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G 분류 체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PG 분류 체계는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기반으로 식물을 분류하는 체계로, 1990년대 이후 DNA 분석 기술 발전에 따라 발전했다. 1998년 APG I을 시작으로 APG II(2003), APG III(2009), APG IV(2016) 판을 거치며 분류군을 수정하고, 새로운 목과 과를 신설했다. APG 체계는 속씨식물을 주요 그룹으로 하여 외떡잎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등 분기군으로 분류하며, 462개 과와 40개 목을 인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기재된 식물 - 나도옥잠화아과
나도옥잠화아과는 뿌리줄기 줄기와 눈에 잘 띄지 않는 꽃, 동물을 통해 씨앗을 퍼뜨리는 열매, 넓은 그물맥을 가진 잎이 특징이며, 나도옥잠화속과 메데올라속이 속한다. - 1998년 기재된 식물 - 앉은부채아과
앉은부채아과는 천남성과의 하위 분류로, 앉은부채속, 오론티움속, Lysichiton속과 멸종된 속들을 포함하며, 앉은부채속은 동아시아와 북미 습지에, 오론티움속은 단일 종인 오론티움 아쿠아티쿰으로, Lysichiton은 동아시아와 북미에 각각 1종씩 분포한다. - 1998년 과학 - 차가이-II
차가이-II는 파키스탄이 차가이-I 핵실험에 이어 플루토늄 증폭형 핵분열탄을 사용하여 실시한 두 번째 핵실험으로, 25kt의 폭발력을 기록하며 파키스탄의 핵무기 개발 능력을 입증했지만 국제 사회의 우려와 경제 제재를 야기했다. - 1998년 과학 - 차가이-I
차가이-I은 파키스탄이 1998년 발루치스탄주 차가이 지역에서 인도의 핵 실험에 대응하여 감행한 최초의 공개 핵 실험으로, 5회의 지하 핵 실험을 통해 파키스탄은 세계 7번째 핵 실험 국가가 되었으며, 국제적 비난과 제재를 받았으나 파키스탄 내에서는 과학적 업적으로 기념되었다. - 식물분류학 - 장미군
장미군은 1830년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바르틀링이 발표한 식물 분류군에서 유래한 아강으로, APG IV 분류 체계에 따라 17개 목, 135개 과로 분류되며, 포도목과 진정장미군으로 나뉜다. - 식물분류학 - 학명
학명은 칼 폰 린네의 이명법에 따라 라틴어 또는 라틴어화된 단어로 속명과 종소명을 조합하여 생물 종을 나타내는 공식적인 이름으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며 하나의 종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APG 분류 체계 | |
---|---|
식물 분류 체계 | |
이름 | APG 체계 |
발표 시기 | 1998년 |
발표 기관 | APG (Angiosperm Phylogeny Group) |
이전 체계 | 크론퀴스트 체계 |
다음 체계 | APG II 체계 |
주요 특징 | |
정보 | 분자계통학적 증거에 기반한 현화식물 분류 체계 |
특징 | 속씨식물 과의 계통발생학적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반영 |
참고 문헌 | |
정보 | Angiosperm Phylogeny Group (1998).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85: 531-553.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81 (1): 1-20. |
2. 역사
1990년대 이후 DNA 분석에 따른 분자계통학이 크게 발전하면서, 식물 분류 체계에도 분자계통학적 연구 방법이 분류학의 주류로 자리잡게 되었다.[1] 특히 엽록체 DNA 분석을 통한 피자식물 분기 연구는 Angiosperm Phylogeny Group(APG)에 집약되었다.[1]
APG 분류 체계는 피자식물문을 주요 그룹으로 하며, 그 하위에 외떡잎식물군(monocots), 닭의장풀군(commelinoids),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장미군(rosids), 진정장미군 I(eurosids I), 진정장미군 II(eurosids II), 국화군(asterids), 진정국화군 I(euasterids I), 진정국화군 II(euasterids II)과 같은 분기군(계통)을 둔다.
