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3 유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 유노는 1804년 카를 루트비히 하르딩에 의해 발견된 소행성이다. 로마 신화의 유노 여신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소행성대 전체 질량의 약 1%를 차지하는 비교적 큰 소행성이다. S형 소행성 중에서는 15 에우노미아 다음으로 크다. 궤도는 태양에 가깝고, 궤도 경사각과 이심률이 크며, 순행 자전을 하며 자전축은 약 50° 기울어져 있다. 표면은 콘드라이트 운석과 유사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사율이 높아 충 위치에서는 밝게 관측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신화 이름이 붙은 소행성 - 세레스 (왜행성)
    세레스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천체로, 행성과 소행성으로 여겨지다 2006년에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으며, 돈 탐사선 탐사 결과 얼음 화산 활동 흔적과 소금물 바다 존재 가능성으로 과학적 관심을 받고 있다.
  • 로마 신화 이름이 붙은 소행성 - 4 베스타
    1807년 하인리히 올베르스가 발견하고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명명한 4 베스타는 소행성대에서 네 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이자 분화된 내부 구조와 레아실비아 크레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가진 두 번째로 무거운 천체이며, 2011년 탐사선 돈의 관측을 통해 지질학적 역사와 구성 성분에 대한 정보가 밝혀졌다.
  • S형 소행성 - 433 에로스
    1898년 카를 구스타프 비트가 발견한 433 에로스는 그리스 신화의 사랑의 신 이름을 딴 최초의 지구 근접 소행성이자 남성 이름의 소행성으로, NEAR 슈메이커 탐사선의 탐사 결과 땅콩 모양이며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도 있는 잠재적 위협으로 여겨진다.
  • S형 소행성 - 243 이다
    243 이다는 1884년 발견된 소행성으로,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S형 소행성으로 분류되고 위성 다크틸을 가지고 있다.
3 유노
기본 정보
""
명칭3 유노
발음IPA(영어): /ˈdʒuːnoʊ/ 주노
형용사유노의 (Junonian) IPA(영어): /dʒuːˈnoʊniən/
명명 유래유노 (라틴어: Iūno)
소행성 분류주 소행성대 (유노족)
발견
발견자카를 루트비히 하딩
발견일1804년 9월 1일
임시 명칭(3) 유노
궤도 특성
궤도 기준2023년 9월 13일 (JD 2453300.5)
궤도 장반축2.67 AU (400,000,000 km)
근일점1.985 AU (296,900,000 km)
근일점 통과 시간2023년 4월 2일
원일점3.35 AU (501,000,000 km)
궤도 이심률0.2562
공전 주기4.361 년
궤도 경사12.991°
승교점 경도169.84°
근일점 인수247.74°
평균 근점 이각37.02°
평균 궤도 속도17.93 km/s
최소 궤도 교차 거리1.04 AU (156,000,000 km)
물리적 특성
크기(288 × 250 × 225) ± 5 km
평균 지름254 ± 2 km
질량2.7 ± 0.24 × 1019 kg
밀도3.15 ± 0.28 g/cm3
표면 중력0.112 m/s2
탈출 속도0.127 km/s
자전 주기7.21 시간 (0.3004 일)
분광형S형
자전 속도31.75 m/s
겉보기 등급7.4 ~ 11.55
절대 등급5.33
춘분점 기준 극 좌표위도 27° ± 5°, 경도 103° ± 5°
반사율0.202
단일 온도~163 K, 최대: 301 K (+28°C)

2. 역사

카를 루트비히 하르딩이 1804년 9월 1일 유노를 발견했다.[15] 유노는 세 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이었으나, 처음에는 행성으로 간주되었다가 1850년대에 소행성소행성체로 재분류되었다.[16]

로마 신화의 최고 여신이자 결혼의 여신인 유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과거에는 홀 모양의 천문 기호(--)(⚵)가 사용되었으나,[19] 1852년부터 원 안에 숫자 3을 넣은 기호(③)가 도입되어 현재는 이 기호가 주로 사용된다.[17][18]

2. 1. 발견

카를 루트비히 하르딩이 1804년 9월 1일 유노를 발견했다.[15] 유노는 세 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이었으나, 처음에는 행성으로 간주되었다. 1850년대에 소행성 및 소행성체로 재분류되었다.[16]

2. 2. 명칭

로마 신화의 최고 여신이자 결혼의 여신인 유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이 이름은 국제적으로 사용되지만, 각 언어에 따라 변형된 형태로 불리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어로는 'Giunone', 프랑스어로는 'Junon', 러시아어로는 'Юнона' (Yunona) 등으로 불린다. 그리스에서는 헤라(Ήρα)로, 중국에서는 '혼신성(婚神星, hūnshénxīng)'으로 불리는데, 이는 결혼의 신이라는 의미를 강조한 것이다.

