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가요대축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 가요대축제는 1965년 TBC 방송가요대상으로 시작하여, 1980년 언론 통폐합 이후 KBS로 통합되면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6년부터는 시상식 없이 축제 형식으로 전환되었으며, 2023년부터는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로, 2024년부터는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 KBS 가요대축제 글로벌 페스티벌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연말 한국 음악계의 주요 행사 중 하나로, MBC 가요대제전, SBS 가요대전 등과 경쟁하며, KBS 2TV와 KBS 월드를 통해 생방송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BS 가요대축제 - KBS 가요대상
KBS 가요대상은 KBS에서 주최했던 가요 시상식이며, 1981년부터 2005년까지 개최되어 역대 MC와 수상자 목록을 제공한다. - 한국방송공사의 음악 프로그램 - 가요무대
가요무대는 1985년 시작된 KBS 1TV의 장수 음악 프로그램으로, 중장년층에게 흘러간 노래와 트로트를 통해 향수와 추억을 되살리고 국내외 교포 공연을 통해 소통하며, 김동건 아나운서를 비롯한 진행자들과 악단장들이 이끌어 왔으며, 대표곡을 포함한 다양한 노래와 2013년 KBS 연예대상 특집 프로그램상 수상 등이 특징이다. - 한국방송공사의 음악 프로그램 - 불후의 명곡
불후의 명곡은 KBS 2TV에서 방송되는 음악 경연 프로그램으로, 2011년 시작하여 독립 편성 후 아이돌 중심에서 실력파 가수 중심으로 변화, 음원 공개 시작, 프로그램 이름 변경 등의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다양한 진행자와 출연진, 변화하는 경연 방식으로 인기를 얻고 KBS 연예대상에서 수상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음악제 -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제천국제음악영화제는 영화, 음악, 특별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매년 개최되는 대한민국의 음악 영화제이다. - 대한민국의 음악제 - 월드 DJ 페스티벌
월드 DJ 페스티벌은 2007년 하이서울페스티벌의 일부로 시작되어 매년 개최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전자 음악 축제로서, DJ 공연과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국내외 유명 DJ들이 참여하며, 팬데믹 이후 새로운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KBS 가요대축제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음악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방송 채널 | 동양방송 (1965–1980) KBS 1TV (1981–1994) KBS 2TV (1995–현재) KBS 월드 (2003–현재) |
첫 방송 | 1965년 |
마지막 방송 | 현재 |
관련 항목 | 2021 KBS 송 페스티벌 2022 KBS 송 페스티벌 |
제작 정보 | |
방송사 | 동양방송 (1965–1980) 한국방송공사 (1981–현재) |
명칭 | |
한국어 | KBS 가요대축제 |
한자 | KBS 歌謠大祝祭 |
로마자 표기 | KBS Gayo Daechukje |
기타 | |
주최 | KBS 예능본부 |
장소 | 서울 여의도 KBS홀 |
시간 | 매년 12월 셋째 주 금요일 |
방송사 | KBS 2TV KBS WORLD (전 세계) |
2. 역사
KBS 가요대축제는 1965년 동양방송(TBC)에서 신설된 《'''TBC 방송가요대상'''》이 그 시초이다.[1]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TBC가 한국방송공사(KBS)에 인수 합병되면서, 1981년 《'''KBS 가요대상'''》으로 변경되었다.[5]
KBS 1TV를 통해 매년 12월 30일에 방송되었으나, 1994년 KBS 1TV가 광고를 폐지하면서 KBS 2TV로 옮겨 방송되었다.
1986년까지는 남자가수상과 여자가수상을 선정하였고, 1987년부터 한 팀의 가수에게 대상을 주는 방식으로 바뀌었다.[4]
2005년까지 시상식이 열렸으나, 심사 기준의 모호성과 2003년, 2004년 시상 결과의 불공정성 논란 때문에[39] 2006년부터 《'''KBS 가요대축제'''》로 이름을 바꾸고 시상식 형태를 없앴다.[2]
2007년 남성팀과 여성팀의 대결,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시청자 문자 투표로 '최고 인기 가요상'/'올해의 노래상'을 선정하여 시상하는 등 변화를 겪었다. 2013년 '올해의 노래상'을 마지막으로 시상 제도는 완전히 없어졌다.
