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룡시는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대한민국 육군, 해군, 공군 3군 본부가 계룡대로 이전하면서 도시화가 진행되어, 2003년 논산시에서 분리되어 승격된 충청남도의 시이다. 국방도시 건설을 목표로 조성되었으며, 계룡대, 계룡산국립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3면 1동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4만 4천여 명이다. 호남선 철도와 호남고속도로지선이 지나 교통이 편리하며, 대전광역시와 인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룡시 - 계룡대
계룡대는 충청남도 계룡시에 위치한 대한민국 육군, 해군, 공군 본부가 함께 있는 3군 통합 기지로서, 각 군 본부의 정책, 편성, 인사, 군수 작전 지원 등 군 운영에 관한 사항을 총괄하며, 군인 가족들을 위한 복지 시설과 통일탑이 위치해 있다. - 계룡시 - 계룡도서관
계룡도서관은 2006년 5월 2일 개관한 대한민국 계룡시 소재 도서관으로,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에 어린이 자료실, 디지털 자료실, 종합자료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지역 주민들에게 자료 열람 및 문화 활동 기회를 제공하며 매주 월요일 및 공휴일에 휴관한다. - 충청남도의 도시 - 당진시
당진시는 충청남도에 위치하며, 현대제철을 포함한 여러 산업 시설이 있어 물류가 활발하며, 1914년 면천군과 통합되어 당진군이 되었다가 2012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충청남도의 도시 - 공주시
공주시는 충청남도 중앙 동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수도 웅진으로서 번영을 누렸고, 충청 지역의 중심지, 충청도 감영 위치 등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도농복합시로서 백제 유적과 자연경관, 교육기관,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역사와 문화 관광 도시이다. - 2003년 설치 - 증평군
충청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증평군은 충북에서 면적이 가장 작은 군으로, 1읍 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3년에 군으로 승격되었고, 첨단산업과 농업이 공존하며 좌구산휴양림과 증평 선애삼 등의 특산물이 있다. - 2003년 설치 - 영통구
영통구는 경기도 수원시 동부에 위치한 일반구로, 2003년 팔달구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으며 매탄동, 영통동, 원천동, 광교동, 망포동 등 12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삼성전자 본사와 수원사업장, 경기도청 신청사가 위치해 있다.
계룡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계룡시 |
한글 | 계룡시 |
로마자 표기 | Gyeryong-si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yeryong-si |
지역 | 호서 지방 |
방언 | 충청 방언 |
면적 | 60.7 km² |
인구 (2024년 9월 기준) | 46,687명 |
인구 밀도 | 704명/km² |
하위 행정 구역 | 3 면, 1 동 |
![]() | |
![]() |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3 면 1 동 |
상징 | |
시목 | 소나무 |
시화 | 철쭉 |
시조 | 팔색조 |
상징 동물 | 용도령 |
기타 정보 | |
전화 지역 번호 | 042 |
공식 웹사이트 | 계룡시청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대한민국 육군·해군·공군 3군 본부가 계룡대로 이전하면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3] 충청남도는 전원·문화·국방 신도시 건설을 목표로 1990년 2월 계룡출장소를 설치하였고, 2003년 9월에 논산시에서 분리되어 계룡시로 승격하였다. 펜타곤이 있는 미국 버지니아주 아링턴이나 웨스트포인트(육군사관학교)가 있는 뉴욕주 하이랜드와 같은 국방도시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도시가 조성되었으며, 충청남도는 인구 15만명 수용 규모의 신도시를 건설한다는 계획 아래 택지개발 및 주택건설, 도시기반시설 구축, 생활편익시설 확대 등의 개발사업을 진행해 왔다.
계룡은 서울 근교를 제외하면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설립된 도시 중 하나이다. 2003년 논산에서 분리되면서 도시로 승격되었다.
오래된 주민들 사이에서는 계룡 지역을 신도안이라고 불렀다. 계룡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대전의 위성 도시로 여겨지기도 한다.
계룡대는 군 전략의 안정화와 국토의 균형 발전을 위해 구상된 대한민국 국군의 통합사령부로, 1989년부터 1993년에 걸쳐 육군·해군·공군 각 군 본부가 논산시 두마면으로 이전하면서 형성되었다.
