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대구방송총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대구방송총국은 1939년 조선방송협회 대구 출장소로 시작하여, 1986년 대구방송총국으로 승격된 한국방송공사(KBS)의 지역 방송국이다.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가청권역으로 하며, 1TV, 2TV, 1라디오, 2라디오(해피FM), 음악FM 등 텔레비전 2개 채널과 라디오 3개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팔공산 송신소를 비롯한 중계소들이 있으며, 보도, 편성, 제작 등 다양한 부서를 통해 지역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9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라디오 오스트레일리아
라디오 오스트레일리아는 호주 방송 공사에서 운영하는 국제 방송 서비스로, 1939년 설립되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대상으로 다양한 언어로 방송을 제공했으며, 현재는 FM, 위성, 인터넷을 통해 방송을 이어가고 있다. -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국 - KBS목포방송국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개국한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으로,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목포 및 전남 서남부 지역에 뉴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국 - KBS광주방송총국
KBS광주방송총국은 1939년 라디오 출장소 설치를 시작으로 광주 지역 방송 역사를 시작하여, 현재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뉴스, 교양, 정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지상파 방송국 - 영주에프엠방송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주에프엠방송은 89.1MHz 주파수로 10W 출력으로 방송을 송출하는 지역 FM 라디오 방송국으로, (사)영주에프엠방송이 운영하며 2005년 개국하여 2009년 정규사업 허가를 받았다. -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지상파 방송국 - 대구문화방송
대구문화방송은 1963년 한국방송공사 대구방송국으로 개국하여 대구와 경북 지역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지역 민영방송으로, 2023년 창사 60주년을 맞이했다.
KBS대구방송총국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국명 | KBS대구방송총국 |
한자 | KBS大邱放送總局 |
영문명 | KBS Daegu Broadcasting Branch Office |
약칭 | KBS대구 |
구분 | 공영 방송 |
방송 영역 | 지상파 방송 |
창립일 | 1939년 4월 19일 |
개국일 | 1939년 4월 19일 |
본사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496길 30 |
총국장 | 구본국 |
모기업 | 한국방송공사 |
웹사이트 | KBS대구방송총국 |
![]() | |
직원 정보 | |
직원 수 | 약 120명 |
텔레비전 채널 정보 | |
채널명 | 대구 KBS 1TV |
다른 표기 | KBS대구 |
방송 언어 | 한국어 |
방송 지역 |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남부 일원 |
방송국 | KBS대구방송총국 |
방송국 위치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496길 30 |
소유 | KBS대구방송총국 |
모기업 | KBS대구방송총국 |
개국일 (TV) | 1978년 7월 1일 |
아날로그 채널 | 9 |
디지털 채널 | 9 |
위성 채널 | 9(HD) |
2. 연혁
- 1939년 4월 19일 : 조선방송협회 경성중앙방송국 대구출장소 개소
- 1950년 4월 10일 : 대구 방송국 승격
- 1965년 9월 23일 : 김천 중계소 개소
- 1966년 11월 5일 : 경산 송신소 개소
- 1971년 4월 28일 : 팔공산 중계소 개소
- 1972년 9월 13일 : 표준 FM방송 실시
- 1972년 9월 28일 : 신천동 사옥 준공
- 1973년 3월 3일 한국방송공사 창립에 따라 '''KBS 대구방송국''' 발족
- 1978년 5월 9일 : 영일 송신소 개소
- 1978년 6월 2일 : 구미 중계소 개소
- 1978년 7월 1일 : TV(현 1TV) 로컬방송 실시
- 1980년 12월 1일 : 2TV 로컬방송 실시, 한국FM(HLCB, 89.7MHz) 인수 합병 후, KBS 대구 FM(HLKG-FM)으로 개칭
- 1981년 3월 16일 : 제3방송 개시 (주파수 AM 558kHz)
- 1981년 9월 7일 : 제3방송 폐지로 주파수 AM 558kHz가 2R로 전환
- 1983년 2월 1일 : 2TV 로컬방송 실시
- 1985년 10월 21일 : 2R 로컬방송 실시
- 1986년 12월 8일 : 대구 방송 총국으로 승격
- 1990년 1월 2일 : "사할린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특별 생방송 (서울 KBS와 대구 KBS 공동)
- 1995년 9월 30일 : 김천(중) 자동화 완료
- 1997년 1월 28일 : 구미 방송 센터 개소
- 1999년 4월 19일 : 대구 총국 신청사 기공식
- 2001년 11월 30일 : 2라디오 FM방송 개국(HLQH-SFM, 102.3MHz), 대구·경북 55분 KBS 교통정보 신설.
