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Xiv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rXiv는 물리학 분야의 심사 전 논문을 보관하기 위해 1991년 폴 긴스파그에 의해 처음 개설된 온라인 아카이브이다. 천문학, 수학, 전산 과학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으며, 오픈 액세스 운동과 과학 출판에 기여했다. 코넬 대학교에서 운영하며, 전 세계에 미러 사이트를 두고 있다. arXiv는 논문 제출 시 LaTeX, PDF 등 여러 형식을 지원하며, 고유한 식별자를 부여한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학계에 알려졌으며, 서울대학교에 미러 서버가 운영되었으나 현재는 중단되었다. arXiv는 피어 리뷰를 거치지 않지만, 각 분야의 중재자들이 제출물을 검토하며, 저작권과 관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자료를 공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픈 사이언스 - 오픈 소스
오픈 소스는 제품 설계 및 재배포를 장려하는 모델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시작하여 개방형 협업을 장려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와 같은 단체가 운동을 지원한다. - 오픈 사이언스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크리에이티브 커먼즈는 저작자가 저작물 이용 방법을 정하도록 하는 라이선스로, 공유와 이용을 장려하며 오픈 교육, 저작권 개혁, GLAM 분야 오픈 액세스 확대를 추진하는 미국의 비영리 단체이다. - 수학 웹사이트 - 칸 아카데미
칸 아카데미는 살만 칸이 2008년에 설립한 비영리 교육 기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교육용 비디오와 연습 문제, 학습 관리 도구 등을 무료로 제공하며 숙달 학습 및 거꾸로 학습을 지원한다. - 수학 웹사이트 - 울프럼 알파
울프럼 알파는 자연어 처리 기반 지식 엔진으로, 텍스트 입력을 통해 질문에 대한 답변과 복잡한 계산, 통계 분석, 금융 계산 등의 연산 결과를 제공하고 시각화한다. - 전자 도서관 - 위키문헌
위키문헌은 저작권 만료 또는 공개 라이선스 자료를 디지털 형태로 수집, 보존하는 위키미디어 재단의 프로젝트로, ProofreadPage 확장 기능을 통해 스캔 자료의 교정 및 검증을 지원하며 여러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질적 향상을 도모하지만 신뢰성 문제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전자 도서관 - 프랑스 국립도서관
프랑스 국립도서관은 1368년 왕립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프랑스 혁명 이후 국립 도서관으로 변경되었으며, 소장품 확장을 거쳐 현재 리슐리외관과 프랑수아 미테랑관을 운영하며 디지털 도서관 갈리카를 통해 자료를 제공한다.
| ArXiv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유형 | 과학 |
| 언어 | 영어 |
| 소유자 | 코넬 대학교 |
| 창시자 | 폴 깁스파그 |
| OCLC | 228652809 |
| ISSN | 2331-8422 |
| 상태 | 온라인 |
| 시작일 | 1991년 8월 14일 |
| 기술 정보 | |
| 분야 | 물리학 수학 컴퓨터 과학 양적 생물학 |
| 논문 수 | 100만 편 이상 (2014년 말 기준) |
| 사용 언어 | 영어 |
| 열람 | 무료 |
| 가입 | 선택 사항 |
| 저작권 | 저작권 |
| 운영 | 코넬 대학교 도서관 |
| 영리 여부 | 비영리 |
| 런칭 | 1991년 |
| 설립자 | 폴 깁스파그 |
| 웹사이트 정보 | |
| URL | arXiv 공식 웹사이트 |
| 추가 정보 | |
| 월별 제출 통계 확인 | arXiv 월별 제출 통계 |
2. 역사

폴 긴스파그가 1991년 물리학 심사 전 논문을 보관하기 위해 arXiv를 개설했다. 처음에는 로스알라모스 국립 연구소에 위치한 '''LANL preprint archive'''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으나, 1999년에 arXiv.org로 이름과 주소가 변경되었다. 현재는 코넬 대학교에서 운영하며 전 세계에 미러 사이트를 두고 있다.
