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BO 한국시리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O 한국시리즈는 KBO 소속 팀들이 정규 시즌 우승팀과 플레이오프 승리팀이 7전 4선승제로 우승팀을 가리는 대회로, 1982년부터 시작되었다. 대회 방식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2001년 단일 리그로 환원되면서 현재와 유사한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를 거쳐 한국시리즈 진출 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정착되었다. 역대 한국시리즈 결과, 역대 중계 방송사에 대한 정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UEFA U-17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U-17 축구 선수권 대회는 UEFA가 주관하는 17세 이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의 국제 대회이며, 1982년부터 2001년까지는 U-16 대회로 개최되다가 2002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스페인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198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오사카 국제 여자 마라톤
    오사카 국제 여자 마라톤은 일본 육상 경기 연맹 주최로 매년 1월에 개최되는 일본의 여자 마라톤 대회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코스 변경 및 남녀 혼성 레이스로 진행되기도 했으나 2023년부터 여자 단독 레이스로 복귀하였으며, 2024년 대회에서는 워케네시 에데사가 우승 및 대회 기록을 경신, 마에다 호나미가 일본 신기록을 수립했다.
  • 한국시리즈 - 2013년 한국시리즈
    2013년 한국시리즈는 삼성 라이온즈와 두산 베어스가 7전 4선승제로 경기를 치러 삼성 라이온즈가 1승 3패 후 3연승으로 우승했으며, 박한이가 MVP로 선정되었다.
  • 한국시리즈 - 2011년 한국시리즈
    2011년 한국시리즈는 삼성 라이온즈가 SK 와이번스를 4승 1패로 꺾고 우승을 차지한 대회이며, 오승환이 MVP를 수상했다.
  • 1982년 설립 - 케언스 그룹
    케언즈 그룹은 1986년 설립된 농업 수출국 연합체로, WTO 등 다자간 무역 협상에서 개발도상국의 이익을 대변하고, 선진국의 농업 보조금 감축 및 농산물 시장 접근 확대를 통해 공정한 농업 무역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한다.
  • 1982년 설립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은 1982년 개장하여 롯데 자이언츠의 제2 홈구장과 NC 다이노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는 NC 다이노스 2군 홈구장 및 훈련장으로 사용되고, 과거 프로야구 전지훈련 장소로도 활용되었다.
KBO 한국시리즈
기본 정보
종목야구
리그KBO 리그
출범 연도1982년
최근 시즌2024년 한국시리즈
최다 우승 구단KIA 타이거즈 (12회)
현재 챔피언KIA 타이거즈 (12번째 우승)
현재 챔피언 시즌2024년
명칭
한국어한국시리즈 (韓國시리즈)
로마자 표기Hanguk Sirijeu
영어Korean Series

2. 대회 개요

KBO 소속 팀들이 페넌트레이스를 마친 후 1위를 차지한 팀과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팀이 7전 4선승제의 경기를 치러 우승 팀을 가린다. 1982년부터 시작되었다.

경기 개최 구장과 관련해서는 일본 시리즈나 월드 시리즈처럼 진출한 2팀의 각 홈구장에서만 경기를 진행하는 방식과, 수용 능력에 따라 위 2개 구장 + 5차전 이후 서울특별시의 잠실 야구장에서 중립 경기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2016년부터는 전자만 시행한다(자세한 내용은 KBO 리그#포스트 시즌 개최 구장에 상세히 기술).

;1982년 - 1984년


  • 전·후기 리그의 각 1위 팀이 한국시리즈를 치렀다.
  • 한 팀이 전, 후기 리그를 통합 우승하면 한국시리즈 없이 해당 팀을 당해년도 우승 팀으로 한다.
  • 1983년까지는 1차전을 전기 리그 1위 팀의 홈 구장, 2차전을 후기 리그 1위 팀의 홈 구장, 나머지 경기를 서울에서 치렀다.
  • 1984년부터는 1, 2 차전을 전기 리그 1위 팀의 홈 구장, 3, 4차전을 후기 리그 1위 팀의 홈 구장, 나머지 경기를 서울에서 치렀다.


;1985년

  • 전, 후기 리그 우승 팀과 전·후기 통합 승률 1위팀이 각각 다를 경우 전기 리그 우승 팀 대 후기 리그 우승 팀이 5전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 그 승리팀과 전·후기 통합 승률 1위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른다.
  • 전, 후기 리그 우승 팀 중 하나가 전·후기 통합 승률 1위이고 다른 팀이 2위이면, 플레이오프 없이 전기리그 우승 팀과 후기 리그 우승 팀이 한국시리즈를 치른다.
  • 전, 후기 리그 우승 팀 중 하나가 전·후기 통합 승률 1위이고 다른 팀이 3위 이하이면, 통합 승률이 낮은 팀이 통합 승률 2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러 그 승리 팀과 전·후기 통합 승률 1위 팀이 한국시리즈를 치른다.
  • 한 팀이 전, 후기 리그 우승을 전부 석권한 경우 한국시리즈 없이 해당 팀을 해당 연도의 우승 팀으로 정한다.