2023년부터는 K팝의 세계적인 인기를 반영하여 뮤직뱅크의 글로벌 버전인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다.[38]
역대 | 타이틀 | 방송 기간 |
---|---|---|
1대 | TBC 방송가요대상 | 1965년 ~ 1980년 |
2대 | KBS 방송음악대상 | 1981년 |
3대 | KBS 가요대상 | 1982년 ~ 2005년 |
4대 | KBS 가요대축제 | 2006년 ~ 2022년 |
5대 |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 | 2023년 |
6대 |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 KBS 가요대축제 글로벌 페스티벌 | 2024년 ~ 현재 |
2. 1. TBC 방송가요대상 (1965년 ~ 1980년)
KBS 가요대축제는 동양방송(TBC)에서 1965년에 '''TBC 방송가요대상'''으로 시작했다.[1] 첫 번째 대상은 최희준이 <팔도강산>으로 수상했다. 1966년부터는 남녀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하기 시작했다.[4]1980년 언론 통폐합 이전까지 TBC 방송가요대상의 역대 수상자 및 수상곡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수상자 | 수상곡 |
---|---|---|
1965년 | 최희준 | <팔도강산> |
1966년 | 최희준, 최양숙 | <하숙생> |
1967년 | 최희준, 김상희 | |
1968년 | 배호, 이미자 | |
1969년 | 남진, 이미자 | <가슴 아프게>, <여자의 일생> |
1970년 | 최희준, 이미자 | |
1971년 | 남진, 김상희 | <마음이 고와야지> |
1972년 | 나훈아, 하춘화 | |
1973년 | 남진, 하춘화 | <그대여 변치마오>, <영암 아리랑> |
1974년 | 김세환, 하춘화 | <옛 친구>, <난생처음> |
1975년 | 김세환, 이수미 | <사랑하는 마음>, <내 곁에 있어주> |
1976년 | 김훈, 하춘화 | <나를 두고 아리랑>, <대관령 아리랑> |
1977년 | 김훈, 혜은이 | <당신만을 사랑해> |
1978년 | 최헌, 이은하 | <오동잎>, <밤차> |
1979년 | 조경수, 이은하 | <행복이란>, <아리송해> |
1980년 | 조용필, 윤시내 | <창밖의 여자>, <열애> |
2. 2. KBS 가요대상 (1981년 ~ 2005년)
KBS 가요대상은 1965년 신설된 동양방송(TBC)의 《TBC 방송가요대상》에서 시작되었다.[1]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TBC가 KBS로 인수 합병되면서, 1981년부터 《KBS 가요대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5]1986년까지는 남자가수상과 여자가수상을 선정하였으며, 1987년부터는 한 명(팀)의 가수에게 대상을 수여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4]
다음은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남녀 가수상 수상자 목록이다.
개최 연도 | 대상 수상자 / 곡목 | 신인상 | |
---|---|---|---|
남자 가수상 | 여자 가수상 | ||
1982년 | 조용필 - 비련 | 윤시내 - DJ에게 | 남자 - 이명훈 여자 - 김성희 |
1983년 | 조용필 - 나는 너 좋아 | 윤시내 - 공부합시다 | 남자 - 정광태 여자 - 정수라 |
1984년 | 김수철 - 못다 핀 꽃 한 송이 | 이은하 - 사랑 한번 못해본 사람은 | 남자 - 임병수 여자 - 이선희 |
1985년 | 조용필 - 그대여 | 정수라 - 도시의 거리 | 남자 - 김범룡 여자 - 주현미 |
1986년 | 전영록 - 내 사랑 울보 | 정수라 - 난 너에게 | 남자 - 이재성 여자 - 김완선 |
다음은 1987년부터 2005년까지의 대상 수상자 목록이다.