- 2002년 11월 9일 : 대구방송총국 현사옥 준공(대구시 수성구 범어동 245번지)
- 2002년 12월 1일 : 구미중계소(95.9.30자동화) 철수
- 2002년 12월 4일 : 대구방송총국 현 사옥 준공식
- 2004년 7월 12일 : 팔공산 송신소 1,2DTV 방송 송출 개시
- 2005년 1월 1일 : 아나운서 지역순환근무제 실시
- 2005년 2월 16일 : 팔공산 송신소 교육DTV 방송 송출 개시
- 2007년 8월 1일 : 지상파 DMB 본방송 실시
- 2008년 4월 21일 : KBS대구 제2라디오 개편에 의해 대구·경북 55분 KBS 교통정보를 대구·경북 57분 교통정보로 변경.
- 2008년 5월 1일 : DTV 부가서비스 실시 (자막방송, 데이터방송, 5.1ch방송)
- 2010년 11월 1일 : 오디오 파일시스템 구축
- 2010년 12월 31일 : 앞산,구지,화양,하양,수륜 DTVR 방송송출 개시
- 2010년 12월 31일 : TV제작시설 HD 전환 완료
- 2011년 5월 9일 : 김천 FMR 방송송출 개시(90.7MHz)
- 2012년 2월 28일 : 경주 DMBR 방송송출 개시
- 2012년 6월 30일 : 대항 DTVR 방송송출 개시
- 2012년 8월 14일 : 김천 제1라디오 중계소 폐소
- 2012년 11월 6일 : 아날로그TV 방송 송출 종료
- 2012년 12월 31일 : 김천TVR 2R 해피FM 방송시작
- 2013년 7월 17일 : 디지털TV 채널재배치 완료
- 2013년 12월 27일 : 앞산TVR DMB 방송시작
- 2017년 12월 29일 : KBS대구 1TV와 KBS대구 2TV UHD 방송개국.
- 2018년 6월 27일 : 달성군 KBS대구 2TV UHD 방송개시.
- 2023년 7월 1일 : KBS대구방송총국 경상북도 군위군 → 대구광역시 군위군 통합
2. 1. 일제강점기
1939년 4월 19일, 사단법인 조선방송협회 경성중앙방송국 대구출장소가 개설되었다.[1] 1940년 3월 23일, 조선총독부가 대구방송국의 방송 무선 전화 시설을 허가하였다. 호출부호는 '''JBGK'''였고, 호출 명칭은 '''대구방송국'''이었으며, 이중 방송을 실시하였다. 1940년 10월 30일, 제1방송만 임시 방송을 개시하였다. 1941년 4월 19일, 조선방송협회 대구방송국이 개국하면서 이중 방송이 시작되었다.2. 2. 해방 이후
- 1947년 10월 1일 - 호출부호를 '''HLKG'''로 변경하였다.
- 1980년 11월 30일 - 언론통폐합에 의해, 이날 폐국된 민방 bbc-fm 한국FM방송('''HLCB-FM'''/89.7MHz)을 통합하였다.
- 1980년 12월 1일 - 음악FM방송을 개시하였다.
- 1984년 12월 - '''KBS대구방송총국'''으로 개칭하였다.
