 | 4 | 1 | |
2009 | 29 | 120 | 428 | 363 | 35 | 92 | 15 | 0 | 2 | 33 | 11 | 3 | 34 | 63 | .253 | .329 | .311 | .641 | 113 | 16 | 10 | 15 | 6 | 0 | |
2010 | 30 | 108 | 304 | 260 | 27 | 68 | 13 | 1 | 2 | 28 | 0 | 2 | 21 | 38 | .262 | .314 | .342 | .656 | 89 | 6 | 1 | 17 | 5 | 0 | |
2011 | 31 | 104 | 257 | 222 | 24 | 59 | 10 | 1 | 1 | 17 | 1 | 1 | 20 | 38 | .266 | .329 | .333 | .663 | 74 | 4 | 2 | 11 | 2 | 0 | |
2012 | 32 | 6 | 6 | 5 | 0 | 1 | 0 | 0 | 0 | 0 | 0 | 1 | 1 | .200 | .333 | .200 | .533 | 1 | 1 | 0 | 0 | 0 | 0 | ||
2013 | NC | 33 | 91 | 161 | 139 | 10 | 38 | 7 | 0 | 0 | 9 | 2 | 0 | 16 | 14 | .273 | .361 | .324 | .685 | 45 | 4 | 3 | 3 | 0 | 0 |
2014 | 34 | 7 | 12 | 11 | 0 | 1 | 0 | 0 | 0 | 0 | 0 | 0 | 3 | .091 | .091 | .091 | .182 | 1 | 1 | 0 | 1 | 0 | 0 | ||
KBO 통산 : 12년 | 1000 | 3054 | 2672 | 289 | 726 | 140 | 6 | 23 | 267 | 39 | 22 | 221 | 388 | .272 | .332 | .354 | .686 | 947 | 75 | 33 | 97 | 29 | 1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 주요 기록 ===
6. 1.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소속 | 나이 | 출장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루타 | 병살타 | 몸맞 | 희타 | 희플 | 고4 |
---|---|---|---|---|---|---|---|---|---|---|---|---|---|---|---|---|---|---|---|---|---|---|---|---|---|
2002 | KIA | 22 | 52 | 122 | 113 | 11 | 29 | 7 | 1 | 3 | 12 | 3 | 0 | 8 | 25 | .257 | .312 | .416 | .727 | 47 | 4 | 1 | 0 | 0 | 0 |
2003 | 23 | 129 | 397 | 350 | 42 | 92 | 15 | 0 | 5 | 43 | 8 | 4 | 25 | 41 | .263 | .316 | .349 | .664 | 122 | 3 | 3 | 17 | 2 | 0 | |
2004 | 24 | 68 | 139 | 116 | 17 | 32 | 9 | 0 | 1 | 10 | 3 | 0 | 11 | 14 | .276 | .364 | .379 | .743 | 44 | 5 | 5 | 7 | 0 | 0 | |
2006 | 26 | 77 | 272 | 247 | 27 | 60 | 14 | 1 | 5 | 27 | 2 | 5 | 12 | 39 | .243 | .281 | .368 | .650 | 91 | 8 | 2 | 9 | 2 | 0 | |
2007 | 27 | 126 | 521 | 453 | 63 | 153 | 31 | 0 | 2 | 48 | 4 | 2 | 43 | 61 | .338 | .393 | .419 | .812 | 190 | 11 | 3 | 13 | 8 | 0 | |
2008 | 28 | 112 | 435 | 393 | 33 | 101 | 19 | 2 | 2 | 40 | 5 | 5 | 30 | 51 | .257 | .312 | .331 | .642 | 130 | 12 | 3 | 4 | 4 | 1 | |
2009 | 29 | 120 | 428 | 363 | 35 | 92 | 15 | 0 | 2 | 33 | 11 | 3 | 34 | 63 | .253 | .329 | .311 | .641 | 113 | 16 | 10 | 15 | 6 | 0 | |
2010 | 30 | 108 | 304 | 260 | 27 | 68 | 13 | 1 | 2 | 28 | 0 | 2 | 21 | 38 | .262 | .314 | .342 | .656 | 89 | 6 | 1 | 17 | 5 | 0 | |
2011 | 31 | 104 | 257 | 222 | 24 | 59 | 10 | 1 | 1 | 17 | 1 | 1 | 20 | 38 | .266 | .329 | .333 | .663 | 74 | 4 | 2 | 11 | 2 | 0 | |
2012 | 32 | 6 | 6 | 5 | 0 | 1 | 0 | 0 | 0 | 0 | 0 | 0 | 1 | 1 | .200 | .333 | .200 | .533 | 1 | 1 | 0 | 0 | 0 | 0 | |
2013 | NC | 33 | 91 | 161 | 139 | 10 | 38 | 7 | 0 | 0 | 9 | 2 | 0 | 16 | 14 | .273 | .361 | .324 | .685 | 45 | 4 | 3 | 3 | 0 | 0 |
2014 | 34 | 7 | 12 | 11 | 0 | 1 | 0 | 0 | 0 | 0 | 0 | 0 | 0 | 3 | .091 | .091 | .091 | .182 | 1 | 1 | 0 | 1 | 0 | 0 | |
KBO 통산 : 12년 | 1000 | 3054 | 2672 | 289 | 726 | 140 | 6 | 23 | 267 | 39 | 22 | 221 | 388 | .272 | .332 | .354 | .686 | 947 | 75 | 33 | 97 | 29 | 1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6. 2. 주요 기록
참조
[1]
뉴스
[야구]시드니올림픽 '드림팀III' 24명 확정
http://news.donga.co[...]
Dong-a Ilbo
2000-08-14
[2]
웹사이트
Lee Hyun-Gon, smacking a grand slam
http://www.chosun.co[...]
Chosun Ilbo
2006-10-10
[3]
웹사이트
기아 이현곤 첫 타격왕
http://www.hani.co.k[...]
The Hankyoreh
2007-10-09
[4]
웹사이트
광주일고 최강 내야 '4인방'…그리고 그 후 10년
http://sports.news.n[...]
마이데일리
[5]
웹사이트
야구 월드컵 드림팀 신윤호등 24명 확정
http://sports.news.n[...]
동아일보
[6]
웹사이트
동기동창 이현곤-최희섭,‘KIA를 이끄는 힘’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7]
웹사이트
KIA 타이거즈 내야수 이현곤, 주목 받지 못한 타격 2관왕
http://www.sports2.c[...]
스포츠 2.0
2008-01-02
[8]
웹사이트
NC 이현곤, 1000경기 채우고 선수생활 마감
http://sports.news.n[...]
스포츠경향
[9]
웹사이트
NC, 애리조나 교육리그 참가…이현곤은 코치로
http://sports.mk.co.[...]
MK스포츠
[10]
웹사이트
류현진, NC 이현곤 코치와 해후, "연수생활 힘들텐데..."
http://sports.news.n[...]
OSEN
[11]
웹사이트
이현곤-정상호, 아찔 장면..마지막은 훈훈
http://isplus.joins.[...]
일간스포츠
[12]
웹사이트
‘광고니’ 이현곤을 아시나요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13]
뉴스
이현곤, 1000G 출장 달성…역대 112번째
http://sports.mk.co.[...]
MK 스포츠
2014-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