arXiv는 오픈 엑세스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며 과학 출판 흐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수학자와 과학자들은 자신의 논문을 arXiv.org에 올려 전 세계 학자들에게 공개하고, 동료 평가(피어 리뷰) 저널에 논문을 제출하기 전 검토를 받기도 한다.[16] 긴스파그는 arXiv 설립 공로로 2002년 맥아더 펠로십을 수상했다.[17]
arXiv는 인터넷을 통해 과학 논문을 쉽게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측에서 렌더링할 수 있게 해주는 TeX 파일 형식을 통해 가능해졌다.[10]
arXiv 운영비는 코넬 대학교와 미국 국립 과학 재단이 지원하고 있다. 2010년에는 기관들의 다운로드 용량에 비례한 연간지원금을 요청하여 재정을 확충하는 방안을 도입했다. 2010년 arXiv의 연간 예산은 40만달러였다.[47]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연간 예산은 약 82.6만달러였으며, 코넬 대학교 도서관, 사이먼스 재단, 회원 기관의 연간 수수료 수입으로 공동 자금을 조달했다.[18] 2022년 1월, arXiv는 DOI를 논문에 할당하기 시작했다.[23]
2. 1. 설립 배경
1990년경, 조앤 콘은 동료들에게 TeX 파일 형식으로 된 물리학 예비 논문을 이메일로 보내기 시작했다. 그러나 전송되는 논문의 양이 많아지면서 메일함 용량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11] 폴 긴스파그는 중앙 집중식 저장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1991년 8월 로스 앨러모스 국립 연구소(LANL)에 모든 컴퓨터에서 접근 가능한 중앙 저장소 메일함을 만들었다.[12] 이후, 1991년 FTP, 1992년 고퍼, 1993년 월드 와이드 웹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이 추가되었다.[13] 이러한 전자 문서를 지칭하기 위해 e-print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처음에는 LANL 예비 논문 보관소라는 이름의 물리학 아카이브로 시작했지만, 이후 천문학, 수학, 컴퓨터 과학, 정량 생물학, 그리고 최근에는 통계학까지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원래 도메인 이름은 xxx.lanl.gov 였다. LANL이 빠르게 확장되는 기술에 관심을 보이지 않자, 2001년 긴스파그는 코넬 대학교로 소속을 옮기고 저장소 이름을 arXiv.org로 변경했다.[14]


2. 2. 코넬 대학교 이전 및 확장
폴 긴스파그가 코넬 대학교로 이직한 2001년에 arXiv는 arXiv.org로 명칭과 도메인 이름이 변경되었다.[14] 이는 기존의 로스알라모스 국립 연구소(LANL)에서 운영되던 LANL 예비 논문 보관소에서 벗어나 새로운 기관에서 운영을 시작했음을 의미한다.arXiv는 초기 물리학 분야에서 시작하여, 천문학, 수학, 컴퓨터 과학, 비선형 과학, 계량 생물학, 통계학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다.[12] 이러한 확장은 더 많은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 결과를 arXiv를 통해 공유하고 접근할 수 있게 만들었다.
2. 3. 한국에서의 arXiv
한국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arXiv가 학계에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특히 이공계 연구자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되었다. 200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에 한국 미러 서버(kr.arXiv.org)가 운영되었으나, 현재는 운영이 중단된 상태이다. 한국 연구자들은 주로 arXiv 본 서버나 다른 국가의 미러 서버를 통해 논문을 열람하고 투고하고 있다.3. 주제 분야
arXiv는 물리학, 수학, 컴퓨터 공학, 비선형 과학, 계량 생물학, 통계학 등 다양한 분야의 논문을 다루고 있다.[52]
4. 운영 및 관리
arXiv는 과학 논문을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측에서 렌더링할 수 있게 해주는 콤팩트한 TeX 파일 형식을 통해 가능해졌다.[10] 1990년경, 조앤 콘은 물리학 예비 논문을 동료들에게 TeX 파일로 이메일로 보내기 시작했지만, 전송되는 논문 수가 곧 메일함 용량을 초과했다.[11] 폴 긴스파그는 중앙 저장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1991년 8월, 모든 컴퓨터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중앙 저장소 메일함을 로스 앨러모스 국립 연구소(LANL)에 만들었다.[12] 곧이어 1991년 FTP, 1992년 고퍼, 1993년 월드 와이드 웹을 통해 접근할수 있는 방식이 추가되었다.[13] e-print라는 용어는 빠르게 논문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LANL 예비 논문 보관소라고 불리는 물리학 아카이브로 시작했지만, 곧 천문학, 수학, 컴퓨터 과학, 정량 생물학 및 최근에는 통계학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원래 도메인 이름은 xxx.lanl.gov였다. LANL이 빠르게 확장되는 기술에 관심을 보이지 않자, 2001년 긴스파그는 코넬 대학교로 소속을 변경하고 저장소 이름을 arXiv.org로 변경했다.[14]
arXiv는 예비 논문의 초기 채택자이자 홍보자였다.[15] 예비 논문 공유의 성공은 이후 과학 출판에서 오픈 액세스라고 알려진 운동을 촉발한 요인 중 하나였다.[15] 수학자와 과학자들은 전 세계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그리고 때로는 동료 심사를 거친 학술지에 게재되기 전에 arXiv.org에 정기적으로 논문을 업로드한다.[16] 긴스파그는 arXiv를 설립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2년 매카서 펠로우십을 수상했다.[17]
2022년 1월, arXiv는 DataCite와 협력하여 논문에 DOI를 할당하기 시작했다.[23]
4. 1. 운영 주체
폴 긴스파그가 처음 개설한 arXiv는 현재 코넬 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전 세계에 미러 사이트가 있다.[14] 2011년 9월, 코넬 대학교 도서관은 arXiv의 운영 및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행정 및 재정적 책임을 맡게 되었다.[20] 긴스파그는 arXiv의 과학 자문 위원회 및 물리학 자문 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21][22]4. 2. 재정 지원
