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양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양학은 암의 예방, 진단, 치료에 관한 의학 분야이다. 진단에는 의학적 병력 청취, 생검, 내시경 검사, 영상 촬영, 혈액 검사 등이 사용되며, 조직학적 분류와 병기 분류를 통해 치료 방침을 결정한다. 암의 증상은 다양하며, 치료법으로는 수술, 항암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표적 치료, 면역 치료 등이 있다. 완화 치료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중요하며, 윤리적 문제와 연구, 대체 치료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진다. 종양학은 내과 종양학, 수술 종양학, 방사선 종양학, 임상 종양학 등 여러 전문 분야로 세분화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인학 - 노화
노화는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전 과정으로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포함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분자 및 세포 수준의 특징을 보이는 복잡한 과정이다. - 노인학 - 사회적 고립
사회적 고립은 타인과의 의미있는 관계 부족으로 개인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고령화, 경제적 불평등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여 뇌 구조와 기능 변화를 일으키므로 사회적 지원 체계 구축이 중요하다. - 종양학 - 이형성
이형성은 세포의 비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 용어이며, 초기 신생물성 과정을 나타내고 발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종양학 - 전이 (의학)
전이는 암세포가 원발 부위에서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해 다른 부위로 이동하는 과정으로, 폐, 간, 뇌, 뼈 등에 흔히 발생하며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고, 상피-간엽 전이 및 간엽-상피 전이 가설, 암줄기세포 가설 등 복잡한 기전을 통해 림프관, 혈행, 체강 등 여러 경로를 거쳐 진행되며, 조직검사, 영상 검사 등으로 진단하고 방사선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종양학 | |
---|---|
의학 분야 | |
하위 분야 | 내과 종양학 방사선 종양학 외과 종양학 |
관심 대상 | 암 |
검사 | 종양 표지자 TNM 병기 CT 스캔 MRI |
전문의 | 종양 전문의 |
2. 진단
암 진단은 환자의 병력을 듣고, 신체 검사를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피로, 체중 감소,[3] 원인을 알 수 없는 빈혈,[4] 원인 불명의 발열, 종양부수 현상 등 특정 증상은 악성 종양을 의심하게 한다.[5] 때로는 신체 검사를 통해 악성 종양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암 진단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된다.
- 생검 또는 구간 절제술: 의심되는 종양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제거하여 병리학자가 악성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암 진단의 표준이며, 수술,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등의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5]
- 상부 또는 하부 위장관 내시경, 방광경, 기관지경 또는 비경 검사: 암이 의심되는 부위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생검을 시행한다.[6]
- 유방 조영술, X-ray, CT 스캔, MRI 스캔, 초음파 등 방사선학적 기술: 종양의 위치를 찾고 생검을 돕는다.
- 신티그래피, SPECT, PET 등 핵의학 검사: 암이 의심되는 부위를 찾는다.
- 혈액 검사: 종양 표지자를 포함하여 특정 종류의 암에 대한 의심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진단뿐만 아니라, 수술 가능성, 즉 종양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특히 CT 스캔을 통한 영상 촬영)[6]
병리학자의 조직 진단(생검을 통해)은 암의 종류를 정확하게 분류하고, 다음 단계의 치료를 결정하는 데 필수적이다.[5] 이것이 불가능한 극히 드문 경우에는, 병력, X-ray 및 스캔 등의 증거를 바탕으로 "경험적 치료"(정확한 진단 없이)를 고려할 수 있다.
매우 드물게, 원발 종양을 찾을 수 없는 전이성 덩어리나 병리학적 림프절이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주로 목에서).[7] 그러나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는 종종 원발 악성 종양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이러한 상황을 "원발 부위 불명의 악성 종양"이라고 하며, 이 경우에도 치료는 가장 가능성이 높은 기원에 대한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경험적으로 수행된다.[7]
2. 1. 조직학적 분류
암은 전이되므로 발견된 조직의 정상 세포와는 그 특성이 다른 경우가 있지만, 암세포의 조직학적 분류는 치료 방침을 정하는 근거 중 하나이다. 조직학적 분류는 원발암에 관한 분류라고 할 수 있다.[1]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뇌종양은 침윤을 보이지 않는 비악성 종양이라도 증식으로 뇌 조직을 압박하여 치명적이 될 수 있으므로, '''악성 종양'''과는 별도로 분류한다.[1]
조직학적 분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조직형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1]
2. 2. 병기 분류
암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병기(스테이지)는 치료 방법 결정과 예후 예측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원발암 종류마다 분류 기준이 다르므로, 스테이지를 다른 암 종류 간에 비교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보통 0 또는 I~IV의 로마 숫자로 표시되며, 숫자가 클수록 진행된 암이다. 로마 숫자에 영문 소문자를 붙여 ( "IVa", "IVb" 등) 세부 분류하기도 한다.국제적으로 통용되는 TNM 병기 분류는 국제 암 연합(UICC)에 의한 병기 분류이다. 이는 다음의 세 가지 지표를 기준으로 한다.
