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BS대구방송총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대구방송총국은 1939년 조선방송협회 대구 출장소로 시작하여, 1986년 대구방송총국으로 승격된 한국방송공사(KBS)의 지역 방송국이다.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가청권역으로 하며, 1TV, 2TV, 1라디오, 2라디오(해피FM), 음악FM 등 텔레비전 2개 채널과 라디오 3개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팔공산 송신소를 비롯한 중계소들이 있으며, 보도, 편성, 제작 등 다양한 부서를 통해 지역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9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라디오 오스트레일리아
    라디오 오스트레일리아는 호주 방송 공사에서 운영하는 국제 방송 서비스로, 1939년 설립되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대상으로 다양한 언어로 방송을 제공했으며, 현재는 FM, 위성, 인터넷을 통해 방송을 이어가고 있다.
  •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국 - KBS목포방송국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개국한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으로,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목포 및 전남 서남부 지역에 뉴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국 - KBS광주방송총국
    KBS광주방송총국은 1939년 라디오 출장소 설치를 시작으로 광주 지역 방송 역사를 시작하여, 현재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뉴스, 교양, 정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지상파 방송국 - 영주에프엠방송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주에프엠방송은 89.1MHz 주파수로 10W 출력으로 방송을 송출하는 지역 FM 라디오 방송국으로, (사)영주에프엠방송이 운영하며 2005년 개국하여 2009년 정규사업 허가를 받았다.
  •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지상파 방송국 - 대구문화방송
    대구문화방송은 1963년 한국방송공사 대구방송국으로 개국하여 대구와 경북 지역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지역 민영방송으로, 2023년 창사 60주년을 맞이했다.
KBS대구방송총국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국명KBS대구방송총국
한자KBS大邱放送總局
영문명KBS Daegu Broadcasting Branch Office
약칭KBS대구
구분공영 방송
방송 영역지상파 방송
창립일1939년 4월 19일
개국일1939년 4월 19일
본사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496길 30
총국장구본국
모기업한국방송공사
웹사이트KBS대구방송총국
KBS 로고
KBS 로고
KBS대구방송총국 現 사옥(2002년 12월 4일 준공·이전, 2015년 12월 촬영)
KBS대구방송총국 現 사옥(2002년 12월 4일 준공·이전, 2015년 12월 촬영)
직원 정보
직원 수약 120명
텔레비전 채널 정보
채널명대구 KBS 1TV
다른 표기KBS대구
방송 언어한국어
방송 지역대구광역시·경상북도 남부 일원
방송국KBS대구방송총국
방송국 위치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496길 30
소유KBS대구방송총국
모기업KBS대구방송총국
개국일 (TV)1978년 7월 1일
아날로그 채널9
디지털 채널9
위성 채널9(HD)

2. 연혁

2. 1. 일제강점기

1939년 4월 19일, 사단법인 조선방송협회 경성중앙방송국 대구출장소가 개설되었다.[1] 1940년 3월 23일, 조선총독부가 대구방송국의 방송 무선 전화 시설을 허가하였다. 호출부호는 '''JBGK'''였고, 호출 명칭은 '''대구방송국'''이었으며, 이중 방송을 실시하였다. 1940년 10월 30일, 제1방송만 임시 방송을 개시하였다. 1941년 4월 19일, 조선방송협회 대구방송국이 개국하면서 이중 방송이 시작되었다.

2. 2. 해방 이후


  • 1947년 10월 1일 - 호출부호를 '''HLKG'''로 변경하였다.
  • 1980년 11월 30일 - 언론통폐합에 의해, 이날 폐국된 민방 bbc-fm 한국FM방송('''HLCB-FM'''/89.7MHz)을 통합하였다.
  • 1980년 12월 1일 - 음악FM방송을 개시하였다.
  • 1984년 12월 - '''KBS대구방송총국'''으로 개칭하였다.

