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TBC (대한민국의 방송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BC는 1994년 설립된 대구·경북 지역의 민영 방송사이다. 1995년 텔레비전 방송을 개국하고, 1997년 FM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다. 2003년 디지털 TV 방송을 개시했으며, 2015년 사명을 주식회사 TBC로 변경했다. TBC는 TV 및 라디오 방송, DMB 방송을 송출하며, 보도, 시사/교양, 문화/생활, 연예/오락, 스포츠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있다. 본사는 대구 수성구에 위치하며, 서울, 포항, 안동에 지사를 두고 있다. 2021년 기준 매출액은 428억 원이며, 방송 광고가 주요 수입원이다. 미국 KCOP-TV, 일본 히로시마 홈 TV, 중국 선양 방송 등과 제휴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귀뚜라미그룹 - 귀뚜라미 (기업)
    귀뚜라미는 1962년 창업한 대한민국 보일러 제조 기업으로, 가정용 보일러를 주력으로 생산하며 콘덴싱 보일러 기술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친환경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고, 경상북도 청도군에 본점을 두고 귀뚜라미 범양냉방을 통해 냉방기기 사업도 영위하고 있다.
  • 귀뚜라미그룹 - 귀뚜라미환경테크
    귀뚜라미환경테크는 쓰레기 자동 이송 시스템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에코플로어, 에코파크, 에코그랜드, 에코홈 등의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련 특허와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 TBC - TBC Dream FM
    TBC Dream FM은 TBC 대구방송에서 운영하며 대구, 경북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하는 FM 라디오 채널로, 다양한 장르의 음악 프로그램과 뉴스를 제공하고 프로야구 시즌에는 《TBC 프로야구》를 중계방송한다.
  • TBC - TBC DMB
    TBC DMB는 TBC에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운영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로, mYTN 등의 프로그램과 데이터 채널을 통해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했으며, 여러 중계소를 통해 방송을 송출했다.
  • 1997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KNN
    KNN은 1995년에 개국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과 경상남도를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민영방송이며, TV 방송과 KNN 파워FM, KNN 러브FM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고, KNN타워를 신사옥으로 사용하며 지역밀착형 뉴스와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 1997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KNN 파워FM
    KNN 파워FM은 부산, 경상남도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하는 KNN의 라디오 채널로, 1997년 개국하여 대중음악 채널로 운영되며 여러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TBC (대한민국의 방송사)
방송국 정보
이름대구방송 주식회사
로고
TBC 사옥 (1995년 ~ 현재)
브랜드대구방송 주식회사
TBC (대구방송)
TBC 텔레비전
국가대한민국
개국일1994년 8월 10일 (시험 방송)
설립일1994년 10월 7일
공식 방송일1995년 5월 14일
위치경상북도
도시대구광역시
콜사인 의미HL (국가 코드) DaEgu
계열사SBS
디지털 채널15 (UHF)
가상 채널6
라이선스 기관KCC
웹사이트http://www.tbc.co.kr/
회사 정보
회사명주식회사 티비씨
영문 회사명Taegu Broadcasting Corporation
종류주식회사
시장 정보KSE 033830 (2010년 11월 29일 ~ )
약칭TBC
국적대한민국
우편 번호42175
본사 위치대구광역시수성구 동대구로23 (두산동 201-9)
설립1994년 10월 7일
업종방송업
대표자대표이사 사장 김정길
자본금50,000,000,000원 (2021.12)
매출액42,842,548,188원 (2021.12)
영업 이익4,330,542,169원 (2021.12)
순이익4,628,244,368원 (2021.12)
자산 총액126,908,628,904원 (2021.12)
주요 주주(주)귀뚜라미홀딩스 특수관계인: 33.81%
서도산업(주): 6.14%
직원 수116명
슬로건함께 만드는 내일
모기업(주)귀뚜라미홀딩스
자회사티비씨앤비
라디오 방송 정보
라디오 방송 시작1997년 12월 1일 (Dream FM)

2. 연혁

2. 1. 1990년대

1994년 8월 10일 대구·경북 지역 민영방송 사업자로 (주)대구방송이 선정되었고, 운영 주체는 (주)청구로 확정되었다. 청구대구사옥 자리를 대구방송이 방송국 사옥으로 사용하기로 하였으며, 장수홍 청구그룹 회장이 TBC 회장을 겸직하게 되었다. (주)청구가 지배주주로서 장수홍 회장을 필두로 운영진 및 임원을 결성했다. 같은 해 9월 9일 43개 주주사가 참여한 창립 총회를 개최하고, 10월 7일 TBC 대구방송이 창립되었다. 10월 21일에는 두산동 사옥(지하 1층, 지상 8층, 연건평 3,600평)이 완공되었다. 12월 19일 정보통신부로부터 가허가를 취득하였다.(채널: UHF 19, 출력: 30㎾, 호출부호: HLDE-TV)

1995년 3월 26일 팔공산 송신소를 완공하고, 3월 27일 시험 방송을 실시하였다. 3월 31일 일본 TV 아사히와 제휴 협정을 체결하였다. 4월 4일에는 SBS와 기본 협정을 체결하여 방송 네트워크를 구축하였고, 2년 간 SBS 프로그램 공급료를 면제받기로 하였다. 4대 민방 (부산, 대구, 대전, 광주) 공동 편성 프로그램은 2년간 무료로 공급받게 되었다. 5월 10일 SBS와 세부 협정을 마무리하여 최종적으로 방송 네트워크 체결을 완료했다.[6] 5월 12일 미국 LA K-COP 방송국과 제휴 협정을 체결하고, 같은 날 앞산·파동·구지·구미 4개 지역에 간이 중계소 설치 허가를 받아 앞산·파동·구지 중계소(TVR)를 개소하였다. 5월 14일 텔레비전 방송을 개국하고,[7] 5월 30일 TBC 서울지사를 개소하였다.

