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폼일메티오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폼일메티오닌은 세균에서 단백질 합성을 시작하는 아미노산 잔기로, 폴리펩타이드의 N-말단에 위치한다. 세균은 메티오닌 대신 N-폼일메티오닌을 사용하여 단백질 합성을 시작하며, 진핵생물의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에서도 단백질 합성을 시작하는 데 사용된다. N-폼일메티오닌은 면역계가 세균과 같은 비자기를 인식하는 데 관여하며, 손상된 조직에서 방출되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신호로 작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름아마이드 - 다이메틸폼아마이드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는 유기 및 무기 화합물 용해에 널리 쓰이는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이자 아크릴 섬유, 플라스틱, 의약품, 농약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는 유기 화합물이지만, 가연성 및 건강 유해성으로 인해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다. - 포름아마이드 - 안티마이신 A
안티마이신 A는 어류의 세포 호흡을 억제하여 ATP 생산을 방해하고 어류 및 포유류에 독성을 나타내는 어살충제 Fintrol의 활성 성분이다. - 황 함유 아미노산 - 시스테인
시스테인은 설프하이드릴기를 가진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단백질 구성 성분이며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하고 식품, 제약, 퍼스널 케어 산업에서 활용된다. - 황 함유 아미노산 - 호모시스테인
호모시스테인은 시스테인과 유사한 아미노산으로, 혈중 농도가 높으면 다양한 질병의 위험 요소로 작용하며 비타민 B6, B9, B12 보충을 통해 관리하고, 한국에서는 신생아 선별 검사를 통해 선천성 호모시스틴뇨증을 진단한다. - 아미노산 유도체 - 아세틸시스테인
아세틸시스테인(NAC)은 점액 용해 작용을 하는 약물로, 파라세타몰 해독, 호흡기 질환 치료, 간 보호, 항균 효과가 있으며, 일부 부작용과 고용량 투여 시 위험이 존재하고, 현재 다양한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아미노산 유도체 - 아스파탐
아스파탐은 L-아스파르트산과 L-페닐알라닌의 디펩타이드 메틸 에스터로 이루어진 설탕의 약 180~200배 단맛을 내는 인공 감미료로, 안전성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는 일일 섭취 허용량 범위 내에서 섭취 시 안전하다고 평가되지만 페닐케톤뇨증 환자는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N-폼일메티오닌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IUPAC 명칭 | (S)-2-포르밀아미노-4-메틸술파닐부탄산 |
다른 이름 | 2-포르밀아미노-4-메틸술파닐-부티르산 포르밀메티오닌 N-포르밀(메틸)호모시스테인 |
약어 | fMet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4289-98-9 |
ChEBI | 182822 |
UNII | PS9357B4XH |
EINECS | 224-322-8 |
PubChem CID | 911 |
ChemSpider ID | 887 |
표준 InChI | 1S/C6H11NO3S/c1-11-3-2-5(6(9)10)7-4-8/h4-5H,2-3H2,1H3,(H,7,8)(H,9,10) |
표준 InChIKey | PYUSHNKNPOHWEZ-UHFFFAOYSA-N |
SMILES | CSCC[C@H](NC=O)C(O)=O |
특성 | |
분자식 | C6H11NO3S |
분자량 | 177.22 g/mol |
외관 | 해당사항 없음 |
밀도 | 해당사항 없음 |
녹는점 | 해당사항 없음 |
끓는점 | 해당사항 없음 |
용해도 | 해당사항 없음 |
위험성 | |
주요 위험 | 해당사항 없음 |
인화점 | 해당사항 없음 |
자연 발화점 | 해당사항 없음 |
GHS (유해성 분류) | |
신호어 | 경고 |
2. 단백질 합성에서의 기능
''N''-폼일메티오닌(''N''-formylmethionine, fMet)은 세균, 미토콘드리아, 엽록체에서 단백질 합성을 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생물들이 ''N''-폼일메티오닌을 이용한 단백질 합성 기작을 사용한다.