2. 3. 언론통폐합과 KBS

1980년 11월 30일 언론통폐합에 의해, 같은 날 폐국된 민방 한국FM방송('''HLCB-FM'''/89.7MHz)을 통합했다.[1] 1980년 12월 1일 음악FM방송을 개시했다.[1] 민간 방송이었던 한국FM방송(HLCB-FM/89.7MHz)은 서울에 있던 민간 방송 TBC 동양방송 FM의 유일한 업무 제휴국이었다.[1]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에 본사·스튜디오가 있던 FM방송국이었으나,[1] 언론통폐합에 의해 1980년 11월 30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폐국, KBS대구방송총국에 통합되었다.[1] 해당 방송국의 음악 FM 방송 채널인 "KBS대구FM"으로 방송하고 있다.[1]

KBS 통합 후에도 한동안 사용했던 HLCB-FM의 호출 부호는 현재 CBS(기독교방송) 포항국에 할당되어 있다.[1]

3. 조직

KBS영어대구방송총국의 조직은 다음과 같다.

부서
편성제작국편성, TV제작, 라디오(Radio)제작, 아나운서, 문화사업, 영상제작
보도국편집, 취재, 보도제작, 촬영
기술국기술관리, 제작기술, 송출기술, 중계기술, R기술
시청자/서비스국총무행정, 재원관리, 광고
송신/중계/사업소경산/팔공산 송신소, 구미/점촌 중계소, 구미사업지사


4. 방송 송출 시설망

KBS대구방송총국은 대구·경북 지역의 방송을 송출하기 위해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
KBS대구 제1라디오
경산 송신소AM 738kHz100kWHLKG경북 경산시 진량읍 부기리 130
팔공산 송신소FM 101.3MHz5kWHLKG-SFM대구 동구 용수동 산1
김천 중계소FM 90.7MHz100W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92
경주 중계소FM 88.7MHz500W-경북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 산14-1 벽도산[1]
KBS대구 제2라디오(해피FM)
영일 송신소AM 558kHz250kWHLQH경북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구만리 380
팔공산 송신소FM 102.3MHz3kWHLQH-SFM대구 동구 용수동 산1
김천 중계소FM 88.9MHz100W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92
KBS대구FM
팔공산 송신소FM 89.7MHz5kWHLKG-FM대구 동구 용수동 산1
학가산 송신소FM 88.1MHz3kWHLCR-FM경북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 산69
조항산 송신소FM 93.5MHz3kWHLCP-FM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면 석리 산94-1
울릉 FM중계소FM 94.1MHz250WHLCU-FM경북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산29-1 삼각산



방송 송출 시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텔레비전, 라디오, 지상파 DMB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4. 1. 텔레비전

KBS대구방송총국은 1939년 대구방송국으로 개국한 이래 대구·경북 지역의 대표적인 방송사로 자리매김해왔다. 텔레비전 방송은 1TV와 2TV 두 채널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2004년 7월 12일에 개국하였으며, 1TV는 호출부호 HLKG-DTV, 가상채널 9-1번을, 2TV는 호출부호 HLQH-DTV, 가상채널 7-1번을 사용한다. 2012년 11월 6일 오후 2시를 기해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종료되면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었다.[1]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의 1TV 호출부호는 HLKG-TV였다.

4. 1. 1. 디지털 텔레비전

KBS대구방송총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채널은 2004년 7월 12일에 개국하였다. 2012년 11월 6일 오후 2시를 기해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되면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었다.

  • 1TV
  • * 호출부호: HLKG-DTV
  • * 가상채널: 9-1
  • 2TV
  • * 호출부호: HLQH-DTV
  • * 가상채널: 7-1


송신소1TV 물리채널2TV 물리채널출력송신소 위치
팔공산 송신소CH 52CH 565kW대구 동구 용수동 산1
화양 중계소CH 20CH 2120W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759
풍각 중계소CH 38CH 4810W경북 청도군 풍각면 덕양리 252-2
동곡 소출력CH 14CH 160.05W경북 청도군 금천면 동곡리
하양 중계소CH 23CH 2520W경북 경산시 진량읍 신상리 산17-5
파동 중계소CH 20CH 2210W대구 수성구 파동 산18
앞산 중계소CH 31CH 3020W대구 남구 대명9동 산227-1
서재 소출력CH 14CH 160.05W대구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
논공 소출력CH 23CH 260.05W대구 달성군 논공읍 북리
구지 중계소CH 23CH 2620W대구 달성군 구지면 화산리 산10 대니산
쌍림 소출력CH 23CH 260.05W고령군 쌍림면 안림리 산 9
수륜 중계소CH 21CH 4120W경북 성주군 수륜면 성리 산10
구미 중계소CH 43CH 4490W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94 금오산
김천 중계소CH 25CH 2820W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92 달봉산
대항 중계소CH 31CH 335W경북 김천시 대항면 향천리 산52-6
모서 중계소CH 20CH 2310W경북 상주시 모서면 소정리 산28
청리 중계소CH 30CH 2920W경북 상주시 청리면 월로리 산76
상주 중계소CH 20CH 3820W경북 상주시 만산동 산68
점촌 중계소CH 26CH 285W경북 문경시 신기동 산123
문경 중계소CH 20CH 4120W경북 문경시 문경읍 하리 산1-5 잣밭산
가은 중계소CH 38CH 4120W경북 문경시 가은읍 왕릉리 산18
동로 중계소CH 20CH 375W경북 문경시 동로면 적성리 산141
경주 중계소CH 22CH 2390W경북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 산14 벽도산
보문 중계소CH 38CH 4220W경북 경주시 하동 산116
감포 중계소CH 19CH 205W경북 경주시 감포읍 전동리 688-8