;1986년 - 1988년

  • 전·후기 1·2위 팀이 모두 다른 경우 전기 리그 1위팀과 후기 리그 2위팀, 후기리그 1위 팀과 전기 리그 2위 팀이 각각 플레이오프를 치른 후 각 승리팀끼리 한국시리즈를 치른다.
  • 한 팀이 전·후기 리그의 2위 안에 모두 들면 그 팀은 한국시리즈에 바로 진출하게 되고, 남은 두 팀이 플레이오프를 치러 한국시리즈에 진출할 팀을 가린다.
  • 동일한 두 팀이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에 1, 2위를 차지하면 플레이오프 없이 한국시리즈를 치른다. 특정 팀이 전, 후기 리그를 모두 1위로 종료하여도 관계없다.


;1989년 - 1992년

  • 정규 시즌 3·4위팀이 승차에 관계없이 3전 2선승제의 준플레이오프를 치르고, 그 승리팀이 정규 시즌 2위팀과 5전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플레이오프의 승자가 정규 시즌 1위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른다.


;1993년 - 1998년

  • 1989년 체제와 동일하지만, 정규 시즌 3·4위 팀 간 승차가 3경기 이내일 경우에만 준 플레이오프를 행한다.
  • 준 플레이오프가 열리지 않을 경우, 플레이오프 경기를 7전 4선승제로 진행한다.


;1999년 - 2000년

  • 드림·매직 리그의 양대 리그로 경기를 운영함에 따라 각 리그의 1위 팀이 상대 리그의 2위 팀과 7전 4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거쳐 승리팀이 한국시리즈에 오른다.
  • 한 리그의 3위 팀의 승률이 다른 리그 2위 팀보다 높을 경우 3전 2선승제의 준플레이오프를 치르고, 그 승자는 3위 팀 소속 리그의 1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 2001년

  • 단일 리그로 환원됨에 따라 정규 시즌 3, 4위팀이 승차에 관계없이 3전 2선승제의 준플레이오프를 거쳐 승리팀이 플레이오프에 오르고, 페넌트레이스 2위 팀과 5전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플레이오프의 승자가 한국시리즈에 오르게 된다.
  • 한국시리즈 1·2차전은 1위팀의 홈 구장, 3·4차전은 플레이오프 승리팀의 홈 구장, 5·6·7차전은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다.


; 2002년 - 2004년

  • 2001년 규정과 동일하나 서울 연고지팀(LG 트윈스, 두산 베어스)과 한국시리즈를 치르거나, 혹은 3만 명 이상 수용 규모의 홈 구장을 확보한 서울 연고 이외의 팀끼리 겨루게 될 경우에는 1·2·6·7차전은 페넌트레이스에서 승률이 높은 팀의 홈구장, 3·4·5차전은 승률이 낮은 팀의 홈구장에서 열린다.[64]


; 2005년

  • 준플레이오프의 경기 수를 3전 2선승제에서 5전 3선승제로 늘렸다.


;2006년 - 2007년

  • 준플레이오프가 3전 2선승제로 환원되었다.


; 2008년

  • 준플레이오프의 경기 수를 3경기에서 5경기로, 플레이오프의 경기 수를 5경기에서 7경기로 늘려서 각각 3승과 4승을 먼저 거두는 팀이 다음 단계에 진출하게 된다.


;2009년

  • 플레이오프가 5전 3선승제로 환원되었다.


;2010년 - 2014년

  • 지방 구장의 한국시리즈 개최 자격 관중석 기준이 3만 명에서 2만 5천 명으로 변경되었다.
  • 단, LG, 두산이 플레이오프를 거쳐 한국시리즈에 진출 시 1, 2, 6, 7차전은 지방 구장에서, 3, 4, 5차전은 잠실 야구장에서 한다.


;2015년

  • 대회명이 '한국시리즈'에서 '''KBO 한국시리즈'''로 변경되었다.
  • 2만 석 미만 홈 구장을 보유한 구단이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을 경우 잠실에서 5~7차전 중립경기가 열렸다.


;2016년

  • 삼성의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넥센의 고척 스카이돔 개장과 함께 잠실 중립구장 규정이 폐지되고 구장 크기와 관계 없이 1-2차전과 6-7차전은 페넌트레이스 우승팀 홈구장, 3-5차전은 플레이오프 승리팀 홈구장에서 치르는 것으로 바뀐다.