개최 연도 | 대상 수상자 / 곡목 | 신인상 |
---|---|---|
1987년 | 전영록 - 하얀 밤에 | 수와 진 |
1988년 | 주현미 - 비에 젖은 터미널 | 이지연 |
1989년 | 현철 - 봉선화 연정 | 남자 - 김상아 여자 - 조갑경 |
1990년 | 현철 - 싫다 싫어 | 남자 - 김민우 여자 - 박성신 |
1991년 | 김정수 - 당신 | 남자 - 심신 여자 - 윤익희 |
1992년 | 신승훈 - 보이지 않는 사랑 | 92년부터 신인상 폐지 |
1993년 | 김수희 - 애모 | |
1994년 | 김건모 - 핑계 | |
1995년 | 김건모 - 잘못된 만남 | |
1996년 | 김건모 - 스피드 | |
1997년 | 임창정 - 그때 또 다시 | |
1998년 | H.O.T. - 빛 | |
1999년 | 조성모 - 슬픈 영혼식 | |
2000년 | god - 거짓말 | |
2001년 | god - 길 | |
2002년 | 장나라 - Sweet Dream | |
2003년 | 이효리 - 10Minute | |
2004년 | 비 - It's Rainning | |
2005년 | 김종국 - 사랑스러워 |
2005년을 마지막으로 KBS 가요대상 시상식은 폐지되었고, 2006년부터 《KBS 가요대축제》로 명칭이 변경되어 시상식 형태가 아닌 음악 축제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다.[2]
2. 3. KBS 가요대축제 (2006년 ~ 2022년)
2005년까지 매년 개최되던 KBS 가요대상은 심사 기준의 모호성과 2003년, 2004년 시상 결과에 대한 불공정 논란으로 인해,[39] 2006년부터 《'''KBS 가요대축제'''》로 명칭을 변경하고 시상식 형태를 폐지하였다.2006년 이후, 2007년에는 남성팀과 여성팀의 대결 (남성팀 승리)이 펼쳐졌고, 2009년부터는 시청자 문자 투표로 '최고 인기 가요상'을 선정하여 시상하였다. 2011년에는 '올해의 노래상'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사전 점수 60% + 생방송 문자 투표 40% 반영) 시상하였으나, 2012년에 폐지되었다. 2013년에는 '올해의 노래상'으로 명칭을 다시 바꾸어 100% 투표를 통해 시상하였다.
2014년부터는 시상 제도가 완전히 폐지되었다.
개최 연도 | 수상자 / 곡목 |
---|---|
2009년 | 2PM - Again & Again |
2010년 | 소녀시대 - Oh! |
2011년 | 비스트 - Fiction |
2012년 | 싸이 - 강남 스타일 |
2013년 | EXO - 으르렁 |
2. 4.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 (2023년 ~ 현재)
2023년, KBS는 K팝의 세계적인 인기를 반영하여 기존 가요대축제를 발전적으로 해소하고, 음악 프로그램인 뮤직뱅크의 글로벌 버전인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38] 이는 단순한 연말 가요제를 넘어, K팝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음악 축제로의 확장을 의미한다.같은 해,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은 일본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의 벨루나 돔과 대한민국 서울의 KBS홀에서 각각 개최되었다.[38]
3. 역대 시상 및 수상 내역
KBS 가요대축제는 1981년부터 시작된 연말 가요 시상식 프로그램이다. 초기에는 남녀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했으나, 이후 통합 대상 형태로 변경되었다. 2009년부터는 '최고 인기 가요상', 2011년부터는 '올해의 노래상'이라는 명칭으로 시상하였으나, 2014년부터 시상식 제도가 폐지되었다.