1996년 2월 26일 <한국 민영 TV방송 협의회>를 창립하고, 6월 15일 TBC문화재단을 설립하였다. 9월 12일에는 구미에 중부취재본부를 개소하였다. 1997년 5월 2일 일본 TV 아사히 계열 방송국 히로시마 홈TV와 제휴 협정을 체결하였다.[4]

1997년 12월 1일 TBC 드림 FM(주파수: 99.3㎒)을 개국하였다. 1999년 6월 1일 TBC의 대주주가 귀뚜라미보일러로 변경되었다. (기존 대주주인 청구는 소멸) 1999년 12월 1일 1차 TV 방송 권역 광역화로 안동·포항·경주·울진 중계소를 개소하였다.

2. 2. 2000년대

2000년 12월 1일 2차 TV 방송 권역 광역화로 상주·영양 중계소를 개소하여 TV 광역화를 완성하였다. 2001년 3월 1일에는 포항 FM 중계소(주파수: 99.7㎒)를 개소하였다. 2002년 6월 14일 일본 TV 아사히 계열 방송국 히로시마 홈TV와 업무 협정을 체결하였다.

2003년 5월 21일 중부 취재 본부(구미)를 개소하고, 8월 21일 TBC 디지털 방송을 개국하였다. 2003년 8월 21일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이 개국되었다. 〈팔공산 송신소, 물리 채널 15ch, 2.5kW〉

2005년 10월 27일 포항 조항산 D-TV 중계소 신축 준공식을 가졌으며, 12월 22일 TBC 학가산 디지털 TV 중계소를 개국하여 대구·경북 전역에 디지털 방송을 시작하였다.

2006년 12월 27일 TBC는 대구 경북 권역 DMB 사업자로 선정되었고, 2007년 9월 28일 TBC 지상파 DMB 시험 방송을 실시하였다. 2008년 6월 30일 TBC DMB 본방송을 실시하였으며, 같은 해 12월 1일 안동 FM 중계소(주파수: 106.5㎒)를 개소하였다. 2008년 6월 30일 지상파 DMB가 개국되었다. 〈팔공산 송신소, 178.736MHz, 2kW〉

2009년 1월 1일 TBC CI를 변경하였다.

2. 3. 2010년대

2010년 1월 1일 (주)티비시엔비를 출범하여 신사업을 개시하였으며, 같은 해 11월 29일 코스닥에 상장되었다. 2011년 5월 16일에는 HD 방송을 시작하고 디지털 부조정실을 완공했으며, 10월 17일에는 디지털 종합 편집실을 완공했다. 2012년 10월 17일 디지털 방송 송신 시설 구축을 완료하였고, 11월 6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을 종료했다.

2013년 2월 25일 서울방송센터를 개소하였고, 3월 18일 김정길 대표이사 사장이 취임하였다. 같은 해 7월 17일 대구·경북지역 디지털 주파수 재배치를 완료하였으며, 11월 4일 TBC 동부방송센터(포항시, 영덕군, 울진군, 울릉군)를 개소하였다.

2015년 5월 10일 성서 FM 중계소(주파수: 106.5㎒)를 개소하였고, 5월 14일 개국 20주년을 맞아 사명을 TBC 대구방송에서 (주)TBC(티비씨)로 변경했다. 2016년 1월 4일 안동시에 경북본부를 개소하였다. 2017년 12월 29일 TBC UHD 방송을 개국하였으며, 2018년 6월 27일 고령군달성군에 TBC UHD 방송을 개시하였다.

2. 4. 2020년대

2023년 7월 1일 TBC 경상북도 군위군대구광역시 군위군으로 통합되었다.

3. 방송 프로그램

wikitable

프로그램명방송 시간진행자비고
오늘은 즐거운 가요!매일 아침 5시 ~ 6시김대진비시즌 한정
돈 워리 비 해피매일 오전 11시 ~ 11시 50분김선희진행 및 연출
TBC 낮 종합뉴스매일 오전 11시 50분 ~ 낮 12시백승열, 김예은
배영서의 유쾌한 12시!매주 월요일~토요일 낮 12시 ~ 오후 2시 / 매주 일요일 낮 12시 ~ 1시배영서
TBC 가요아카데미매주 일요일 낮 1시 ~ 2시
라디오 세상매주 월, 토, 일요일 오후 6시 ~ 8시 / 프로야구 경기가 없는 날 오후 6시 ~ 8시김도휘KBO 시즌 한정
TBC 프로야구매주 화요일 ~ 금요일 저녁 6시 ~ 10시 / 주말 및 공휴일 낮 2시, 저녁 5시, 저녁 6시 (유동적)진행 : 장진영, 중계방송 캐스터 : 김대진, 해설 : 김용국
장예은의 매직? 뮤직!매일 밤 8시 ~ 10시장예은
장진영의 해피드림매일 밤 11시 ~ 12시장진영
조현진의 더 클래식매주 토요일 ~ 일요일 밤 12시 ~ 1시성악가 조현진


3. 1. TV 방송

1995년 5월 14일 PSB 부산방송(현 KNN) , kbc 광주방송, TJB 대전방송과 함께 동시에 TV 방송 개국을 하면서 TBC 대구방송의 본격적인 방송 역사가 시작되었다. 당초 정부는 2000년대까지 지역민방을 전국의 23곳에 신설하려고 했으나 IMF 외환위기의 여파로 계획이 무산되어 대구, 경북 지역에서 안동방송포항방송 설립은 백지화 되고 TBC가 대구, 경북 전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확대하기로 확정됨에 따라 대구 시내의 간이 중계소부터 경주, 구미, 포항, 영덕, 울진, 안동, 영주, 문경 등 빠른 속도로 중계소들을 준공해나가 개국한지 5년 만에 대구 경북대부분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확보하는데 성공하였다. 이어 2003년 8월 21일에 디지털 TV 방송을 개국하여 고화질의 TV 방송을 서비스 하고 있다. 대구·경북 지역과 경남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 중이다.