- 원발성 암의 규모 (T)
- 인접 림프절로의 침윤 정도 (N)
- 원격 전이 정도 (M)
각 항목의 정도를 T, M, N에 숫자 또는 분류 불능을 나타내는 "X"를 병기한다. (예: T3N0M1)
3. 증상
암의 종류와 진행 정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피로, 체중 감소,[3] 원인 불명의 빈혈,[4] 원인 불명의 발열, 종양부수 현상 등이 있다.[7]
의학적 병력은 여전히 중요한 선별 도구이며, 불만 사항의 특성과 비특이적 증상은 악성 종양에 대한 추가 조사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때때로 신체 검사를 통해 악성 종양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4. 치료
암 치료는 암의 종류, 병기,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주요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항암 화학 요법(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표적 치료, 면역 요법 등이 있다.
호르몬 조작은 특히 유방암 및 전립선암 치료에 효과적이다.
어떤 치료법이 필요할지는 종양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급성 백혈병과 같은 일부 암은 증상에 따라 호흡 관리나 화학 요법을 우선 시행해야 할 수 있지만, 그 외에는 일반적인 건강 검진이나 혈액 검사로 대응한다.
최근에는 여러 치료법을 함께 사용하는 다학제적 치료가 늘고 있다.
4. 1. 수술
수술은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도된다. 종양을 실제로 제거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을 때만 가능하다. 전이가 있거나 종양이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지 않고서는 수술할 수 없는 구조를 침범한 경우에는 완치 목적의 수술은 불가능하다.때로는 모든 종양 조직이 제거되지 않았더라도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술을 시행하기도 하는데, 이를 "감량" 수술이라고 한다. 즉, 전체 종양 조직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수술은 또한 일부 암의 완화 치료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담도 폐쇄를 완화하거나 일부 뇌 종양과 관련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술의 위험과 이점을 신중하게 비교 평가해야 한다.
장기 절제로 인해 기능 및 형태가 손상되어 삶의 질(QOL)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종양의 경우, 가능한 장기를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경부 종양 등에서는 절제로 인해 연하, 발성, 외관 등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초기 암의 경우 우선 방사선 치료를 선택하고, 방사선 치료로 제어가 어려운 진행된 경우에 절제술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31]
4. 2. 항암 화학 요법
항암 화학 요법은 항암제를 사용하여 암세포를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치료법이다. 화학 요법이라고도 하며, 전신 치료 효과가 있어 전이암 치료에 유용하다.[31]화학 요법과 방사선 요법은 여러 악성 종양에서 1차적인 근본 치료법으로 사용된다. 또한, 육안적 종양이 이미 수술적으로 완전히 제거되었지만 재발할 합리적인 통계적 위험이 있는 경우인 보조 요법으로도 사용된다. 화학 요법과 방사선 요법은 질병이 명백히 불치인 경우 완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이 상황에서 목표는 삶의 질을 개선하고 연장하는 것이다.
절제술,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단독으로는 제어가 어려운 진행 예에서는, 각 치료법을 조합한 다학제적 치료(수술 전 조사(화학 요법), 수술 후 조사(화학 요법), 화학 방사선 요법(chemoradiotherapy))가 검토된다.
