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GS 위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GS 위성은 일본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여 독자적인 정찰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한 정보 수집 위성이다. 1998년 정보 수집 위성 도입이 각의 결정된 이후, 2003년 IGS 1A와 IGS 1B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의 위성 발사가 이루어졌다. IGS 위성은 광학 위성과 레이더 위성으로 구성되며, 일본 내각 정보 조사실의 내각 위성 정보 센터에서 운용한다. 이 위성은 재해 발생 시 피해 상황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며, 2015년부터는 가공 처리된 이미지를 공개하여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H-II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아리랑 3호
    아리랑 3호는 한국항공우주산업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국제협력을 통해 개발한 70cm급 고해상도 광학장비 탑재 지구관측위성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상용화되었으며 2012년 일본에서 발사되었다.
  • H-II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IKAROS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개발한 IKAROS는 세계 최초의 태양 돛 추진 방식 탐사선으로, 태양 복사압을 이용한 우주 항해 기술 실증을 목표로 금성 플라이바이에 성공하며 행성 간 항해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 정찰위성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정찰위성 - 아리랑 5호
    아리랑 5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SAR 관측 위성으로, 2013년 러시아에서 발사되어 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획득이 가능하며 재난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일본의 우주 개발 - 정보통신연구기구
    정보통신연구기구는 일본의 정보 통신 분야를 연구하는 국립연구개발법인으로, 전자기파, 네트워크,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와 주파수 표준 설정, 일본표준시 발표 등의 국가 서비스 사업을 수행한다.
  • 일본의 우주 개발 - 우주작전군
    일본 항공자위대가 우주 영역 작전 수행 능력을 강화하고자 2022년 3월 창설한 우주작전군은 인공위성 감시와 우주 쓰레기 탐지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우주 상황 감시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IGS 위성
개요
유형정찰 위성
운용일본
운용 주체내각정보조사실
개발미쓰비시 전기
운반 로켓H-IIA
발사 장소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위성 종류
광학 위성지상 분해능 40cm의 카메라 장착
레이더 위성야간이나 악천후에도 촬영 가능
실증 위성기술 시험용
데이터 중계 위성위성에서 지상으로 데이터 전송
역사
1998년북한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도입 결정
2003년 3월 28일1호기 발사 (광학 위성)
2003년 11월 29일2호기 발사 (레이더 위성)
2007년 2월 24일3호기 발사 (광학 위성, 성능 향상)
2007년 11월 28일4호기 발사 (레이더 위성, 성능 향상)
2009년 11월5호기 발사 (레이더 위성)
2011년 12월6호기 발사 (광학 위성)
2015년 3월 26일15호기 발사 (레이더 5호기 대체)
2017년 1월 24일16호기 발사 (광학 5호기 대체)
2020년 5월 9일17호기 발사 (레이더 7호기)
2023년 3월8호기 발사 예정
논란
2004년일본국 헌법 9조 위반 논란 (평화 헌법에 위배된다는 주장)
정보 공개촬영 정보의 공개 범위에 대한 논란
예산 문제막대한 예산 투입에 대한 비판

2. 도입 배경

1998년 8월 3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함경북도 무수단리 발사장에서 대포동 1호 미사일을 발사했다.[26] 이 미사일은 일본 도호쿠 지방 상공을 통과하여 산리쿠 앞바다의 태평양에 떨어졌다.[26] 일본국 정부는 이를 탄도 미사일 발사 실험으로 규정하고 북한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으며, 한반도 에너지 개발 기구(KEDO)에 대한 자금 지원을 동결했다.[26]

이 사건은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일본 내에서 독자적인 정찰 능력 확보에 대한 여론을 확산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26] 자민당은 독자적인 정찰 위성 보유를 주장했고, 민주당도 이에 동조했다.[26] 그 결과, 정보 수집 위성 제작이 결정되었고, 같은 해 12월 22일 정보 수집 위성 도입이 각의 결정되었다.[26]

199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포동 1호 미사일 발사 실험 이후, 일본은 자민당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정찰 능력 확보를 위한 논의를 본격화했다.[1] 타국의 셔터 컨트롤에 좌우되지 않는 국산 정찰위성 보유가 검토되었고, 야당인 민주당도 이에 대체로 동조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정보수집위성 제작이 결정되었고, 12월 22일에는 정보수집위성 도입이 각의 결정되었다.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위성 사진을 얻는 것 외에 다른 수단을 마련하기 위해, 미국이 위성 사진 1장당 약 10,000달러를 요구했기 때문에, 일본은 IGS 1A와 IGS 1B로 공식 명칭된 레이더 및 광학 정찰 위성을 발사했다.[1]

일본 정부는 1969년 중의원에서 만장일치로 가결된 "우주 개발 및 이용의 기본에 관한 결의"에 따라 우주의 군사적 이용을 평화 구축의 수단으로 인식하지 않아, 군사 위성용 정찰 위성 보유를 기피해 왔다.[29] 그러나 199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포동 1호 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통과한 사건[1] 이후, 정찰 위성 보유가 일본의 국가 안보상 긴급한 과제가 되었다.

이에 일본 정부는 1985년에 발표된 "일반화 원칙"에 따라, 1998년에 대규모 재해 등에 대응할 수 있는 다목적 "정보수집위성"을 사실상 정찰 위성으로 보유하기로 결정했다.[28] 법령상 정보수집위성의 정의는 "우리나라의 안전 확보, 대규모 재해 대응 및 기타 내각의 중요 정책에 관한 화상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인공위성"이다.[28]

2003년 3월 28일, IGS 1A와 IGS 1B로 명명된 레이더 및 광학 정찰 위성이 발사되었다.[1] 이 위성들은 492km 궤도에서 37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매일 11시 22분에 평양 상공을 지나간다. 이후 여러 차례의 위성 발사가 이어졌다. 2006년 9월 11일에는 IGS 3A,[3] 2007년 2월 24일에는 IGS 4A와 IGS 4B가 발사되었다.[4] 2009년 11월 28일에는 이전 세대보다 높은 해상도를 가진 IGS 5A가 발사되었다.[5] 2020년 2월 9일, H-2A 로켓을 이용하여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정찰 위성 '''IGS-Optical 7'''을 발사했다.[11]

2008년 5월 21일에 성립된 우주 기본법은 "국제 사회의 평화 및 안전 확보, 및 우리나라의 안전 보장에 기여하는 우주 개발 이용"을 명시함으로써,[30] 비군사라는 제약을 벗어나 비침략 목적의 위성 보유를 법적으로 공식 인정했다.