당초 정부는 1994년 4월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4개 직할시(현재 광역시)에 지역민방 설립 당시 96년에 도청소재지를 비롯한 7~9개 도시에 2차

지역민방을 설립하고 1996년 이후에 2000년대 초반까지 인구 50만명 이하 중,소도시에도 지역민방을 설립하여 10개를 추가로 96년 이후 97년 부터

설립허가를 하겠다고 발표하였다. 하지만 97년 IMF 외환위기로 인해서 1차 지역민방과 개국한지 얼마안된 신생 2차 지역민방까지 경영난으로 인해

모기업 운영주체가 부도나는등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으며 IMF 외환위기 이후 1998년 김대중 정부에서 방송 구조조정으로 인해 신규 지역민방은 허가

하지 않기로 했으며 이로인해 전국 인구 50만 이하 중. 소도시에 지역민방 10개 내외 개국은 무산되었다. 중소도시 지역에 설립되는 지역민방 대신

기존 지역민방이 인근 지역으로 권역 확대하는 지역민방 광역화르 문화관광부에서 허가하여 TBC 대구방송도 기존 팔공산 송신소와 구미 금오산 중계소등 대구와 경북 남부지역에 국한된 방송권역을 경북 북부와 동부지역 등 대구경북 전체로 확장하는 광역화 정책으로 인해 당초 94년 김영삼 정부에서 추진한 인구 50만명 이하 중, 소도시 지역민방 설립추진으로 중장기적으로 안동방송포항방송도 설립할 예정인 경북도내 추가 지역민방 개국이 무산되었다.

TBC 대구방송에서 방송 광역화 되기전 경북 북부지역과 동부지역에서는 일부지역에서는 팔공산 송신소 채널 19번을 통해서 직접수신이 가능하였으며

난시청 지역이나 전파가 잘 닿지 않는 지역에서는 팔공산 송신소 채널 수신이 곤란하여 TBC 대구방송 시청이 어려웠고 케이블(유선방송)을 통하여

시청이 가능해 유선방송 가입을 해야 TBC 대구방송 시청을 할수 있었다.

TBC 대구방송 개국전 경북북부지역 안동시에서는 SBS 개국이후 부터 1995년 6월 TBC 대구방송 개국 한지 얼마 안돼서 까지 유선방송을 통해서 서울 SBS 채널을 역외재송신 하여 안동시 지역 에서는 유선방송 가입자에 한해서 SBS를 수도권 시청자들 처럼 시청할 수 있었다.

타지역 처럼 녹화 재방송이 아닌 실시간 역외재송신으로 SBS를 송출했다. 녹화 방송이 아닌 실시간 역외재송신 이라 안동시 주민들은 유선방송 가입하면 무조건 서울 SBS 채널 시청이 자유롭게 가능하였다.

TBC 대구방송 개국 이후는 안동시에서 유선방송 채널에서 기존에 SBS 를 역외재송신 하던것을 TBC 대구방송으로 채널 변경하여 TBC 대구방송을 역외 재송신 하였다.

2000년 광역화 이전에는 TBC 대구방송은 경북북부와 동부지역은 방송권역에 해당하지 않았으며 유선방송에서 역외 재송신을 실시하였다.

일부지역은 TBC 대구방송과 서울 SBS 방송을 동시에 역외재송신 하는 지역도 있었으며 TBC 대구방송 대신 서울 SBS를 역외재송신 하는 지역의 유선방송국도 존재하였다.

1994년 지역민방 허가 및 1995년 5월 개국당시 방송권역은 대구광역시구미시(선산군),경산시,칠곡군,군위군,영천시 등 일원과 의성군, 김천시(금릉군),성주군,청도군, 상주시, 청송군 일부지역이 가시청 권역이었다 이외 지역은 지역민방 허가당시에 가시청 권역에 해당하지 않았다. 대구와 경북 중부 및 남부지역만 가시청 권역에 해당하였다. 나머지 지역은 인구 50만명 이하 도시 지역 MBC 규모의 지역민방 설립으로 권역을 설정하려고 계획하였다.

TBC 방송권역에 해당하지 않는 지역에서 유선방송등의 유료방송을 통해서 재송신하는 지역은 인구 50만명 이하 중소도시 지역의 지역민방 안동방송포항방송 개국전까지 유선방송등 유료방송을 통해서 임시로 재송신한다는 방침을 정해놓고 TBC 대구방송 채널을 허가받은 방송구역인 대구와 경북남부 중부 지역이외의 경북전역에서 역외재송신 하였다.