;2021년

  • 정규 시즌 우승팀에게 홈 어드밴티지를 부여하기 위해 한국시리즈 홈 경기 편성을 2-3-2 방식에서 2-2-3 방식으로 변경했다. 이에 따라 정규 시즌 우승팀은 한국시리즈 1~2, 5~7차전을 홈 구장에서 치르게 된다.
  • 포스트시즌이 11월 15일 이전에 끝나지 않을 경우, 이후 경기는 모두 고척 스카이돔에서 치르게 된다.

2. 1. 1982년 - 1984년

전·후기 각각 40경기씩 진행되었고, 각 기의 1위 팀이 한국시리즈를 치렀다. 한 팀이 전·후기를 모두 우승하는 경우 한국시리즈 없이 해당 팀이 그 해의 우승 팀이 되었다.[63] 1983년까지는 1차전을 전반기 리그 1위 팀의 홈 구장, 2차전을 후반기 리그 1위 팀의 홈 구장, 나머지 경기를 서울에서 치렀다.[63] 1984년부터는 1, 2차전을 전반기 리그 1위 팀의 홈 구장, 3, 4차전을 후반기 리그 1위 팀의 홈 구장, 나머지 경기를 서울에서 치렀다.[63]

2. 2. 1985년

1985년 한국시리즈는 전·후기 리그 우승 팀과 전·후기 통합 승률 1위 팀이 다를 경우, 전·후기 리그 우승 팀끼리 5전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그 승리 팀이 통합 승률 1위 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만약 전·후기 리그 우승 팀 중 한 팀이 통합 승률 1위이고, 다른 팀이 2위이면 플레이오프 없이 바로 한국시리즈를 치렀다. 전·후기 리그 우승 팀 중 한 팀이 통합 승률 1위이고, 다른 팀이 3위 이하이면, 통합 승률이 낮은 팀이 통합 승률 2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러 그 승리 팀과 통합 승률 1위 팀이 한국시리즈를 진행했다.

어느 한 팀이 전·후기 리그 우승을 모두 차지한 경우에는 한국시리즈 없이 해당 팀을 그 해의 우승 팀으로 결정하였다. 삼성 라이온즈가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를 모두 우승하여 1985년 한국시리즈는 열리지 않았고, 삼성 라이온즈가 1985년 우승팀이 되었다.[63]

2. 3. 1986년 - 1988년

1986년부터 1988년까지는 전·후기 리그 1, 2위 팀들이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여기서 승리한 팀들이 한국시리즈에서 맞붙는 방식이었다.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63]

  • 기본 방식:

  • 전·후기 1, 2위 팀이 모두 다르면, 전기 리그 1위 팀은 후기 리그 2위 팀과, 후기 리그 1위 팀은 전기 리그 2위 팀과 각각 5전 3선승제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 플레이오프 승리 팀끼리 7전 4선승제 한국시리즈를 치른다.

  • 예외:

  • 한 팀이 전·후기 리그 모두 2위 안에 들면, 그 팀은 한국시리즈에 직행한다. 나머지 두 팀이 플레이오프(5전 3선승제)를 치러 한국시리즈 진출 팀을 가린다.
  • 같은 두 팀이 전·후기 리그 1, 2위를 모두 차지하면 플레이오프 없이 바로 한국시리즈(7전 4선승제)를 치른다. 전·후기 리그를 모두 1위로 마친 팀이 있어도 동일하다.

2. 4. 1989년 - 1992년

정규 시즌 3위와 4위 팀은 승차에 관계없이 3전 2선승제의 준플레이오프를 치르고, 그 승리 팀이 정규 시즌 2위 팀과 5전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플레이오프의 승자가 정규 시즌 1위 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른다.[63]

2. 5. 1993년 - 1998년

1989년 체제와 동일한 방식이지만, 정규 시즌 3위와 4위 팀 간의 승차가 3경기 이내일 경우에만 준 플레이오프를 진행한다. 준 플레이오프가 열리지 않을 경우, 플레이오프 경기를 7전 4선승제로 진행한다.[65][66][67]

2. 6. 1999년 - 2000년

1999년과 2000년에는 드림 리그매직 리그, 양대 리그로 경기를 운영했다. 각 리그의 1위 팀은 상대 리그 2위 팀과 7전 4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여기서 승리한 팀이 KBO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63]

만약 한 리그의 3위 팀 승률이 다른 리그 2위 팀보다 높을 경우에는, 3전 2선승제의 준 플레이오프를 추가로 진행했다. 준 플레이오프 승자는 3위 팀 소속 리그의 1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렀다.[63]