과거에는 홀 모양의 천문 기호(--)(⚵)가 사용되었으나,[19] 1852년부터 원 안에 숫자 3을 넣은 기호(③)가 도입되어 현재는 이 기호가 주로 사용된다.[17][18]

3. 특징

유노는 소행성 중에서는 큰 편에 속하며, 소행성대 전체 질량의 1%가량을 차지한다.[48] 암석질 S형 소행성 중에서는 15 에우노미아 다음으로 크며, 세레스 질량의 3% 정도이다.[49] 유노 족 소행성의 주 천체이다.

처음에는 세레스, 2 팔라스, 4 베스타와 함께 행성으로 간주되었으나,[52] 후에 다른 여러 소행성이 발견되자 소행성으로 재분류되었다. 유노는 작은 크기와 불규칙한 모양으로 인해 왜행성 후보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1811년, 요한 히에로니무스 슈뢰터는 유노의 지름을 2,290 km로 잘못 계산하기도 했다.[52]

크기 비교: 지구의 을 기준으로 처음 발견된 10개의 소행성. 유노는 왼쪽에서 세 번째이다.

3. 1. 궤도

유노의 궤도 경사각은 약 12°이며, 이심률명왕성보다 크다. 높은 이심률 때문에 근일점에서는 베스타보다 태양에 가깝고, 원일점에서는 세레스보다 멀다. 1854년 33 폴리힘니아가 발견되기 전까지는 가장 이심률이 큰 천체였다. 지름 200km 이상인 소행성 중에서는 324 밤베르가가 유노보다 이심률이 크다.[53] 공전 주기는 약 4.36년이다.[49] 1839년경 소행성 섭동으로 인해 궤도가 약간 변화했다는 추정이 있으나, 원인은 불분명하다.

3. 2. 물리적 특성

유노는 자전축이 약 50° 기울어져 순행 자전한다.[54] 2001년 10월 2일, 태양을 정면으로 마주보는 표면의 최대 온도는 293 K로 측정되었다.[55] 당시 태양과의 거리를 고려하면, 근일점에서 최대 온도는 301K (28°C)로 추정된다.[12]

유노 표면은 콘드라이트 운석과 유사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철을 함유한 규산염(감람석, 휘석 등)이 주성분이다.[27] 적외선 관측 결과, 지름 약 100km의 거대한 분화구 지형이 발견되었다.[57][58] 이는 비교적 젊은 충돌의 결과로 추정된다.[28][29]

3. 3. 반사율 (알베도)

3 유노는 S형 소행성 중에서도 유난히 반사율이 높다. 이 높은 반사율은 소행성대 안쪽 가장자리에 위치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겉보기 등급을 가지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3 유노는 최적의 위치에서는 겉보기 등급이 +7.5등급까지 밝아져, 해왕성이나 타이탄보다 밝게 관측될 수 있다.[50][23] 그러나 대부분의 충 위치에서는 약 +8.7 등급 정도로, 쌍안경으로 간신히 관측 가능하며, 이각이 더 작을 때는 76mm 이상의 망원경이 필요하다.[51][23]

4. 관측

3 유노는 엄폐 현상이 최초로 관측된 소행성이다. 1958년 2월 19일, 어두운 별 (SAO 112328) 앞을 지나가는 현상이 관측되었다.[59] 이후에도 유노의 엄폐 현상은 여러 차례 관측되었는데, 1979년 12월 11일에는 18명의 관측자가 SAO 115946의 엄폐 현상을 기록했다.[59][31] 2013년 7월 29일7월 30일에도 각각 11.3등급의 별 PPMX 9823370과 2UCAC 30446947의 엄폐 현상이 관측되었다.[32][33]

화성 궤도를 도는 탐사선이나 표면 탐사선의 전파를 이용하여, 화성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한 섭동으로부터 유노의 질량을 추정하기도 했다.[60][34] 1839년경 유노의 궤도가 약간 변했는데, 이는 다른 소행성의 섭동 때문으로 추정되지만, 어떤 소행성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61][35]

1996년, 윌슨 산 천문대의 후커 망원경을 이용한 적응 광학으로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파장 영역에서 유노를 촬영했다. 이를 통해 유노의 불규칙한 형태와 어두운 알베도 지형(신선한 충돌 지점으로 해석됨)을 확인했다.[58][29]

--
4종류의 파장에서 관측한 3 유노. 어두운 곳이 크레이터이다. 2003년, 후커 망원경에 의해 촬영.
동영상
--
3 유노의 배경 별에 대한 움직임.
정지 화상

2009년 의 시기에 촬영된 3 유노.
자전의 영상
--
알마 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3 유노의 영상.