4. 1. 2. 아날로그 텔레비전

KBS대구방송총국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은 2012년 11월 6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다.[1] 1TV의 호출 부호는 HLKG-TV였다.

송신소채널출력송신소 위치
1TV2TV
팔공산CH 8CH 3810kW / 30kW대구 동구 용수동 산1
화양CH 25CH 31100W경북 청도군 화양읍 소라리 산11-2
풍각CH 41CH 5150W경북 청도군 풍각면 현리리 산10
하양CH 30CH 33100W경북 경산시 진량읍 신상리 산17-5
파동CH 56CH 2750W대구 수성구 파동 산9-1 법이산
앞산CH 47CH 51100W대구 남구 대명9동 산227-1
구지CH 29CH 27100W대구 달성군 구지면 화산리 산10 대니산
수륜CH 25CH 31100W경북 성주군 수륜면 성리 산10
구미CH 22CH 40500W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94 금오산
모암CH 37CH 27100W경북 김천시 모암동 133
농소CH 55-100W경북 김천시 남면 월곡리 산679
대항CH 12-1W경북 김천시 대항면 향천리 산52-6
지례CH 12-10W경북 김천시 지례면 도곡리 산695
청리CH 26CH 55100W경북 상주시 청리면 월로리 산76
상주CH 33CH 35100W경북 상주시 만산동 산68
낙동CH 27-10W경북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 산43-2
점촌CH 35CH 3110W경북 문경시 신기동 산123
문경CH 12CH 3310W / 100W경북 문경시 문경읍 하리 산1-5 잣밭산
가은CH 12CH 3310W / 100W경북 문경시 가은읍 왕릉리 산18
동로CH 12-1W경북 문경시 동로면 적성리 산141
경주CH 58CH 51500W경북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 산14 벽도산
감포CH 31CH 3710W경북 경주시 감포읍 전동리 688-8


4. 2. 라디오

KBS대구방송총국은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지역을 대상으로 다양한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채널명주파수송신소출력호출부호비고
제1라디오AM 738kHz경산100kWHLKG
제1라디오FM 101.3MHz팔공산5kWHLKG-SFM
제1라디오FM 90.7MHz김천100W
제1라디오FM 88.7MHz경주500W-[1]
제2라디오(해피FM)AM 558kHz영일250kWHLQH
제2라디오(해피FM)FM 102.3MHz팔공산3kWHLQH-SFM
제2라디오(해피FM)FM 88.9MHz김천100W
KBS대구FMFM 89.7MHz팔공산5kWHLKG-FM
KBS대구FMFM 88.1MHz학가산3kWHLCR-FM
KBS대구FMFM 93.5MHz조항산3kWHLCP-FM
KBS대구FMFM 94.1MHz울릉250WHLCU-FM


  • 제1라디오는 AM 738kHz (경산 송신소, 100kW), FM 101.3MHz (팔공산 송신소, 5kW), FM 90.7MHz (김천 중계소, 100W), FM 88.7MHz (경주 중계소, 500W)로 송출된다. 호출부호는 경산, 팔공산 송신소가 HLKG이다. 김천 중계소 호출부호는 원문에 없어 빈칸으로 둔다.
  • 제2라디오(해피FM)는 AM 558kHz (영일 송신소, 250kW), FM 102.3MHz (팔공산 송신소, 3kW), FM 88.9MHz (김천 중계소, 100W)로 송출된다. 호출부호는 영일, 팔공산 송신소가 HLQH이다. 김천 중계소 호출부호는 원문에 없어 빈칸으로 둔다.
  • KBS대구FM은 FM 89.7MHz (팔공산 송신소, 5kW), FM 88.1MHz (학가산 송신소, 3kW), FM 93.5MHz (조항산 송신소, 3kW), FM 94.1MHz (울릉 FM중계소, 250W)로 송출된다. 호출부호는 각각 HLKG-FM, HLCR-FM, HLCP-FM, HLCU-FM이다.