2. 7. 2001년

단일 리그로 환원되면서 정규 시즌 3위, 4위 팀이 승차에 관계없이 3전 2선승제의 준플레이오프를 거쳐 승리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페넌트레이스 2위 팀과 5전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플레이오프 승자가 한국시리즈에 진출한다.[63] 한국시리즈 1·2차전은 1위 팀의 홈 구장, 3·4차전은 플레이오프 승리 팀의 홈 구장, 5·6·7차전은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다.[63]

2. 8. 2002년 - 2004년

2001년 규정과 동일하지만, 서울특별시를 연고로 하는 팀(LG 트윈스, 두산 베어스)이나 3만 명 이상 수용 규모의 홈 구장을 가진 서울 이외의 팀끼리 한국시리즈를 치를 경우에는 1·2·6·7차전은 페넌트레이스 승률이 높은 팀의 홈구장, 3·4·5차전은 승률이 낮은 팀의 홈구장에서 열린다.[63]

2. 9. 2005년

준 플레이오프 경기 수가 3전 2선승제에서 5전 3선승제로 늘어났다.[63]

2. 10. 2006년 - 2007년

2006년과 2007년에는 준플레이오프가 3전 2선승제로 환원되었다.[63]

2. 11. 2008년

준플레이오프 경기 수는 3경기에서 5경기로, 플레이오프 경기 수는 5경기에서 7경기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각각 3승 또는 4승을 먼저 거두는 팀이 다음 단계로 진출하게 되었다.[63]

2. 12. 2009년

2009년에는 플레이오프가 5전 3선승제로 환원되었다.[63]

2. 13. 2010년 - 2014년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지방 구장의 한국시리즈 개최 자격 관중석 기준이 3만 명에서 2만 5천 명으로 변경되었다.[63] 단, LG, 두산 중 한 팀이 플레이오프를 거쳐 한국시리즈에 진출할 때는 1, 2, 6, 7차전은 지방 구장에서, 3, 4, 5차전은 잠실 야구장에서 개최된다.[63] 같은 서울을 연고로 하는 넥센 히어로즈가 진출할 경우 목동 야구장이 3만 명 미만이므로, 이 경우의 구장은 2001년 방식에 준한다.[63]

2. 14. 2015년

2015년 포스트 시즌은 정규 시즌 5위까지 출전하여, 최종 결승전인 한국시리즈를 포함해 총 4단계로 확대되었다. 정규 시즌 4위와 5위 팀은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2전 2선승제로 치렀는데, 4위 팀에게는 1승의 어드밴티지가 주어졌다. 1차전에서 5위 팀이 승리하고 2차전에서 무승부가 나오거나, 1차전에서 4위 팀이 승리 또는 무승부를 기록하면 4위 팀이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는 5전 3선승제, 한국시리즈는 7전 4선승제로 진행되었다.[63]

대회명이 '한국시리즈'에서 '''KBO 한국시리즈'''로 변경되었다. 2만 석 미만 홈구장을 보유한 구단이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을 경우, 잠실에서 5~7차전 중립경기가 열렸다.

2. 15. 2016년

삼성의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넥센의 고척 스카이돔 개장과 함께 잠실 중립구장 규정이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구장 크기와 관계없이 1-2차전과 6-7차전은 페넌트레이스 우승팀 홈구장, 3-5차전은 플레이오프 승리팀 홈구장에서 경기를 치르는 것으로 변경되었다.[63]

2. 16. 2021년

2015년부터 포스트시즌 제도가 변경되어 정규 시즌 우승팀에게 홈 어드밴티지를 부여하기 위해 한국시리즈 홈 경기 편성을 2-3-2 방식에서 2-2-3 방식으로 변경했다.[63] 이에 따라 정규 시즌 우승팀은 한국시리즈 1~2, 5~7차전을 홈 구장에서 치르게 된다. 포스트시즌이 11월 15일 이전에 끝나지 않을 경우, 이후 경기는 모두 고척스카이돔에서 치르게 된다.

3. 역대 한국시리즈 결과

KBO 한국시리즈 역대 결과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승리 팀과 패배 팀 열은 해당 팀이 한국시리즈에 출전한 횟수와 각 팀의 한국시리즈 기록을 나타낸다.
  • KBO 리그 경기에서는 공식적으로 무승부로 선언되기 전에 연장전 횟수 및/또는 경기 시간 제한이 있었으나, 2008년에 이 규칙은 삭제되었다. 포스트 시즌 경기가 무승부로 선언되면 재경기를 해야 했다.