장수홍 TBC 회장을 비롯하여 TBC 임원들이 1994년 8월에 지역민방 사업자 선정이 청구로 확정된 이후 밝힌 TBC 대구방송의 편성 계획을 보면 뉴스의 경우 TBC 자체제작 뉴스를 제외한 나머지 뉴스프로그램은 SBS에서 받는 것이 아니라 가급적 연합뉴스통신과 협조 체제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뉴스의 경우 TBC 뉴스는 지역 뉴스로 편성하고 중요한 중앙뉴스는 TBC 서울지사를 설치하여 서울지사를 통해 직접 보도하고 전국 뉴스의 경우는 연합뉴스를 릴레이 편성할 계획이며 SBS 뉴스의 경우 개국 초기 일부만 편성하고 향후에는 SBS 뉴스를 TBC에서 편성하지 않을 방침이며 되도록이면 개국 초기부터 전국뉴스는 SBS 뉴스가 아닌 연합뉴스의 뉴스를 릴레이 받을계획이었다. SBS의 드라마, 쇼, 오락, 다큐멘터리, 스포츠, 보도 등의 프로그램들을 전적으로 수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SBS에서 받는 것이 아니라 지역에 맞는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많이 만들겠고 SBS 프로그램은 상업적이고 질적에서 낮은 것들이 많아 전적으로 수용하지 않겠으며 우수한 일부 SBS 프로그램만 편성하고 나머지는 뉴스의 경우 연합뉴스와의 네트워크 협조 체제로 연합뉴스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SBS의 일부 프로그램과 나머지는 케이블TV 나 프로덕션 그리고 대구, 경북 지역에 맞는 자체 제작 프로그램으로 편성해 나갈 방침이었다. 장수홍 회장이 모 신문사 인터뷰에서 상업성에 휘말려 TBC 대구방송이 SBS의 네트워크로 전락해서는 절대 안 된다며 TBC를 대구, 경북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대중 매체로 만들겠으며 대구, 경북 지역에 맞는 뉴스 프로그램과 자체 제작 프로그램 지역 밀착형 프로그램을 많이 만들겠다는 편성 구상을 발표하기도 하였으며 나머지 SBS 프로그램들도 99년까지 편성을 대폭 줄여나가서 가급적 SBS와의 제휴비율을 개국 이후부터 점차 낮춰가겠다고 하였다. 하지만 SBS 와 기본 협정 체결 당시 SBS 뉴스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시간대에 포함되었으며 SBS 측의 반발로 연합뉴스와의 네트워크 체제 구축하여 뉴스 프로그램은 연합뉴스를 받고 자체 제작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그램은 SBS를 받는다고 계획한 장수홍 회장의 방송 편성 계획은 무산되었으며 뉴스의 경우 TBC 뉴스 시간을 제외한 전국 뉴스 프로그램은 SBS 뉴스를 그대로 받게 되었다. 개국당시 자체 편성 비율은 당초에 28.6%로 편성하려고 계획하였고 장수홍 TBC 초대회장도 개국 당시 자체 편성 비율을 28.6%로 설정하려고 계획하였고 개국 당시 편성을 하려고 추진하였으며 5년 뒤인 1999년에는 40.4%를 자체 편성 비율로 확대하려고 하였다.

2000년대 들어서 TBC 대구방송의 최종적인 자체편성비율 편성은 50%까지 확대 편성하여 SBS 뉴스를 전혀 릴레이 받지 않으며 SBS 뉴스를 제외한 나머지 SBS 프로그램 50% 와 TBC 프로그램 및 연합뉴스 프로그램 50% 로 전체 방송 시간의 절반 시간은 자체 편성하려고 개국 당시 목표를 선정하며 개국 이후에는 SBS 프로그램을 받는 것을 매년마다 줄여 나가기로 장수홍 회장과 TBC 임원들이 추진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대구, 경북 시청자들의 SBS 시청욕구와 SBS에 대한 기대와 자체 제작 프로그램 보다 SBS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률이 높으며 SBS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추세, 그리고 자체 편성시 SBS 프로그램을 못 보내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며 시청자들의 강력한 반발과 함께 SBS에 대한 시청 욕구가 강한점 등으로 자체 편성 비율이 높으면 시청자들의 강력한 반발이 거세질 것을 감안하여 계획을 백지화하였고 40.4%~59.6%의 당초 편성안은 무산되었다. 연합뉴스 프로그램을 릴레이 받아서 방송하는 계획도 취소 및 무산 되었으며 뉴스 프로그램도

자체 제작 뉴스를 제외하면 다른 지역민방들처럼 SBS 뉴스를 릴레이 받아서 편성하게 되었다. TBC 임원들의 최종적인 확정안은 운영 주체 선정 이후 여러차례 검토 및 회의 하에 자체 편성 비율은 대구 경북 지역민들의 여론을 감안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라서 자체 편성 비율을 낮추어서 방송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그리하여 개국 초기 자체 편성 비율은 22.95%로 낮추어서 확정지었다. 자체 편성 프로그램 이외에는 SBS를 그대로 송출하여 방송하기로 하였다.

3. 1. 1. 보도

TBC의 뉴스 프로그램 문서를 참조하라.

3. 1. 2. 시사/교양

생방송 굿데이 (신상윤, 김명미 아나운서)

https://www.tbc.co.kr/tv/?mid=2_18_23 싱싱! 고향별곡 (한기웅, 이정영)

TBC클리닉 건강365 (김선희 아나운서)

https://www.tbc.co.kr/tv/?mid=2_57_59 열린 TBC (신상윤, 장진영 아나운서)

https://www.tbc.co.kr/tv/?mid=2_120_122 테마스페셜

https://www.tbc.co.kr/tv/?mid=2_54_56 특집 프로그램

3. 1. 3. 문화/생활

3. 1. 4. 연예/오락

전국 톱 10 가요 쇼 (CJB)

3. 1. 5. 스포츠

https://www.tbc.co.kr/tv/?mid=2_39_41 TBC 스포츠 볼링(캐스터 장진영, 해설위원 김영은)은 2000년부터 현재까지 방송되고 있는 최장수 프로그램이다.[8]

3. 2. 라디오 방송 (TBC Dream FM)