2. 1. 북한의 대포동 발사 실험

1998년 8월 3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함경북도 무수단리 발사장에서 대포동 1호 미사일을 발사했다.[26] 이 미사일은 일본 도호쿠 지방 상공을 통과하여 산리쿠 앞바다의 태평양에 떨어졌다.[26] 일본국 정부는 이를 탄도 미사일 발사 실험으로 규정하고 북한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으며, 한반도 에너지 개발 기구(KEDO)에 대한 자금 지원을 동결했다.[26]

이 사건은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일본 내에서 독자적인 정찰 능력 확보에 대한 여론을 확산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26] 자민당은 독자적인 정찰 위성 보유를 주장했고, 민주당도 이에 동조했다.[26] 그 결과, 정보 수집 위성 제작이 결정되었고, 같은 해 12월 22일 정보 수집 위성 도입이 각의 결정되었다.[26]

한국의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건을 계기로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다자간 대화와 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고 평가한다.

2. 2. 정찰위성 도입 논의

199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포동 1호 미사일 발사 실험 이후, 일본은 자민당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정찰 능력 확보를 위한 논의를 본격화했다.[1] 타국의 셔터 컨트롤에 좌우되지 않는 국산 정찰위성 보유가 검토되었고, 야당인 민주당도 이에 대체로 동조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정보수집위성 제작이 결정되었고, 12월 22일에는 정보수집위성 도입이 각의 결정되었다.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위성 사진을 얻는 것 외에 다른 수단을 마련하기 위해, 미국이 위성 사진 1장당 약 10,000달러를 요구했기 때문에, 일본은 IGS 1A와 IGS 1B로 공식 명칭된 레이더 및 광학 정찰 위성을 발사했다.[1]

이 프로그램은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었으며, 2024년까지 1조 8천억 엔 이상이 투입될 예정이라는 보도가 있다. 한국의 더불어민주당은 일본의 이러한 군사력 강화 움직임이 동북아시아 지역의 군비 경쟁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2. 3. 정보수집위성과 정찰위성

일본 정부는 1969년 중의원에서 만장일치로 가결된 "우주 개발 및 이용의 기본에 관한 결의"에 따라 우주의 군사적 이용을 평화 구축의 수단으로 인식하지 않아, 군사 위성용 정찰 위성 보유를 기피해 왔다.[29] 그러나 199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포동 1호 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통과한 사건[1] 이후, 정찰 위성 보유가 일본의 국가 안보상 긴급한 과제가 되었다.

이에 일본 정부는 1985년에 발표된 "일반화 원칙"에 따라, 1998년에 대규모 재해 등에 대응할 수 있는 다목적 "정보수집위성"을 사실상 정찰 위성으로 보유하기로 결정했다.[28] 법령상 정보수집위성의 정의는 "우리나라의 안전 확보, 대규모 재해 대응 및 기타 내각의 중요 정책에 관한 화상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인공위성"이다.[28]

2003년 3월 28일, IGS 1A와 IGS 1B로 명명된 레이더 및 광학 정찰 위성이 발사되었다.[1] 이 위성들은 492km 궤도에서 37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매일 11시 22분에 평양 상공을 지나간다. 이후 여러 차례의 위성 발사가 이어졌다. 2006년 9월 11일에는 IGS 3A,[3] 2007년 2월 24일에는 IGS 4A와 IGS 4B가 발사되었다.[4] 2009년 11월 28일에는 이전 세대보다 높은 해상도를 가진 IGS 5A가 발사되었다.[5] 2020년 2월 9일, H-2A 로켓을 이용하여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정찰 위성 '''IGS-Optical 7'''을 발사했다.[11]

2008년 5월 21일에 성립된 우주 기본법은 "국제 사회의 평화 및 안전 확보, 및 우리나라의 안전 보장에 기여하는 우주 개발 이용"을 명시함으로써,[30] 비군사라는 제약을 벗어나 비침략 목적의 위성 보유를 법적으로 공식 인정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일반화 원칙을 넘어, 개발 개시 시점에서 상용 위성의 분해능을 초과하는 정보수집위성 광학 5호기의 연구 개발에 착수했다.[30]

한편, 탄도 미사일 감시 목적의 조기 경보 위성 도입도 검토되었지만,[31] 막대한 예산과 비용 대비 효과 문제로 인해 도입에 대한 진전은 보이지 않고 있다.

3. 위성

약 1m (단색)
다분광 센서:
약 5m (컬러)486–491 km, 97.3°, 94.4분H2A 2024성공IGS 1BIGS-Radar 1SAR27699퇴역 [6]SAR 1세대약 1~3m2003년 11월 29일N/A발사 실패로 명칭 없음광학N/AN/AN/A광학 1세대흑백 센서:
약 1m (단색)
다분광 센서:
약 5m (컬러)N/AH2A 2024실패N/A발사 실패로 명칭 없음SARN/AN/AN/ASAR 1세대약 1~3m2006년 9월 11일IGS 3AIGS-Optical 2광학29393퇴역광학 2세대
(개량형)1m478–479 km, 97.4°, 94.2분H2A 202성공2007년 2월 24일IGS 4AIGS-Optical 3V광학30586퇴역광학 3세대
(대폭 개량형)약 60 cm481–494 km, 97.2°, 94.4분H2A 2024성공IGS 4BIGS-Radar 2SAR30587퇴역 [10]SAR 2세대
(개량형)1m2009년 11월 28일IGS 5AIGS-Optical 3광학36104퇴역 [12]광학 3세대
(대폭 개량형)약 60 cm알 수 없음H2A 202성공2011년 9월 22일IGS 6AIGS-Optical 4광학37813퇴역광학 4세대약 60 cm알 수 없음H2A 202성공2011년 12월 12일IGS 7AIGS-Radar 3SAR37954운용 중SAR 3세대약 1m알 수 없음H2A 202성공2013년 1월 27일IGS 8AIGS-Radar 4SAR39061운용 중SAR 3세대약 1m알 수 없음H2A 202성공IGS 8BIGS-Optical 5V광학39062퇴역광학 5세대40 cm2015년 2월 1일IGS 9AIGS-Radar SpareSAR40381운용 중SAR 3세대약 1m알 수 없음H2A 202성공2015년 3월 26일IGS O-5IGS-Optical 5광학40538운용 중광학 5세대30 cm [13] 또는 40 cm [14]알 수 없음H2A 202성공2017년 3월 17일IGS R-5IGS-Radar 5SAR42072운용 중SAR 4세대50 cm [15]알 수 없음H2A 202성공2018년 2월 27일 [16]IGS O-6IGS-Optical 6광학43223운용 중30 cm [17]알 수 없음H2A 202성공2018년 6월 12일IGS R-6IGS-Radar 6SAR43495운용 중50 cm [18]알 수 없음H2A 202성공2020년 2월 9일[19]IGS O-7IGS-Optical 7광학45165운용 중30 cm보다 더 높은 성능 [20]알 수 없음H2A 202성공2023년 1월 26일[21]IGS R-7IGS-Radar 7SAR55329[https://celestrak.org/satcat/table-satcat.php?INTDES=2023-012A 2023-012A]운용 중IGS R-6보다 더 높은 성능 [22]알 수 없음H2A 202성공2024년 1월 12일[23]IGS O-8IGS-Optical 8광학58762운용 중25 cm보다 더 높은 성능 [24]알 수 없음H2A 202성공2024년 9월 26일IGS R-8IGS-Radar 8SAR시험알 수 없음H2A 202성공