연도우승 팀감독경기패배 팀감독최우수 선수참고
1982OB 베어스김영덕4–1–(1)[2]삼성 라이온즈서영무김유동 (OB-외야수)
1983해태 타이거즈김응용4–0–(1)[3]MBC 청룡김동엽김봉연 (해태-내야수)
1984롯데 자이언츠강병철4–3삼성 라이온즈김영덕유두열 (롯데-외야수)[4]
1985삼성 라이온즈김영덕한국시리즈 없음[5]
1986해태 타이거즈김응용4–1삼성 라이온즈김영덕김정수 (해태-투수)[6]
1987해태 타이거즈김응용4–0삼성 라이온즈박영길김준환 (해태-외야수)[7]
1988해태 타이거즈김응용4–2빙그레 이글스김영덕문희수 (해태-투수)[8]
1989해태 타이거즈김응용4–1빙그레 이글스김영덕박철우 (해태-내야수)[9]
1990LG 트윈스백인천4–0삼성 라이온즈정동진김용수 (LG-투수)[10]
1991해태 타이거즈김응용4–0빙그레 이글스김영덕장채근 (해태-포수)[11]
1992롯데 자이언츠강병철4–1빙그레 이글스김영덕박동희 (롯데-투수)[12]
1993해태 타이거즈김응용4–2–(1)[13]삼성 라이온즈우용득이종범 (해태-내야수)
1994LG 트윈스이광환4–0태평양 돌핀스정동진김용수 (LG-투수)[14]
1995OB 베어스김인식4–3롯데 자이언츠김용희김민호 (OB-내야수)[15]
1996해태 타이거즈김응용4–2현대 유니콘스김재박이강철 (해태-투수)[16]
1997해태 타이거즈김응용4–1LG 트윈스천보성이종범 (해태-내야수)[17]
1998현대 유니콘스김재박4–2LG 트윈스천보성정민태 (현대-투수)[18]
1999한화 이글스이희수4–1롯데 자이언츠김명성구대성 (한화-투수)[19]
2000현대 유니콘스김재박4–3두산 베어스김인식Tom Quinlan|톰 퀸란영어 (현대-3루수)[20]
2001두산 베어스김인식4–2삼성 라이온즈김응용Tyrone Woods|타이론 우즈영어 (두산-1루수)[21]
2002삼성 라이온즈김응용4–2LG 트윈스김성근마해영 (삼성-외야수)[22]
2003현대 유니콘스김재박4–3SK 와이번스조범현정민태 (현대-투수)[23]
2004현대 유니콘스김재박4–2–(3)[24]삼성 라이온즈김응용조용준 (현대-투수)
2005삼성 라이온즈선동열4–0두산 베어스김경문오승환 (삼성-투수)[25]
2006삼성 라이온즈선동열4–1–(1)[26]한화 이글스김인식박진만 (삼성-유격수)
2007SK 와이번스김성근4–2두산 베어스김경문김재현 (SK-외야수)[27] [28]
2008SK 와이번스김성근4–1두산 베어스김경문최정 (SK-3루수)[29] [30]
2009KIA 타이거즈조범현4–3SK 와이번스김성근나지완 (KIA-좌익수)[31] [32]
2010SK 와이번스김성근4–0삼성 라이온즈선동열박정권 (SK-1루수/우익수)[33] [34]
2011삼성 라이온즈류중일4–1SK 와이번스이만수오승환 (삼성-투수)[35] [36]
2012삼성 라이온즈류중일4–2SK 와이번스이만수이승엽 (삼성-1루수)[37] [38]
2013삼성 라이온즈류중일4–3두산 베어스김진욱박한이 (삼성-우익수)[39] [40]
2014삼성 라이온즈류중일4–2넥센 히어로즈염경엽Yamaico Navarro|야마이코 나바로영어 (삼성-2루수)[41] [42]
2015두산 베어스김태형4–1삼성 라이온즈류중일정수빈 (두산-중견수)[43] [44]
2016두산 베어스김태형4–0NC 다이노스김경문양의지 (두산-포수)[45] [46]
2017KIA 타이거즈김기태4–1두산 베어스김태형양현종 (KIA-투수)[47] [48]
2018SK 와이번스트레이 힐만4–2두산 베어스김태형한동민 (SK-우익수)[49] [50]
2019두산 베어스김태형4–0키움 히어로즈장정석오재일 (두산-1루수)[51] [52]
2020NC 다이노스이동욱4–2두산 베어스김태형양의지 (NC-포수)[45] [53]
2021KT 위즈이강철4–0두산 베어스김태형박경수 (KT-2루수)[54] [55]
2022SSG 랜더스김원형4–2키움 히어로즈홍원기김강민 (SSG-중견수)[56] [57]
2023LG 트윈스염경엽4–1KT 위즈이강철오지환 (LG-유격수)[58] [59]
2024KIA 타이거즈이범호4–1삼성 라이온즈박진만김선빈 (KIA-2루수)[60] [61]



각 연도별 자세한 결과는 '연도별 결과'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팀별 통산 기록, 구단별 우승 횟수 및 승률 통계는 별도의 하위 섹션으로 제공된다.