Methionyl-tRNA formyltransferase영어는 제거한다.
2. 1. 번역 과정
''N''-폼일메티오닌(fMet)은 세균에서 단백질 합성의 시작 잔기이며, 합성되는 폴리펩타이드의 ''N''-말단에 위치한다. ''N''-폼일메티오닌은 mRNA에 위치한 개시코돈인 5'-AUG-3'와 결합할 수 있는 안티코돈인 3'-UAC-5'를 가지고 있는 특이적 tRNA(tRNAfMet)에 의해 30S 리보솜-mRNA 복합체로 전달된다.[4] 따라서 ''N''-폼일메티오닌은 메티오닌과 동일한 코돈에 의해 암호화된다. AUG는 번역 개시코돈이기도 하다. 세균은 개시코돈에 대응하는 아미노산으로 메티오닌 대신 ''N''-폼일메티오닌을 사용하며, 합성되는 펩타이드 사슬에서 첫 번째 아미노산이 된다. 동일한 코돈이 나중에 mRNA에 나타나면, 일반적인 메티오닌이 사용된다.[4]메티오닌에 폼일기를 첨가하는 반응은 메티오닐-tRNA 폼일트랜스퍼레이스에 의해 촉매된다. 이 과정은 메티오닌이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에 의해 tRNAfMet에 결합된 후에 수행된다. 메티오닌 자체는 tRNAfMet 또는 tRNAMet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트랜스폼일레이스는 메티오닌이 tRNAMet가 아닌 tRNAfMet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만 메티오닌에 폼일기를 첨가하는 반응을 촉매한다.[4]
''N''-말단의 ''N''-폼일메티오닌은 두 가지 효소 반응에 의해서 숙주 단백질 및 재조합 단백질의 대부분에서 제거된다. 먼저, 펩타이드 디폼일레이스는 ''N''-폼일메티오닌을 탈폼일화하여 메티오닌으로 전환시킨다. 그런 다음 메티오닐 아미노펩티데이스가 사슬로부터 잔기를 제거한다.[22]
사람을 포함한 진핵생물의 미토콘드리아와 식물의 엽록체도 ''N''-폼일메티오닌으로 단백질 합성을 개시한다.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가 세균과 같이 ''N''-폼일메티오닌으로 단백질 합성을 개시한다는 점은 세포 내 공생설을 뒷받침하는 증거이다.[23]
2. 2. 번역 후 변형
''N''-폼일메티오닌은 세균에서 단백질 합성의 시작 잔기이며, 합성되는 폴리펩타이드의 ''N''-말단에 위치한다. ''N''-폼일메티오닌은 메티오닐-tRNA 폼일트랜스퍼레이스에 의해 메티오닌에 폼일기가 첨가된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메티오닌이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에 의해 tRNAfMet에 결합된 후에 수행된다.[22]''N''-말단의 ''N''-폼일메티오닌은 두 가지 효소 반응을 거쳐 제거된다. 먼저, 펩타이드 디폼일레이스는 ''N''-폼일메티오닌을 탈폼일화하여 메티오닌으로 전환시킨다. 그런 다음 메티오닐 아미노펩티데이스가 사슬로부터 잔기를 제거한다.[22]
사람을 포함한 진핵생물의 미토콘드리아와 식물의 엽록체도 ''N''-폼일메티오닌으로 단백질 합성을 개시한다. 이는 세포 내 공생설을 뒷받침하는 증거이다.[23]
2. 3. 세포 내 공생설과의 관련성
진핵생물의 미토콘드리아와 식물의 엽록체도 ''N''-폼일메티오닌으로 단백질 합성을 시작한다.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가 세균과 같이 ''N''-폼일메티오닌으로 단백질 합성을 개시한다는 점은 세포 내 공생설을 뒷받침하는 증거이다.[23]3. 면역학적 의의
''N''-폼일메티오닌(fMet)을 포함하는 올리고펩타이드와 단백질은 선천 면역계의 일부로서, 급성 염증 반응을 개시하거나 억제하고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다른 생리학적, 병리학적 반응에도 관여한다.[26]
3. 1. 자기-비자기 인식