arXiv 운영 비용은 코넬 대학교, 미국 국립 과학 재단, 사이먼스 재단의 지원금과 회원 기관들의 연간 기부금으로 충당된다.[18] 2010년 코넬 대학교는 각 기관의 다운로드 사용량에 따라 연간 기부금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재정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연간 기부금은 각 기관 사용량에 따라 2300USD에서 4000USD 사이이다.[47] 2010년 2월 기준으로 27개 기관이 이 계획에 따른 지원을 약속했다. 2010년 arXiv의 연간 예산은 400000USD였다.[47]2013년부터 2017년까지 arXiv의 연간 예산은 약 826000USD였으며, 코넬 대학교 도서관, 사이먼스 재단(기부 및 챌린지 보조금 형태) 및 회원 기관의 연간 수수료 수입으로 공동 자금을 조달했다.[18] 각 회원 기관은 arXiv를 지원하기 위해 5년간의 자금 지원 약정을 체결하며, 기관 사용 순위에 따라 연간 수수료는 1000USD에서 4400USD까지 4단계로 설정된다. 코넬 대학교의 목표는 약 220개 기관에서 발생하는 회원 수수료를 통해 연간 최소 504000USD를 모금하는 것이다.[19]
5. 피어 리뷰 및 중재
arXiv는 피어 리뷰를 거치지 않지만, 각 분야 조정자들이 문서를 검토하고 재분류하기도 한다. 조정자 명단은 일반적으로 공개되지만, 물리학 분야의 조정자 명단은 공개되지 않았다.[48]
2004년 1월, 논문이 해당 분야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한 "추천" 시스템이 도입되었다.[26] 이 시스템은 연구를 제한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저자는 추천 자격이 있는 다른 저자에게 추천을 받거나, 맞춤법 등 여러 조건을 통과하는 자동 검사를 통해 추천받을 수 있다. 추천자는 논문의 오류를 찾는 것이 아니라, 제출된 분야의 주제에 맞는지 검토한다. 인증된 학술 기관 소속 이용자는 대개 자동 검사로 추천을 받으므로, 추천 시스템을 의식할 필요가 없다.
피어 리뷰 부재를 걱정하는 사람도 있지만, arXiv 이용자들은 이를 문제로 여기지 않는다. 많은 저자가 자신의 논문에 신경을 쓰며, 대부분의 전자 문서는 정식 저널에도 제출된다. 그러나 일부 영향력 있는 논문은 전자 문서로만 남아있고, 피어 리뷰 저널에는 제출되지 않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시로 그리고리 페렐만이 2002년 11월에 올린 서스턴 기하화 추측 증명 논문이 있으며, 이는 푸앵카레의 추측 증명까지 포함한다.
하지만 arXiv에는 의심스러운 전자 문서도 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처럼 유명한 정리를 고교 수학만으로 논박했다는 사례도 있다.[49] arXiv는 이러한 저작물을 삭제하지 않고 "일반 수학" 같은 범주로 분류한다.[50]
5. 1. 피어 리뷰 부재
arXiv는 피어 리뷰를 거치지 않지만, 각 분야의 중재자 집단이 제출물을 검토한다. 이들은 주제에서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는 모든 것을 재분류하거나, 과학 논문이 아닌 제출물을 거부하거나, 때로는 공개되지 않은 이유로 거부할 수 있다.[24] arXiv의 많은 섹션에 대한 중재자 목록은 공개적으로 제공되지만,[25] 대부분의 물리학 섹션에 대한 중재자는 목록에 포함되지 않는다.2004년에는 콘텐츠가 관련성이 있고 지정된 분야의 현재 연구에 대한 관심사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승인" 시스템이 도입되었다.[26] 이 시스템에서 해당 시스템을 사용하는 카테고리의 경우, 저자는 해당 카테고리에 논문을 제출하기 전에 기존 arXiv 저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승인자는 논문의 오류를 검토하는 것이 아니라 논문이 의도된 주제 영역에 적합한지 확인하도록 요청받는다.[24] 인정받는 학술 기관의 새로운 저자는 일반적으로 자동 승인을 받으며, 이는 실제로 승인 시스템을 전혀 처리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승인 시스템은 과학적 탐구를 제한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27][28]
대다수의 전자 간행물은 출판을 위해 저널에도 제출되지만, 매우 영향력 있는 논문을 포함한 일부 연구는 순수하게 전자 간행물로 남아 동료 심사를 거친 저널에 출판되지 않는다. 후자의 잘 알려진 예는 그리고리 페렐만이 2002년 11월에 업로드한 푸앵카레 추측을 특수한 경우로 포함하는 서스턴의 기하화 추측 증명 개요이다.[29] 페렐만은 전통적인 동료 심사 저널 과정을 포기하려는 듯하며 "누군가 내 문제 해결 방식에 관심이 있다면, 모든 것이 거기에 있으니 가서 읽어보세요"라고 말했다.[30] 이 비전통적인 출판 방식에도 불구하고 다른 수학자들은 페렐만에게 필즈상과 클레이 수학 밀레니엄 상을 수여함으로써 이 연구를 인정했지만, 그는 두 상 모두 거부했다.[31]
arXiv에는 유명한 정리를 반박하거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 같은 유명한 추측을 고등학교 수학만 사용하여 증명한다고 주장하는 의심스러운 전자 간행물이 포함되어 있지만, ''미국 수학회 공지''에 게재된 2002년 기사는 이를 "놀랍도록 드물다"고 묘사했다.[32] arXiv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연구를 삭제하는 대신 "일반 수학"과 같은 카테고리로 재분류한다.[33] 그러나 일부 저자는 arXiv 심사 과정의 투명성 부족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34]
arXiv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피어 리뷰 프로세스 (평균 수개월, 길게는 1년 이상 소요)를 피하고, 신속한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등록된 논문의 내용을 정밀하게 검토한 후 공개 또는 비공개 여부를 결정하는 작업은 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자유 통행이라는 것은 아니다. 지나치게 형편없는 논문은 삭제되거나 등록 분야에서 이동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01년 미국 테네시주에 거주하는 창조론자가 신에 의한 우주 창조를 설파하는 10편의 논문을 arXiv에 등록한 적이 있다. 이 논문은 arXiv의 스태프에 의해 전부 서버에서 삭제되었고, 등록자의 계정은 정지되었다. 다만 논문 등록자는 이를 불복하여 arXiv의 관리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40]