역대 대상 수상자 및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개최년도 | 대상 수상자 / 곡목 | 신인상 | |
---|---|---|---|
남자 가수상 | 여자 가수상 | ||
1982년 | 조용필 - 비련 | 윤시내 - DJ에게 | 남자 - 이명훈 여자 - 김성희 |
1983년 | 조용필 - 나는 너 좋아 | 윤시내 - 공부합시다 | 남자 - 정광태 여자 - 정수라 |
1984년 | 김수철 - 못다 핀 꽃 한 송이 | 이은하 - 사랑 한번 못해본 사람은 | 남자 - 임병수 여자 - 이선희 |
1985년 | 조용필 - 그대여 | 정수라 - 도시의 거리 | 남자 - 김범룡 여자 - 주현미 |
1986년 | 전영록 - 내 사랑 울보 | 정수라 - 난 너에게 | 남자 - 이재성 여자 - 김완선 |
개최년도 | 대상 수상자 / 곡목 | 신인상 |
---|---|---|
1987년 | 전영록 - 하얀 밤에 | 수와 진 |
1988년 | 주현미 - 비에 젖은 터미널 | 이지연 |
1989년 | 현철 - 봉선화 연정 | 남자 - 김상아 여자 - 조갑경 |
1990년 | 현철 - 싫다 싫어 | 남자 - 김민우 여자 - 박성신 |
1991년 | 김정수 - 당신 | 남자 - 심신 여자 - 윤익희 |
1992년 | 신승훈 - 보이지 않는 사랑 | 92년부터 신인상 폐지 |
1993년 | 김수희 - 애모 | |
1994년 | 김건모 - 핑계 | |
1995년 | 김건모 - 잘못된 만남 | |
1996년 | 김건모 - 스피드 | |
1997년 | 임창정 - 그때 또 다시 | |
1998년 | H.O.T. - 빛 | |
1999년 | 조성모 - 슬픈 영혼식 | |
2000년 | god - 거짓말 | |
2001년 | god - 길 | |
2002년 | 장나라 - Sweet Dream | |
2003년 | 이효리 - 10Minute | |
2004년 | 비 - It's Rainning | |
2005년 | 김종국 - 사랑스러워 |
3. 1. 역대 대상 수상자
개최년도 | 대상 수상자 / 곡목 | 신인상 | |
---|---|---|---|
남자 가수상 | 여자 가수상 | ||
1982년 | 조용필 - 비련 | 윤시내 - DJ에게 | 남자 - 이명훈 여자 - 김성희 |
1983년 | 조용필 - 나는 너 좋아 | 윤시내 - 공부합시다 | 남자 - 정광태 여자 - 정수라 |
1984년 | 김수철 - 못다 핀 꽃 한 송이 | 이은하 - 사랑 한번 못해본 사람은 | 남자 - 임병수 여자 - 이선희 |
1985년 | 조용필 - 그대여 | 정수라 - 도시의 거리 | 남자 - 김범룡 여자 - 주현미 |
1986년 | 전영록 - 내 사랑 울보 | 정수라 - 난 너에게 | 남자 - 이재성 여자 - 김완선 |
- 1986년 가요대상까지 남녀부문으로 시상하였다.
개최년도 | 대상 수상자 / 곡목 | 신인상 |
---|---|---|
1987년 | 전영록 - 하얀 밤에 | 수와 진 |
1988년 | 주현미 - 비에 젖은 터미널 | 이지연 |
1989년 | 현철 - 봉선화 연정 | 남자 - 김상아 여자 - 조갑경 |
1990년 | 현철 - 싫다 싫어 | 남자 - 김민우 여자 - 박성신 |
1991년 | 김정수 - 당신 | 남자 - 심신 여자 - 윤익희 |
1992년 | 신승훈 - 보이지 않는 사랑 | 92년부터 신인상 폐지 |
1993년 | 김수희 - 애모 | |
1994년 | 김건모 - 핑계 | |
1995년 | 김건모 - 잘못된 만남 | |
1996년 | 김건모 - 스피드 | |
1997년 | 임창정 - 그때 또 다시 | |
1998년 | H.O.T. - 빛 | |
1999년 | 조성모 - 슬픈 영혼식 | |
2000년 | god - 거짓말 | |
2001년 | god - 길 | |
2002년 | 장나라 - Sweet Dream | |
2003년 | 이효리 - 10Minute | |
2004년 | 비 - It's Rainning | |
2005년 | 김종국 - 사랑스러워 |
- 2006년에는 기타리스트 신중현이 공로상을 수상했다.