''N''-폼일메티오닌은 세균이 생성하는 단백질에는 존재하지만, 진핵생물이 생성하는 단백질에는 (세균 유래의 세포 소기관을 제외하고)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면역계는 이를 자가와 비자기를 구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24][25][26] 다형핵 백혈구는 ''N''-폼일메티오닌으로 시작하는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순환하는 혈액 백혈구의 유인(attraction)을 시작하고, 그 후 식균작용과 같은 미생물 살상 활동을 자극할 수 있다.[10][11][12]''N''-폼일메티오닌은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가 생성하는 단백질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최근 이론에서는 면역계가 자가와 비자기를 구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분자로 보지 않는다.[27] 대신, ''N''-폼일메티오닌을 포함하는 올리고펩타이드와 단백질은 손상된 조직의 미토콘드리아뿐만 아니라 손상된 세균에서도 방출되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면역의 위험 모델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경고" 신호로 간주될 수 있다. 전형적인 ''N''-폼일메티오닌 함유 올리고펩타이드는 ''N''-폼일메티오닌-류실-페닐알라닌(FMLP)이며, 이는 백혈구 및 다른 세포 유형이 이 세포의 폼일 펩타이드 수용체 1(FPR1) 및 폼일 펩타이드 수용체 2(FPR2)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에 결합하여 활성화된다 (폼일 펩타이드 수용체 3 참조). 이러한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는 ''N''-폼일메티오닌 함유 올리고펩타이드 및 단백질은 선천 면역계의 일부이며, 급성 염증 반응을 시작하는 기능을 하지만, 다른 조건에서는 이러한 반응을 억제하고 해결하는 기능을 한다. ''N''-폼일메티오닌 함유 올리고펩타이드와 단백질은 다른 생리적 및 병리학적 반응에서도 작용한다.
3. 2. 위험 모델
''N''-폼일메티오닌은 세균이 생성하는 단백질에는 존재하지만, 진핵생물이 생성하는 단백질에는 (세균 유래의 세포 소기관을 제외하고)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면역계는 이를 자가와 비자신을 구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다형핵 백혈구는 ''N''-폼일메티오닌으로 시작하는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순환하는 혈액 백혈구의 유인(attraction)을 시작하고, 그 후 탐식작용과 같은 미생물 살상 활동을 자극할 수 있다.[24][25][26]''N''-폼일메티오닌은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가 생성하는 단백질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최근 이론에서는 면역계가 자가와 비자신을 구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분자로 보지 않는다.[27] 대신, ''N''-폼일메티오닌을 포함하는 올리고펩타이드와 단백질은 손상된 조직의 미토콘드리아뿐만 아니라 손상된 세균에서도 방출되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면역의 위험 모델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경고" 신호로 간주될 수 있다. 전형적인 ''N''-폼일메티오닌 함유 올리고펩타이드는 ''N''-포르밀메티오닌-류실-페닐알라닌 (FMLP)이며, 이는 백혈구 및 다른 세포 유형이 이 세포의 포르밀 펩타이드 수용체 1 (FPR1) 및 포르밀 펩타이드 수용체 2 (FPR2)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에 결합하여 활성화된다 (포르밀 펩타이드 수용체 3 참조). 이러한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는 ''N''-폼일메티오닌 함유 올리고펩타이드 및 단백질은 선천 면역계의 일부이며, 급성 염증 반응을 시작하는 기능을 하지만, 다른 조건에서는 이러한 반응을 억제하고 해결하는 기능을 한다. ''N''-폼일메티오닌 함유 올리고펩타이드와 단백질은 다른 생리적 및 병리학적 반응에서도 작용한다.