주변 도시화를 추진하기 위해 충청남도는 1990년대부터 두마면 일대에서 미국의 육군사관학교가 있는 웨스트포인트와 국방부가 있는 아링턴을 모델로 한 국방 신도시 건설을 구상하여, 인구 15만 명 규모의 신도시를 목표로 도시 기반 시설 정비 사업을 진행했다.
충청남도는 "계룡시" 설치를 정부에 지속적으로 요청하였고, 국회의 "계룡시 설치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003년 9월 논산시에서 두마면이 분리되어 계룡시가 설치되었다.
;설치 근거
:지방자치법[8]과 충청남도 계룡시 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 등에 관한 법률[9]에 설치 근거를 두고 있다.
;연혁
- 1895년 충청도 연산현이었다.[3]
- 1914년 일제강점기 이후 충청남도 논산군 두마면이 되었다.[3]
- 1989년 육군 본부·공군 본부 계룡대 이전 및 대덕군 진잠면 남선리가 두마면에 편입되었다.
- 1990년 충청남도 계룡출장소(두마·남선지소)가 설치되었다.
- 1991년 대통령 "계룡신도시 특정지역 지정" 지시가 있었다.[3]
- 1993년 해군 본부가 계룡대로 이전하였다.[3]
- 1996년 충청남도 논산시 두마면이 되었다.
- 2001년 9월 20일 김대중 대통령이 충청남도를 방문하여 특례시 설치를 약속하였다.[3]
- 2003년 6월 30일 계룡시 설치법이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되었고, 7월 18일 공포되었다.(법률 제6929호)[18]
- 2003년 9월 19일 논산시 두마면이 독립하여 '''계룡시'''로 승격(2면 1동)되었다. 당시 두마면의 일부는 남선면으로 분리되었고, 일부는 금암동으로 승격되었다.
- 2006년 3월 2일 두마면의 북부를 분리해 엄사면을 신설하여 3면 1동이 되었다.
- 2009년 5월 21일 남선면을 신도안면으로 개칭하였다.
2. 1. 설치 근거
지방자치법[8]과 충청남도 계룡시 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 등에 관한 법률[9]에 설치 근거를 두고 있다.2. 2. 연혁
1895년 충청도 연산현이었다.[3] 일제강점기 이후 1914년 충청남도 논산군 두마면이 되었다.[3] 1989년 육군 본부·공군 본부 계룡대 이전 및 대덕군 진잠면 남선리가 두마면에 편입되었다. 1990년 충청남도 계룡출장소(두마·남선지소)가 설치되었고, 1991년 대통령 "계룡신도시 특정지역 지정" 지시가 있었다.[3] 1993년 해군 본부가 계룡대로 이전하였다.[3] 1996년 충청남도 논산시 두마면이 되었다.2001년 9월 20일 대통령이 충청남도를 방문하여 특례시 설치를 약속하였다.[3] 2003년 6월 30일 계룡시 설치법이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되었고, 7월 18일 공포되었다.(법률 제6929호)[18] 2003년 9월 19일 논산시 두마면이 독립하여 '''계룡시'''로 승격(2면 1동)되었다. 당시 두마면의 일부는 남선면으로 분리되었고, 일부는 금암동으로 승격되었다.
2006년 3월 2일 두마면의 북부를 분리해 엄사면을 신설하여 3면 1동이 되었다. 2009년 5월 21일 남선면을 신도안면으로 개칭하였다.
계룡시는 서울 근교를 제외하면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설립된 도시 중 하나이다. 계룡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대전의 위성 도시로 여겨지기도 한다. 계룡대는 군 전략의 안정화와 국토의 균형 발전을 위해 구상된 대한민국 국군의 통합사령부로, 1989년부터 1993년에 걸쳐 육군·해군·공군 각 군 본부가 논산시 두마면으로 이전하면서 형성되었다. 충청남도는 1990년대부터 두마면 일대에 미국의 웨스트포인트와 국방부가 있는 아링턴을 모델로 한 국방 신도시 건설을 구상하여, 인구 15만 명 규모의 신도시를 목표로 도시 기반 시설 정비 사업을 진행했다.