4. 3. 지상파 DMB

KBS대구방송총국은 대구·경상북도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DMB 방송사 U-KBS의 채널을 송출하고 있다. 호출 부호(콜사인)는 경산 HLCR-DTV, 구미 HLSC-DTV, 김천 HLAG-DTV이다.

송신소물리 채널(주파수)공중선 전력
팔공산K-7Bch (177.008MHz)2kW
구미K-7Bch (177.008MHz)90W


5. 제작 프로그램

KBS대구방송총국은 제1라디오, 제2라디오, 대구FM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
KBS대구 제1라디오
경산 송신소AM 738kHz100kWHLKG경북 경산시 진량읍 부기리 130
팔공산 송신소FM 101.3MHz5kWHLKG-SFM대구 동구 용수동 산1
김천 중계소FM 90.7MHz100W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92
경주 중계소FM 88.7MHz500W-경북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 산14-1 벽도산[1]
KBS대구 제2라디오(해피FM)
영일 송신소AM 558kHz250kWHLQH경북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구만리 380
팔공산 송신소FM 102.3MHz3kWHLQH-SFM대구 동구 용수동 산1
김천 중계소FM 88.9MHz100W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92
KBS대구FM
팔공산 송신소FM 89.7MHz5kWHLKG-FM대구 동구 용수동 산1
학가산 송신소FM 88.1MHz3kWHLCR-FM경북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 산69
조항산 송신소FM 93.5MHz3kWHLCP-FM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면 석리 산94-1
울릉 FM중계소FM 94.1MHz250WHLCU-FM경북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산29-1 삼각산


5. 1. KBS 1TV

KBS대구방송총국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지역의 방송을 담당하고 있으며, 다양한 TV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방송하고 있다.

편성제작국에서는 TV 프로그램 제작과 편성을 담당하고 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라이브 오늘, 세상다반사(대구), 아침마당 대구(생생토크 자체방송), 쉬어가도 괜찮아 마이크로 여행, 지역의 사생활 2 등이 있다.[1]

5. 1. 1. 보도 프로그램

주말 10분평일 밤 9시 30분 ~ 9시 45분
주말 밤 9시 20분 ~ 9시 30분김서현 (평일)
무작위 (주말)


5. 1. 2. TV 프로그램

모든 방송은 HD 기준으로, 지역 총국은 DMB 방송을 하지 않으며 6시 내고향은 월~목요일 사이에 네트워크 제작을 한다.

방송 시간프로그램
17:30 (평일)라이브 오늘
19:40 (수)세상다반사(대구)
08:25 (금)아침마당 대구
(생생토크 자체방송)
19:40 (금)쉬어가도 괜찮아 마이크로 여행
20:00 (금)지역의 사생활 2


5. 2. 라디오

KBS대구방송총국은 제1라디오, 제2라디오, 대구FM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제1라디오에서는 뉴스, 시사·교양 프로그램을, 제2라디오에서는 연예오락 프로그램을, 대구FM에서는 음악 프로그램을 주로 편성한다.

5. 2. 1. 제1라디오

프로그램명방송시간편성시간진행
KBS 제1라디오 9시 뉴스월요일 ~ 금요일 5분오전 9시 ~ 9시 5분진유현
KBS 제1라디오 정오종합뉴스낮 12시 15분 ~ 12시 20분이채령
KBS 제1라디오 오후 5시 뉴스오후 5시 ~ 5시 5분무작위

5. 2. 2. 제2라디오

102.3 뮤직스튜디오 (연예오락, 월~금, 14:00~15:00)(진행 이채령)

5. 2. 3. 대구FM

진유현이 진행하는 아름다운 오후, 네 시입니다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후 4시부터 5시까지 방송되는 음악 프로그램이다.