5. 2. 중재 시스템
arXiv는 피어리뷰를 거치지 않지만, 각 분야의 중재자(moderator) 집단이 제출물을 검토한다.[48] 중재자는 주제에서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는 내용을 재분류하거나, 과학 논문이 아닌 제출물을 거부하거나, 때로는 공개되지 않은 이유로 거부할 수 있다.[24] arXiv의 많은 섹션에 대한 중재자 목록은 공개되지만,[25] 대부분의 물리학 섹션 중재자는 목록에 포함되지 않는다.[48]2004년에는 콘텐츠가 관련성이 있고 지정된 분야의 현재 연구 관심사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승인" 시스템이 도입되었다.[26]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범주의 경우, 저자는 해당 범주에 논문을 제출하기 전에 기존 arXiv 저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승인자는 논문의 오류를 검토하는 것이 아니라 논문이 의도된 주제 영역에 적합한지 확인하도록 요청받는다.[24] 인정받는 학술 기관의 새로운 저자는 일반적으로 자동 승인을 받으며, 이는 실제로 승인 시스템을 전혀 처리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승인 시스템은 과학적 탐구를 제한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27][28]
arXiv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피어 리뷰 프로세스 (평균 수개월, 길게는 1년 이상 소요)를 피하고, 신속한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등록된 논문의 내용을 정밀하게 검토한 후 공개 또는 비공개 여부를 결정하는 작업은 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자유 통행이라는 것은 아니다. 지나치게 형편없는 논문은 삭제되거나 등록 분야에서 이동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01년 미국 테네시주에 거주하는 창조론자가 신에 의한 우주 창조를 설파하는 10편의 논문을 arXiv에 등록한 적이 있다. 이 논문은 arXiv의 스태프에 의해 전부 서버에서 삭제되었고, 등록자의 계정은 정지되었다. 다만 논문 등록자는 이를 불복하여 arXiv의 관리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40]
5. 3. 추천(Endorsement) 시스템
2004년 1월부터 arXiv에서는 논문 내용이 해당 분야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추천" 시스템을 도입했다.[26] 이는 과학적 탐구를 제한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27][28] 이 시스템에서는 저자가 논문을 제출하기 전에 기존 arXiv 저자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 추천자는 논문의 오류를 검토하는 것이 아니라, 논문이 해당 주제 분야에 적합한지 확인한다.[24] 인정받는 학술 기관 소속의 새로운 저자는 일반적으로 자동 추천을 받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추천 시스템을 의식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많다.5. 4. 논란
arXiv에는 의심스러운 전자 문서도 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처럼 유명한 정리들을 고교 수학만을 이용해 논박한 사례도 있다.[49] arXiv는 이런 저작물들을 삭제하기보다 "일반 수학" 같은 범주로 분류한다.[50] 그러나 일부 저자들은 arXiv 심사 과정의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34]arXiv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피어 리뷰 프로세스 (평균 수개월, 길게는 1년 이상 소요)를 피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교환할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등록된 논문의 내용을 정밀하게 검토한 후 공개 또는 비공개 여부를 결정하는 작업은 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지나치게 형편없는 논문은 삭제되거나 등록 분야가 이동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01년 미국 테네시 주에 거주하는 창조론자가 신에 의한 우주 창조를 설파하는 논문 10편을 arXiv에 등록한 적이 있다. 이 논문은 arXiv의 스태프에 의해 전부 서버에서 삭제되었고, 등록자의 계정은 정지되었다. 다만 논문 등록자는 이에 불복하여 arXiv의 관리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40]
6. 제출 방법 및 형식
ArXiv에 문서를 제출할 때는 LaTeX, PDF, DOCX 등 다양한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LaTeX 형식으로 제출할 경우, 문서 자동 생성에 필요한 소스 파일과 이미지 파일을 모두 올려야 한다. 최종 PDF 파일 생성 실패, 이미지 파일 용량 초과, 압축 후 전체 파일 용량 초과 등의 경우에는 파일 업로드가 거부된다.[51]
논문 제출을 위해서는 arXiv에 등록 및 로그인이 필요하며, 등록된 사용자만 가능하다. 제출 절차는 메타데이터(제목, 저자, 초록 등) 준비, 제출물 심의, 제출물 발표, 추가 정보, 업데이트 순으로 진행된다.[52]
6. 1. 제출 형식
논문은 LaTeX, PDF, DOCX 등 여러 형식으로 제출할 수 있다. LaTeX의 경우, 문서 자동 생성 시 필요한 소스와 이미지 파일 등 모든 파일을 올려야 한다. 최종 PDF 파일 생성이 실패하거나, 이미지 파일 용량이 너무 크거나, 문서를 압축해도 용량이 너무 크면 파일 업로드가 거부된다.[51] 워드 프로세서로 인쇄된 PDF 형식도 허용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arXiv 소프트웨어는 전자 제출을 거부한다.- 최종 PDF 파일 생성에 실패
- 이미지 파일 크기가 너무 큼
- 제출물의 전체 크기가 너무 큼
arXiv는 불완전한 제출물을 저장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준비가 완료된 경우에만 제출을 완료할 수 있다. 논문의 시간 기록은 제출이 완료될 때 설정된다.