항암제의 부작용이 심한 경우에는 한방 치료가 하나의 수단으로 거론된다. 한방약을 이용함으로써 과도한 복약이나 의료비의 억제를 할 수 있다.[31]
4. 3. 방사선 치료
방사선 요법은 여러 악성 종양에서 1차적인 근본 치료법이자, 육안적 종양이 이미 수술적으로 완전히 제거되었지만 재발할 위험이 있는 경우 보조 요법으로도 사용된다. 질병이 명백히 불치인 경우 완화를 위해 사용되기도 하며, 이 경우 삶의 질 개선 및 연장이 목표이다.[31]장기 절제로 기능·형태가 손상되어 삶의 질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종양의 경우, 가능한 장기 보존이 바람직하다. 두경부 종양 등에서는 절제로 인해 연하, 발성, 외관 등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초기 암의 경우 우선 방사선 치료를 통한 제어를 선택하고, 방사선 치료로 제어가 어려운 진행성 암의 경우 절제술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절제술,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단독으로는 제어가 어려운 진행성 암의 경우, 각 치료법을 조합한 다학제적 치료(수술 전·후 화학 요법, 화학 방사선 요법)가 검토된다.[31]
최근 연구에 따르면 종양에 산소를 쬐면 파괴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방사선 치료나 화학 요법과 달리 산소 요법은 부작용이 없어 최첨단 치료로 기대되고 있다.[31]
4. 4. 표적 치료
표적 치료는 암세포의 특정 분자 표적을 공격하여 암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억제하는 치료법이다.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뛰어나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단클론 항체 치료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림프종 치료에 쓰이는 리툭시맙과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트라스투주맙이 대표적이다.[31]4. 5. 면역 치료
면역 요법은 일부 종양에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현재는 면역 요법만으로 종양을 제어하기는 어렵지만, 증상 완화나 다른 치료와 함께 사용되며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31] 최근 연구에 따르면 종양에 산소를 쬐면 파괴된다고 한다. 방사선 치료나 화학 요법과 달리 산소 요법에는 부작용이 없어 최첨단 치료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5. 완화 치료
완화 치료는 암 치료가 어려운 환자들의 증상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치료이다. 진행성 암 환자의 경우 통증, 구역질, 식욕 부진, 피로, 부동성, 우울증 등의 신체적 증상뿐만 아니라 개인의 존엄성, 도덕적, 정신적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완화 치료는 이러한 문제들을 다학제적으로 접근하여 해결하며, 종양 전문의뿐만 아니라 완화 치료 전문 간호사와 의사가 환자를 자택에서 방문하여 치료하기도 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986년 "''Cancer Pain Relief''"(암성 통증 완화) 보고서를 통해 암성 통증 치료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 WHO 방식 암성 통증 치료는 진통제를 세 가지 종류로 분류하고, 5가지 사용 지침을 제시한다.
진통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WHO 방식 암성 통증 치료의 5가지 사용 지침은 다음과 같다.
- 서방형 제제를 고려한 투약 방법 (by Mouth)
- 일정한 간격으로 투약 (by the Clock)
- 단계적으로 더 강력한 진통제를 선택 (by the ladder)
- 개인의 통증 상황에 따라 투여량을 결정 (for the individual)
- 작용의 보조 또는 부작용 관리를 상세하게 실시 (attention to detail)
WHO 방식은 통증이 발생하기 전에 진통제를 투여하고, 진통제의 혈중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경구 또는 좌약을 통해 서방형으로 투여한다. 또한, 진통제의 작용이 약해지면 통증이 사라지는 용량으로 진통제를 증량하며, 부작용 발생 시 진통 보조제를 사용하여 진통제의 양을 유지하면서 부작용을 개선한다.
일본에서는 호스피스로서 말기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병상이 증가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연명 치료의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기피되던 모르핀을 이용한 말기 통증 치료도 호스피스 등에서 실천되고 있다.[30]
6. 윤리적 문제
종양학적 진료에는 여러 윤리적 질문과 딜레마가 존재한다.[30] 여기에는 환자에게 질병의 범위, 진행, 예후에 대해 어떤 정보를 제공할 것인지, 특히 말기 질환의 경우 임상 시험 참여 여부, 적극적인 치료 중단, "심폐소생술 거부" 지시 및 기타 생의 마지막 문제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문제는 환자의 성격, 종교, 문화, 가족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복잡하고 감정적이지만, 환자가 신뢰하는 개인 및 조언자로부터 조언을 구함으로써 답을 얻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적절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양학 팀의 공감 능력과 훌륭한 의사 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종양 전문의는 종종 윤리적인 의문과 딜레마에 직면한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배우자의 질병 예후에 대해 이야기해야 하는지, 실험적인 치료법이 있다는 것을 알려야 하는지, 환자가 이른 죽음을 바라는 것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등이다.
또한, 항암 치료를 연구하는 임상 종양 전문의의 주요 연구 대상은 항암제의 병용 요법에 있다. 기존의 화학 요법이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환자의 연명을 위해 어느 정도의 위험을 감수한다는 생각에 따라 개발 중인 임상 시험 약이 이용되는 경우도 많다. 이는 새로운 치료법을 개척한다는 측면뿐만 아니라 제약 회사의 임상 시험이라는 측면도 가진다. 이 때문에, 미국 임상 종양 학회(ASCO)에서도 제약 회사의 거대 자본의 영향 및 개입을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7. 연구 및 발전
차세대 염기 서열 분석과 전장 유전체 시퀀싱의 발전은 암에 대한 이해를 크게 변화시켰다. 새로운 유전적/분자적 표지자의 발견은 암 진단 및 치료 방법을 발전시켜 맞춤형 의학 시대를 열었다.[8],[9],[10]
치료 임상 연구는 특정 지역의 여러 병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영국에서는 환자들이 영국 암 연구소,[8] 의학 연구 위원회(영국),[9] 유럽 암 연구 및 치료 기구(EORTC),[10] 국립 암 연구 네트워크(NCRN) 등에서 조정하는 대규모 연구에 참여하기도 한다.