2. 3. 언론통폐합과 KBS
1980년 11월 30일 언론통폐합에 의해, 같은 날 폐국된 민방 한국FM방송('''HLCB-FM'''/89.7MHz)을 통합했다.[1] 1980년 12월 1일 음악FM방송을 개시했다.[1] 민간 방송이었던 한국FM방송(HLCB-FM/89.7MHz)은 서울에 있던 민간 방송 TBC 동양방송 FM의 유일한 업무 제휴국이었다.[1]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에 본사·스튜디오가 있던 FM방송국이었으나,[1] 언론통폐합에 의해 1980년 11월 30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폐국, KBS대구방송총국에 통합되었다.[1] 해당 방송국의 음악 FM 방송 채널인 "KBS대구FM"으로 방송하고 있다.[1]
KBS 통합 후에도 한동안 사용했던 HLCB-FM의 호출 부호는 현재 CBS(기독교방송) 포항국에 할당되어 있다.[1]
3. 조직
KBS영어대구방송총국의 조직은 다음과 같다.
국 | 부서 |
---|---|
편성제작국 | 편성, TV제작, 라디오(Radio)제작, 아나운서, 문화사업, 영상제작 |
보도국 | 편집, 취재, 보도제작, 촬영 |
기술국 | 기술관리, 제작기술, 송출기술, 중계기술, R기술 |
시청자/서비스국 | 총무행정, 재원관리, 광고 |
송신/중계/사업소 | 경산/팔공산 송신소, 구미/점촌 중계소, 구미사업지사 |
4. 방송 송출 시설망
KBS대구방송총국은 대구·경북 지역의 방송을 송출하기 위해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
---|---|---|---|---|---|
KBS대구 제1라디오 | |||||
경산 송신소 | AM 738kHz | 100kW | HLKG | 경북 경산시 진량읍 부기리 130 | |
팔공산 송신소 | FM 101.3MHz | 5kW | HLKG-SFM | 대구 동구 용수동 산1 | |
김천 중계소 | FM 90.7MHz | 100W | 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92 | ||
경주 중계소 | FM 88.7MHz | 500W | - | 경북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 산14-1 벽도산 | [1] |
KBS대구 제2라디오(해피FM) | |||||
영일 송신소 | AM 558kHz | 250kW | HLQH | 경북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구만리 380 | |
팔공산 송신소 | FM 102.3MHz | 3kW | HLQH-SFM | 대구 동구 용수동 산1 | |
김천 중계소 | FM 88.9MHz | 100W | 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92 | ||
KBS대구FM | |||||
팔공산 송신소 | FM 89.7MHz | 5kW | HLKG-FM | 대구 동구 용수동 산1 | |
학가산 송신소 | FM 88.1MHz | 3kW | HLCR-FM | 경북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 산69 | |
조항산 송신소 | FM 93.5MHz | 3kW | HLCP-FM | 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면 석리 산94-1 | |
울릉 FM중계소 | FM 94.1MHz | 250W | HLCU-FM | 경북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산29-1 삼각산 |
방송 송출 시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텔레비전, 라디오, 지상파 DMB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4. 1. 텔레비전
KBS대구방송총국은 1939년 대구방송국으로 개국한 이래 대구·경북 지역의 대표적인 방송사로 자리매김해왔다. 텔레비전 방송은 1TV와 2TV 두 채널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2004년 7월 12일에 개국하였으며, 1TV는 호출부호 HLKG-DTV, 가상채널 9-1번을, 2TV는 호출부호 HLQH-DTV, 가상채널 7-1번을 사용한다. 2012년 11월 6일 오후 2시를 기해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종료되면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었다.[1]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의 1TV 호출부호는 HLKG-TV였다.