3. 1. 연도별 결과

연도우승팀감독경기 결과승패 현황준우승팀감독MVP
1982OB 베어스김영덕4–1 (1)△XOOOO삼성 라이온즈서영무김유동 (OB, 외야수)
1983해태 타이거즈김응용4–0 (1)OOO△OMBC 청룡김동엽김봉연 (해태, 내야수)
1984롯데 자이언츠강병철4–3OXOXXOO삼성 라이온즈김영덕유두열 (롯데, 외야수)
1985삼성 라이온즈김영덕삼성 라이온즈의 전 · 후기 리그 통합 우승으로 인해 미개최롯데 자이언츠강병철
1986해태 타이거즈김응용4–1OXOOO삼성 라이온즈김영덕김정수 (해태, 투수)
1987해태 타이거즈김응용4–0OOOO삼성 라이온즈박영길김준환 (해태, 외야수)
1988해태 타이거즈김응용4–2OOOXXO빙그레 이글스김영덕문희수 (해태, 투수)
1989해태 타이거즈김응용4–1XOOOO빙그레 이글스김영덕박철우 (해태, 내야수)
1990LG 트윈스백인천4–0OOOO삼성 라이온즈정동진김용수 (LG, 투수)
1991해태 타이거즈김응용4–0OOOO빙그레 이글스김영덕장채근 (해태, 포수)
1992롯데 자이언츠강병철4–1OOXOO빙그레 이글스김영덕박동희 (롯데, 투수)
1993해태 타이거즈김응용4–2 (1)OX△XOOO삼성 라이온즈우용득이종범 (해태, 내야수)
1994LG 트윈스이광환4–0OOOO태평양 돌핀스정동진김용수 (LG, 투수)
1995OB 베어스김인식4–3XOOXXOO롯데 자이언츠김용희김민호 (OB, 내야수)
1996해태 타이거즈김응용4–2OXOXOO현대 유니콘스김재박이강철 (해태, 투수)
1997해태 타이거즈김응용4–1OXOOOLG 트윈스천보성이종범 (해태, 내야수)
1998현대 유니콘스김재박4–2OOXOXOLG 트윈스천보성정민태 (현대, 투수)
1999한화 이글스이희수4–1OOXOO롯데 자이언츠김명성구대성 (한화, 투수)
2000현대 유니콘스김재박4–3OOOXXXO두산 베어스김인식톰 퀸란 (현대, 내야수)
2001두산 베어스김인식4–2XOOOXO삼성 라이온즈김응용타이론 우즈 (두산, 내야수)
2002삼성 라이온즈김응용4–2OXOOXOLG 트윈스김성근마해영 (삼성, 외야수)
2003현대 유니콘스김재박4–3OXXOOXOSK 와이번스조범현정민태 (현대, 투수)
2004현대 유니콘스김재박4–2 (3)O△X△OX△OO삼성 라이온즈김응용조용준 (현대, 투수)
2005삼성 라이온즈선동열4–0OOOO두산 베어스김경문오승환 (삼성, 투수)
2006삼성 라이온즈선동열4–1 (1)OXOO△O한화 이글스김인식박진만 (삼성,내야수)
2007SK 와이번스김성근4–2XXOOOO두산 베어스김경문김재현 (SK, 외야수)
2008SK 와이번스김성근4–1XOOOO두산 베어스김경문최정 (SK, 내야수)
2009KIA 타이거즈조범현4–3OOXXOXOSK 와이번스김성근나지완 (KIA, 외야수)
2010SK 와이번스김성근4–0OOOO삼성 라이온즈선동열박정권 (SK, 내야수)
2011삼성 라이온즈류중일4–1OOXOOSK 와이번스이만수오승환 (삼성, 투수)
2012삼성 라이온즈류중일4–2OOXXOOSK 와이번스이만수이승엽 (삼성, 내야수)
2013삼성 라이온즈류중일4–3XXOXOOO두산 베어스김진욱박한이 (삼성, 외야수)
2014삼성 라이온즈류중일4–2XOOXOO넥센 히어로즈염경엽야마이코 나바로 (삼성, 내야수)
2015두산 베어스김태형4–1XOOOO삼성 라이온즈류중일정수빈 (두산, 외야수)
2016두산 베어스김태형4–0OOOONC 다이노스김경문양의지 (두산, 포수)
2017KIA 타이거즈김기태4–1XOOOO두산 베어스김태형양현종 (KIA, 투수)
2018SK 와이번스트레이 힐만4–2OXOXOO두산 베어스김태형한동민 (SK, 외야수)
2019두산 베어스김태형4–0OOOO키움 히어로즈장정석오재일 (두산, 내야수)
2020NC 다이노스이동욱4–2OXXOOO두산 베어스김태형양의지 (NC, 포수)
2021KT 위즈이강철4–0OOOO두산 베어스김태형박경수 (KT, 내야수)
2022SSG 랜더스김원형4–2XOOXOO키움 히어로즈홍원기김강민 (SSG, 외야수)
2023LG 트윈스염경엽4-1XOOOOKT 위즈이강철오지환 (LG, 내야수)
2024KIA 타이거즈이범호4–1OOXOO삼성 라이온즈박진만김선빈 (KIA, 내야수)


