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BS대전방송총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대전방송총국은 1943년 조선방송협회 대전방송국으로 개국하여, 198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6.25 전쟁 중에는 임시중앙방송국 역할을 수행했으며, 196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쳐 시설 확충 및 방송 권역을 넓혔다. 현재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KBS 뉴스, 지역 프로그램, 음악 프로그램 등을 제작한다. 편성제작팀, 보도팀, 기술팀, 총무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주, 홍성 지역에 사업소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지상파 방송국 - 대전문화방송
    대전문화방송은 대전광역시를 가시청권으로 하는 MBC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4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여 1971년 대전텔레비전방송을 통합했으며, 현재 TV, 라디오,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지상파 방송국 - MBC충북
    MBC충북은 충청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MBC의 지역 방송국으로, 청주시와 충주시에 방송국을 두고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대전문화방송과 함께 충청권 지상파 DMB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세종특별자치시 지상파 방송국 - 대전문화방송
    대전문화방송은 대전광역시를 가시청권으로 하는 MBC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4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여 1971년 대전텔레비전방송을 통합했으며, 현재 TV, 라디오,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세종특별자치시 지상파 방송국 - MBC충북
    MBC충북은 충청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MBC의 지역 방송국으로, 청주시와 충주시에 방송국을 두고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대전문화방송과 함께 충청권 지상파 DMB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국 - KBS목포방송국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개국한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으로,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목포 및 전남 서남부 지역에 뉴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국 - KBS광주방송총국
    KBS광주방송총국은 1939년 라디오 출장소 설치를 시작으로 광주 지역 방송 역사를 시작하여, 현재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뉴스, 교양, 정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KBS대전방송총국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98년 7월 15일에 준공한 KBS 대전방송총국 만년동 사옥
1998년 7월 15일에 준공한 KBS 대전방송총국 만년동 사옥
한자KBS大田放送總局
영문명KBS Daejeon Broadcasting Branch Office
약칭KBS대전, 대전한국방송
구분공영 방송
방송 영역지상파 방송
창립일1940년 8월 5일
개국일1943년 7월 7일
본사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대로117번길 128
총국장유진환
모기업한국방송공사
웹사이트KBS대전방송총국
대전 KBS1
개국일1978년 7월 1일
위성 채널9번 KT 스카이라이프
디지털 채널9번 KT지니TV, SK브로드밴드, LGU+

2. 역사

1943년7월 15일 - 사단법인조선방송협회 대전방송국(호출 부호: '''JBIK''')으로 개국하였다.

1947년10월 1일 - 호출 부호를 '''HLKI'''로 변경하였다.

1986년 - KBS 대전방송총국으로 개칭하였다.

1995년 - 대전방송 개국으로 천안과 서산에 설치했던 사업소를 폐지하였다.

1998년2월 - 신사옥을 만년동으로 이전하였다.

2. 1. 일제강점기

1940년 8월 5일 대전부 북정 15번지(현 대전광역시 중구 목동)에 13평 규모의 조선방송협회 대전방송국 출장소로 출범하였다. 1942년에 출장소에서 방송국으로 승격하였고, 1943년 7월 15일 정식으로 '''조선방송협회 대전방송국'''이 개국하였다. (AM 880㎑, 출력 50W, 호출 부호: '''JBIK''') 원래는 한국어로 방송하는 제2방송과 함께 세울 계획이었지만 1942년 4월 27일 전파관제가 이루어지면서 제2방송의 전파발사가 일단 중지 되었기 때문에 제1방송만 공사가 진행되어 먼저 방송을 실시하게 되었고, 한국어 방송은 1943년 11월 10일부터 실시하게 되었다. 당시 사옥은 6,600평의 넓은 부지에 기와를 올린 벽돌조 단층 130평의 건물로 연주실, 송신기실, 사무실 등을 마련하고 따로 송신소는 두지 않은 채 방송을 하였다. 그 후 1944년 10월 1일 45M 목주안테나를 설치하여 송신소를 따로 건설하였다.

2. 2. 광복 이후

광복 후 방송국에 있던 일본인 직원들은 모두 물러나고 한국인 직원들로 채워졌다. 1947년 10월 1일 호출 부호를 일본식 '''JBIK'''에서 한국식 '''HLKI'''로 변경하였고, 1948년 8월 6일에는 사명을 '''대한방송협회 대전방송국'''으로 변경하였다. 또한 1949년 7월 26일에는 기존 50W이던 방송 출력을 500W로 증강하는 등 새로운 도약을 시작하였다.