3. 1. 위성의 개요

정보수집위성은 광학 센서를 탑재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광학 위성합성개구레이더(SAR)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레이더 위성 두 종류로 구성된다.[65] 초기에는 2기씩 총 4기 체제를 목표로 운용되었으나,[33][34] 장기적으로는 광학 위성 4기, 레이더 위성 4기, 데이터 중계 위성 2기를 포함한 총 10기 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37] 2024년 7월 현재, 설계 수명을 넘겨 운용 중인 위성을 포함하여 광학 위성 4기, 레이더 위성 5기, 데이터 중계 위성 1기 등 총 10기가 운용되고 있다.[65]

광학 위성은 낮 동안 사진 촬영을 담당하며, 최신 위성의 분해능은 25cm급으로 알려져 있다. 레이더 위성은 광학 위성보다 분해능은 떨어지지만,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도 영상 획득이 가능하다.[65] 최신 정보 수집 위성의 광학 위성의 분해능은 25cm급, 레이더 위성의 분해능은 50cm급보다 고성능으로 여겨지고 있다.

정보수집위성은 지구 저궤도의 태양 동기 준귀환 궤도를 약 90분 주기로 회전하며, 약 4일 만에 귀환하여 동일 지점을 다시 촬영한다.[33][34] 이는 탄도 미사일 발사 징후 포착에는 유용하지만, 발사 순간을 포착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이는 정지 궤도를 주회하는 조기 경계 위성의 역할이다.

정보수집위성의 관제 및 운용은 내각관방 정보 기관인 내각 정보 조사실의 내각 위성 정보 센터에서 담당한다.[65]

3. 2. 위성 목록

정보수집위성의 궤도 및 운용 데이터는 일본 내각관방에 의해 비공개로 관리되고 있으며, 아래 데이터는 공개된 자료 또는 언론 보도에 기반한 단편적인 정보이다.

발사일 (UTC)위성위성 (NORAD)해상도발사체발사운용
2003년 3월 28일광학 1호IGS 1A, IGS 1B1mH-IIA F5성공퇴역
레이다 1호1m - 3m퇴역
2003년 11월 29일광학 2호N/A1mH-IIA F6실패
레이다 2호1m - 3m
2006년 9월 11일광학 2호IGS 3A1mH-IIA F10성공퇴역
2007년 2월 24일레이다 2호IGS 4A, 4B1m - 3mH-IIA F12성공퇴역
광학실험 3호60cm퇴역
2009년 11월 28일광학 3호IGS 5A60cmH-IIA F16성공퇴역
2011년 9월 23일광학 4호IGS 6A60cmH-IIA F19성공퇴역
2011년 12월 12일레이다 3호IGS 7A1mH-IIA F20성공현역
2013년 1월 27일레이다 4호?1mH-IIA F22성공현역
광학실험 5호40cm퇴역
2015년 2월 1일레이다 예비IGS1mH-IIA F27성공현역
2015년 3월 26일광학 5호IGS OPTICAL 530 cm[116] - 40cm[117]H-IIA F28성공현역
2017년 3월 17일레이다 5호50 cm[118]H-IIA F33성공현역
2018년 2월 27일광학 6호IGS OPTICAL 630 cm[119]H-IIA F38성공현역
2018년 6월 12일레이다 6호50 cm[120]H-IIA F39성공현역
2020년 2월 9일광학 7호30 cm 보다 고성능[121]H-IIA F41성공현역
2020년 11월 29일데이터중계 1호H-IIA F43성공현역
2023년 1월 26일광학 7호H-IIA F46성공현역



2024년 7월 시점에서는 설계 수명을 초과하여 운용되고 있는 위성을 포함하여, 광학 위성 4기, 레이더 위성 5기, 데이터 중계 위성 1기를 운용하고 있으며[65], 2024년 9월에 레이더 8호기의 발사에 성공했다[86]

배경색이 는 발사 실패를, 는 운용 종료가 판명된 위성을 나타낸다.

3. 3. 위성의 제원

위성의 공식적인 제원은 비공개이기 때문에, 다음 데이터는 공개된 자료에 기재된 범위 내의 것이다. 다음의 성청이 개발에 참여했다.

위성의 연구·개발은 주로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나 정보통신연구기구, 미쓰비시 전기, NEC, 니콘, 지상 시스템의 연구·개발은 주로 NEC와 히타치 제작소가 수주하고 있다[89]

2002년(헤이세이 14년)에 발사된 제1세대에서는 데이터 송수신용 안테나에 기존의 육역 관측 기술 위성에서 사용되었던 전지향성 저이득 안테나를 채용하지 않고, 위성의 자세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지향 특성도 우수한 액티브 위상 배열 안테나가 채용되었다[46]。인공위성의 무게는 약 2톤으로 보도되고 있다.

