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EMedicin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Medicine은 1996년 설립된 온라인 의학 정보 사이트이다. 의료 지식 기반 구축을 목표로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 초 네브래스카 의과대학과의 제휴를 통해 의사, 간호사, 약사 연수 교육에 대한 인증을 받았다. 2005년 WebMD에 인수되어 Medscape Reference로 변경되었으며, 2018년에는 창립자들이 StatPearls를 시작했다. eMedicine은 위키피디아, MedlinePlus와 함께 많이 참조되는 의학 정보원 중 하나이며, 여러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학 웹사이트 - 메드라인플러스
    메드라인플러스는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일반인 대상 온라인 건강 정보 서비스로, 다양한 건강 주제 정보, 비디오, 도구 및 40개 이상의 언어 링크를 제공하며, 모바일 및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통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고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 의학 웹사이트 - 영국의학저널
    영국의학저널(The BMJ)은 1840년 창간되어 여러 제호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자리 잡은 영국의 의학 학술지로서, 고품질의 연구 논문과 사례 보고서, 최초의 중앙 무작위 대조 임상 시험 결과 발표, 흡연과 폐암의 인과 관계 규명 등 의학 발전에 기여하며 주요 의학 저널로 평가받고 있다.
  • 의학 데이터베이스 - 질병 데이터베이스
    질병 데이터베이스는 질병, 약물, 증상 등 8,500여 개의 의학 관련 항목을 포함하며, 항목 간 관계 설정, 외부 웹 리소스 연결, 통합 의학 언어 시스템 매핑을 통해 구성된다.
  • 의학 데이터베이스 - 치료 표적 데이터베이스
    치료 표적 데이터베이스는 약물 개발 표적인 단백질, 핵산, 기타 분자 정보를 제공하며, 표적 검증 과정, 임상 상태, 분자 유형별 분류, 변이 및 발현 프로필과 신약 개발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한다.
  •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은 한국연구재단에서 운용하는 학술지 인용 색인 데이터베이스로, 논문 유사도 검사 및 DOI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며 RISS와 연계된 검색 서비스를 통해 학술지 논문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 결과 발표의 주요 경로로 활용된다.
  •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 엠포리스
    엠포리스는 건축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였으며, 1996년 설립되어 고층 건물 및 도시 서식지 위원회와 제휴를 맺고, 건물 데이터베이스 외 건축 관련 뉴스 및 이미지, 어워드를 제공하다가 2020년 인수되었고 2022년 콘텐츠가 삭제되었다.
EMedicine
eMedicine 정보
유형온라인 임상 의학 지식 베이스
설명이비인후과 전문의를 위한 온라인 교과서
Medscape에 인수됨
창립자알란 D. 마이어스
인수WebMD (2006년)
원본 문서 관련 경고プレスリリースやニュース記事のような日常的な内容が占めており、百科事典として方針にそって適切なソースにより内容を強化して欲しい。(2020/2)
(프레스 릴리스나 뉴스 기사와 같은 일상적인 내용이 많아 백과사전으로서의 방침에 따라 적절한 출처로 내용을 강화해야 함. (2020/2))

2. 역사

eMedicine은 1996년 스콧 플랜츠(Scott Plantz)와 조나단 아들러(Jonathan Adler) 등 의사 그룹이 설립하여, 2006년 WebMD에 인수되기까지 온라인 의학 정보 제공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설립 초기에는 응급 의학 분야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구축하였고, 이후 거의 모든 의학 및 외과 전문 분야로 범위를 확장했다. 2000년대 초에는 네브래스카 의과대학과의 제휴를 통해 콘텐츠의 신뢰성을 인정받았으며, WebMD 인수 이후에는 Medscape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eMedicine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996년eMedicine 설립 및 초기 사이트 구축[29]
1997년eMedicine.com, Inc. 법적 분사[15]
1999년테넷 헬스케어(Tenet Healthcare)로부터 엔젤 투자 유치[15]
2000년옴니콤 그룹(Omnicom Group), HIG 캐피탈(HIG Capital)로부터 벤처 투자 유치[15]
2000년대 초네브래스카 의과대학과 제휴, 콘텐츠 인증[15]
2005년인수 협상 시작
2006년WebMD에 인수[29]
2018년StatPearls 설립[17][18]