3. 지리
계룡시는 충청남도 남동부에 위치하여 동서간 8.4km, 남북간 12.9km로 뻗어 있다. 동쪽으로 대전광역시, 서쪽과 남쪽으로는 논산시, 북쪽으로 공주시와 인접해 있다. 계룡산 동남의 구릉지로 산세에 따라 3개 지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룡시는 행정 구역상 충청남도에 속해 있으나 충청남도의 다른 시·군들과 달리 유선전화 지역번호로 대전광역시와 같은 042를 사용하고 계룡시와 대전을 오가는 시내버스도 제법 되는 등 생활권이 대전광역시에 속한다.[10][11] 또, 두계천을 경계로 계룡시의 동북쪽에 위치한 대전광역시 유성구 송정동, 세동 일원과 방동의 서부는 대전 도심과 거리가 멀고 지세가 분리되어 있어서 계룡시 생활권에 속한다.[10][11]
계룡시의 북서쪽 계룡산을 경계로 이웃한 계룡면은 공주시에 속한다.
계룡산(계룡산국립공원) 기암괴석과 계곡이 많으며, 불교 등의 성지이자 관광지이다.
3. 1. 인접 지역
계룡시는 충청남도 남동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대전광역시, 서쪽과 남쪽으로는 논산시, 북쪽으로 공주시와 인접해 있다. 계룡산 동남쪽의 구릉지에 위치하고 있다. 행정 구역상 충청남도에 속해 있으나, 대전광역시와 같은 042 유선전화 지역번호를 사용하는 등 생활권이 대전광역시에 속한다.4. 행정 구역
계룡시의 행정 구역은 3면(두마면, 엄사면, 신도안면) 1동(금암동)으로 구성되어 있다.[6] 계룡시의 면적은 60.74 km2로, 충청남도의 15개 시·군 중 면적이 가장 작다. 인구는 2022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으로 4만4,475 명, 1만8,051 가구이다.[6] 군사도시이지만, 남녀 성비는 0.99 : 1로 여성이 남성보다 조금 많다.
면·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법정동·리 |
---|---|---|---|---|---|
두마면 | 豆磨面 | 12.58 | 9,987 | 4,212 | 농소리, 두계리, 왕대리, 입암리 |
엄사면 | 奄寺面 | 17.91 | 17,862 | 7,876 | 광석리, 도곡리, 엄사리, 유동리, 향한리 |
신도안면 | 新都案面 | 27.37 | 8,286 | 2,579 | 남선리, 부남리, 석계리, 용동리, 정장리 |
금암동 | 金岩洞 | 2.88 | 8,340 | 3,384 | 금암동 |
계룡시 | 鷄龍市 | 60.74 | 44,475 | 18,051 | 1개 법정동 14개 법정리[15] |
4. 1. 행정구역 목록
계룡시의 행정 구역은 3면(두마면, 엄사면, 신도안면) 1동(금암동)으로 구성되어 있다.[6] 계룡시의 면적은 60.74 km2로, 충청남도의 15개 시·군 중 면적이 가장 작다. 인구는 2022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으로 4만4,475 명, 1만8,051 가구이다.[6] 군사도시이지만, 남녀 성비는 0.99 : 1로 여성이 남성보다 조금 많다.
면·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법정동·리 |
---|---|---|---|---|---|
두마면 | 豆磨面 | 12.58 | 9,987 | 4,212 | 농소리, 두계리, 왕대리, 입암리 |
엄사면 | 奄寺面 | 17.91 | 17,862 | 7,876 | 광석리, 도곡리, 엄사리, 유동리, 향한리 |
신도안면 | 新都案面 | 27.37 | 8,286 | 2,579 | 남선리, 부남리, 석계리, 용동리, 정장리 |
금암동 | 金岩洞 | 2.88 | 8,340 | 3,384 | 금암동 |
계룡시 | 鷄龍市 | 60.74 | 44,475 | 18,051 | 1개 법정동 14개 법정리[15] |
5. 인구
42,000명 정도의 계룡시 인구 중 절반에 가까운 18,000명이 엄사면에 거주한다. 계룡시청이 있는 금암동의 인구보다 훨씬 많다. 시청이 있는 동 지역보다 면 지역 인구가 더 많은 곳은 대한민국에서 계룡시가 유일하다.