2014년 10월 19일, 알마 망원경으로 4시간에 걸쳐 유노를 전파 관측하여 연속 이미지를 얻었다.[46] 이 관측으로 유노의 불규칙한 형태가 다시 확인되었고, 전파 반사 정도의 변화를 통해 표면 레골리스가 균일하지 않을 가능성도 밝혀졌다.

4. 1. 충 위치

유노는 대략 15.5개월마다 에 도달하며, 근일점 또는 원일점에 가까이 있는지에 따라 최소 거리가 크게 달라진다. 유리한 충은 10번째 충마다(약 13년) 발생한다.[36][37] 마지막으로 유리한 충은 2005년 12월 1일에 발생하여 1.063AU, 7.55 등급이었고, 2018년 11월 17일에는 최소 거리 1.036AU, 7.45 등급이었다. 다음 유리한 충은 2031년 10월 30일에 발생하여 1.044AU, 7.42 등급이 될 것이다.

참조

[1] dict.com Juno
[2] OED Junonian
[3] 웹사이트 AstDyS-2 Juno Synthetic Proper Orbital Elements https://newton.space[...]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1-10-01
[4] 웹사이트 Recent Asteroid Mass Determinations https://web.archive.[...] Personal Website 2008-12-03
[5] 논문 VLT/SPHERE imaging survey of the largest main-belt asteroids: Final results and synthesis 2021
[6] 논문 Astrometric masses of 26 asteroids and observations on asteroid porosity. 2011
[7] 웹사이트 Asteroid Lightcurve Derived Data. EAR-A-5-DDR-DERIVED-LIGHTCURVE-V8.0. https://web.archive.[...] NASA Planetary Data System 2007-03-15
[8] 웹사이트 Asteroid Taxonomy.EAR-A-5-DDR-TAXONOMY-V5.0. https://web.archive.[...] NASA Planetary Data System 2013-12-24
[9] 웹사이트 AstDys (3) Juno Ephemerides https://newton.space[...]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06-26
[10] 웹사이트 Bright Minor Planets 2005 https://web.archive.[...] Minor Planet Center
[11] 웹사이트 Asteroid Albedos. EAR-A-5-DDR-ALBEDOS-V1.1. https://web.archive.[...] NASA Planetary Data System 2007-02-18
[12] 간행물 Thermal infrared (8–13 μm) spectra of 29 asteroids: the Cornell Mid-Infrared Asteroid Spectroscopy (MIDAS) Survey 2005
[13] 서적 Bode's Law and the discovery of Juno : historical studies in asteroid research Springer 2017
[14] 간행물 High-Precision Ephemerides of Planets—EPM and Determination of Some Astronomical Constants https://web.archive.[...] 2005
[15] 서적 Bode's Law and the Discovery of Juno Springer Publishing
[16] 웹사이트 When did the asteroids become minor planets? http://aa.usno.navy.[...] 2008-05-08
[17] 간행물 Gauss and the Discovery of Ceres http://adsabs.harvar[...] 2021-07-18
[18] 간행물 On the symbolic notation of the asteroids
[19] 문서 Ephemerides of the asteroids: Ceres, Pallas, Juno, Vesta, 1900–2000 Celestial Communications 1973
[20] 웹사이트 Precise determination of the motion of planets and some astronomical constants from modern observations http://journals.camb[...] Kurtz, D. W. (Ed.), Proceedings of IAU Colloquium No. 196: Transits of Venus: New Views of the Solar System and Galaxy 2004
[21] 웹사이트 Comets Asteroids https://archive.toda[...] Find The Data.org 2014-05-14
[22] 웹사이트 The Brightest Asteroids https://web.archive.[...] The Jordanian Astronomical Society 2008-05-21
[23] 웹사이트 What Can I See Through My Scope? https://web.archive.[...] Ballauer Observatory 2008-07-20
[24] 웹사이트 When did asteroids become minor planets? http://aa.usno.navy.[...] 2008-06-22
[25] 웹사이트 MBA Eccentricity Screen Capture https://web.archive.[...] JPL Small-Body Database Search Engine 2008-11-01
[26] 간행물 Models of Twenty Asteroids from Photometric Data https://web.archive.[...] 2005-11-30
[27] 간행물 Mineralogical variations within the S-type asteroid class 1993
[28] 웹사이트 Asteroid Juno Has A Bite Out Of It https://web.archive.[...]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07-02-18
[29] 간행물 Multispectral analysis of asteroid 3 Juno taken with the 100-inch telescope at Mount Wilson Observatory https://pubs.giss.na[...] 2017-07-18
[30] 간행물 Thermal infrared (8?13 ?m) spectra of 29 asteroids: The Cornell Mid-Infrared Asteroid Spectroscopy (MIDAS) Survey https://web.archive.[...] 2019-08-26
[31] 간행물 The diameter of Juno from its occultation of AG+0°1022 http://library2.smu.[...] 2019-09-04
[32] 웹사이트 Asteroid Occultation Updates – 29 Jul 2013 https://archive.toda[...]
[33] 웹사이트 Asteroid Occultation Updates – 30 Jul 2013 https://archive.toda[...]
[34] 컨퍼런스 Estimations of masses of the largest asteroids and the main asteroid belt from ranging to planets, Mars orbiters and landers 2004
[35] 간행물 US Naval Observatory Ephemerides of the Largest Asteroids 1999-02
[36] 간행물 The Astronomical Almanac for the year 2018
[37] 웹사이트 Asteroid 3 Juno at opposition https://in-the-sky.o[...] 2018-11-16
[38] 문서 JPLのデータにあるtp(前回近日点通過)にperiod(公転周期)を加えて計算(小数点第二位以下切り捨て)。計算式は
2458446.0 + 1592.8 = 2460038.8([[ユリウス通日|JD]])