2. 1. 설립 초기 (1996-1999)

1996년, 플랜츠(Plantz), 아들러(Adler) 및 베레진(Berezin)은 eMedicine.com의 개념을 개발했고, 플랜츠와 아들러가 주주로 있던 보스턴 메디컬 출판(Boston Medical Publishing, Inc.)을 통해 초기 사이트를 구축했다. 대규모 기고자들의 동시 협업을 위해 그룹 출판 시스템 1(GPS 1)이 개발되었다. 이 시스템은 처음에는 응급 의학 지식 기반 구축에 사용되었으며, 600명의 기고 의사가 1년여 만에 630개 이상의 챕터를 만들었다.[15] 1997년, eMedicine.com, Inc.는 보스턴 메디컬 출판에서 법적으로 분사했다. eMedicine은 1999년 테넷 헬스케어(Tenet Healthcare)로부터 엔젤 투자를 유치했다.[15]

2. 2. 성장 및 발전 (2000-2005)

2000년, eMedicine은 옴니콤 그룹(Omnicom Group), HIG 캐피탈(HIG Capital) 등으로부터 상당한 규모의 벤처 투자를 유치했다.[15]

2000년대 초, 네브래스카 의과대학과의 제휴를 통해 eMedicine 콘텐츠는 의사, 간호사 및 약사를 위한 연수 교육으로 인증받게 되었다.[15] 이를 통해 eMedicine은 의료계에서 인지도와 신뢰성을 높이고 수익성을 향상시켰다.

eMedicine은 거의 모든 의학 및 외과 전문 분야를 다루도록 범위를 확장했다.[15]

이 시기에 eMedicine은 의료 종사자, 의료 소비자 및 인터넷 품질 관련 수십 개의 상을 받았다.[15]

2. 3. WebMD 인수 및 StatPearls 설립 (2006-현재)

2005년, eMedicine은 인수 협상을 시작했고, 이사회는 만장일치로 WebMD로의 매각을 승인했다. 2006년 1월, WebMD에 인수 완료되었으며,[29] eMedicine 콘텐츠는 WebMD의 Medscape 사이트에서 제공되었고, Medscape Reference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8년, eMedicine 창립자들은 StatPearls를 설립했다.[4][5] 이는 의료 교육 향상을 위한 국제 협력 프로젝트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포괄적인 온라인 의학 교육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의료 종사자들에게 저렴한 의사 평생 교육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크레딧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7][18]

3. 전문 분야

알레르기, 면역학, 순환기내과, 임상 수기, 중환자 의학, 피부과학, 응급 의학, 내분비학, 소화기내과, 유전 의학, 혈액학, 감염 내과, 신장 내과, 신경학, 산부인과, 종양학, 병리학, 수술 전후 관리, 물리 치료학 및 인지 재활, 정신 의학, 호흡기내과, 방사선 의학, 류마티스학, 스포츠 의학이 포함된다. 외과 관련 전문 분과에는 신경외과학, 안과학, 정형외과, 이비인후과[15] 및 안면 성형외과, 성형외과, 흉부외과, 이식학, 외상, 비뇨기과, 혈관외과가 있다.

4. 특징 및 이용

eMedicine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등록만 하면 된다. 주로 미국에서 온 11,000명 이상의 의사들이 기고자로 참여했다.[16] 당시 eMedicine의 콘텐츠는 전자책으로도 접근할 수 있었고, 팜탑 장치에 다운로드할 수 있었다.[16]

5. 전문 분야별 활용

eMedicine은 여러 전문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2012년 Volsky 등의 연구[6]에서는 위키백과, eMedicine, MedlinePlus(국립 의학 도서관(NLM)/국립 보건원(NIH))가 가장 많이 참조되는 의학 정보 소스임을 밝혔다. 콘텐츠 정확도 면에서는 eMedicine이 84%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Laraway와 Rogers는 PubMed, Medline Medical Journals.com 및 eMedicine을 주요 정보 소스로 활용했다.[7] Medline은 NIH 후원 연구의 요약본이므로, eMedicine이 Medline의 최신 연구를 임상 지침으로 변환한 기사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1]