2003년 계룡시 신설 당시 주민등록 인구는 3만1천137명이었고, 2010년 10월 말에 4만3천116명으로 정점을 이룬 후 인구가 감소하여 2013년 3월부터 2015년 7월까지 4만~4만900 명 대에서 정체되어 있다가 2015년 8월부터 다시 늘었다. 그 이유는 계룡대가 위치한 신도안면의 인구가 군인아파트의 재개발에 따라 2012년에 크게 줄었다가 2015년 8월부터 다시 증가했기 때문이다. 계룡시는 계룡대실도시개발구역개발지구 개발을 통해 인구 증가를 꾀하고 있다. 2013년 12월 기준 신도안면의 주민 평균연령은 28.6세로, 전국에서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은 젊은 도시이다.[16]
연도 | 총인구 | 비고 | |
---|---|---|---|
1990년 | 11,684명 | 계룡출장소 | |
1995년 | 15,495명 | ||
2000년 | 27,122명 | ||
2005년 | 31,699명 | 계룡시 | |
2010년 | 41,528명 | ||
2015년 | 39,243명 | ||
2019년 | 42,971명 | ||
2020년 | 42,822명 | ||
2022년 | 43,509명 |
5. 1. 인구 추이
2003년 계룡시 신설 당시 주민등록 인구는 3만 1,137명이었다.[16] 2010년 10월 말에 4만 3,116명으로 정점을 이룬 후 인구가 감소하여 2013년 3월부터 2015년 7월까지 4만~4만 900명 대에서 정체되었다.[16] 2015년 8월부터 계룡대가 위치한 신도안면의 인구가 군인아파트 재개발에 따라 2012년에 크게 줄었다가 다시 증가하면서 전체 인구가 늘었다.[16] 계룡시는 계룡대실도시개발구역 개발을 통해 인구 증가를 꾀하고 있다. 2013년 12월 기준 신도안면의 주민 평균 연령은 28.6세로, 전국에서 평균 연령이 가장 낮다.[16]계룡시의 인구는 42,000명 정도이며, 이 중 절반에 가까운 18,000명이 엄사면에 거주한다. 이는 시청이 있는 금암동보다 많은 수치로, 대한민국에서 시청 소재 동 지역보다 면 지역 인구가 더 많은 유일한 곳이다.
연도 | 총인구 | 비고 |
---|---|---|
1990년 | 11,684명 | 계룡출장소 |
1995년 | 15,495명 | 계룡출장소 |
2000년 | 27,122명 | 계룡출장소 |
2005년 | 31,699명 | 계룡시 |
2010년 | 41,528명 | 계룡시 |
2015년 | 39,243명 | 계룡시 |
2019년 | 42,971명 | 계룡시 |
2020년 | 42,822명 | 계룡시 |
2022년 | 43,509명 | 계룡시 |
6. 정치
계룡시장은 주민 직선으로 선출된다. 초대 및 4, 5대 시장은 최홍묵이다. 현 시장은 이응우이다.
대수 | 시장 | 임기 | 비고 |
---|---|---|---|
1 | 최홍묵 | 2003년 10월 31일 ~ 2006년 6월 30일 | 충청남도 계룡시장 |
2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3 | 이기원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4 | 최홍묵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5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6 | 이응우 | 2022년 7월 1일 ~현재 |
6. 1. 역대 계룡시장
계룡시장은 주민 직선으로 선출된다. 초대 및 4, 5대 시장은 최홍묵이다. 현 시장은 이응우이다.대수 | 시장 | 임기 | 비고 |
---|---|---|---|
1 | 최홍묵 | 2003년 10월 31일 ~ 2006년 6월 30일 | 충청남도 계룡시장 |
2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3 | 이기원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4 | 최홍묵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5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6 | 이응우 | 2022년 7월 1일 ~현재 |
7. 경제
페리카나의 본사가 이 도시에 있다.[4]
대한민국 국군과 국방부가 주요 고용주이며, 군 및 관련 산업이 발달하여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13][4] 계룡제1일반산업단지(계룡시 두마면 입암리)와 왕대공단(충남 계룡시 두마면 왕대리)이 있다.