세계적으로 가치 있는 회사들 중 화이자(미국), 로슈(스위스), 머크(미국), 아스트라제네카(영국), 노바티스(스위스),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미국) 등이 종양학 분야를 선도하고 있으며, 이들은 키나제 억제제, 항체, 암 면역 요법, 방사성의약품 치료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1]
8. 대체 치료
과학적으로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여러 대체 의학적 치료법들이 암 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레아트릴®로 알려진 살구 씨앗에서 추출되는 아미그달린이나 허브 제제 등 여러 생약이 시도되고 있다.[31] 이러한 치료법들은 의학적 근거가 부족하고, 오히려 환자에게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어떤 환자는 시각화(자기 최면)와 같은 보조 요법을 시도하기도 하는데, 이는 널리 시행되고 있지만 명확한 효과는 없으며, 대부분 해도 해가 없을 뿐이다. 환자가 의학적인 치료를 받고 있다면 정신의 안녕을 지원하는 의미가 있을지도 모른다.
최근에는 서양 의학과 대체 의학을 결합한 통합 의학으로 암 치료를 하는 것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일부 의료기관에서 시작되고 있다.
9. 전문 분야
종양학의 주요 4개 분과는 다음과 같다.[12][13][14]
분야 | 설명 |
---|---|
내과 종양학 | 화학 요법, 표적 치료, 면역 요법, 호르몬 요법을 이용한 암 치료에 중점을 둔다. |
수술 종양학 | 수술을 이용한 암 치료에 중점을 둔다. |
방사선 종양학 | 방사선을 이용한 암 치료에 중점을 둔다. |
임상 종양학 | 전신 치료법과 방사선 치료를 모두 이용한 암 치료에 중점을 둔다. |
종양학의 세부 전문 분야는 다음과 같다.[15][16][17][18][19][20][21][22][23][24][25][26][27][28]
분야 | 설명 |
---|---|
신경 종양학 | 뇌의 암에 중점을 둔다. |
안구 종양학 | 눈의 암에 중점을 둔다. |
두경부 종양학 | 구강, 비강, 구인두, 하인두 및 후두의 암에 중점을 둔다. |
흉부 종양학 | 폐, 종격동, 식도 및 흉막의 암에 중점을 둔다. |
유방 종양학 | 유방의 암에 중점을 둔다. |
소화기 종양학 | 위, 결장, 직장, 항문관, 간, 담낭, 췌장의 암에 중점을 둔다. |
뼈 및 근골격 종양학 | 뼈와 연조직의 암에 중점을 둔다. |
피부 종양학 | 피부, 모발, 땀샘 및 손톱 암의 내과적 및 외과적 치료에 중점을 둔다. |
비뇨생식기 종양학 | 생식기 및 비뇨기 계통의 암에 중점을 둔다. |
부인 종양학 | 여성 생식계 암에 중점을 둔다. |
소아 종양학 | 소아 암 치료와 관련이 있다. |
청소년 및 젊은 성인(AYA) 종양학 | 청소년 및 젊은 성인의 암에 중점을 둔다. |
혈액 종양학 | 혈액 암 및 줄기 세포 이식에 중점을 둔다. |
예방 종양학 | 암의 역학 및 예방에 중점을 둔다. |
노인 종양학 | 고령 인구의 암에 중점을 둔다. |
통증 및 완화 종양학 | 고통과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말기 암 치료에 중점을 둔다. |
분자 종양학 | 종양학의 분자 진단 방법에 중점을 둔다. |
핵의학 종양학 | 방사성 의약품을 이용한 암의 진단 및 치료에 중점을 둔다. |
정신 종양학 | 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심리 사회적 문제에 중점을 둔다. |
수의 종양학 | 동물 암 치료에 중점을 둔다. |
참조
[1]
서적
Where Have My Eyebrows Gone?
Cengage Learning
2001
[2]
웹사이트
Types of Oncologists
http://www.cancer.ne[...]
2017-07-26
[3]
서적
Oncology: An Evidence-Based Approach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
[4]
서적
Canine and Feline Geriatric Oncology: Honoring the Human-Animal Bond
John Wiley & Sons
2008
[5]
웹사이트
How biopsy procedures are used to diagnose cancer
https://www.mayoclin[...]