또한, "정보 수집 위성의 관측 성능 중 분해능의 한계치를 나타내는 것(실증 위성 제외)"은 내각관방의 특정 비밀로 지정되어 있다. 이 외에 정보 수집 위성 등의 운용을 위한 암호알고리즘, 암호 키 또는 암호 키의 배송 방식에 관한 사항에 대해 19건이 특별 관리 비밀로 지정되어 있지만, 이들의 구체적인 명칭은 공개하면 정보 수집 활동에 지장을 줄 (분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공표되지 않았다[90]

3. 3. 1. 광학 위성

제2세대까지의 광학 위성에는 육역 관측 기술 위성 다이치(ALOS)에 탑재된 PRISM 및 AVNIR-2를 개량한 기기가 탑재되었다.[46]

3. 3. 2. 레이더 위성

제2세대까지의 레이더 위성에는 육역 관측 기술 위성 '다이치'에 탑재된 PALSAR(위상 배열 방식 L 밴드 합성 개구 레이더)를 개량한 기기가 탑재되었다.[46]

세대내용
제1세대합성 개구 레이더(최대 분해능 약 1 - 3m)를 갖추고 있다. 종합 과학 기술 회의의 자료에서는 이 위성의 명칭으로 "IGS-R1" 및 "IGS-R2"가 사용되고 있다.[91]
제2세대(개량형)제1세대에 비해 촬상 시간이 향상되었지만, 분해능은 제1세대와 동일하다고 한다.[46] 제1세대 및 제2세대의 레이더 위성의 명칭은 각각 자료에서 "차기 정보 수집 위성 1" 또는 "차기 위성 1", 및 "차기 정보 수집 위성 2" 또는 "차기 위성 2"로 호칭된다. "차기 위성 1"은 제1세대의 예비기적인 성격을 부여하려 개발이 서둘러졌다.
제3세대분해능을 약 1m로 향상시키고 전원 문제에 대한 대책을 실시했다.
제4세대산케이 신문은 분해능을 약 50cm로 향상시켰다고 한다.[69]


3. 4. 위성의 고도와 궤도

IGS 위성은 고도 약 490km의 원궤도(태양 동기 준회귀 궤도)를 가진다.[93] 궤도 경사각은 약 97.3°이며, 일본 상공 통과 시각은 오전 10시 30분에서 11시 사이이다. 정보수집위성의 궤도 요소는 일본 정부에 의해 비공개되고 있으나, 초기에는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NSSDC(미국 우주 과학 데이터 센터)에서 2행 궤도 요소 형식으로 공개되었었다.[93]

북미 항공 우주 방위 사령부(NORAD)는 발사된 인공위성에 위성 카탈로그 번호를 할당하고 궤도를 감시하는 레이더를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궤도 요소를 공개한다. 미국 연방 정부미국의 국익에 반하지 않는 한, 인공위성의 궤도 요소를 정보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내각부 담당자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외부에 지적을 받은 뒤 공개 중지 요청을 하였다.[93]

2007년 2월에 발사된 레이더 2호기와 광학 3호기 실증 위성 역시 NORAD에서 정보가 공개되었으며, 민간 단체의 인공위성 검색 엔진 사이트[94]에서도 궤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본 내에서도 정보수집위성 촬영에 성공한 사례가 있다.

인공위성의 궤도 요소는 천체 망원경을 이용한 천체 관측으로 계산이 가능하며, 아마추어 천문 팬이나 아마추어 위성을 운용하는 아마추어 무선가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보수집위성의 발사 일시가 공개된 이상, 특정 지점 통과 시각은 숨길 수 없다.

3. 5. 데이터 중계 위성

광 데이터 중계 위성은 정보수집위성의 데이터 직접 전송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방대한 데이터를 신속하게 입수하기 위해 도입되었다.[38] 2020년 11월 29일 H-IIA 로켓 43호기로 발사되었다.[77]

3. 6. 단기 발사형 소형 위성

정보수집위성에 불의의 사태 발생 시 대체 목적으로 단기간에 발사 가능한 소형 위성의 실증 연구가 진행되었다.[95] 2024년 3월 13일 카이로스 로켓 1호기를 통해 단기 발사형 소형 위성 발사를 시도했으나, 로켓이 정상 비행하지 못하고 비행 중단 조치되어 폭발, 위성 본체도 손실되었다.

3. 7. 발사

IGS 위성 발사는 초기에는 우주개발사업단(NASDA)에서 수행했다. 2003년 10월 NASDA가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로 개편된 이후에는 JAXA가 위성 발사를 담당하게 되었다. 2007년 후반부터는 로켓 발사 관련 업무가 미쓰비시 중공업으로 이관되어, 2009년 이후 발사는 미쓰비시 중공업이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발사 실행 및 중지 최종 판단, 안전 관리 업무는 JAXA가 담당하며, 모든 책임은 JAXA에 있다.

날짜 (UTC)위성위성 (NORAD)해상도발사체발사운용
2003년 3월 28일광학 1호IGS 1A, IGS 1B1mH-IIA F5성공퇴역
레이다 1호1m - 3m퇴역
2003년 11월 29일광학 2호N/A1mH-IIA F6실패
레이다 2호1m - 3m
2006년 9월 11일광학 2호IGS 3A1mH-IIA F10성공퇴역
2007년 2월 24일레이다 2호IGS 4A, 4B1m - 3mH-IIA F12성공퇴역
광학실험 3호60cm퇴역
2009년 11월 28일광학 3호IGS 5A60cmH-IIA F16성공퇴역
2011년 9월 23일광학 4호IGS 6A60cmH-IIA F19성공퇴역
2011년 12월 12일레이다 3호IGS 7A1mH-IIA F20성공현역
2013년 1월 27일레이다 4호?1mH-IIA F22성공현역
광학실험 5호40cm퇴역
2015년 2월 1일레이다 예비IGS1mH-IIA F27성공현역
2015년 3월 26일광학 5호IGS OPTICAL 530 cm[116] - 40cm[117]H-IIA F28성공현역
2017년 3월 17일레이다 5호50 cm[118]H-IIA F33성공현역
2018년 2월 27일광학 6호IGS OPTICAL 630 cm[119]H-IIA F38성공현역
2018년 6월 12일레이다 6호50 cm[120]H-IIA F39성공현역
2020년 2월 9일광학 7호30 cm 보다 고성능[121]H-IIA F41성공현역
2020년 11월 29일데이터중계 1호H-IIA F43성공현역
2023년 1월 26일광학 7호H-IIA F46성공현역