2014년 계룡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8,729명으로 충청남도 총종사자 수의 1.1%를 차지한다. 이중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785명(9.0%),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7,920명(90.7%)이다. 2차산업은 충청남도 전체 비중(32.8%)보다 낮고, 3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 비중(66.7%)보다 높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4.0%), 교육서비스업(12.1%), 숙박 및 음식점업(11.9%), 공공행정(9.5%)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13] 페리카나의 본사가 이 도시에 있다.[4]
계룡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1조 1106억원으로 충청남도 지역내 총생산의 0.4%를 차지하고 있다. 농림어업(1차산업)은 82억원(0.74%),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1695억원(15.26%),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9,330억원(84%)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국방도시로서 공공행정(17.49%)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건설업(12.63%),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9.08%), 도소매업(8.15%)이 그 뒤를 잇고있다.[12] 페리카나의 본사가 이 도시에 있으며,[4] 계룡대의 인접성으로 인해 대한민국 국군과 국방부가 주요 고용주이다.
계룡시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39,863명이고 주간인구는 37,809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95로 낮다.[14]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4,797명, 유출인구는 5,783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01명, 유출인구는 1,269명으로 전체 유출인구가 2,054명 더 많다.[14] 이는 호남고속도로지선과 4번국도가 지나 교통이 편리하고 대전광역시와 인접해 있기 때문이다.[14]
7. 1. 산업
계룡시는 대한민국 국군과 국방부가 주요 고용주이며, 군 및 관련 산업이 발달하여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13][4] 계룡제1일반산업단지(계룡시 두마면 입암리)와 왕대공단(충남 계룡시 두마면 왕대리)이 있다.2014년 계룡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8,729명으로 충청남도 총종사자 수의 1.1%를 차지한다. 이중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785명(9.0%),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7,920명(90.7%)이다. 2차산업은 충청남도 전체 비중(32.8%)보다 낮고, 3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 비중(66.7%)보다 높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4.0%), 교육서비스업(12.1%), 숙박 및 음식점업(11.9%), 공공행정(9.5%)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13] 페리카나의 본사가 이 도시에 있다.[4]
7. 2. 지역내 총생산
계룡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1조 1106억원으로 충청남도 지역내 총생산의 0.4%를 차지하고 있다. 농림어업(1차산업)은 82억원(0.74%),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1695억원(15.26%),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9,330억원(84%)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국방도시로서 공공행정(17.49%)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건설업(12.63%),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9.08%), 도소매업(8.15%)이 그 뒤를 잇고있다.[12] 페리카나의 본사가 이 도시에 있으며,[4] 계룡대의 인접성으로 인해 대한민국 국군과 국방부가 주요 고용주이다.7. 3.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계룡시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39,863명이고 주간인구는 37,809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95로 낮다.[14]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4,797명, 유출인구는 5,783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01명, 유출인구는 1,269명으로 전체 유출인구가 2,054명 더 많다.[14] 이는 호남고속도로지선과 4번국도가 지나 교통이 편리하고 대전광역시와 인접해 있기 때문이다.[14]8. 사회
8. 1. 과제
2003년 9월 논산시와 분리되었지만, 계룡시는 아직도 경찰서, 세무서, 시군법원이 없는 도시이다. 현재 논산경찰서와 법원, 검찰청도 논산시내가 아닌 강경읍에 있어 계룡시민들의 불편이 크다.[17]경찰서가 없는 계룡시에는 계룡시 엄사면에 논산경찰서 계룡지구대가 하나 있다. 이는 계룡시민들의 치안 서비스 접근성을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이다. 논산시는 시내에 경찰서 부지를 확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경읍민들의 이전 결사반대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문제 해결에 미온적이다. 이는 지역 이기주의를 우선시하며 계룡시민들의 불편을 외면하는 행태로 비판받을 수 있다.[17] 계룡시가 중심이 되어 계룡경찰서 설치운동을 펼친 결과, 계룡경찰서 신설을 위한 국비 5억원(설계비)이 2020년 본예산에 편성되었고, 2019년 8월 29일 국무회의에서 통과되었다.[17]
논산소방서 계룡119안전센터는 소방서 부재로 인해 제한적인 소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계룡시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로, 조속한 해결이 필요하다.