SBS와 라디오 방송에 관한 업무제휴 협정을 맺고 1997년 12월 1일 TBC를 개국하였다.[9] 이후 조항산(2001년), 학가산(2008년), 와룡산(2015년)에 중계시설을 설치함에 따라 대구경북 대부분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삼게 되었다. FM라디오 1채널을 운영중이며 대구·경북 전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하고 있다. 현재 약 66%는 SBS 파워FM 프로그램이, 나머지 34% 정도는 드림FM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개국 당시에는 몇달 만 일부 프로그램에서 SBS 파워 FM 전파를 릴레이 받고 1998년 봄개편부터 SBS 파워FM 방송을 송출하지 않고 100% 전체 방송 시간을 모두 TBC에서 자체 제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기로 하였으나 IMF 외환위기로 인하여 경제적 어려움과 당시 TBC 운영 주체인 (주)청구그룹이 법원에 화의 신청을 하였으며 이후 법원의 권유에 따라서 법정관리 신청을 하여 (주)청구그룹이 부도위기에 직면하자 방송국 운영에 어려운 점이 있는 것을 감안하여 1998년 봄 개편 이후에는 SBS와 기본협정을 끊고 라디오는 모든 프로를 TBC 자체 프로로 채운다는 100% 자체편성은 무산되었다. TBC 드림 FM 개국 당시에는 밤 늦은시간과 이른시간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TBC 자체 프로그램만 대부분 방송 되었다. 당시에는 전체 방송시간 중 70%는 TBC 자체 프로그램이 방송되었고 나머지 30%는 SBS에게 전파를 받아 SBS 파워 FM 프로그램이 그대로 방송되었다. IMF 외환위기 이후에는 SBS 러브FM이 개국한 직후부터 2005년까지 TBC 드림 FM으로 SBS 파워FM 프로그램만 방송하지 않고 일부는 SBS 러브FM의 프로그램이 방송 되었으며 한동안 SBS 8 뉴스도 SBS 러브FM과 동일하게 라디오로 수중계 방송 되었으며 SBS의 매 시간 정각 뉴스프로그램 일부도 방송되었다.

송신소주파수공중선 전력호출 부호
팔공산FM 99.3MHz5kWHLDE-FM
학가산FM 106.5MHz500W
와룡산20W
조항산FM 99.7MHz1kW



프로그램명방송 시간진행자비고
오늘은 즐거운 가요!매일 아침 5시 ~ 6시김대진비시즌 한정
돈 워리 비 해피매일 오전 11시 ~ 11시 50분김선희진행 및 연출
TBC 낮 종합뉴스매일 오전 11시 50분 ~ 낮 12시백승열, 김예은
배영서의 유쾌한 12시!매주 월요일~토요일 낮 12시 ~ 오후 2시 / 매주 일요일 낮 12시 ~ 1시배영서
TBC 가요아카데미매주 일요일 낮 1시 ~ 2시
라디오 세상매주 월, 토, 일요일 오후 6시 ~ 8시 / 프로야구 경기가 없는 날 오후 6시 ~ 8시김도휘KBO 시즌 한정
TBC 프로야구매주 화요일 ~ 금요일 저녁 6시 ~ 10시 / 주말 및 공휴일 낮 2시, 저녁 5시, 저녁 6시 (유동적)진행 : 장진영, 중계방송 캐스터 : 김대진, 해설 : 김용국
장예은의 매직? 뮤직!매일 밤 8시 ~ 10시장예은
장진영의 해피드림매일 밤 11시 ~ 12시장진영
조현진의 더 클래식매주 토요일 ~ 일요일 밤 12시 ~ 1시성악가 조현진


3. 2. 1. 편성표

wikitable

프로그램명방송 시간진행자비고
오늘은 즐거운 가요!매일 아침 5시 ~ 6시김대진비시즌 한정
돈 워리 비 해피매일 오전 11시 ~ 11시 50분김선희진행 및 연출
TBC 낮 종합뉴스매일 오전 11시 50분 ~ 낮 12시백승열, 김예은
배영서의 유쾌한 12시!매주 월요일~토요일 낮 12시 ~ 오후 2시 / 매주 일요일 낮 12시 ~ 1시배영서
TBC 가요아카데미매주 일요일 낮 1시 ~ 2시
라디오 세상매주 월, 토, 일요일 오후 6시 ~ 8시 / 프로야구 경기가 없는 날 오후 6시 ~ 8시김도휘KBO 시즌 한정
TBC 프로야구매주 화요일 ~ 금요일 저녁 6시 ~ 10시 / 주말 및 공휴일 낮 2시, 저녁 5시, 저녁 6시 (유동적)진행 : 장진영, 중계방송 캐스터 : 김대진, 해설 : 김용국
장예은의 매직? 뮤직!매일 밤 8시 ~ 10시장예은
장진영의 해피드림매일 밤 11시 ~ 12시장진영
조현진의 더 클래식매주 토요일 ~ 일요일 밤 12시 ~ 1시성악가 조현진


4. 방송 송출 시설망

wikitext


  • 텔레비전
  • * 채널 - Ch. 15 (LCN 6-1)
  • * 개국 - 1995년 5월 14일
  • * 호출 부호 - HLDE-DTV
  • FM 라디오 (드림 FM)
  • * 주파수 - 99.3 MHz (대구, 경주, 구미), 99.7 MHz (포항, 영덕, 울진), 106.5 MHz (안동, 영주, 성서, 지산, 범물)
  • * 개국 - 1997년 12월 1일
  • * 호출 부호 - HLDE-FM

; TBC DMB

  • 호출 부호: HLDE-TDMB

송신소물리 채널 (주파수)공중선 전력
팔공산K-7Cch (178.736MHz)2kW
구지50W
구미90W
상주K-9Cch (190.736MHz)90W
학가산2kW
경주K-7Cch (178.736MHz)90W
조항산2kW
울진90W