6. 2. 제출 절차
arXiv에 논문을 제출하려면 먼저 arXiv에 등록하고 로그인해야 한다.[52] 등록한 이용자는 다양한 형식(제한 있음)으로 학술논문을 제출할 수 있다.[52] 제출 절차는 다음과 같다.[52]# 메타데이터(제목, 저자, 초록 등) 준비
# 제출물 심의
# 제출물 발표
# 추가 정보
# 업데이트
문서는 LaTeX, PDF, DOCX 등 여러 형식으로 제출할 수 있다.[51] LaTeX의 경우, 문서 자동 생성에 필요한 소스와 이미지 파일 등 모든 파일을 올려야 한다.[51] 최종 PDF 파일 생성에 실패하거나, 이미지 파일 용량이 너무 크거나, 문서를 압축해도 용량이 너무 크면 파일 업로드가 거부된다.[51] 논문의 시간 기록은 제출이 완료될 때 설정된다.
7. 접근성 및 저작권
arXiv는 과학 논문을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측에서 렌더링할 수 있게 해주는 TeX 파일 형식을 통해 가능해졌다.[10]
arXiv에 접근하는 표준 경로는 arXiv.org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특정 분야의 새로운 제출물을 알려주는 일간 이메일 서비스와 RSS 피드도 제공한다.[53] UC 데이비스의 Front는 arXiv.org 이용에 편의를 주는 인터페이스와 검색 도구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이며, Institute of [https://sbiz.tomahowk.xyz Physics]가 2006년 9월 개설한 eprintweb.org도 있다.[54] 구글과 윈도우 라이브 등 검색엔진으로도 arXiv의 자료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연구자들은 하위 분야를 선택하여 해당 분야의 모든 제출물에 대한 일일 이메일 또는 RSS 피드를 받을 수 있다.
arXiv의 메타데이터는 OAI-PMH를 통해 제공되며, 이는 오픈 액세스 저장소의 표준이다.[35] 따라서 arXiv의 콘텐츠는 BASE, CORE, Unpaywall과 같은 주요 데이터 소비자에 의해 색인된다. 2020년 기준으로 Unpaywall은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CrossRef 데이터에서 발견된 작품의 오픈 액세스 버전으로 50만 개 이상의 arXiv URL을 연결하여, arXiv를 전 세계 상위 10위 안에 드는 그린 오픈 액세스 호스트로 만들었다.
arXiv에 있는 파일들은 저작권과 관련해 여러 방법으로 공개돼 있다.[55]
- 몇몇은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되어 있다.
- 몇몇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4.0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 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4.0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제공된다.
- 몇몇은 출판자에게 저작권이 있지만 저자가 배포권이 있고 arXiv에게도 무제한적이고 번복되지 않는 배포권이 주어져 있다.
- 대부분은 저자가 저작권을 가지고 arXiv는 무제한적이고 번복되지 않는 배포권만을 가지고 있다.[51]
7. 1. 접근성
arXiv에 접근하는 표준 경로는 arXiv.org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arXiv는 특정 분야의 새로운 제출물을 알려주는 일간 이메일 서비스와 RSS 피드도 제공한다.[53] UC 데이비스의 Front는 arXiv.org 이용에 편의를 주는 인터페이스와 검색 도구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이며,[53] Institute of [https://sbiz.tomahowk.xyz Physics]가 2006년 9월 개설한 eprintweb.org도 있다.[54] 구글과 윈도우 라이브 등 검색엔진으로도 arXiv의 자료를 찾을 수 있다.arXiv의 메타데이터는 OAI-PMH를 통해 제공되며, 이는 오픈 액세스 저장소의 표준이다.[35] 따라서 콘텐츠는 BASE, CORE 및 Unpaywall과 같은 주요 데이터 소비자에 의해 색인된다. 2020년 기준으로 Unpaywall 덤프는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CrossRef 데이터에서 발견된 작품의 오픈 액세스 버전으로 50만 개 이상의 arxiv URL을 연결하여 arXiv를 전 세계 상위 10위 안에 드는 그린 오픈 액세스 호스트로 만들었다.
또한, 연구자들은 하위 분야를 선택하여 해당 분야의 모든 제출물에 대한 일일 이메일 또는 RSS 피드를 받을 수 있다.