[39] 문서 三軸径の情報により計算。
[40] 문서 1.44 ± 0.23 × {{e|-11}}[[태양질량|''M'']]から計算。
[41] 웹사이트 소행성 일본어 표기 색인 : 1 - 50 http://planetary.jp/[...] 일본행성협회 2019-03-09
[42] 서적 후지이 아키라의 천문 연감 2018년판: 스타워칭 완전 가이드
[43] 서적 옥스포드 천문학 사전 아사쿠라 서점
[44] 웹사이트 Asteroid Occultation Updates – Jul 29, 2013 https://archive.toda[...]
[45] 웹사이트 Asteroid Occultation Updates – Jul 30, 2013 https://archive.toda[...]
[46] 뉴스 자전의 모습도 뚜렷하게 알마가 포착한 소행성 주노 아스트로아츠 2015-04-08
[47] 논문 High-Precision Ephemerides of Planets—EPM and Determination of Some Astronomical Constants http://iau-comm4.jpl[...] 2011-04-30
[48] 논문 Precise determination of the motion of planets and some astronomical constants from modern observations Kurtz, D. W. (Ed.), ''Proceedings of IAU Colloquium No. 196: Transits of Venus: New Views of the Solar System and Galaxy'', 2004
[49] 웹인용 Recent Asteroid Mass Determinations http://home.earthlin[...] Personal Website 2008-12-03
[50] 웹인용 The Brightest Asteroids http://jas.org.jo/as[...] The Jordanian Astronomical Society 2008-05-21
[51] 웹인용 What Can I See Through My Scope? http://www.allabouta[...] Ballauer Observatory 2008-07-20
[52] 웹인용 When did asteroids become minor planets? http://aa.usno.navy.[...] 2007-11-16
[53] 웹인용 MBA Eccentricity Screen Capture http://home.comcast.[...] JPL Small-Body Database Search Engine 2008-11-01
[54] 논문 Models of Twenty Asteroids from Photometric Data http://www.rni.helsi[...] 2011-04-30
[55] 논문 Thermal infrared (8-13 µm) spectra of 29 asteroids: the Cornell Mid-Infrared Asteroid Spectroscopy (MIDAS) Survey
[56] 논문 Mineralogical variations within the S-type asteroid class
[57] 웹인용 Asteroid Juno Has A Bite Out Of It http://cfa-www.harva[...]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03-08-06
[58] 논문 Multispectral analysis of asteroid 3 Juno taken with the 100-inch telescope at Mount Wilson Observatory http://pubs.giss.nas[...] 2011-09-30
[59] 논문 The diameter of Juno from its occultation of AG+0°1022
[60] 서적 Estimations of masses of the largest asteroids and the main asteroid belt from ranging to planets, Mars orbiters and landers http://adsabs.harvar[...]
[61] 논문 US Naval Observatory Ephemerides of the Largest Asteroids http://aa.usno.navy.[...] 2011-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