8. 1. 1. 경찰서 신설 문제
계룡시는 2003년 9월 논산시와 분리되었지만, 아직도 경찰서, 세무서, 시군법원이 없는 도시이다. 현재 논산경찰서와 법원, 검찰청도 논산시내가 아닌 강경읍에 있어 계룡시민들의 불편이 크다.[17] 계룡시가 중심이 되어 계룡경찰서 설치운동을 했으며, 계룡경찰서 신설을 위한 국비 5억원(설계비)이 2020년 본예산에 편성, 2019년 8월 29일 국무회의에서 통과되었다.[17]경찰서가 없는 계룡시에는 계룡시 엄사면에 논산경찰서 계룡지구대가 하나 있다. 논산시도 시내에 경찰서 부지를 확보하고 있으나, 경찰서 소재지인 강경읍민들의 이전 결사반대에 손을 놓고 있다.
8. 1. 2. 기타 기관 부재 문제
논산소방서 계룡119안전센터는 소방서 부재로 인해 제한적인 소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8. 2. 도시 계획 문제
계룡시는 이름만 계룡시이지 현실은 엄사시다. 계룡시청 소재지가 금암동인데 아파트 단지가 고작 5곳이다. 시청 주변이 이렇게 휑한 곳은 전국 어디에도 없다. 시청이 지척이지만 빈 땅이 많고 곳곳은 방치되거나 농작물을 경작 중이다. 빈 땅엔 구절초 같은 잡초만 무성하다.계룡시 동면 지역 중 거주 주민이 가장 많은 곳이 엄사면이다. 거기에 아파트 단지가 9곳이다. 거주민이 많으니 대중 편의시설이나 상가가 대부분 엄사에 몰려있고 활성화 정도도 엄사면이 가장 높다. 시청이 소재하는 금암동은 영업이 잘 안돼 엄사로 상가를 옮기는 경우도 많다.
왜 이런 현상이 왔는가는 계룡시청의 책임이 크다. 금암동 도시계획을 짤 때 잘못했기 때문이다. 초대 시장을 지낸 최홍묵의 책임이 크다. 신설 금암동에 상가 지역을 너무 넓게 잡았고 도로와 공개 공지 등도 너무 과도하다. 기본적으로 도시가 활성화되려면 주민이 많아야 하고 주민이 많으려면 아파트나 오피스텔이 많이 생기도록 해야 한다. 시청 주변에 신성1차나 우림, 금암주공이 들어서 있지만 아파트 수가 너무 적다.
금암동 지역에 현재보다 더 많은 아파트가 들어설 수 있도록 도시계획을 짰어야 한다. 그러나 그러지 못했다. 현 구조로는 금암동이 활성화 될 기미는 전혀 없고 그럴 여건은 조성되지 않았다. 계룡시의 핵심 지역인 금암동 개발은 외면한 채 변두리인 대실지구와 하대실지구 개발에 치중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계룡시는 인구 증가를 위해 대실지구 개발을 추진 중이다. 대실지구엔 5곳 아파트에 입주민 4000세대가 입주 예정이다. 이어 하대실지구도 개발 예정이다. 하대실지구는 대실지구 위쪽 두마면 농소리 일원 약 26만 평방미터에 1169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2026년까지 진행하는 사업으로 2300세대를 조성하기 위한 사업이다.
8. 2. 1. 이케아 입점 무산
이케아코리아는 2022년 3월 28일 계룡시에 건축허가 취소 신청을 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 대전충남지역본부에 토지매매 리턴권(토지 반환으로 인한 계약금·원금 회수 절차)을 행사하여, 2016년부터 추진해온 이케아 계룡점 개점을 취소했다.이케아 계룡점이 들어설 예정이던 대실지구 아파트 분양권에 붙던 웃돈도 가격이 떨어졌다. 이케아 입점이 취소된 후 전용면적 59㎡ 기준 분양권에 7000만~8000만 원 붙던 프리미엄이 5000만 원으로 떨어졌다.