2. 3. 6.25 전쟁 시기

6.25 전쟁 발발 후 대전이 임시수도가 되면서, 대전방송국은 1950년 6월 28일부터 임시중앙방송국 역할을 수행하였다. 방송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국무회의에 보고하고, VOA를 비롯한 해외 방송 및 북한 측 방송을 청취하여 분석 보고서를 제출하는 등 중요한 업무를 담당하였다.

전쟁 중 대전방송국은 지리적 중요성으로 인해 전략적으로 가장 중요한 방송국이 되었고, 1951년 11월 8일부터 1952년 11월 5일까지 10㎾ 출력 증강 공사를 진행하여 지역국 최초로 10㎾의 대출력 송신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이는 서울의 송신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를 대비한 조치였다.

2. 4. 1960년대 ~ 1990년대

1961년 1월 22일, KBS대전방송총국은 사옥을 대흥동으로 이전하고 목동 사옥은 송신소로 사용하였다. 1965년 8월 5일에는 홍성중계소(AM 510㎑)를 설치하였다.

1966년 5월 16일, 충청 지역 최초로 식장산TV중계소가 준공되어 KBS TV 방송을 중계하였다. 식장산TV중계소는 남한 중앙에 위치하여 전국 TV 방송망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1973년 3월 1일, KBS가 공사로 출범함에 따라 한국방송공사 대전방송국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1976년에는 목동 송신소를 회덕으로 이전하여 20㎾급 대덕송신소(AM 882㎑)를 준공하였다. 1978년 11월 17일, 목동에 신 청사를 준공하였다.

1978년 11월 20일, 계룡산TV, 표준FM송신소를 설치하고 자체 TV 방송을 시작하였다. 1981년 3월 20일, 식장산중계소에서 KBS 2TV 방송을 시작하였고, 1981년 5월 25일에는 음악FM방송을 개국하였다. 1982년 3월 4일, KBS대전 제1라디오를 FM으로 수신, 표준FM(모노)으로 동시 방송을 시작하였고, 1983년 2월 12일부터 계룡산송신소에서 KBS 2TV 방송을 시작했다.

1986년 12월 8일, 대전방송국은 대전방송총국으로 승격되었다. 1987년 7월 20일, 공주방송국이 신설되면서 공주중계소, 부여중계소, 부여출장소 담당을 이관하였다.

1995년, 대전방송 개국으로 천안과 서산 사업소를 폐지하였다. 1998년 2월 28일, 만년동 신사옥으로 이전하였고, 7월 15일에는 신사옥 준공식을 가졌다.

2. 5. 2000년대 이후

2001년 12월 5일 KBS 제2라디오 FM방송(100.9㎒)을 개국했다. 2004년 7월 12일 계룡산송신소와 식장산중계소에서 1TV, 2TV 디지털방송을 개국하여 송출하기 시작했다. 2005년 2월 18일에는 계룡산, 식장산에서 EBS-DTV 방송을 시작했고, 12월 26일에는 흑성산중계소, 2006년 6월 1일에는 원효봉중계소 등 기간급 중계소에도 디지털TV방송 중계시설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2007년 1월 11일부터 식장산송신소에서 지상파DMB방송을 실시했고 같은 해 8월 1일 정식으로 개국하였다. 2007년 12월 13일 HD뉴스부조와 TOC를 준공하여 HDTV방송 기반시설을 구축했다. 2008년 1월 4일 계룡산송신소의 KBS 제1라디오 표준FM 출력을 증강했고, 9월 2일에는 홍성방송센터를 개소했다. 2012년 10월 16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을 종료, 2013년 10월 16일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채널 재배치를 실시하였다. 2017년 12월 29일에는 KBS대전1TV와 KBS대전2TV UHD 방송을 개국했다.