4. 운영 및 운용

4. 1. 조직

정보수집위성의 개발 및 운용은 내각관방장관이 주재하는 내각정보회의 산하 "정보수집위성 추진 위원회"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며, "정보수집위성 운영 위원회"에서 운용에 관한 기본 방침을 정의하고 감독한다. "정보수집위성 운영 위원회"는 내각 위기 관리 감, 내각관방 부장관보(사태 대처 위기 관리 담당), 내각 정보관, 내각 위성 정보 센터 소장 외에, 경찰청, 공안조사청, 외무성, 방위성의 국장급으로 구성되며, 그 아래에 설치된 간사회가 이용 부처의 요청에 따라 촬영 지점이나 일시, 경합 시 조정을 하고 있다. 이용 부처로는 내각관방 외에, 경찰청, 공안조사청, 외무성, 방위성, 소방청, 경제산업성, 해상보안청, 국토지리원이 거론되고 있다.

일상적인 운용은 내각관방 직속 정보 기관인 내각 정보조사실의 내각 위성 정보 센터에서 담당한다. 위성 정보는 이바라키현나메가타시의 부 센터, 홋카이도도마코마이시의 북 수신 관제국, 가고시마현아쿠네시의 남 수신 관제국에서 수신되어, 도쿄도신주쿠구이치가야 혼무라초의 내각 위성 정보 센터 중앙 센터로 전송되어 분석된다. 내각 위성 정보 센터 소장에는 퇴관한 장관급의 전 자위관이, 상부 조직인 내각 정보 조사실의 수장인 내각 정보관은, 경찰 관료가 취임하는 사무차관급의 보직이다.

정보 수집 위성을 도입하기 전에는, 문부과학성의 심의회인 우주 개발 위원회에서 정보 수집 위성의 개발에 대한 심의와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운용이 시작된 후부터는, 신형 정보 수집 위성을 개발하는 경우에도 심의는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다.

4. 2. 실적

정보수집위성이 촬영한 원본 이미지는 "정보 수집 위성의 성능 및 운용 상황이 드러나 향후 안전 보장 상의 정보 수집 활동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공개되지 않았으며, 초기에는 운용 실적도 공개되지 않았다. 이후에는 대규모 재해 시에 한정하여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피해 상황 추정 지도"만 공개되었다. 2015년 9월 9일에 내각 관방은 "대규모 재해 시 등에 있어서의 정보 수집 위성 이미지에 기초한 가공 처리 이미지 공개에 대해"를 발표하여, 앞으로는 대규모 재해 시에 촬영 이미지의 해상도를 낮춘 "가공 처리 이미지"를 공개해 나갈 방침을 밝혔다[96]

2015년 공개 개시부터 2024년 1월까지 사이에, 대규모 홍수, 화산 폭발, 지진 등 9건의 재해에 대해 총 174건의 이미지가 공개되었다[97]

4. 2. 1. 구체적인 활용 사례

2005년(헤이세이 17년) 후쿠오카현 서쪽 해안 지진에서 총무성 소방청이 이미지 제공을 받았다.[98] 2011년(헤이세이 23년) 동일본 대지진에서는 쓰나미의 침수 구역이 표시된 "피해 상황 추정 지도"가 각 성청 및 현지 대책 본부에 제공되었고, 내각총리대신 관저에는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의 촬영 이미지가 제공되었다.[56] 당시 내각총리대신 칸 나오토는 촬영 이미지에 대해 "알기 쉬웠다"고 말했다.[56]

정보 수집 위성을 활용한 대규모 재해로는 2004년(헤이세이 16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2005년(헤이세이 17년) 후쿠오카현 서쪽 해안 지진, 2007년(헤이세이 19년) 노토반도 지진 및 니가타현 주에쓰 해역 지진, 2008년(헤이세이 20년) 이와테·미야기 내륙 지진 및 이와테현 연안 북부 지진, 2011년(헤이세이 23년) 기리시마 산 (신모에다케)의 화산 활동 및 동일본 대지진 등이 있다.[27]

2013년(헤이세이 25년) 11월 필리핀에 피해를 입힌 태풍 30호의 피해 상황에 대해, "피해 상황 추정 지도"를 필리핀 정부에 제공하고, 내각 관방 웹사이트에도 게재했다.[103][104]

2014년 3월 27일, 일본 정부는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고에서 정보 수집 위성으로 촬영된 사진을 분석한 결과, 실종기의 잔해로 보이는 표류물 약 10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정보는 주일본 말레이시아 대사관을 통해 말레이시아 정부에 제공되었다.[105][106]

2014년 11월 18일에는 오가사와라 제도 주변에서 불법 조업을 하는 중화인민공화국 어선(중국 어선 산호 밀렵 문제)에 대한 상황도를 공개했다.[107]

2015년 9월 11일, 태풍 18호로 인한 간토·도호쿠 호우로 수몰된 이바라키현조소시 기누강 유역의 피해 지역 촬영 이미지를 내각 관방 웹사이트에서 공개했다. 이는 특정 비밀의 보호에 관한 법률이 적용되는 정보 수집 위성의 이미지로는 최초로 공개된 "가공 처리 이미지"였다.[109][110]

4. 3. 문제점

4. 3. 1. 분석팀 인원 부족

정보수집위성의 운용에서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질과 양을 결정하는 요소에는 정찰 위성의 1픽셀당 이미지 분해능이나 관측 면적(관측 폭 × 관측 가능 시간)도 있지만,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가 바로 정보수집위성을 통해 얻은 이미지의 식별과 분석을 수행하는 지상의 '분석팀의 요원 수와 분석 능력'이다. 이 때문에, 정찰 위성의 분해능이나 관측 면적 등 위성 제원의 우열만으로 해당 국가가 가진 위성의 이미지 정보 수집 능력을 측정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112]

물론, 이러한 고도의 작업과 위성으로부터 얻는 방대한 데이터 양에 대해서는 충분한 분석팀의 요원 수가 필요하지만, 수천 명 규모의 미국의 분석팀에 비해, 일본 내각위성정보센터의 직원은 2023년도(레이와 5년도)에 실원 382명[113]이라는 소수 인원 체제이다. 이 때문에 현재로서는, 그다지 많은 분석은 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114]