4. 1. 1. 디지털 텔레비전
KBS대구방송총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채널은 2004년 7월 12일에 개국하였다. 2012년 11월 6일 오후 2시를 기해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되면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었다.- 1TV
- * 호출부호: HLKG-DTV
- * 가상채널: 9-1
- 2TV
- * 호출부호: HLQH-DTV
- * 가상채널: 7-1
송신소 | 1TV 물리채널 | 2TV 물리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
팔공산 송신소 | CH 52 | CH 56 | 5kW | 대구 동구 용수동 산1 |
화양 중계소 | CH 20 | CH 21 | 20W | 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759 |
풍각 중계소 | CH 38 | CH 48 | 10W | 경북 청도군 풍각면 덕양리 252-2 |
동곡 소출력 | CH 14 | CH 16 | 0.05W | 경북 청도군 금천면 동곡리 |
하양 중계소 | CH 23 | CH 25 | 20W | 경북 경산시 진량읍 신상리 산17-5 |
파동 중계소 | CH 20 | CH 22 | 10W | 대구 수성구 파동 산18 |
앞산 중계소 | CH 31 | CH 30 | 20W | 대구 남구 대명9동 산227-1 |
서재 소출력 | CH 14 | CH 16 | 0.05W | 대구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 |
논공 소출력 | CH 23 | CH 26 | 0.05W | 대구 달성군 논공읍 북리 |
구지 중계소 | CH 23 | CH 26 | 20W | 대구 달성군 구지면 화산리 산10 대니산 |
쌍림 소출력 | CH 23 | CH 26 | 0.05W | 고령군 쌍림면 안림리 산 9 |
수륜 중계소 | CH 21 | CH 41 | 20W | 경북 성주군 수륜면 성리 산10 |
구미 중계소 | CH 43 | CH 44 | 90W | 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94 금오산 |
김천 중계소 | CH 25 | CH 28 | 20W | 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92 달봉산 |
대항 중계소 | CH 31 | CH 33 | 5W | 경북 김천시 대항면 향천리 산52-6 |
모서 중계소 | CH 20 | CH 23 | 10W | 경북 상주시 모서면 소정리 산28 |
청리 중계소 | CH 30 | CH 29 | 20W | 경북 상주시 청리면 월로리 산76 |
상주 중계소 | CH 20 | CH 38 | 20W | 경북 상주시 만산동 산68 |
점촌 중계소 | CH 26 | CH 28 | 5W | 경북 문경시 신기동 산123 |
문경 중계소 | CH 20 | CH 41 | 20W | 경북 문경시 문경읍 하리 산1-5 잣밭산 |
가은 중계소 | CH 38 | CH 41 | 20W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왕릉리 산18 |
동로 중계소 | CH 20 | CH 37 | 5W | 경북 문경시 동로면 적성리 산141 |
경주 중계소 | CH 22 | CH 23 | 90W | 경북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 산14 벽도산 |
보문 중계소 | CH 38 | CH 42 | 20W | 경북 경주시 하동 산116 |
감포 중계소 | CH 19 | CH 20 | 5W | 경북 경주시 감포읍 전동리 688-8 |
4. 1. 2. 아날로그 텔레비전
KBS대구방송총국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은 2012년 11월 6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다.[1] 1TV의 호출 부호는 HLKG-TV였다.송신소 | 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
---|---|---|---|---|
1TV | 2TV | |||
팔공산 | CH 8 | CH 38 | 10kW / 30kW | 대구 동구 용수동 산1 |
화양 | CH 25 | CH 31 | 100W | 경북 청도군 화양읍 소라리 산11-2 |
풍각 | CH 41 | CH 51 | 50W | 경북 청도군 풍각면 현리리 산10 |
하양 | CH 30 | CH 33 | 100W | 경북 경산시 진량읍 신상리 산17-5 |
파동 | CH 56 | CH 27 | 50W | 대구 수성구 파동 산9-1 법이산 |