3. 방송 송출 시설

3. 1. TV

wikitext

; KBS 제1TV

  • 호출부호: HLKI-DTV
  • 가상채널: 9-1


; KBS 제2TV

  • 호출부호: HLQT-DTV
  • 가상채널: 7-1


송신소UHDHD송신소 위치
물리채널출력물리채널출력
1TV2TV1TV2TV
계룡산 송신소CH 52CH 562㎾CH 26CH 321kW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
식장산 중계소5㎾CH 14CH 162.5kW대전 동구 낭월동 300
적오산 소출력구축 예정CH 14CH 160.05W대전 유성구 화암동 산11
추부 중계소CH 19CH 205W충남 금산군 추부면 추정리 산54-3
성당리 소출력CH 14CH 160.05W충남 금산군 추부면 성당리
진산 중계소CH ??CH 285W충남 금산군 진산면 읍내리 156-2
군북 중계소CH ??CH 285W충남 금산군 군북면 동편리 산61
금산 중계소CH 41CH 4220W충남 금산군 금산읍 신대리 662-4
제원 중계소CH 19CH 2010W충남 금산군 제원면 저곡리 산603-4
남이 중계소CH 19CH 205W충남 금산군 남이면 하금리 산11
초현 중계소CH 19CH 205W충남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 산45-8
부리 중계소CH ??CH 285W충남 금산군 부리면 양곡리 산83
양촌 중계소CH 39CH 405W충남 논산시 양촌면 인천리 산6
내판 소출력CH 14CH 160.05W세종 연동면 송용리
공주 중계소CH 44CH 4520W충남 공주시 반죽동 산2-1 봉황산
유구 중계소CH 29CH ??10W충남 공주시 유구읍 만천리 산24
청양 중계소CH 44CH 5120W충남 청양군 청양읍 장승리 산62-4
외산 중계소CH 21CH 205W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산29
청라 중계소CH ??CH ??5W충남 보령시 청라면 나원리 산94
옥마산 중계소CH 28CH 3690W충남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비인 중계소CH 20CH 215W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산39-1
판교 중계소CH 20CH 215W충남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 산18-1
서천 중계소CH 28CH 3620W충남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34 남산
흑성산 중계소CH 30CH 562㎾[1]CH 44CH 501kW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지산리 산11-3
원효봉 중계소CH 37CH 562㎾[2]CH 23CH 211kW충남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
당진 중계소구축 예정CH 44CH 4510W충남 당진시 읍내동 234-29
정미 중계소CH 44CH 4510W충남 당진시 정미면 승산리 산1
갈산 중계소CH 14CH 155W충남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산14
안면 소출력CH 23CH 210.05W충남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3. 1. 1. 송신소 및 중계소

wikitext

송신소UHDHD송신소 위치
물리채널출력물리채널출력
1TV2TV1TV2TV
계룡산 송신소CH 52CH 562㎾CH 26CH 321kW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
식장산 중계소5㎾CH 14CH 162.5kW대전 동구 낭월동 300
적오산 소출력구축 예정CH 14CH 160.05W대전 유성구 화암동 산11
추부 중계소CH 19CH 205W충남 금산군 추부면 추정리 산54-3
성당리 소출력CH 14CH 160.05W충남 금산군 추부면 성당리
진산 중계소CH ??CH 285W충남 금산군 진산면 읍내리 156-2
군북 중계소CH ??CH 285W충남 금산군 군북면 동편리 산61
금산 중계소CH 41CH 4220W충남 금산군 금산읍 신대리 662-4
제원 중계소CH 19CH 2010W충남 금산군 제원면 저곡리 산603-4
남이 중계소CH 19CH 205W충남 금산군 남이면 하금리 산11
초현 중계소CH 19CH 205W충남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 산45-8
부리 중계소CH ??CH 285W충남 금산군 부리면 양곡리 산83
양촌 중계소CH 39CH 405W충남 논산시 양촌면 인천리 산6
내판 소출력CH 14CH 160.05W세종 연동면 송용리
공주 중계소CH 44CH 4520W충남 공주시 반죽동 산2-1 봉황산
유구 중계소CH 29CH ??10W충남 공주시 유구읍 만천리 산24
청양 중계소CH 44CH 5120W충남 청양군 청양읍 장승리 산62-4
외산 중계소CH 21CH 205W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산29
청라 중계소CH ??CH ??5W충남 보령시 청라면 나원리 산94
옥마산 중계소CH 28CH 3690W충남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비인 중계소CH 20CH 215W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산39-1
판교 중계소CH 20CH 215W충남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 산18-1
서천 중계소CH 28CH 3620W충남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34 남산
흑성산 중계소CH 30CH 562㎾[1]CH 44CH 501kW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지산리 산11-3
원효봉 중계소CH 37CH 562㎾[2]CH 23CH 211kW충남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
당진 중계소구축 예정CH 44CH 4510W충남 당진시 읍내동 234-29
정미 중계소CH 44CH 4510W충남 당진시 정미면 승산리 산1
갈산 중계소CH 14CH 155W충남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산14
안면 소출력CH 23CH 210.05W충남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3. 2. 라디오

wikitable

KBS대전 제1라디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방송구역
대덕 송신소AM 882kHz20kWHLKI대전 대덕구 와동 291-2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계룡산 송신소FM 94.7MHz3kWHLKI-SFM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흑성산 송신소FM 89.9MHz1kW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촌리 산32-4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원효봉 중계소FM 88.1MHz250W충남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옥마산 중계소FM 107.3MHz100W충남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서천 중계소FM 88.9MHz90W충남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34 남산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KBS대전 제2라디오 (해피FM)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방송구역
식장산 송신소FM 100.9MHz3kWHLQT-SFM대전광역시 동구 낭월동 300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지역
옥마산 중계소FM 89.5MHz100W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지역[3]