3. 3. 폼일 펩타이드 수용체 (FPR)
''N''-폼일메티오닌 함유 올리고펩타이드와 단백질은 포르밀 펩타이드 수용체 1(FPR1), 포르밀 펩타이드 수용체 2(FPR2), 포르밀 펩타이드 수용체 3(FPR3)에 결합하여 백혈구 등 세포를 활성화시킨다.[26] 이 수용체들을 통해 작용하는 ''N''-폼일메티오닌 함유 올리고펩타이드와 단백질은 선천성 면역 체계의 일부로, 급성 염증 반응을 일으키지만, 다른 조건에서는 이 반응을 억제하고 해결하기도 한다. 또한, 다른 생리학적, 병리학적 반응에도 작용한다.참조
[1]
웹사이트
N-Formyl-DL-methionine
https://pubchem.ncbi[...]
[2]
웹사이트
N-Formyl-DL-methionine
https://pubchem.ncbi[...]
PubChem
2020-10-24
[3]
문서
Nomenclature and Symbolism for Amino Acids and Peptides, 3AA-18 and 3AA-19
https://www.qmul.ac.[...]
[4]
논문
Two highly conserved features of bacterial initiator tRNAs license them to pass through distinct checkpoints in translation initiation.
2017-02-28
[5]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https://www.worldcat[...]
2014-11-18
[6]
논문
N-degron and C-degron pathways of protein degradation
2019-01-08
[7]
논문
Methionine or not methionine at the beginning of a protein
1985-07
[8]
논문
Formyl-methionine as a degradation signal at the N-termini of bacterial proteins.
2015
[9]
논문
Formyl-methionine as a degradation signal at the N-termini of bacterial proteins.
2015
[10]
간행물
GeorgiaImmunology
[11]
웹사이트
The Innate Immune System: Pattern-Recognition Receptors, Antigen-Nonspecific Antimicrobial Body Molecules, and Cytokines
http://student.ccbcm[...]
[12]
논문
Aggregation of complement receptors on human neutrophils in the absence of ligand
http://www.jcb.org/c[...]
1987-09
[13]
논문
Circulating mitochondrial DAMPs cause inflammatory responses to injury
2010-03-04
[14]
논문
Methionine or not methionine at the beginning of a protein
null
1985-07
[15]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https://www.worldcat[...]
2015
[16]
웹사이트
Steps Involved in Phagocytosis
http://www.lib.mcg.e[...]
조지아 의과대학
2014-11-22
[17]
웹사이트
The Innate Immune System: Pattern-Recognition Receptors, Antigen-Nonspecific Antimicrobial Body Molecules, and Cytokines
http://student.ccbcm[...]
2014-11-20
[18]
논문
Aggregation of complement receptors on human neutrophils in the absence of ligand
http://www.jcb.org/c[...]
1987-09
[19]
논문
Circulating mitochondrial DAMPs cause inflammatory responses to injury
https://pubmed.ncbi.[...]
2010-03-04
[20]
웹인용
N-Formyl-DL-methionine
https://pubchem.ncbi[...]
2020-10-24
[21]
문서
Nomenclature and Symbolism for Amino Acids and Peptides, 3AA-18 and 3AA-19
https://www.qmul.ac.[...]
[22]
논문
Methionine or not methionine at the beginning of a protein
1985-07
[23]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https://www.worldcat[...]
2014-11-18
[24]
간행물
GeorgiaImmunology
[25]
웹인용
The Innate Immune System: Pattern-Recognition Receptors, Antigen-Nonspecific Antimicrobial Body Molecules, and Cytokines
http://student.ccbcm[...]
[26]
논문
Aggregation of complement receptors on human neutrophils in the absence of ligand
http://www.jcb.org/c[...]
1987-09
[27]
논문
Circulating mitochondrial DAMPs cause inflammatory responses to injury
2010-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