  • 승리팀을 기준으로 성적을 표기한다. ○는 승리, X는 패배, △는 무승부이다.

3. 2. 통산 기록

출전 횟수팀승리패배승률시즌18삼성 라이온즈810.4441982, 1984, 1985,[1] 1986, 1987, 1990, 1993, 2001, 2002, 2004, 2005, 2006,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2415두산 베어스(OB 베어스)69.4001982, 1995, 2000, 2001, 2005, 2007, 2008, 2013,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12KIA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1201.0001983, 1986, 1987, 1988, 1989, 1991, 1993, 1996, 1997, 2009, 2017, 20249SSG 랜더스(SK 와이번스)54.5562003,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8, 20227LG 트윈스(MBC 청룡)34.4291983, 1990, 1994, 1997, 1998, 2002, 20236현대 유니콘스(태평양 돌핀스)[2]42.6671994, 1996, 1998, 2000, 2003, 20046한화 이글스(빙그레 이글스)15.1671988, 1989, 1991, 1992, 1999, 20064롯데 자이언츠22.5001984, 1992, 1995, 19993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03.0002014, 2019, 20222NC 다이노스11.5002016, 20202KT 위즈11.5002021, 2023



3. 2. 1. 구단별 우승 횟수

출전 횟수팀승리패배승률시즌18삼성 라이온즈810.4441982, 1984, 1985, 1986, 1987, 1990, 1993, 2001, 2002, 2004, 2005, 2006,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2415두산 베어스(OB 베어스)69.4001982, 1995, 2000, 2001, 2005, 2007, 2008, 2013,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12KIA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1201.0001983, 1986, 1987, 1988, 1989, 1991, 1993, 1996, 1997, 2009, 2017, 20249SSG 랜더스(SK 와이번스)54.5562003,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8, 20227LG 트윈스(MBC 청룡)34.4291983, 1990, 1994, 1997, 1998, 2002, 20236현대 유니콘스(태평양 돌핀스)42.6671994, 1996, 1998, 2000, 2003, 20046한화 이글스(빙그레 이글스)15.1671988, 1989, 1991, 1992, 1999, 20064롯데 자이언츠22.5001984, 1992, 1995, 19993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03.0002014, 2019, 20222NC 다이노스11.5002016, 20202KT 위즈11.5002021, 2023


3. 2. 2. 구단별 승패 및 승률 통계

출전 횟수팀승리패배승률시즌18삼성 라이온즈810.4441982, 1984, 1985, 1986, 1987, 1990, 1993, 2001, 2002, 2004, 2005, 2006,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2415두산 베어스(OB 베어스)69.4001982, 1995, 2000, 2001, 2005, 2007, 2008, 2013,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12KIA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1201.0001983, 1986, 1987, 1988, 1989, 1991, 1993, 1996, 1997, 2009, 2017, 20249SSG 랜더스(SK 와이번스)54.5562003,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8, 20227LG 트윈스(MBC 청룡)34.4281983, 1990, 1994, 1997, 1998, 2002, 20236현대 유니콘스(태평양 돌핀스)42.6671994, 1996, 1998, 2000, 2003, 20046한화 이글스(빙그레 이글스)15.1671988, 1989, 1991, 1992, 1999, 20065롯데 자이언츠23.4001984, 1985, 1992, 1995, 19993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03.0002014, 2019, 20222NC 다이노스11.5002016, 20202KT 위즈11.5002021, 2023