KBS대전 음악FM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방송구역
계룡산 송신소FM 98.5MHz5kWHLKI-FM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식장산 중계소FM 102.1MHz3kWHLKQ-FM대전 동구 낭월동 300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청주 송출


3. 2. 1. KBS대전 제1라디오

wikitable

KBS대전 제1라디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방송구역
대덕 송신소AM 882kHz20kWHLKI대전 대덕구 와동 291-2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계룡산 송신소FM 94.7MHz3kWHLKI-SFM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흑성산 송신소FM 89.9MHz1kW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촌리 산32-4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원효봉 중계소FM 88.1MHz250W충남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옥마산 중계소FM 107.3MHz100W충남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서천 중계소FM 88.9MHz90W충남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34 남산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3. 2. 2. KBS대전 제2라디오 (해피FM)

wikitable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방송구역
식장산 송신소FM 100.9MHz3kWHLQT-SFM대전광역시 동구 낭월동 300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지역
옥마산 중계소FM 89.5MHz100W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지역[3]


3. 2. 3. KBS대전 음악FM

wikitable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방송구역
계룡산 송신소FM 98.5MHz5kWHLKI-FM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식장산 중계소FM 102.1MHz3kWHLKQ-FM대전 동구 낭월동 300대전·세종·충남·충북 전지역, 청주 송출


3. 3. 지상파DMB

KBS대전방송총국은 지상파DMB 사업자로 U-KBS를 운영하고 있으며, 호출부호는 HLKI-TDMB이다. 식장산, 계룡산, 옥마산, 원효봉에 송신소를 두고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송신소물리 채널 (주파수)공중선 전력
식장산K-11Bch (201.008MHz)2kW
계룡산K-11Bch (201.008MHz)2kW
옥마산K-11Bch (201.008MHz)90W
원효봉K-11Bch (201.008MHz)1kW


4. 프로그램

4. 1. TV 프로그램

KBS 뉴스광장 대전·세종·충남은 평일 아침 7시 35분부터 7시 50분까지 15분간 김연선 앵커의 진행으로 방송된다. KBS 뉴스 930 대전·세종·충남은 평일 오전 9시 50분부터 10시까지 10분간 박명원 앵커가 진행한다. KBS 뉴스 7 대전·세종·충남은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는 저녁 7시부터 7시 40분까지 40분간 송민석, 김숙경 앵커가 진행하며, 금요일에는 저녁 7시 20분부터 7시 25분까지 5분간 김숙경 앵커가 단독으로 진행한다. KBS 뉴스 9 대전·세종·충남은 평일 밤 9시 35분부터 9시 45분까지, 주말에는 밤 9시 20분부터 9시 30분까지 방송되며, 평일에는 황정환, 손지화 앵커가, 주말에는 무작위 앵커가 진행한다.

월요일과 화요일 오후 5시 30분에는 "전국을 달린다"가 방송되며, 금요일 오전 11시에는 스페셜이 방송된다. 수요일부터 금요일 오후 5시 40분에는 "TV이웃 다정다감"이 방송된다. 화요일 저녁 7시 40분에는 "우리 동네 (대전)"가 방송되며, 수요일 저녁 7시 40분에는 "과학으로 보는 세상 SEE"가 방송된다. 금요일 아침 8시 25분에는 아침마당 (대전)이 방송된다. 금요일 오후 5시 30분에는 이야기가 있는 풍경이 방송되며, 오후 5시 40분에는 KBS대전 생생토론이 "생생토크"라는 이름으로 방송된다.

모든 방송은 HD 기준으로 제작되며, 지역총국은 DMB 방송을 하지 않는다. 6시 내고향은 월요일부터 목요일 사이에 네트워크 제작을 한다.

4. 2. 라디오 프로그램

4. 2. 1. 제1라디오

4. 2. 2. 제2라디오

손지화가 진행하는 손지화의 뮤직런은 연예오락 프로그램으로, 평일 저녁 6시부터 7시까지 방송된다.