5. JAXA와의 관계

정보수집위성의 개발 및 운용 비용은 내각 관방 예산으로 충당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우주 개발 예산을 삭감하여 전용하고 있다는 의견이 있다.[115] 독립 행정 법인 우주 항공 연구 개발 기구(JAXA)의 2007년 예산 중 432억 엔은 내각 관방으로부터 정보수집위성 비용으로 지출된 수탁 수입이다. JAXA의 전신 기관들의 예산을 합하면 2200억 엔 정도였지만, JAXA가 정보수집위성 외에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은 1800억 엔 정도로 감소하여, 연간 400억 엔의 정보수집위성 예산은 결국 우주 개발 예산에서 마련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상시 4기의 위성을 운용하고 지속적으로 연간 1기 정도 발사되는 정보수집위성은 일본 로켓의 최대 "고객"이다. 초기에는 H-IIA 로켓에 레이더 위성과 광학 위성을 동시 탑재했지만, H-IIA 로켓 6호기 실패 이후 1기씩 발사하게 되어 사용하는 로켓도 배증, 발사 횟수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많은 로켓 운용 국가에서 군사 위성은 로켓 수요를 지탱하는 주요 고객이며, 군사 위성의 자주적 정비가 우주 개발의 목적 중 하나이다. 일본은 우주 기본법 성립 이전까지 우주 평화 이용 원칙에 따라 군사 위성을 보유하지 않고 과학적 목적으로만 대형 로켓을 실용화해 왔다는 점에서 특수하다고 할 수 있다.