7. 2. 메타데이터 및 오픈 액세스
arXiv의 메타데이터는 OAI-PMH를 통해 제공되며, 이는 오픈 액세스 저장소의 표준이다.[35] 따라서 arXiv의 콘텐츠는 BASE, CORE, Unpaywall과 같은 주요 데이터 소비자에 의해 색인된다. 2020년 기준으로 Unpaywall은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CrossRef 데이터에서 발견된 작품의 오픈 액세스 버전으로 50만 개 이상의 arXiv URL을 연결하여, arXiv를 전 세계 상위 10위 안에 드는 그린 오픈 액세스 호스트로 만들었다.7. 3. 저작권
arXiv에 있는 파일들은 저작권과 관련해 여러 방법으로 공개돼 있다.[55]- 몇몇은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되어 있다.
- 몇몇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4.0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 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4.0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제공된다.
- 몇몇은 출판자에게 저작권이 있지만 저자가 배포권이 있고 arXiv에게도 무제한적이고 번복되지 않는 배포권이 주어져 있다.
- 대부분은 저자가 저작권을 가지고 arXiv는 무제한적이고 번복되지 않는 배포권만을 가지고 있다.[51]
8. 논문 식별자
arXiv에 투고된 논문에는 고유한 식별자(Identifier)가 부여된다. 식별자 부여 규칙은 2007년 4월 1일을 기점으로 개정되었으며, 구식과 신식의 두 종류가 있다.[43]
2007년 3월 31일까지 사용되었던 식별자 부여 규칙은 다음과 같다. 맨 앞에 논문의 투고 분야를 나타내는 영문자열이 오고, 슬래시(/)가 붙은 뒤 투고된 연도와 월을 나타내는 네 자리 숫자가 온다. 마지막으로 해당 분야에서 해당 월에 몇 번째로 투고된 논문인지 나타내는 세 자리 숫자가 이어진다. 이 문자열 전체가 하나의 논문을 가리키는 고유한 식별자가 된다.[43] 예를 들어 `arXiv:math.DG/0211159`에서 각 항목은 다음 의미를 갖는다.
2007년 4월 1일부터는 장르를 나타내는 알파벳이 없어지고 더 단순한 형태가 되었다. 수학(math), 고체물리(cond-mat), 우주물리학(astro-ph) 등의 분야에서 월간 논문 투고 수가 1000건을 넘어가면서 뒤에 붙는 숫자의 자릿수가 세 자리에서 네 자리로 늘어났다. 또한, 논문의 개정판 업로드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므로, 논문의 버전을 명시할 수 있도록 마지막에 알파벳 v(version)와 버전을 나타내는 숫자를 붙이게 되었다.[43] 예를 들어 `arXiv:0711.4630v2`에서 각 항목은 다음 의미를 갖는다.
- 0711: 2007년 11월에 투고됨
- 4630: 4630번째 논문
- v2: 제2판
동일한 논문의 서로 다른 버전은 끝에 버전 번호(v1, v2 등)로 구분된다. 버전 번호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기본값은 최신 버전이다.
2022년 1월부터는 DataCite와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 객체 식별자(DOI)가 할당되기 시작했다.[23]
9. 미러 서버
arXiv는 전 세계 여러 곳에 미러 서버를 운영하여 사용자에게 빠른 접속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41] 2012년 7월 기준으로, 메인 서버를 제외하고 4개국에 미러 서버가 운영 중이었다.[41]
| 소재국 | URL | 인수 기관 | 특기 사항 |
|---|---|---|---|
| 중국 | http://cn.arXiv.org | 중국 과학원 이론물리연구소 | |
| 독일 | http://de.arXiv.org | ? | |
| 인도 | http://in.arXiv.org | 국립수리과학연구소 | |
| 미국 | http://lanl.arXiv.org | 로스알라모스 국립 연구소 | 구 본가 |
| 미국 | http://arXiv.org | 코넬 대학교 도서관 | 현재 본가 |
과거에는 더 많은 미러 서버가 있었으나, 현재는 운영이 중지되었다. 일본의 미러 서버는 교토 대학교의 기초물리학연구소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2015년 12월 운영이 중지되었다.[41] 대한민국의 미러 서버는 서울대학교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2008년 12월 운영이 중지되었다.[41]
| 소재지 | URL | 인수 기관 | 특기 사항 |
|---|---|---|---|
| http://es.arXiv.org | 사라고사 대학교 이론물리학과 | 2018년 3월 운용 중지 | |
| 프랑스 | http://fr.arXiv.org | CCSd (Centre pour la Communication Scientifique Directe) | 2016년 4월 운용 중지 |
| 일본 | http://jp.arXiv.org | 교토 대학 기초물리학연구소 (구 유카와 기념관) | 2015년 12월 운용 중지 |
| 영국 | http://uk.arXiv.org | 2014년 11월 운용 중지 | |
| 이스라엘 | http://il.arXiv.org | 텔아비브 대학교, 테크니온 - 이스라엘 공과대학, 와이즈만 과학 연구소, 히브리 대학교, 벤구리온 대학교, 바르-일란 대학교 | 2012년 10월 운용 중지 |
| 대만 | http://tw.arXiv.org | [https://www.nchc.org.tw/ 국가 초고속 네트워크 및 계산 센터] (National Center for High-performance Computing) | 2012년 8월 운용 중지 |
| 브라질 | http://br.arXiv.org | 상파울루 대학교 물리학과 | 2012년 4월 운용 중지 |
| 러시아 | http://ru.arXiv.org | Institute of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Physics (모스크바) | 2012년 4월 운용 중지 |
| 오스트레일리아 | http://au.arXiv.org | 애들레이드 대학교 물리화학연구과 | 2012년 2월 운용 중지 |
| 미국 | http://aps.arXiv.org | 미국 물리학회, 브룩헤븐 국립 연구소 | 2012년 2월 운용 중지 |