6. 인물

KBS대구방송총국에서 근무하거나 근무했던 인물들에 대한 정보이다.

'''현직 아나운서'''



'''전직 아나운서'''

KBS대구방송총국을 거쳐 간 전직 아나운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서를 참고.

'''리포터, MC'''

'''현직 취재기자'''

이름
권기준
이재민
이하늬
이종영
김재노
김도훈
김지홍
신주현
오아영
박준형
박진영
윤희정
류재현
정혜미
이지은
박준우
김지훈
최보규
서한길
문다애



'''수어통역사'''

이름
유지영
이영희
조미향



'''현직 촬영 기자'''

6. 1. 현직 아나운서

김서현, 김종현, 백명지, 박은정, 이채령, 진유현

6. 2. 전직 아나운서

KBS대구방송총국을 거쳐 간 전직 아나운서에 대한 정보는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6. 2. 1. 남성

이름근무 기간비고
전우벽1970~1988전 KBS 서울본국
김충진1981~2013전 KBS 포항
(故)박태남1982 ~ 1984전 KBS대구방송총국 시작 전 KBS 전주방송총국 이전 전 KBS 제주방송총국 이전 전 KBS 서울본국
조건진1982~1984전 KBS부산본국
김세용1983~1985MBC 기자, 전 원주MBC사장
김창옥1983~1984MBC 서울본국 아나운서 은퇴, 전 대전MBC 대표이사 사장, 전 제주MBC 대표이사 사장, 전 가톨릭언론인협의회 회장
홍은철1984~1985전 MBC 서울본국 입사
윤도한1984~1985전 MBC 기자, 현 정치인
정창훈1984~1991전 KBS 기자
김흥수1985~2000전 KBS 서울본국
이종태1987~2010현 퇴사
정현조1987~2010현 퇴사
김연선1992~1994현 KBS 대전총국
전인석1994~1995과거 KBS 대구 아나운서 전 KBS 서울 본국
서기철2001~2002전 KBS 서울본국
조우종2005~2006전 KBS 서울본국, 현 MC
전현무2006~2007전 KBS 서울본국, 현 MC
오언종2007~2008현 KBS 서울본국
김승휘2008~2009현 KBS 서울본국
도경완2009~2010전 KBS 서울본국
강승화2013~2014현 KBS 서울본국
양문석2010~2016현 KBS 청주총국
김종현2016~2018현 KBS 서울본국


6. 2. 2. 여성

이름재직 기간비고
안희재1978년 ~ 1979년전 KBS 서울본국
김영숙1981년 ~ 2019년정년퇴임
송현주1985년 ~ 2023년정년퇴임
문경자1986년 ~ 2005년현 퇴사
황진1987년 ~ 2024년정년퇴임
한효연2005년 ~ 2011년현 퇴사
박지원2018년 ~ 2019년현 KBS 서울본국
이윤정2019년 ~ 2021년현 KBS 서울본국
고선영2020년 ~ 2022년현 MBN 아나운서
홍주연2021년 ~ 2023년현 KBS 서울본국
허유원2023년 ~ 2024년현 KBS 서울본국


6. 3. 리포터, MC

박은강 (라디오 리포터)

6. 4. 현직 취재기자

이름비고
권기준
이재민
이하늬
이종영
김재노
김도훈
김지홍
신주현
오아영
박준형
박진영
윤희정
류재현
정혜미
이지은
박준우
김지훈
최보규
서한길
문다애


6. 5. 수어통역사

KBS대구방송총국에서 근무하는 수어 통역사는 다음과 같다.

이름
유지영
이영희
조미향


6. 6. 현직 촬영 기자

7. 인근 지역 방송사

8. 기타

민간 방송 BBC-FM 한국FM방송(HLCB-FM/89.7MHz)은 서울에 있던 민간 방송 TBC 동양방송의 FM 유일의 업무 제휴국이었다.

대구광역시 동구 범어동(현재 수성구 범어동)에 본사·스튜디오가 있던 FM방송국이었으나, 언론통폐합에 의해 1980년 11월 30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폐국, KBS대구방송총국에 통합되었다. 동 방송국의 음악 FM 방송 채널인 "KBS대구FM"으로 방송하고 있다.

KBS 통합 후에도 한동안 사용했던 HLCB-FM의 호출 부호는 현재 CBS(기독교방송) 포항국에 할당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