4. 1. TV 방송

wikitext

  • 호출부호: HLDE-DTV
  • 가상채널: 6-1

송신소UHDHD송신소 위치
물리채널출력물리채널출력
팔공산 송신소CH 535kWCH 152.5kW경북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산141-5
동곡 소출력colspan=2 rowspan=1 |CH 150.05W경북 청도군 금천면 동곡리
파동 중계소colspan=2 rowspan=1 |CH 4110W대구 수성구 파동 산9-1 법이산
와룡산 중계소colspan=2 rowspan=1 |CH 3890W대구 달서구 이곡동
서재 소출력colspan=2 rowspan=1 |CH 150.05W대구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
논공 소출력colspan=2 rowspan=1 |CH 270.05W대구 달성군 논공읍 북리 803
구지 중계소colspan=2 rowspan=1 |CH 2420W대구 달성군 구지면 화산리 산10 대니산
대합 소출력colspan=2 rowspan=1 |CH 240.05W경남 창녕군 대합면 십이리
구미 중계소colspan=2 rowspan=1 |CH 3990W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94 금오산
김천 중계소colspan=2 rowspan=1 |CH 2920W경북 김천시 신음동 866-1 (달봉산)
상주 중계소colspan=2 rowspan=1 |CH 5020W경북 상주시 만산동 산68
학가산 중계소colspan=2 rowspan=1 |CH 241kW경북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 산69
임동 소출력colspan=2 rowspan=1 |CH 240.05W경북 안동시 임동면 중평리
길안 소출력colspan=2 rowspan=1 |CH 240.05W경북 안동시 길안면 천지리
일월산 중계소colspan=2 rowspan=1 |CH 471kW경북 영양군 청기면 당리 산118
입암 소출력colspan=2 rowspan=1 |CH 470.05W경북 영양군 입암면 산해리
경주 중계소colspan=2 rowspan=1 |CH 2190W경북 경주시 율동 2014 벽도산
조항산 중계소colspan=2 rowspan=1 |CH 412kW경북 포항시 남구 장기면 죽정리 산94-1
이가리 소출력colspan=2 rowspan=1 |CH 410.05W경북 포항시 북구 청하면 이가리
월포 소출력colspan=2 rowspan=1 |CH 410.05W경북 포항시 북구 청하면 월포리
온정 중계소colspan=2 rowspan=1 |CH 2220W경북 울진군 온정면 덕인리 산14
울진 중계소colspan=2 rowspan=1 |CH 2290W경북 울진군 원남면 덕신리 산10 현종산
부구리 소출력colspan=2 rowspan=1 |CH 220.05W경북 울진군 북면 부구리


4. 1. 1. 디지털/UHD TV 방송 송출 시설

wikitext

  • 호출부호: HLDE-DTV
  • 가상채널: 6-1

송신소UHDHD송신소 위치
물리채널출력물리채널출력
팔공산 송신소CH 535kWCH 152.5kW경북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산141-5
동곡 소출력CH 150.05W경북 청도군 금천면 동곡리
파동 중계소CH 4110W대구 수성구 파동 산9-1 법이산
와룡산 중계소CH 3890W대구 달서구 이곡동
서재 소출력CH 150.05W대구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
논공 소출력CH 270.05W대구 달성군 논공읍 북리 803
구지 중계소CH 2420W대구 달성군 구지면 화산리 산10 대니산
대합 소출력CH 240.05W경남 창녕군 대합면 십이리
구미 중계소CH 3990W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94 금오산
김천 중계소CH 2920W경북 김천시 신음동 866-1 (달봉산)
상주 중계소CH 5020W경북 상주시 만산동 산68
학가산 중계소CH 241kW경북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 산69
임동 소출력CH 240.05W경북 안동시 임동면 중평리
길안 소출력CH 240.05W경북 안동시 길안면 천지리
일월산 중계소CH 471kW경북 영양군 청기면 당리 산118
입암 소출력CH 470.05W경북 영양군 입암면 산해리
경주 중계소CH 2190W경북 경주시 율동 2014 벽도산
조항산 중계소CH 412kW경북 포항시 남구 장기면 죽정리 산94-1
이가리 소출력CH 410.05W경북 포항시 북구 청하면 이가리
월포 소출력CH 410.05W경북 포항시 북구 청하면 월포리
온정 중계소CH 2220W경북 울진군 온정면 덕인리 산14
울진 중계소CH 2290W경북 울진군 원남면 덕신리 산10 현종산
부구리 소출력CH 220.05W경북 울진군 북면 부구리


4. 1. 2. 아날로그 TV 방송 송출 시설 (2012년 11월 6일 방송 종료)

wikitable

송신소물리 채널[공중선 전력]
팔공산K-19ch30kW
파동K-35ch50W
압산K-41ch100W
구지K-35ch100W
구미K-35ch500W
상주K-51ch100W
학가산K-21ch10kW
일월산K-57ch500W
경주K-47ch500W
조항산K-22ch10kW


4. 2. 라디오 방송 (TBC Dream FM)

TBC Dream FM은 대구방송에서 운영하는 FM 라디오 방송이다. 1997년 3월 1일 대구, 경주, 구미 지역에서 FM 99.3MHz로 처음 방송을 시작했다. 이후 2001년 3월 1일에는 포항, 영덕, 울진 지역(FM 99.7MHz), 2008년 12월 1일에는 안동, 영주 지역(FM 106.5MHz)으로 방송 권역을 넓혔다. 2015년 5월 10일에는 성서, 지산, 범물 지역에도 FM 106.5MHz로 방송을 시작했다.