4. 2. 3. 대전FM

김연선이 진행하는 팝브런치는 평일 오전 11시부터 12시까지 방송되는 음악 프로그램이다.

5. 조직

KBS대전방송총국의 조직은 다음과 같다.


  • 편성제작팀: 텔레비전 제작, 편성을 담당한다.
  • 과학프로젝트팀
  • 보도팀: 영상 취재, 취재를 담당한다.
  • 기술팀: 기술 관리, 텔레비전 기술, 라디오 기술, 중계 기술, 송출 기술을 담당한다.
  • 총무팀: 총무, 재원 관리를 담당한다.


KBS대전방송총국은 공주 사업소, 홍성 사업소, 천안아산방송센터, 홍성방송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천안아산방송센터는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고속철대로 151(장재리)에 위치하며, 홍성방송센터는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상하천로 24-1(신경리)에 위치한다.

6. 인물

6. 1. 현직 아나운서

KBS대전방송총국에는 1995년에 입사한 김연선 아나운서, 2001년에 입사한 김숙경 아나운서, 2004년에 입사한 최연수 아나운서가 있다. 2005년에는 전유미 아나운서, 2007년에는 박명원 아나운서, 2008년에는 손지화 아나운서, 그리고 2014년에는 김형철 아나운서가 입사했다.

6. 2. 전직 아나운서


  • 김윤한(1968~1985, 전 KBS 서울본국)
  • 이종태(1981~2008, 현 퇴사)
  • 백운기(1984~1985, KBS 광주방송총국 이전 현 퇴사)
  • 박윤도(1985~2010, 현 퇴사)
  • 윤성원(1993~1994, 전 KBS 서울본국)
  • 양민오(2004~2007, 전 KBS 전주총국 기자/현 KBS 대전총국 보도국 편집부장)
  • 박장훈(2004~2005, 전 KBS 원주국 기자/현 KBS 대전총국 보도국 기자)
  • 송민석(2005~2008, 전 KBS 원주국 기자/현 KBS 대전총국 보도국 기자)
  • 최시중(1996~2003, 현 KBS 서울본국)
  • 박성준(1996~2012, 전 JTBC 아나운서 팀장, 현 정치인)
  • 이윤영(1991~1996, 현 CJB 청주방송 아나운서, 기자)
  • 김빅토리아노(2021.2~2021.8, 전 UBC 울산방송/현 연합뉴스TV 아나운서)
  • 김이숙(1990~2003, 퇴사)
  • 지승현(2000~2001, 전 KBS 서울본국, 현 프리랜서 MC)
  • 배유선(1978~2012, 퇴사)
  • 변우영(1994~1997, 현 KBS 서울본국)
  • 윤지영(1997~1998, 현 KBS 서울본국)
  • 김여진(1998~2004, 전 YTN 아나운서)
  • 박주아(2000~2001, 현 KBS 서울본국)
  • 주혜연(2001~2008, 현 퇴사/2009~2010, 전 KFN 국군방송 아나운서)
  • 위서현(2003~2004, 전 KBS 서울본국)
  • 이승연(2004~2005, 현 KBS 서울본국)
  • 김지연(2010~2016, 현 KBS 서울본국 홍보부)
  • 한보선 (2020.11~2021.8)
  • 맹수지 (2020.8~2022.2)

6. 3. 현직 기자

서영준 보도국장, 조영호 편집부장, 유진환 취재부장, 박종오, 박장훈, 양민오, 송민석, 황정환, 이용순, 홍정표, 박해평, 박병준, 최선중, 정재훈, 성용희, 백상현, 박연선, 곽동화, 김예은, 박지은, 이정은, 조정아, 이연경, 한솔

6. 4. 전직 기자

이재호, 곽영지, 유승영, 김진원, 홍지명, 서기상, 최성원, 이종국, 이정두, 김택현, 김성우, 이재희, 방석준, 박에스더, 김양순, 윤진, 김빛이라, 이지윤, 홍화경, 한보선

최기정, 최해정, 한은지

7. 비판 및 논란 (선택 사항)

참조

[1] 웹인용 UHDTV 송신기 2종 16점 구매관련 지명경쟁입찰 공고문 https://tender.kbs.c[...] 한국방송공사 2022-05-06
[2] 웹인용 UHDTV 송신기 2종 16식 구매 https://tender.kbs.c[...] 한국방송공사 2023-03-04
[3] 웹인용 KBS옥마산제2표준FM방송보조국 개설허가 알림 https://web.archive.[...] 2022-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