Cao, Liu, Simpson 등은 AskHERMES 온라인 시스템 개발에 Medline과 eMedicine을 주요 리소스로 사용했다.[8]

5. 1. 이비인후과

2012년 Volsky 등은 소아 이비인후과 진단 관련 상위 웹 검색 결과 중 하나로 eMedicine을 포함시켰다.[6] 2000년 콜로라도 대학교 의과대학의 AD Meyers는 ''Journal of Ear Nose and Throat''에 기고한 글에서 eMedicine에서 이비인후과 교과서를 온라인으로 공개했다고 발표했다.[1]

5. 2. 안과

2009년 연구에 따르면 안과 의사 응답자의 89.1%가 온라인으로 동료 검토 자료에 접근했으며, 그중 60.2%가 eMedicine을 이용했다.[9]

5. 3. 방사선과

2007년 연구에 따르면 방사선과 레지던트의 12%가 인터넷에서 연구를 할 때 eMedicine을 첫 번째 소스로 사용하였다.[10]

5. 4. 피부과

2002년 연구에서는 eMedicine의 피부과학 분야 정보가 "탁월하고 포괄적"이라고 평가했다.[12]

5. 5. 신경 종양학

2005년 연구에서는 114개 사이트를 평가하여, eMedicine을 소아 신경 종양학에 대한 인터넷 정보 소스로 미국 국립 암 연구소에 이어 두 번째로 높게 평가했다.[11]

6. 한국 의료 환경에서의 의의

대한의사협회, 대한의학회 등 전문 의료 단체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함께, eMedicine은 한국 의사들이 최신 의료 지식을 습득하고 임상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새로운 치료법, 진단 기술 등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얻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eMedicine Otolaryngology: an online textbook for ENT specialists. 2000-04
[2] 뉴스 WebMD acquires eMedicine.com for $25.5M http://www.marketwat[...] 2017-08-28
[3] 서적 Evidence-Based Medicine for PDAs: A Guide for Practice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4] 웹사이트 Call for Volunteers - Assist in Finishing the StatPearls Project https://www.aaem.org[...]
[5] 웹사이트 About https://www.statpear[...] 2021
[6] 논문 Quality of Internet information in pediatric otolaryngology: a comparison of three most referenced websites. 2012-09
[7] 논문 A structured review of journal articles reporting outcomes using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Quality of Life Scale
[8] 논문 AskHERMES: An online question answering system for complex clinical questions
[9] 논문 Computer and internet use by ophthalmologists and trainees in an academic centre
[10] 논문 Learning Radiology
[11] 논문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n pediatric neuro-oncology
[12] 서적 Evidence-based dermatology PMPH-USA
[13] 논문 eMedicine Otolaryngology: an online textbook for ENT specialists. 2000-04
[14] 뉴스 WebMD acquires eMedicine.com for $25.5M http://www.marketwat[...] 2017-08-28
[15] 논문 eMedicine Otolaryngology: an online textbook for ENT specialists. 2000-04
[16] 서적 Evidence-Based Medicine for PDAs: A Guide for Practice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17] 웹사이트 https://www.aaem.org[...]
[18] 웹사이트 https://www.statpear[...]
[19] 논문 Quality of Internet information in pediatric otolaryngology: a comparison of three most referenced websites. 2012-09
[20] 논문 A structured review of journal articles reporting outcomes using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Quality of Life Scale
[21] 논문 eMedicine Otolaryngology: an online textbook for ENT specialists. 2000-04
[22] 논문 AskHERMES: An online question answering system for complex clinical questions
[23] 논문 Computer and internet use by ophthalmologists and trainees in an academic centre
[24] 논문 Learning Radiology
[25] 논문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n pediatric neuro-oncology
[26] 서적 Evidence-based dermatology PMPH-USA
[27] 논문 eMedicine Otolaryngology: an online textbook for ENT specialists. 2000-04
[28] 간행물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위한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eMedicine 2000-04
[29] 웹인용 Redherring.com http://www.redherrin[...] 2009-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