SBS 파워FM과 제휴 관계에 있다.

TBC Dream FM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
팔공산 송신소FM 99.3MHz5kWHLDE-FM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산141-5
조항산 송신소FM 99.7MHz1kW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죽정리 산94-1
학가산 송신소FM 106.5MHz500W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 산69
와룡산 중계소FM 106.5MHz100W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 산1


4. 3. 지상파 DMB 방송 (TBC DMB)


  • 텔레비전
  • * 채널 - Ch. 15 (LCN 6-1)
  • * 개국 - 1995년 5월 14일
  • * 호출 부호 - HLDE-DTV
  • FM 라디오 (드림 FM)
  • * 주파수 - 99.3 MHz (대구, 경주, 구미), 99.7 MHz (포항, 영덕, 울진), 106.5 MHz (안동, 영주, 성서, 지산, 범물)
  • * 개국 - 1997년 12월 1일
  • * 호출 부호 - HLDE-FM

; TBC DMB

  • 호출 부호: HLDE-TDMB

송신소물리 채널 (주파수)공중선 전력
팔공산K-7Cch (178.736MHz)2kW
구지50W
구미90W
상주K-9Cch (190.736MHz)90W
학가산2kW
경주K-7Cch (178.736MHz)90W
조항산2kW
울진90W


4. 3. 1. 송출 시설망


  • 텔레비전
  • * 채널 - Ch. 15 (LCN 6-1)
  • * 개국 - 1995년 5월 14일
  • * 호출 부호 - HLDE-DTV
  • FM 라디오 (드림 FM)
  • * 주파수 - 99.3 MHz (대구, 경주, 구미), 99.7 MHz (포항, 영덕, 울진), 106.5 MHz (안동, 영주, 성서, 지산, 범물)
  • * 개국 - 1997년 12월 1일
  • * 호출 부호 - HLDE-FM

; TBC DMB

  • 호출 부호: HLDE-TDMB

송신소물리 채널 (주파수)공중선 전력
팔공산K-7Cch (178.736MHz)2kW
구지50W
구미90W
상주K-9Cch (190.736MHz)90W
학가산2kW
경주K-7Cch (178.736MHz)90W
조항산2kW
울진90W


5. 사가

민족의 정기어린 팔공산 높이
우리 함께 손잡고 밝혀든 횃불
내 고장 내 조국 밝은 내일 향하여
새역사 창조하리 빛의 큰 울림

아름다운 낙동강 꿈꾸는 여기
우리 함께 뜻모아 드높은 기상
신나고 풍요로운 밝은 사회 향하여
민족 문화 꽃 피우리 빛의 큰 울림

우리 방송 TBC 우리 방송 TBC 세계의 방송
찬란하게 빛나리라 그 이름 TBC

1997년 12월 1일부터 현재까지 TBC Dream FM 방송시작멘트에 TBC 대구방송의 사가로 사용되고 있다.

6. 조직

TBC는 보도, 편성제작, 기술, 경영정책, 사업 등 다양한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TBC의 주요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 아나운서: 신상윤, 김선희, 김도휘, 장진영, 김명미, 백승열, 이향원, 박수연, 김예은, 이혜주
  • 기상캐스터: 이현정, 서문형
  • 진행자, 리포터, DJ: 한기웅, 이정영, 배영서, 강경석, 김철원, 김종식, 문채희, 조수아, 이주영, 장예은, 김건영, 김대진, 예나, 이도현, 홍선미, 이나래
  • 해설위원:
  • 삼성 라이온즈 프로야구 해설위원: 김용국
  • 볼링 해설위원: 김영은
  • 보도국
  • 보도국장: 박철희
  • 편집부: 이지원 부장
  • 정치경제부: 이혁동 부장, 김용우, 박영훈, 이종웅, 김낙성, 박정
  • 사회부: 권준범 부장, 한현호, 안상혁, 정진명, 박가영
  • 기획탐사: 서은진, 남효주
  • 영상취재팀장: 강중구
  • 카메라 기자: 김덕래, 김태영, 이상호, 신경동, 최상보, 김명수, 권기현, 김유진, 고대승, 김남용, 김영상, 변형일, 노태희, 김도윤
  • 지사
  • 서울지사: 황상현 지사장, 현경아 카메라 기자
  • 경북지사: 정성욱 지사장, 김영환 카메라 기자
  • 동부지사: 양병운 지사장
  • 중부지사: 정석헌 지사장
  • 편성제작국
  • 편성제작국장: 권순철
  • PD: 김영준, 김승규, 김실화, 박진홍, 박원달, 전병준, 전유형, 조성원, 신서연, 이학락, 최창욱, 황재섭
  • 영상미술팀: 영상미술팀장 - 이동근
  • 카메라맨: 서혁수, 박대원, 장태식, 최수원, 채재윤
  • CG: 곽호기, 변형일
  • 세트: 노성국, 한경수
  • 기술국
  • 기술국장: 김형기
  • 송출기술팀: 권용직, 김기현, 김병길, 김영동, 김인수, 조순환, 석성진, 신규봉, 이동훈, 이민석, 이승목, 정병철, 천대성
  • 제작기술팀: 김성희, 김진호, 김철남, 김항석, 박병현, 박종필, 방호영, 윤찬, 우인성, 이윤원, 이준영, 이윤식
  • 경영정책국장: 신규봉
  • 사업국장: 김용운
  • 팀원: 김대식, 조하일
  • 한국수어: 류정은, 하승미