계룡시는 이케아 대신에 복합쇼핑몰 유치를 공언하지만, 소규모 지역에 소비층도 없는 계룡시 입지상 한계가 분명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9. 교통
9. 1. 철도
호남선이 동서로 관통하고 계룡역에 서대전역을 경유하는 KTX와 ITX-새마을, 무궁화호가 모두 정차한다. 모든 ITX-마음과 일부 특별 열차는 통과하며, 2024년 5월 1일부터 일부 ITX-마음 열차가 계룡역에 정차한다.
9. 2. 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이 외곽지역으로 남북을 관통하고 계룡 나들목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국도 제1호선과 국도 제4호선이 도심을 관통하고 있다. 계백로, 계룡대로, 번영로, 엄사중앙로 등이 있다.9. 3. 버스
계룡시는 2013년부터 시내버스 운행을 시작하였다. 경익버스에서 모든 노선을 운행하며, 일부 노선은 대전시내버스와 공동 배차하고 있다. 대전광역시 및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주된 교통카드로 이용 중인 티머니를 공용한다. 그 외에 논산시내버스 등이 계룡 시내를 운행하고 있다.별도의 버스터미널이 없어, 양정시외버스정류소나 시외버스나 고속버스를 이용해야 할 경우 서대전, 유성시외, 유성고속 등의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을 이용해야 한다. 다만, 엄사리와 금암동에서 서울남부터미널로 운행하는 시외버스가 한 시간에 한 대꼴로 있다.
10. 교육
계룡시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각 5개, 3개, 2개씩 있다.
계룡시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모두 설립되어 있다. 초등학교는 금암초등학교, 두마초등학교, 신도초등학교, 엄사초등학교, 용남초등학교가 있다. 중학교는 계룡중학교, 엄사중학교, 용남중학교가 있으며, 고등학교는 계룡고등학교, 용남고등학교가 있다.
10. 1. 교육기관 목록
계룡시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모두 설립되어 있다. 초등학교는 금암초등학교, 두마초등학교, 신도초등학교, 엄사초등학교, 용남초등학교가 있다. 중학교는 계룡중학교, 엄사중학교, 용남중학교가 있으며, 고등학교는 계룡고등학교와 용남고등학교가 있다.11. 문화/관광
계룡산(鷄龍山)은 공주시와 계룡시, 논산시 그리고 대전광역시에 걸쳐 있는 높이 845m의 산이다. 1968년 12월 31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충청 지역의 대표적인 명산으로, 계룡산의 천황봉과 연천봉, 삼불봉을 잇는 능선이 닭의 볏을 쓴 용을 닮았다 하여 계룡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최고봉인 천황봉의 높이는 해발 845m이고 계룡산 전체면적은 60.98 km2이다. 계룡산 기슭에는 동학사, 갑사, 신원사 등 유명한 사찰이 있으며, 국어교과서에 소개되었던 남매탑이 있다. 계룡산의 남쪽 지역인 신도안(新都案)은 지명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선 왕조 개국 직후 유력한 도읍지 후보 중 하나였다. 계룡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계룡산온천과 계룡산도예촌이 있고, 주변에는 국보로 지정된 문화재 등이 있어 관광지로 개발되어 있다. 다만 대부분의 관광지는 공주시 쪽에 있다.
계룡시에는 다음과 같은 관광지가 있다.
- 괴목정: 계룡시 신도안면 용동리에 있는 유서 깊은 공원이다. 옛날 사람들이 심은 괴목이 많아 괴목정이라 불린다고 전해진다. 무학대사가 꽂아 놓은 지팡이가 나무가 되었다는 전설도 있다.
- 사계고택(은농재): 김장생이 말년에 기거하다 죽은 곳으로, 두마면사무소 뒤편에 있다. 1990년 9월 27일 충청남도유형문화재 제134호로 지정되었다. 그의 묘는 논산시 연산면에 있고, 그의 아들 김집은 돈암서원을 세워 후학을 가르쳤다.
- 좌의정 묘: 두마면 왕대2리에 김국광의 묘가 있으며, 충청남도지정문화재자료 제308호이다. 왕대2리 일대 야산에는 광산 김씨 일족의 무덤들이 있다.