앞산 | CH 47 | CH 51 | 100W | 대구 남구 대명9동 산227-1 |
구지 | CH 29 | CH 27 | 100W | 대구 달성군 구지면 화산리 산10 대니산 |
수륜 | CH 25 | CH 31 | 100W | 경북 성주군 수륜면 성리 산10 |
구미 | CH 22 | CH 40 | 500W | 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94 금오산 |
모암 | CH 37 | CH 27 | 100W | 경북 김천시 모암동 133 |
농소 | CH 55 | - | 100W | 경북 김천시 남면 월곡리 산679 |
대항 | CH 12 | - | 1W | 경북 김천시 대항면 향천리 산52-6 |
지례 | CH 12 | - | 10W | 경북 김천시 지례면 도곡리 산695 |
청리 | CH 26 | CH 55 | 100W | 경북 상주시 청리면 월로리 산76 |
상주 | CH 33 | CH 35 | 100W | 경북 상주시 만산동 산68 |
낙동 | CH 27 | - | 10W | 경북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 산43-2 |
점촌 | CH 35 | CH 31 | 10W | 경북 문경시 신기동 산123 |
문경 | CH 12 | CH 33 | 10W / 100W | 경북 문경시 문경읍 하리 산1-5 잣밭산 |
가은 | CH 12 | CH 33 | 10W / 100W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왕릉리 산18 |
동로 | CH 12 | - | 1W | 경북 문경시 동로면 적성리 산141 |
경주 | CH 58 | CH 51 | 500W | 경북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 산14 벽도산 |
감포 | CH 31 | CH 37 | 10W | 경북 경주시 감포읍 전동리 688-8 |
4. 2. 라디오
KBS대구방송총국은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지역을 대상으로 다양한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제1라디오는 AM 738kHz (경산 송신소, 100kW), FM 101.3MHz (팔공산 송신소, 5kW), FM 90.7MHz (김천 중계소, 100W), FM 88.7MHz (경주 중계소, 500W)로 송출된다. 호출부호는 경산, 팔공산 송신소가 HLKG이다. 김천 중계소 호출부호는 원문에 없어 빈칸으로 둔다.
- 제2라디오(해피FM)는 AM 558kHz (영일 송신소, 250kW), FM 102.3MHz (팔공산 송신소, 3kW), FM 88.9MHz (김천 중계소, 100W)로 송출된다. 호출부호는 영일, 팔공산 송신소가 HLQH이다. 김천 중계소 호출부호는 원문에 없어 빈칸으로 둔다.
- KBS대구FM은 FM 89.7MHz (팔공산 송신소, 5kW), FM 88.1MHz (학가산 송신소, 3kW), FM 93.5MHz (조항산 송신소, 3kW), FM 94.1MHz (울릉 FM중계소, 250W)로 송출된다. 호출부호는 각각 HLKG-FM, HLCR-FM, HLCP-FM, HLCU-FM이다.
4. 3. 지상파 DMB
KBS대구방송총국은 대구·경상북도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DMB 방송사 U-KBS의 채널을 송출하고 있다. 호출 부호(콜사인)는 경산 HLCR-DTV, 구미 HLSC-DTV, 김천 HLAG-DTV이다.송신소 | 물리 채널(주파수) | 공중선 전력 |
---|---|---|
팔공산 | K-7Bch (177.008MHz) | 2kW |
구미 | K-7Bch (177.008MHz) | 90W |
5. 제작 프로그램
KBS대구방송총국은 제1라디오, 제2라디오, 대구FM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다.
5. 1. KBS 1TV
KBS대구방송총국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지역의 방송을 담당하고 있으며, 다양한 TV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방송하고 있다.편성제작국에서는 TV 프로그램 제작과 편성을 담당하고 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라이브 오늘, 세상다반사(대구), 아침마당 대구(생생토크 자체방송), 쉬어가도 괜찮아 마이크로 여행, 지역의 사생활 2 등이 있다.[1]
5. 1. 1. 보도 프로그램
주말 10분주말 밤 9시 20분 ~ 9시 30분
무작위 (주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