6. 1. 주요 구성원

TBC의 주요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 아나운서: 신상윤, 김선희, 김도휘, 장진영, 김명미, 백승열, 이향원, 박수연, 김예은, 이혜주
  • 기상캐스터: 이현정, 서문형
  • 진행자, 리포터, DJ: 한기웅, 이정영, 배영서, 강경석, 김철원, 김종식, 문채희, 조수아, 이주영, 장예은, 김건영, 김대진, 예나, 이도현, 홍선미, 이나래
  • 해설위원:
  • 삼성 라이온즈 프로야구 해설위원: 김용국
  • 볼링 해설위원: 김영은
  • 보도국
  • 보도국장: 박철희
  • 편집부: 이지원 부장
  • 정치경제부: 이혁동 부장, 김용우, 박영훈, 이종웅, 김낙성, 박정
  • 사회부: 권준범 부장, 한현호, 안상혁, 정진명, 박가영
  • 기획탐사: 서은진, 남효주
  • 영상취재팀장: 강중구
  • 카메라 기자: 김덕래, 김태영, 이상호, 신경동, 최상보, 김명수, 권기현, 김유진, 고대승, 김남용, 김영상, 변형일, 노태희, 김도윤
  • 지사
  • 서울지사: 황상현 지사장, 현경아 카메라 기자
  • 경북지사: 정성욱 지사장, 김영환 카메라 기자
  • 동부지사: 양병운 지사장
  • 중부지사: 정석헌 지사장
  • 편성제작국
  • 편성제작국장: 권순철
  • PD: 김영준, 김승규, 김실화, 박진홍, 박원달, 전병준, 전유형, 조성원, 신서연, 이학락, 최창욱, 황재섭
  • 영상미술팀: 영상미술팀장 - 이동근
  • 카메라맨: 서혁수, 박대원, 장태식, 최수원, 채재윤
  • CG: 곽호기, 변형일
  • 세트: 노성국, 한경수
  • 기술국
  • 기술국장: 김형기
  • 송출기술팀: 권용직, 김기현, 김병길, 김영동, 김인수, 조순환, 석성진, 신규봉, 이동훈, 이민석, 이승목, 정병철, 천대성
  • 제작기술팀: 김성희, 김진호, 김철남, 김항석, 박병현, 박종필, 방호영, 윤찬, 우인성, 이윤원, 이준영, 이윤식
  • 경영정책국장: 신규봉
  • 사업국장: 김용운
  • 팀원: 김대식, 조하일
  • 한국수어: 류정은, 하승미

7. 소재지

본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23 (두산동)에 위치해 있다. 서울지사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396 (화곡동) ㈜귀뚜라미빌딩 TBC서울방송센터에 있다.

동부지사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포스코대로 329 (상도동) 대구은행 건물에 위치해 있으며, 북부지사는 경상북도 안동시 송하2길 49-16 (송현동)에 있다.

7. 1. 본사·지사

본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23 (두산동)에 위치해 있다. 서울지사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396 (화곡동) ㈜귀뚜라미빌딩 TBC서울방송센터에 있다.

동부지사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포스코대로 329 (상도동) 대구은행 건물에 위치해 있으며, 북부지사는 경상북도 안동시 송하2길 49-16 (송현동)에 있다.

8. 재무 현황

2021년도 기준 TBC의 매출액은 428억원, 매출원가는 303억, 판매비와 일반관리비가 82억이었다. 이에 영업이익은 43억원의 흑자가 발생하였으며, 세전이익은 59억원을 달성하였고, 법인세등을 제외한 당기순이익은 46억의 흑자를 기록하였다.

TBC의 매출액 규모는 428억원으로 전국 9개 지역민방 중 부산경남 대표채널 KNN (舊 PSB 부산방송)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TBC의 매출은 방송 광고가 83.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프로그램 판매는 1.7%를 차지하고 있다. 티켓 판매 등을 포함한 문화 사업 부문의 매출은 14.9%이다.

8. 1. 부문별 매출 비율

TBC의 매출은 방송 광고가 83.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프로그램 판매는 1.7%를 차지하고 있다. 티켓 판매 등을 포함한 문화 사업 부문의 매출은 14.9%이다.

9. 해외 방송국 제휴 현황

TBC는 미국의 KCOP-TV, 일본의 히로시마 홈 TV/広島ホームテレビ일본어[4], 중국의 선양 방송/沈阳广播电视台중국어[5]과 제휴 관계에 있다. 과거 일본의 TV 아사히, 중국의 CCTV, 미국의 UPN과도 제휴한 적이 있었으나, 히로시마 홈 TV 및 선양 방송과의 제휴, UPN의 폐국으로 인해 현재는 제휴 관계가 종료되었다.[4][5]

10. 비판 및 논란

참조

[1] 뉴스 TBC 대구방송 FM라디오 방송 본격 개시 https://mk.co.kr/amp[...] Maeil Business Daily
[2] 웹사이트 HD 디지털 방송 시작 - 메인뉴스 자료 http://www.tbc.co.kr[...]
[3] 뉴스 '대구방송, 창사 20주년 맞아 TBC로 사명 변경' - 연합뉴스 2015.5.14.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5-14
[4] 웹인용 TBC, 히로시마 홈TV와 제휴협정 체결 https://www.imaeil.c[...] 매일신문 1997-04-29
[5] 웹인용 지역방송가-'아름다운 대구.경북을 만듭시다' TBC 2004 방송주제 https://www.imaeil.c[...] 매일신문 2004-01-02
[6] 문서 SBS 8 뉴스 편성 관련 내용 2023-12-31 # 추정 날짜. 정리 필요 문단에 포함된 날짜를 사용
[7] 문서 TBC 방송 편성 관련 내용 (매일, 영남, 대구, 경북매일 신문 기사 참조)
[8] 문서 TBC 볼링 프로그램 변경 이력
[9] 문서 SBS 파워 FM과의 네트워크 제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