- 향적산: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와 논산시 상월면 대명리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향나무가 많아서 유래하였으며, 국사봉(國師峰)이라고도 한다. 태조 이성계가 신도안에 도읍을 정할 때 국사를 논했다는 국사봉(國事峰)이 부근에 있다.
- 계룡산: 해발 845m의 산으로 계룡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계룡산온천과 계룡산도예촌이 있다.
- 봉안사
11. 1. 계룡산
계룡산은 공주시와 계룡시, 논산시 그리고 대전광역시에 걸쳐 있는 높이 845m의 산이다. 1968년 12월 31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충청 지역의 대표적인 명산으로, 계룡산의 천황봉과 연천봉, 삼불봉을 잇는 능선이 닭의 볏을 쓴 용을 닮았다 하여 계룡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최고봉인 천황봉의 높이는 해발 845m이고 계룡산 전체면적은 60.98 km2이다. 계룡산 기슭에는 동학사, 갑사, 신원사 등 유명한 사찰이 있으며, 국어교과서에 소개되었던 남매탑이 있다. 계룡산의 남쪽 지역인 신도안(新都案)은 지명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선 왕조 개국 직후 유력한 도읍지 후보 중 하나였다. 계룡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계룡산온천과 계룡산도예촌이 있고, 주변에는 국보로 지정된 문화재 등이 있어 관광지로 개발되어 있다. 다만 대부분의 관광지는 공주시 쪽에 있다.11. 2. 기타 관광지
계룡시에는 다음과 같은 관광지가 있다.- 괴목정: 계룡시 신도안면 용동리에 있는 유서 깊은 공원이다. 옛날 사람들이 심은 괴목이 많아 괴목정이라 불린다고 전해진다. 무학대사가 꽂아 놓은 지팡이가 나무가 되었다는 전설도 있다.
- 사계고택(은농재): 김장생이 말년에 기거하다 죽은 곳으로, 두마면사무소 뒤편에 있다. 1990년 9월 27일 충청남도유형문화재 제134호로 지정되었다. 그의 묘는 논산시 연산면에 있고, 그의 아들 김집은 돈암서원을 세워 후학을 가르쳤다.
- 좌의정 묘: 두마면 왕대2리에 김국광의 묘가 있으며, 충청남도지정문화재자료 제308호이다. 왕대2리 일대 야산에는 광산 김씨 일족의 무덤들이 있다.
- 향적산: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와 논산시 상월면 대명리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향나무가 많아서 유래하였으며, 국사봉(國師峰)이라고도 한다. 태조 이성계가 신도안에 도읍을 정할 때 국사를 논했다는 국사봉(國事峰)이 부근에 있다.
- 계룡산: 해발 845m의 산으로 계룡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계룡산온천과 계룡산도예촌이 있다.
- 봉안사
12. 자매 도시
계룡시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증평군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또한 쿠바의 수도인 하바나와도 자매결연 관계에 있다. 2005년에는 전라남도 나주시와 제휴를 맺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Gyeryong si, Naver cast, sintaengniji
http://terms.naver.c[...]
[3]
웹사이트
Gyeryong City Introduction: History
https://web.archive.[...]
Gyeryong city official website
2009-12-22
[4]
웹사이트
Outline of the Pelicana Korea Ltd.
http://www.pelicana.[...]
2014-08-22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6]
웹인용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jumin.mois.g[...]
행정안전부
2020-12-13
[8]
법률
지방자치법 제7조제2항제4호
[9]
법률
충청남도 계룡시 설치 등에 관한 법률
[10]
뉴스
대전 송정동 주민 "계룡 두계천 교량 설치를"
http://www.cctoday.c[...]
충청투데이
2012-02-03
[11]
뉴스
논산소방-대전남부소방서 재난대응 MOU 체결
http://www.chungnami[...]
충남일보
2015-08-17
[12]
웹사이트
충청남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13]
웹사이트
충청남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14]
웹사이트
충청남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15]
웹사이트
행정구역 안내
http://www.gyeryong.[...]
2017-07-16
[16]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17]
저널
계룡경찰서 신설, '급물살'
http://www.ccnnews.c[...]
충청뉴스
2019-08-30
[18]
웹사이트
충청남도계룡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https://www.law.go.k[...]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