6. 기타

6. 1. 미국 위성 부품 결함과 일본 위성

2004년 가을, 미국이 개발한 정찰 위성의 핵심 부품에서 결함이 발견되어 다른 나라의 정찰 위성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그러나 일본은 자체 개발한 위성을 사용했기 때문에 2003년 3월에 발사한 위성에는 영향이 없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nalysis: Japan's spy satellit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3-03-28
[2] 웹사이트 Japanese launch fails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 Now 2003-11-29
[3] 웹사이트 Japan launches new spy satellite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9-11
[4] 웹사이트 Japanese rocket puts spy spacecraft into orbit http://www.spaceflig[...] Spaceflight Now 2007-02-24
[5] 웹사이트 Japan launches spy satellite under veil of secrecy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 Now 2009-11-28
[6] 웹사이트 Japanese Spy Satellite Suffers Critical Power Failure http://www.spacewar.[...] SPACE WAR 2007-03-27
[7] 웹사이트 Japanese Spy Satellite Suffers Critical Power Failure. http://www.spacewar.[...] Space War 2007-03-27
[8] 웹사이트 An Update on IGS 1B http://sattrackcam.b[...] SatTrackCam Leiden 2011-07-06
[9] 웹사이트 The re-entry of IGS 1B on 26 July 2012 http://sattrackcam.b[...] SatTrackCam Leiden 2012-08-08
[10] 웹사이트 Govt to build backup intel satellite http://www.yomiuri.c[...] THE DAILY YOMIURI 2010-10-10
[11] 뉴스 https://spaceflightn[...] 2020-02-09
[12] 웹사이트 情報収集衛星光学3号機の運用終了について http://www.cas.go.jp[...] Cabinet Secretariat 2017-09-15
[13] 뉴스 「北」監視能力の向上期待 情報収集衛星打ち上げ成功 Sankei 2015-03-26
[14] 뉴스 H2Aロケット28号機打ち上げ成功 情報収集衛星搭載 http://www.asahi.com[...] 2015-03-26
[15] 뉴스 情報収集衛星打ち上げ成功 物体識別能力は従来の約2倍、夜間監視力が向上 http://www.sankei.co[...] Sankei 2017-03-17
[16] 뉴스 Japanese H-IIA launches IGS Optical 6 satellite https://www.nasaspac[...] NASASpaceflight 2018-02-26
[17] 뉴스 情報収集衛星の打ち上げ成功 約30センチの高解像度、北朝鮮の監視強化へ https://www.sankei.c[...] Sankei 2018-02-27
[18] 뉴스 情報収集衛星レーダー6号機の打ち上げ成功 北朝鮮や中国の監視強化 https://www.sankei.c[...] Sankei 2018-06-12
[19] 뉴스 https://spaceflightn[...] 2020-02-08
[20] 뉴스 情報収集衛星、打ち上げ成功 北朝鮮などを監視 https://www.sankei.c[...] 2020-02-09
[21] 웹사이트 H-IIAロケット46号機による情報収集衛星レーダ7号機の打上げ結果について https://www.mhi.com/[...] Mitsubishi Heavy Industries 2023-01-26
[22] 문서 情報収集衛星に係る 平成30年度概算要求について https://www8.cao.go.[...] Cabinet Secretariat
[23] 웹사이트 H-IIAロケット48号機による情報収集衛星光学8号機の打上げ結果について https://www.mhi.com/[...] Mitsubishi Heavy Industries 2024-01-12
[24] 뉴스 地上の車種も識別、新型情報衛星 21年度打ち上げへ http://www.nikkei.co[...] Nikkei 2014-10-13
[25] 문서 情報収集衛星(IGS) https://imidas.jp/ge[...]
[26] 서적 誕生国産スパイ衛星―独自情報網と日米同盟 日本経済新聞社 2005-05-01
[27] 문서 衆議院議員吉井英勝君提出大規模災害時における情報収集衛星の活用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2011-07-08
[28] 문서 内閣官房組織令 332CO0000000219#Mp-A[...]
[29] 문서 資料14 わが国における宇宙の開発及び利用の基本に関する決議 http://www.clearing.[...] 防衛白書 1969-05-09
[30] 뉴스 政府、高解像度の衛星を開発へ…40センチの物体も識別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09-01-31
[31] 문서 第183回国会衆議院予算委員会第23号 https://kokkai.ndl.g[...] 衆議院 2013-04-16
[32] 간행물 解像度(分解能)による見え方の違い http://redd.ffpri.af[...] 一般財団法人 リモート・センシング技術センター
[33] 뉴스 何のための情報収集衛星なのか?(その1) 情報収集衛星とはこんなもの https://xtech.nikkei[...] 日経BP 2014-07-28
[34] 뉴스 No.696 :情報収集衛星の軌道判明 http://www.sacj.org/[...] 宇宙作家クラブ 2003-03-30
[35] 뉴스 情報収集衛星の4基体制確立 4号機が本格運用開始 https://web.archive.[...] 2013-04-26
[36] 뉴스 連続故障の情報レーダー衛星、予備機打ち上げへ http://www.yomiuri.c[...] 2010-10-09
[37] PDF 情報収集衛星に係る平成28年度概算要求について https://www8.cao.go.[...] 内閣衛星情報センター 2015-09
[38] PDF 今後の情報収集衛星の整備に係る検討状況 https://www8.cao.go.[...] 内閣衛星情報センター 2015-06
[39] 웹사이트 宇宙開発戦略本部決定 宇宙基本計画工程表(平成27年度改訂) https://www8.cao.go.[...] 宇宙開発戦略本部 2015-12-12
[40] 웹사이트 宇宙基本計画工程表(令和5年度改訂) https://www8.cao.go.[...] 宇宙開発戦略本部 2024-02-17
[41] 웹사이트 SATCAT http://www.celestrak[...]
[42] 뉴스 偵察衛星、能力に疑問符 試験運用で「分解能」半分以下 http://www.asahi.com[...] 2003-06-07
[43] PDF 宇宙政策委員会 第3回会合 配布資料 https://www8.cao.go.[...] 宇宙政策委員会 2012-08-29
[44] 뉴스 IGS 1B Re-Entry http://www.spaceflig[...] SPACEFLIGHT 101 2012-08-16
[45] 웹사이트 平成15年度決算検査報告「第17 H−IIAロケットの開発等について」 https://report.jbaud[...] 会計検査院
[46] 문서 宇宙開発委員会計画調整部会(第3回)資料:次期情報収集衛星の研究 2000-07-27
[47] 뉴스 情報衛星1基と通信途絶=政府 http://www.jiji.com/[...] 2013-11-08
[48] 뉴스 寿命超えた情報収集衛星「光学2号機」運用終了 http://www.yomiuri.c[...] 2013-12-24
[49] 뉴스 政府の情報収集衛星が故障 レーダー型、監視活動に影響 http://www.asahi.com[...] 2010-08-28
[50] 뉴스 北監視衛星またトラブル…「2号」も復旧断念 http://www.yomiuri.c[...] 2010-10-07
[51] 웹사이트 宇宙政策の政府見解に関する質問主意書 https://www.shugiin.[...] 2007-06-29
[52] 웹사이트 衆議院議員吉井英勝君提出宇宙政策の政府見解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2007-07-10
[53] Wayback 宇宙基本計画(案) https://www.kantei.g[...] 2009-05-12
[54] 뉴스 IGS 4B Re-Entry http://www.spaceflig[...] Spaceflight 101 2013-11-17
[55] 뉴스 情報収集衛星「光学3号機」の運用終了 https://www.sankei.c[...] 2017-09-15
[56] 뉴스 ベール脱いだ情報収集衛星、18日打ち上げ 大震災で“秘密主義”緩和 効果をアピール http://sankei.jp.msn[...] 2011-09-17
[57] 뉴스 情報収集衛星 打ち上げ成功 http://sankei.jp.msn[...] 2011-09-23
[58] 뉴스 情報収集衛星が運用終了 光学4号機 http://www.sankei.co[...] 2018-08-08