APG 분류 체계는 속씨식물을 462개 과와 40개 목으로 분류한다. 각 과와 목은 주요 분기군에 속하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APG 분류 체계는 두 개의 엽록체 유전자와 리보솜을 코딩하는 한 개의 유전자, 이렇게 세 유전자의 분지학적 DNA 서열 분석을 기반으로 한다. 분자 생물학적 증거만을 기반으로 하지만, 구성 그룹들은 꽃가루 형태와 같은 다른 증거에 의해서도 뒷받침된다.[1] 예를 들어 꽃가루 형태는 진정쌍떡잎식물과 이전 쌍떡잎식물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분리를 지지한다.
1998년 APG 분류 체계 초판(APG I)이 발표되었다. 이 체계는 과 수준에서 많은 논란을 일으켰는데,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여러 과들을 분리하고, 일부 다른 과들을 통합했기 때문이다. 또한, 목보다 높은 수준에서 식물명을 사용하지 않고, 목이 정식 계급의 식물명을 갖는 가장 높은 계급으로 정의된다는 특징이 있다. 상위 그룹들은 단자엽식물, 진정쌍떡잎식물, 장미군, 국화군과 같은 이름의 분기군으로만 정의된다.
2003년에는 제2판(APG II)이 공표되었다. APG II에서는 초판에서 분류가 불확실했던 많은 분류군을 분류하고, 일부 분류군에 대해서는 큰 과로 묶거나 더 세부적인 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09년에는 제3판(APG III)이 공표되었다. APG III에서는 단자엽식물의 위치를 목련류와 근연 관계가 아닌 진정쌍자엽식물 쪽에 근연 관계로 수정하고, 핵심진정쌍떡잎식물 기저부의 다분지를 수정하였다. 또한, 제2판에서 일부 과에서 광의, 협의 어느 쪽도 좋다고 하였지만 이 범위를 확정했다. 암보렐라목, 수련목 등 여러 목을 신설했다.
2016년에 발표된 제4판(APG IV)에서는 보리지목, 매화말발도리목 등 몇몇 목과 케와과, 마카르투리아과 등 몇몇 과를 신설하고, 일부 과의 학명을 변경했다. 이 결과, 목의 총계는 64개, 과의 총계는 416개로 변경되었다. 두 개의 주요한 (비공식) 클레이드로 장미군(superrosids)과 국화군(superasterids)이 추가되었으며, 각각 장미류(rosids)와 국화류(asterids)의 상위 클레이드를 구성하게 되었다.
3. 주요 분류
APG 체계는 462개 과와 40개 목을 인정하며, 각 분기군에 할당한다. 일부 과 또는 목은 특정 분기군에 포함되지 않고 피자식물 계통에 직접 속한다.
피자식물문에 속하면서 특정 분기군에 할당되지 않는 과는 암보렐라과, 오스트로바일레이아과, 카넬라과, 클로란투스과, 히드노라과, 일리지아과, 수련과, 라플레시아과, 시산드라과, 트리메니아과, 윈터과 등이 있다.
목 수준에서는 세라토필룸목, 로르목, 목련목, 후추목 등이 특정 분기군에 속하지 않는다.
외떡잎식물 계통에는 코르시아과, 자포놀리리아과 등이, 닭의장풀군에는 아볼보다과, 파인애플과 등이 속하지 않고 직접 포함된다.
진정쌍떡잎식물 계통에는 녹나무과, 디디멜라과 등이, 핵심진정쌍떡잎식물 계통에는 아이엑스토키스과, 베르베리돕시스과 등이 직접 속한다.
장미군 계통에는 아플로이아과, 크로소스마과 등이, 진정장미군 I 계통에는 노박덩굴과, 후아과 등이 속하지 않는다.
진정장미군 II 계통에는 타피시아과가, 국화군 계통에는 산형화목, 진달래목이, 진정국화군 I 계통에는 지치과, 플로코스페르마과 등이 직접 속한다.
진정국화군 II 계통에는 아독사과, 브루니아과 등이 속하지 않고 직접 포함된다.
4. 상세 분류
분류 위치가 불확실한 과는 다음과 같다.4. 1. 분류 불확실 과
5. 한국 내 현황 및 반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