| 이탈리아 | http://it.arXiv.org | SISSA | 2009년 1월 운용 중지 |
| 한국 | http://kr.arXiv.org | ICPR (Information Center for Physics Research), KOSEF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서울대학교 | 2008년 12월 운용 중지 |
| http://za.arXiv.org | ? | 2007년 6월 운용 중지 |
10. 유명 논문
그리고리 페렐만은 2002년부터 2003년에 걸쳐 푸앵카레 추측을 해결한 세 편의 논문을 arXiv에 투고했다. 이 공로로 페렐만은 2006년 필즈상을 수상했으나 거절했다. 보통 arXiv에 논문을 투고하면 학술지에도 함께 투고하지만, 페렐만은 arXiv에만 논문을 투고하고 학술지에는 투고하지 않았다. arXiv는 기본적으로 단순한 업로더이므로, 논문이 전문 학술지에 게재되지 않으면 정식 연구 업적으로 인정받기 어렵다. 이러한 페렐만의 "arXiv에만 투고"하는 방식은 2010년 밀레니엄 문제 상금 100만 달러 수여 여부를 결정할 때 문제가 되기도 했다[42](푸앵카레 추측#상금 100만 달러도 참조). 결국 100만 달러가 페렐만에게 수여되기로 결정되었으나, 페렐만은 상금 수령을 거절했다.
페렐만이 arXiv에 투고한 논문은 다음과 같다.
- [https://arxiv.org/abs/math/0211159 The entropy formula for the Ricci flow and its geometric applications], 2002년 11월 11일
- [https://arxiv.org/abs/math/0303109 Ricci flow with surgery on three-manifolds], 2003년 3월 10일
- [https://arxiv.org/abs/math/0307245 Finite extinction time for the solutions to the Ricci flow on certain three-manifolds], 2003년 7월 17일
11. 한국과 arXiv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 내 연구자들 사이에서 arXiv가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특히 물리학, 수학, 전산학 분야에서 arXiv를 통한 논문 공유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2000년대 초반에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서울대학교를 중심으로 arXiv 미러 서버 구축 및 운영이 추진되었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 한국 미러 서버(kr.arXiv.org)가 운영되었으나, 현재는 운영이 중단된 상태이다.
한국 연구자들은 arXiv를 통해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자신의 연구 결과를 전 세계 연구자들과 빠르게 공유하고 있다. 특히, 해외 학회 참석이나 공동 연구 기회를 얻는 데에도 arXiv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한국 정부와 학계에서는 오픈 액세스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arXiv와 같은 개방형 학술 플랫폼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정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오픈 액세스 정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arXiv와 같은 플랫폼의 활용을 더욱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arXiv와 같은 프리프린트 서버에 대한 인식이 아직 부족한 편이며, 일부 연구자들은 피어 리뷰를 거치지 않은 논문의 신뢰성에 대해 우려를 표하기도 한다. 따라서 arXiv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한국형 arXiv 플랫폼을 구축하거나, 기존 arXiv 시스템에 한국어 메타데이터 및 검색 기능을 추가하는 방안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arXiv에 논문을 투고하는 한국 연구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arXiv 논문의 질적 평가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ibrary-managed 'arXiv' spreads scientific advances rapidly and worldwide
http://ezramagazine.[...]
Cornell University
2012
[2]
arXiv
It was twenty years ago today ...
2011
[3]
웹사이트
Online Scientific Repository Hits Milestone: With 500,000 Articles, arXiv Established as Vital Library Resource
http://news.library.[...]
News.library.cornell.edu
2013-07-21
[4]
간행물
One Million Preprints and Counting: A conversation with arXiv founder Paul Ginsparg
http://www.the-scien[...]
2014-12-29
[5]
웹사이트
Monthly Submissions
https://arxiv.org/st[...]
2023-05-16
[6]
웹사이트
Reports – arXiv info
https://info.arxiv.o[...]
2023-05-16
[7]
웹사이트
arXiv monthly submission rate statistics
https://arxiv.org/sh[...]
Arxiv.org
2024-11-19
[8]
웹사이트
Image
http://www.cs.cornel[...]
2019-03-09
[9]
학술지
Lessons from arXiv's 30 years of information sharing
2021-08-04
[10]
학술지
Physicists Thriving with Paperless Publishing
https://core.ac.uk/d[...]