[59] 간행물 情報収集衛星光学4号機の運用終了について https://www.cas.go.j[...] 内閣衛星情報センター 2023-10-02
[60] 뉴스 情報収集衛星打ち上げ成功 H2A 成功率95%を達成 北朝鮮の軍事施設監視に弾み http://sankei.jp.msn[...] 2011-12-12
[61] Wayback 情報収集衛星関係経費 http://www.mof.go.jp[...] 財務省 2012-08-20
[62] 뉴스 JAXAなど、情報収集衛星レーダー4号機を来月打ち上げ http://www.nikkan.co[...] 2012-12-05
[63] PDF 情報収集衛星の概要 https://www.cas.go.j[...] 内閣衛星情報センター
[64] 뉴스 H2Aロケット27号機、打ち上げ成功 情報収集衛星・レーダー予備機搭載 http://www.sankei.co[...] 2015-02-01
[65] 간행물 情報収集衛星レーダ予備機の運用終了について https://www.cas.go.j[...] 内閣官房内閣情報調査室 内閣衛星情報センター 2024-07-31
[66] 뉴스 「北」監視能力の向上期待 情報収集衛星打ち上げ成功 https://www.sankei.c[...] 2015-03-26
[67] 뉴스 H2Aロケット28号機打ち上げ成功 情報収集衛星搭載 http://www.asahi.com[...] 2015-03-26
[68] 문서 打ち上げ時点では、既に分解能31cmの[[デジタルグローブ]]社の商用衛星{{仮リンク|WorldView-3|en|WorldView-3}}が2014年8月13日に打ち上げられている。
[69] 뉴스 情報収集衛星打ち上げ成功 物体識別能力は従来の約2倍、夜間監視力が向上 https://www.sankei.c[...] 2017-03-17
[70] 뉴스 情報収集衛星の打ち上げ成功 約30センチの高解像度、北朝鮮の監視強化へ https://www.sankei.c[...] 2018-02-27
[71] Wayback 情報収集衛星の研究・開発 https://www.kantei.g[...] 2010-12-15
[72] 뉴스 情報収集衛星レーダー6号機の打ち上げ成功 北朝鮮や中国の監視強化 https://www.sankei.c[...] 2018-06-12
[73] 웹사이트 宇宙基本計画工程表(平成29年度改訂案) https://www8.cao.go.[...] 宇宙開発戦略本部 2017-12-15
[74] 뉴스 情報収集衛星、打ち上げ成功 北朝鮮などを監視 https://www.sankei.c[...] 2010-02-09
[75] PDFlink 情報収集衛星に係る 平成30年度概算要求について https://www8.cao.go.[...] 内閣衛星情報センター
[76] Wayback 特別重点要求・重点要求 要求概要 https://www.kantei.g[...] 2013-01-16
[77] 뉴스 三菱重工、H2A打ち上げ データ中継衛星を搭載 https://www.nikkei.c[...] 2020-11-29
[78] 웹사이트 宇宙基本計画工程表(令和2年度改訂) https://www8.cao.go.[...] 内閣府 2020-09-27
[79] 뉴스 H2A46号機、打ち上げ成功 https://www.sankei.c[...] 2023-01-26
[80] 웹사이트 情報収集衛星レーダー7号機打ち上げ成功 安全保障に貢献へ https://scienceporta[...] 科学技術振興機構 2023-10-02
[81] 웹사이트 「H2A」ロケット打ち上げ成功 衛星「光学8号機」軌道に投入 https://www3.nhk.or.[...] NHK 2024-01-13
[82] 뉴스 地上の車種も識別、新型情報衛星 21年度打ち上げへ https://www.nikkei.c[...] 2014-10-13
[83] 문서 出典では2021年度打ち上げだが、2015年12月に宇宙基本計画工程表が改訂され、2023年度に打ち上げが繰り延べされた。
[84] 웹사이트 H2Aロケット連続成功、来月のH3へ弾み 情報収集衛星を搭載 https://scienceporta[...] 科学技術振興機構 2024-10-01
[85] 뉴스 「H2A」49号機打ち上げ成功 引退目前、高い信頼性を改めて実証 43機連続の成功 https://www.sankei.c[...] 2024-09-26
[86] 뉴스 H2Aロケット49号機、打ち上げ成功 衛星を軌道に投入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4-09-26
[87] 웹사이트 情報収集衛星の開発・運用事業費(内閣衛星情報センター)|宇宙政策委員会 第114回会合 資料2-2 内閣衛星情報センター 説明資料 https://www8.cao.go.[...] 内閣府 2024-12-12
[88] 웹사이트 宇宙基本計画工程表(令和元年度改訂案) https://www8.cao.go.[...] 2019-12-13
[89] 웹사이트 行政事業レビュー https://www.cao.go.j[...] 内閣府 2023-10-02
[90] 문서 衆議院議員塩川鉄也君提出特別秘密の管理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内閣 2012-11-06
[91] PDFlink 地球観測衛星・センサに関する調査資料 総合科学技術会議 https://www8.cao.go.[...]
[92] 뉴스 情報衛星小型化へ研究着手 北朝鮮監視強化で政府 https://web.archive.[...] 2005-01-10
[93] 뉴스 情報衛星高度は約490キロ 政府の秘密扱い無意味に https://web.archive.[...] 2007-03-17
[94] 문서 SATCAT http://www.celestrak[...]
[95] 간행물 短期打上型小型衛星の打上げについて https://www.cas.go.j[...] 内閣官房内閣情報調査室 内閣衛星情報センター 2024-08-02
[96] 문서 大規模災害時等における情報収集衛星画像に基づく加工処理画像の公開について https://www.cas.go.j[...] 内閣官房 2015-09-09
[97] 서적 内閣官房内閣情報調査室 令和6年度採用パンフレット https://www.cas.go.j[...] 内閣官房内閣情報調査室
[98] 문서 情報収集衛星の情報開示に関する質問主意書 https://www.shugiin.[...] 2008-11-28
[99] 뉴스 衛星画像不提供は遺憾 山下議員に片山総務相答弁 https://www.jcp.or.j[...] しんぶん赤旗 2011-03-25
[100] 뉴스 原発事故の衛星画像隠す 災害対応より「秘密保全」 政府の答弁とも矛盾 衆院特委で赤嶺議員追及 https://www.jcp.or.j[...] しんぶん赤旗 2013-11-21
[101] 문서 情報収集衛星――震災で役立っているか、朝日新聞社説 2011-05-16
[102] 문서 衆議院議員吉井英勝君提出大規模災害時における情報収集衛星の活用に関する再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内閣 2011-07-19
[103] 뉴스 比に被災地図提供=政府 http://www.jiji.com/[...] 2013-11-14
[104] 간행물 フィリピン政府への台風被害の被災状況推定地図の提供について https://www.cas.go.j[...] 内閣情報調査室 2013-11-17
[105] 뉴스 マレーシア機捜索の日本衛星、漂流物を発見 https://web.archive.[...] 2014-03-27
[106] 뉴스 日本も情報収集衛星で“漂流物”確認 http://www3.nhk.or.j[...] 日本放送協会 2014-03-27
[107] 간행물 中国漁船とみられる外国漁船による違法操業について https://www.cas.go.j[...] 内閣情報調査室 2014-11-18
[108] 간행물 西之島の噴火活動に関する資料の提供について https://www.cas.go.j[...] 内閣情報調査室 2014-12-05
[109] 뉴스 情報収集衛星の画像初公開 常総市の豪雨被害 https://www.sankei.c[...] 2015-09-11
[110] 간행물 平成27年台風第18号による大雨等に係る被災地域の加工処理画像等について https://www.cas.go.j[...] 内閣官房 2015-09-11
[111] 뉴스 情報収集衛星、鬼怒川水害でグーグルにKO負け IGS撮影画像を初公開も、Googleクライシスレスポンスに完敗 http://business.nikk[...] 日経BP 2015-09-15
[112] 서적 国産ロケットはなぜ落ちるのか H-IIA開発と失敗の真相 日経BP社
[113] 서적 令和4年年次報告書 衆議院情報監視審査会 2023-06-08
[114] 서적 誕生国産スパイ衛星―独自情報網と日米同盟 日本経済新聞社 2005-05
[115] 뉴스 松浦晋也の「宇宙開発を読む」 低コスト化で岐路に立つM-Vロケット(3) - 問題の根本は情報収集衛星による予算不足 http://www.nikkeibp.[...] 日経BP 2006-05-31
[116] 뉴스 「北」監視能力の向上期待 情報収集衛星打ち上げ成功 http://www.sankei.co[...] Sankei 2015-03-26
[117] 뉴스 H2Aロケット28号機打ち上げ成功 情報収集衛星搭載 http://www.asahi.com[...] Asahi 2015-03-26
[118] 뉴스 情報収集衛星打ち上げ成功 物体識別能力は従来の約2倍、夜間監視力が向上 http://www.sankei.co[...] Sankei 2017-03-17
[119] 뉴스 http://www.sankei.co[...] 産経新聞 2018-02-27
[120] 뉴스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8-06-12
[121] 웹인용 産経新聞2020.2.9 https://www.sankei.c[...] 2020-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