- 2007년에는 남녀가수들의 대결로 남성팀이 118,500표, 여성팀이 58,095표로 남성팀이 우승을 차지했다.
- 2009년부터 '최고 인기 가요상'이라는 명칭으로 시상하였고, 2011년부터 '올해의 노래상'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2011년 기준 집계 방법 - 사전 점수 60% + 시청자들의 생방송 문자 투표 40%)
- 2014년부터는 시상식 제도 폐지.
3. 2. 역대 공식 MC
연도 | 진행자 | 참고 |
---|---|---|
2006 | 한석준, 황수경 | [9] |
2007 | 한석준, 황수경, 손범수 | |
2008 | 한석준, 황수경, 박사임 | |
2009 | 한석준, 황수경, 김경란 | |
2010 | 한석준, 박은영, 전현무 | [10] |
2011 | 이휘재, 박사임, 전현무 | [11] |
2012 | 성시경, 윤아 (소녀시대), 정용화 (씨엔블루) | [12] |
2013 | 이휘재, 수지 (미쓰에이), 윤시윤 | |
2014 | 이휘재, 윤아 (소녀시대), 택연 (2PM) | [13] |
2015 | 이휘재, 하니 (EXID), 택연 (2PM) | [14] |
2016 | 박보검, 설현 (AOA) | [15] |
2017 | 1부: 진 (방탄소년단), 사나 (트와이스), 찬열 (EXO), 아이린 (레드벨벳) 2부: 민규 (세븐틴), 솔라 (마마무), 강다니엘, 예린 (여자친구) | [16][17] |
2018 | 찬열 (EXO), 다현 (트와이스), 진 (방탄소년단) | [18] |
2019 | 신동엽, 아이린 (레드벨벳), 진영 (GOT7) | [19] |
2020 | 유노윤호 (동방신기), 차은우 (아스트로), 신예은 | [20] |
2021 | 차은우 (아스트로), 설현 (AOA), 로운 | [21][22][23] |
2022 | 나인우, 장원영 (IVE), 김신영 | [24][25] |
2023 | 1부: 로운, 장원영 (IVE) 2부: 로운, 고민시, 이영지 | [26] |
2024 | 일본: 문상민, 신예은, 홍은채 (LE SSERAFIM) 한국: 지코, 장원영 (IVE), 김영대 | [27] |
3. 3. 역대 출연진
연도 | 참가자 | 참고 |
---|---|---|
2011 | 2PM, 포미닛, 비스트, 빅뱅, 클로버, 씨엔블루, 다비치, f(x), 소녀시대, 인피니트, 아이유, 김현중, 이승기, 엠블랙, 미쓰에이, 시크릿, 씨스타, 슈퍼주니어, 티아라, 동방신기, 유키스, 원더걸스 | [11] |
2012 | 2PM, 에일리, B1A4, 비스트, 빅뱅, 씨엔블루, 다이나믹 듀오, 인피니트, 케이윌, 카라, 미쓰에이, 시크릿, 씨스타, 샤이니, 슈퍼주니어, 티아라, 틴탑, 동방신기, 이효리 | [28] |
2013 | 소녀시대, 샤이니, EXO, 아이유, 인피니트, 비스트, 2PM, 미쓰에이, 포미닛, 카라, 씨스타, 케이윌, 틴탑, 보이프렌드, 걸스데이, 에이핑크, 에일리, 이승철, 유희열, 시크릿, 다이나믹 듀오, 허각, 크레용팝 | [29] |
2014 | 2PM, 에일리, AOA, 에이핑크, B1A4, 비스트, 블락비, 방탄소년단, 씨엔블루, EXO, 플라이 투 더 스카이, 걸스데이, 소녀시대, 임창정, 인피니트, 산이 & 레이나, 시크릿, 씨스타, 소유 & 정기고, 빅스 | [13] |
2015 | 에일리, AOA, 에이핑크, B1A4, 비투비, 방탄소년단, 씨엔블루, EXID, EXO, GFriend, 소녀시대, 갓세븐, 인피니트, 마마무, 노을, 레드벨벳, 샤이니, 빅스, 홍경민, 문명진, 황치열, 알리, 손승연, Crush, 다이나믹 듀오, 자이언티, 김창완 밴드 | [30] |