[11]
학술지
Joanne Cohn and the email list that led to arXiv
https://physicstoday[...]
2021-11-08
[12]
학술지
Joanne Cohn and the email list that led to arXiv
https://physicstoday[...]
2021-11-08
[13]
웹사이트
The global-village pioneers
https://physicsworld[...]
2020-10-10
[14]
학술지
Los Alamos Loses Physics Archive as Preprint Pioneer Heads East
2001-07-05
[15]
웹사이트
Celebrating 30 Years of arXiv and Its Lasting Legacy on Scientific Advancement
https://sparcopen.or[...]
2021-10-25
[16]
뉴스
The World of Science Becomes a Global Village; Archive Opens a New Realm of Research
https://www.nytimes.[...]
2001-05-01
[17]
웹사이트
Cornell professor Paul Ginsparg, science communication rebel, named a MacArthur Foundation fellow; three other alumni also receive 'genius award' fellowships
http://www.news.corn[...]
2002-09-23
[18]
웹사이트
Cornell University Library arXiv Financial Projections for 2013-2017
https://confluence.c[...]
2017-02-26
[19]
웹사이트
arXiv Member Institutions (2021) - arXiv about - Our Members
https://arxiv.org/ab[...]
2021-12-27
[20]
뉴스
The First Free Research-Sharing Site, arXiv, Turns 20 With an Uncertain Future
http://chronicle.com[...]
2011-08-12
[21]
웹사이트
arXiv Scientific Advisory Board {{!}} arXiv e-print repository
https://arxiv.org/ab[...]
2020-10-10
[22]
웹사이트
About the Physics Archive {{!}} arXiv e-print repository
https://arxiv.org/he[...]
2020-10-10
[23]
웹사이트
New arXiv articles are now automatically assigned DOIs
https://blog.arxiv.o[...]
2023-04-04
[24]
간행물
ArXiv.org
[25]
웹사이트
Current arXiv moderators
https://arxiv.org/mo[...]
Arxiv.org
2024-10-03
[26]
간행물
As we may read
[27]
간행물
Preface to the Proceedings of Quantum Structures 2002
2005-07
[28]
학술지
Vital resource should be open to all physicists
2005-02-23
[29]
arXiv
The entropy formula for the Ricci flow and its geometric applications
2002-11-11
[30]
뉴스
Maths genius living in poverty
http://www.smh.com.a[...]
2006-08-21
[31]
간행물
Russian mathematician wins $1 million prize, but he appears to be happy with $0
https://www.washingt[...]
2010-07-02
[32]
학술지
From Preprints to E-prints: The Rise of Electronic Preprint Servers in Mathematics
https://www.ams.org/[...]
2002
[33]
학술지
ArXiv at 20
2011-08
[34]
학술지
ArXiv rejections lead to spat over screening process
http://www.nature.co[...]
2017-12-14
[35]
웹사이트
Open Archives Initiative (OAI)
https://arxiv.org/he[...]
2020-04-25
[36]
웹사이트
arXiv License Information
https://arxiv.org/he[...]
Arxiv.org
2013-07-21
[37]
간행물
One Million Preprints and Counting: A conversation with arXiv founder Paul Ginsparg
http://www.the-scien[...]
2014-12-29
[38]
문서
学術情報メディアとしてのarXivの位置づけ
三田図書館・情報学会
2009
[39]
웹사이트
arXiv monthly submission rate statistics
http://arxiv.org/sho[...]
Arxiv.org
2015-08-08
[40]
뉴스
Ousted creationist sues over website
http://www.orionfdn.[...]
Nature
2002
[41]
웹사이트
arXiv mirror sites | arXiv e-print repository
https://arxiv.org/he[...]
2022-02-01
[42]
저널
Conjectures No More? Consensus Forming on the Proof of the Poincaré and Geometrization Conjectures
http://www.ams.org/n[...]
2006-09
[43]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arXiv identifier
http://arxiv.org/hel[...]
2008-01-10
[44]
문서
X를 그리스 문자 [[χ]](Chi)처럼 소리내서 archive로 발음한다.
[45]
뉴스
Online Scientific Repository Hits Milestone - With 500,000 Articles, arXiv Established as Vital Library Resource
http://news.library.[...]
2008-10-03
[46]
문서
한국정보관리학회 2001년도 제8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1-08-01
[47]
뉴스
Cornell Seeks Sustainable arXiv Support
http://www.americanl[...]
American Libraries Magazine
2010-10-29
[48]
웹사이트
Computing Research Repository Subject Areas and Moderators
http://arxiv.org/cor[...]
[49]
저널
From Preprints to E-prints: The Rise of Electronic Preprint Servers in Mathematics
http://www.ams.org/n[...]
2002
[50]
웹사이트
Front FAQ 7.1 Some of the arXiv articles are nonsense!
http://front.math.uc[...]
[51]
웹사이트
http://arxiv.org/
[52]
문서
성공적인 리포지터리의 운영정책에 관한 연구
2010-12
[53]
웹인용
Front for the arXiv
http://front.math.uc[...]
2010-10-29
[54]
웹사이트
eprintweb
http://eprintweb.org
[55]
웹사이트
arXiv License Information
http://arxiv.org/h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