참조

[1] 뉴스 Baseball postseason to begin Oct. 3 https://en.yna.co.kr[...] 2019-09-27
[2] 웹사이트 1982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3] 웹사이트 1983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4] 웹사이트 1984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5] 웹사이트 1985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6] 웹사이트 1986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7] 웹사이트 1987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8] 웹사이트 1988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9] 웹사이트 1989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10] 웹사이트 1990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11] 웹사이트 1991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12] 웹사이트 1992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13] 웹사이트 1993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14] 웹사이트 1994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15] 웹사이트 1995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16] 웹사이트 1996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17] 웹사이트 1997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18] 웹사이트 1998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19] 웹사이트 1999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20] 웹사이트 2000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21] 웹사이트 2001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22] 웹사이트 2002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23] 웹사이트 2003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24] 웹사이트 2004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25] 웹사이트 2005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26] 웹사이트 2006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27] 웹사이트 MVP of 2007 Korean Series https://en.yna.co.kr[...] 2007-10-30
[28] 웹사이트 2007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29] 웹사이트 Choi Jeong and Lee Dae-ho lead All-Star team to triumph https://koreajoongan[...] 2017-07-16
[30] 웹사이트 2008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31] 웹사이트 Korea Series MVP Na Ji-wan wins big pay raise https://koreajoongan[...] 2009-12-27
[32] 웹사이트 2009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33] 웹사이트 (LEAD) SK Wyverns win 2010 Korean Series https://en.yna.co.kr[...] 2010-10-19
[34] 웹사이트 2010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35] 웹사이트 Lions claw their way to top http://www.koreahera[...] 2011-11-01
[36] 웹사이트 2011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37] 웹사이트 For 4th time in 8 years, Lions are the kings https://koreajoongan[...] 2012-11-02
[38] 웹사이트 2012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39] 웹사이트 Sixteen players declare free agency in KBO https://en.yna.co.kr[...] 2013-11-09
[40] 웹사이트 2013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2017-11-07
[41] 웹사이트 Samsung Lions' contract talks with slugger break off https://en.yna.co.kr[...] 2015-12-23
[42] 웹사이트 2014 Korea Professional Baseball https://www.baseball[...] 2017-11-07
[43] 웹사이트 Deja vu all over again for Bears' ex-Korean Series MVP https://en.yna.co.kr[...] 2020-11-17
[44] 웹사이트 2015 KBO League https://www.baseball[...] 2017-11-07
[45] 웹사이트 (LEAD) NC Dinos capture 1st Korean Series title https://en.yna.co.kr[...] 2020-11-24
[46] 웹사이트 2016 KBO League https://www.baseball[...] 2017-11-07
[47] 웹사이트 Star left-hander voted MVP of S. Korean baseball https://en.yna.co.kr[...] 2017-11-06
[48] 웹사이트 2017 KBO League https://www.baseball[...] 2017-11-07
[49] 웹사이트 Korean Series MVP flaunts flair for dramatic https://en.yna.co.kr[...] 2018-11-13
[50] 웹사이트 2018 KBO League https://www.baseball[...] 2018-11-13
[51] 웹사이트 (LEAD) Clutch-hitting slugger earns Korean Series MVP for Doosan Bears https://en.yna.co.kr[...] 2019-10-26
[52] 웹사이트 2019 KBO League https://www.baseball[...] 2019-10-26
[53] 웹사이트 2020 KBO League https://www.baseball[...] 2020-11-24
[54] 웹사이트 (LEAD) Wizard with glove, veteran Park Kyung-su wins Korean Series MVP for KT Wiz https://en.yna.co.kr[...] 2021-11-18
[55] 웹사이트 2021 KBO League https://www.baseball[...] 2021-11-18
[56] 웹사이트 Landers cap off historic KBO season with Korean Series title https://en.yna.co.kr[...] 2022-11-08
[57] 웹사이트 2022 KBO League https://www.baseball[...] 2022-11-08
[58] 웹사이트 (LEAD) LG Twins capture 1st Korean Series title in 29 years https://en.yna.co.kr[...] 2023-11-13
[59] 웹사이트 2023 KBO League https://www.baseball[...] 2023-11-13
[60] 웹사이트 Diminutive infielder comes up big to win Korean Series MVP award for Tigers https://en.yna.co.kr[...] 2024-10-28
[61] 웹사이트 2024 KBO League https://www.baseball[...] 2024-10-28
[62] 웹사이트 Ties, more ties, walk-off blasts: a look at history of Korean Series https://en.yna.co.kr[...] 2020-11-17
[63] 웹사이트 2015年KBOリーグシーズン実施要綱 http://www.strike-zo[...]
[64] 문서 한국시리즈 경기장 배정 변천사
[65] 문서 한국시리즈 중계권 변천사 (1994년 이후)
[66] 문서 한국시리즈 중계권 변천사 (2001년-2004년)
[67] 문서 한국시리즈 중계권 변천사 (1994년 이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