2016 | AOA, B.A.P, 비투비, 방탄소년단, 씨엔블루, EXID, EXO, GFriend, 갓세븐, 한동근, 아이오아이, 인피니트, 정은지, 마마무, 몬스타엑스, 레드벨벳, 세븐틴, 샤이니, 태연, 트와이스, 빅스, 다비치, 엄정화, 황치열, 전인권, 신화, 아스트로, 우주소녀, 라붐, NCT Dream, 오마이걸, 업텐션 | [31] |
2017 | 방탄소년단, EXO, GFriend, 황치열, 현아, 마마무, 레드벨벳, 세븐틴, 트와이스, 워너원, 더 유닛 참가자 | [6] |
2018 | 10cm, 에이핑크, AOA, 비투비, 방탄소년단, 셀럽파이브, 청하, 우주소녀, 데이식스, EXO, GFRIEND, (여자)아이들, 갓세븐, 황치열, 김연자, 러블리즈, 모모랜드, 몬스타엑스, NCT, 노라조, 뉴이스트 W, 오마이걸, 레드벨벳, 로이 킴, 세븐틴, 스트레이 키즈, 선미, 더보이즈, 트와이스, 빅스, 워너원, 용준형, 효연 | [7] |
2019 | 에이핑크, 아스트로, 방탄소년단, 청하, 우주소녀, 에버글로우, GFriend, 골든차일드, 갓세븐, ITZY, 마마무, 몬스타엑스, 엔플라잉, NCT 127, NCT Dream, 뉴이스트, 오마이걸, 레드벨벳, 세븐틴, 송가인, 스트레이 키즈, 더보이즈, 트와이스,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32] |
2020 | 방탄소년단, 태민, 트와이스, 갓세븐, 마마무, 몬스타엑스, 박진영, 선미, NCT, 뉴이스트, 오마이걸, 폴 킴, GFriend, 아스트로, 스트레이 키즈, (여자)아이들, 김연자, 설운도, 제시, 아이즈원, 더보이즈, 모모랜드, 투모로우바이투게더, ITZY, 에스파, 엔하이픈 | [33] |
2021 | 레드벨벳, 오마이걸, 강다니엘, 더보이즈, 스트레이 키즈, ITZY,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엔하이픈, 에스파, EXO, 이무진, 세븐틴, 선미, 뉴이스트, 아스트로, 브레이브 걸스, NCT U, SF9, 김우석, 스테이씨, IVE | [34][35] |
2022 | 코요태, 보아, 김우석, NCT 127, NCT Dream, 펜타곤, 더보이즈, 프로미스나인, 포레스텔라, 스트레이 키즈, (여자)아이들, 에이티즈, 최예나, 원어스, ITZY,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스테이씨, 에스파, 엔하이픈, IVE, 케플러, 엔믹스, 르세라핌, 뉴진스 | [36] |
2023 | Part 1: 선미, 화사, 영케이, NCT 127, NCT Dream, 프로미스나인, (여자)아이들, 원어스, 투모로우바이투게더, 크래비티, 에스파, IVE, Xdinary Heroes, H1-KEY, 싸이커스, 제로베이스원, 라이즈, 판타지 보이즈 | [26] |
2024 | 일본: 스트레이 키즈, 에이티즈, 웨이션브이, ITZY,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스테이씨, INI, 트렌드지, H1-KEY, 엔믹스, 르세라핌, 뉴진스, 싸이커스, 제로베이스원, 4. 논란 및 사건 사고
KBS 가요대축제는 1981년 시작된 이래 여러 논란과 사건 사고를 겪었다. 2005년까지 매년 시상식을 개최했으나, 심사 기준의 모호성과 불공정한 시상 결과에 대한 비판으로[39] 2006년부터 시상식 형태를 폐지하고 《KBS 가요대축제》로 명칭을 변경했다. 4. 1. 2019년 사건2019년 12월 27일, 걸그룹 에이핑크의 무대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여 큰 논란이 되었다. 에이핑크 멤버들이 대기실 난방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고, 예정된 무대가 갑작스럽게 편집되는 등 석연치 않은 상황이 벌어졌다.