2023-06-13
[6]
백과사전
Endoscopy
Dorling Kindersley Limited
[7]
간행물
Metastatic malignant disease of unknown primary origi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metastatic malignant disease of unknown primary origin
NICE
2010
[8]
웹사이트
Cancer Research UK
https://www.cancerre[...]
2021-05-10
[9]
웹사이트
Home - Medical Research Council
http://www.mrc.ac.uk[...]
2004-03-29
[10]
웹사이트
European Organis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https://www.eortc.or[...]
2017-01-17
[11]
웹사이트
Top Global Pharmaceutical Company Report
https://torreya.com/[...]
2021-11
[12]
논문
Medical oncology as a discipline
1997-12-01
[13]
웹사이트
Types of Oncologists
http://www.cancer.ne[...]
Cancer.Net :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SCO)
2011-05-09
[14]
웹사이트
What is clinical oncology? | the Royal College of Radiologists
https://www.rcr.ac.u[...]
[15]
논문
Ocular oncology – A multidisciplinary specialty
2015-02-01
[16]
논문
Sub-specialty training in head and neck surgical oncology in the European Union
2009-07-01
[17]
논문
Multidisciplinary teams in thoracic oncology-from tragic to strategic
2015-05-01
[18]
논문
Digestive oncologist in the gastroenterology training curriculum
2011-03-07
[19]
논문
What's new in musculoskeletal oncology
2003-04-01
[20]
논문
Genitourinary Oncology: Current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2011-10-10
[21]
논문
Gynecologic oncology specialty
2004-01-01
[22]
논문
History of pediatric oncology
1991-06-01
[23]
논문
Adolescent and Young Adult (AYA) Oncology in the United States: A Specialty in Its Late Adolescence
2015-04
[24]
논문
On a new strategy of preventive oncology
2010-06-01
[25]
논문
Geriatric oncology: The need for a separate subspecialty
2012-01-01
[26]
논문
Palliative oncology: identity, progress, and the path ahead
2012-04-01
[27]
논문
Principles of Molecular Oncology.
2001-04-01
[28]
논문
Update on genomics in veterinary oncology
2009-08-01
[29]
논문
Cardio-oncology.
2017-01-02
[30]
서적
中高年のこころの健康学
金子書房
2006
[31]
뉴스
朝刊
日本経済新聞
2017-04-24
[32]
서적
Where Have My Eyebrows Gone?
Cengage Learning
2001
[33]
웹사이트
Types of Oncologists
http://www.cancer.ne[...]
[34]
웹인용
Symptoms of Breast Cancer {{!}} Breastcancer.org
http://www.breastcan[...]
2016-01-17
[35]
웹인용
Endometrial Cancer: Symptom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cbi.nlm[...]
2016-01-17
[36]
웹인용
Cervical Cancer: Symptom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cbi.nlm[...]
2016-01-17
[37]
저널
Symptoms of ovarian cancer
2001-08-01
[38]
웹인용
Lung Cancer: Symptom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cbi.nlm[...]
2016-01-17
[39]
저널
Head and neck cancer—Part 1: Epidemiology, presentation, and prevention
2010-01-01
[40]
저널
Signs and symptoms of patients with brain tumors presenting to the emergency department
1993-06-01
[41]
웹인용
Thyroid Cancer: Symptom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cbi.nlm[...]
2016-01-17
[42]
웹인용
Esophageal Cancer: Symptom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cbi.nlm[...]
2016-01-17
[43]
웹인용
Stomach Cancer (Gastric Cancer): Symptom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cbi.nlm[...]
2016-01-17
[44]
웹인용
Colon Cancer: Symptom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cbi.nlm[...]
2016-01-17
[45]
웹인용
Adult Primary Liver Cancer: Symptom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cbi.nlm[...]
2016-01-17
[46]
저널
Signs and symptoms of pancreatic cancer: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2004-06-01
[47]
웹인용
Nonmelanoma Skin Cancer: Symptom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cbi.nlm[...]
2016-01-17
[48]
웹인용
Renal Cell Cancer: Symptom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cbi.nlm[...]
2016-01-17
[49]
저널
Clinical features of bladder cancer in primary care
2012-09-01
[50]
웹인용
Prostate Cancer: Symptom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cbi.nlm[...]
2016-01-17
[51]
웹인용
Testicular Cancer: Symptom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cbi.nlm[...]
2016-01-17
[52]
저널
Bone cancer pain
2003-10-01
[53]
저널
Prognostic value of B-symptoms in low-grade non-hodgkin's lymphomas
1994-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