[40] KBS 측은 입장 문제였다고 해명했지만, 방탄소년단에게는 6곡이나 할당하는 등 형평성에 어긋나는 모습을 보여 후진국 방송사의 전형적인 행태라는 비판을 받았다.[40]4. 2. 일본 개최 논란2023년 7월 19일, KBS가 '2023 KBS 가요대축제'를 일본에서 개최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국내 여론은 즉각 비판했다. KBS 청원 게시판에는 일본 개최에 반대하는 청원이 빗발쳤다.[40] 이러한 비판에도 KBS는 8월 1일 일본 현지 개최를 확정했다. 그러나 국내 팬들의 반발을 의식한 듯, 12월 16일 한국에서도 추가 개최하여 일주일 간격으로 두 번의 행사를 치르기로 했다.KBS 예능본부의 한경천 센터장은 "K-POP의 세계적 인기에 부응하고, 정부의 K-POP 문화 관광 활성화 정책에 발맞추기 위해" 일본 개최를 추진한다고 해명했다.[41] 그러나 이러한 해명은 오히려 국내 팬들의 분노를 더욱 키웠다. 당초 KBS는 12월 9일 일본 사이타마현 베루나 돔에서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을, 12월 15일 KBS 여의도홀에서 '2023 KBS 가요대축제'를 개최할 예정이었다. 이후 '2023 KBS 가요대축제'는 '2023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부는 KBS 여의도홀에서 생방송, 2부는 12월 9일 일본 베루나 돔에서 사전 녹화 후 12월 16일에 방송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KBS는 방송 후 2024년 1월 26일부터 일본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를 통해 VOD 콘텐츠를 독점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대한민국에서 정식 서비스되지 않는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시청자들의 보편적 시청권을 침해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결국 KBS는 12월 17일 스페셜 방송 이후 12월 18일부터 KBS 홈페이지에서 풀 버전과 스페셜 버전 다시보기를 제공하기로 했다. 2024년에도 KBS는 한국과 일본에서 가요대축제를 개최할 계획을 세웠다. 5월 21일 스포츠조선의 보도에 따르면, 12월 14일~12월 15일은 일본 후쿠오카, 12월 20일은 서울 고척 스카이돔이 유력한 개최지로 거론되었다.[40] 그러나 KBS 예능본부 측은 "아직 최종 확정된 바 없다"라고 밝혔다.[41] 9월 4일, '2024 MUSIC BANK GLOBAL FESTIVAL in JAPAN' 공식 계정에는 일별 아티스트 라인업이 정식 게재됐다.[42] 5. 방송 채널
1965년부터 1980년까지 TBC TV에서 방송되었으며,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TBC가 KBS로 인수 합병되면서 1981년부터 1993년까지 KBS 1TV에서 방송되었다.[1] 1994년부터는 KBS 2TV에서 방송되고 있다.[5]
6. 경쟁 프로그램
KBS 가요대축제는 SBS 가요대전, MBC MBC 가요대제전과 함께 연말 한국 음악계의 대형 이벤트로 성장했다.[37] 참조
[1]
뉴스
TBC 방송가요대상 시상
https://www.joongang[...]
1967-09-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2025. 8. 14. 오전 11:14:00 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