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Stage (레인보우의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n Stage》는 1976년 레인보우의 일본 및 독일 투어 실황을 담은 라이브 앨범이다. 프로듀서 마틴 버치에 의해 트랙이 편집되었으며, 앨범에는 밴드의 공연 소개, "Over the Rainbow"의 연주와 "Kill the King"으로 이어지는 구성을 포함한다. 앨범은 1977년에 발매되었으며, 올뮤직의 제프 긴즈버그는 앨범에 대해 긍정적이지 않은 평가를 내렸다. 앨범은 일본에서 골드, 영국에서 실버 인증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7년 라이브 음반 - Jeff Beck with the Jan Hammer Group Live
《Jeff Beck with the Jan Hammer Group Live》는 제프 벡과 얀 해머 그룹이 1976년부터 1977년까지 진행한 라이브 투어 실황을 담은 앨범으로, 빌보드 200 앨범 차트 23위 등을 기록하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고 "Freeway Jam" 등 총 7곡이 수록되었다. - 1977년 라이브 음반 - Alive II
Alive II는 키스가 1977년 Love Gun Tour에서 녹음한 라이브 트랙과 스튜디오 신곡을 담아 빌보드 200 차트 7위에 오르는 상업적 성공을 거둔 두 번째 라이브 음반이다. - 마틴 버치가 프로듀싱한 음반 - Live After Death
아이언 메이든의 라이브 앨범이자 콘서트 비디오인 《Live After Death》는 1984년 Powerslave 투어의 롱비치 아레나 공연 실황을 담아 1985년에 발매되었으며, 윈스턴 처칠 연설 인트로와 데릭 릭스의 앨범 커버가 특징적인 밴드의 대표적인 라이브 앨범으로 평가받는다. - 마틴 버치가 프로듀싱한 음반 - Long Live Rock 'n' Roll
Long Live Rock 'n' Roll은 리치 블랙모어, 로니 제임스 디오, 코지 파웰이 참여하여 1978년에 발표한 영국의 하드 록 밴드 레인보우의 세 번째 정규 음반으로, 영국에서 실버 인증을 받고 "Long Live Rock 'n' Roll", "L.A. Connection" 등의 싱글을 발매했다.
On Stage (레인보우의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라이브 음반 |
아티스트 | 레인보우 |
발매일 | 1977년 7월 7일 (미국) 1977년 7월 15일 (영국) |
녹음 장소 | 독일, 일본 |
녹음 시기 | 1976년 9월, 12월 |
장르 | 하드 록 헤비 메탈 |
길이 | 64분 11초 |
레이블 | 오이스터/폴리도르 |
프로듀서 | 마틴 버치 |
싱글 | |
싱글 1 | Kill the King (Live EP) |
싱글 1 발매일 | 1977년 9월 2일 |
리뷰 | |
올뮤직 | Allmusic 링크 |
롤링 스톤 | Rolling Stone 링크 |
스푸트니크 뮤직 | Sputnik Music 링크 |
차트 성적 | |
일본 | 6위 |
영국 | 7위 |
미국 | 65위 |
레인보우 음반 연대기 | |
이전 음반 | Rising (1976년) |
다음 음반 | Long Live Rock 'n' Roll (1978년) |
2. 녹음
이 음반은 레인보우의 1976년 일본 및 독일 투어 중 여러 공연 실황을 담고 있다. 프로듀서 마틴 버치는 여러 날짜의 공연 녹음을 편집하여 하나의 트랙으로 만들기도 했으며, LP 분량에 맞추기 위해 실제 공연 순서와 다르게 트랙 순서를 변경했다.
구체적인 편집 내용으로는 "Mistreated"에서 기타와 보컬이 주고받는 부분을 제거하고, "Man on the Silver Mountain"에 포함되었던 딥 퍼플의 곡 "Lazy" 인트로 부분과 "Still I'm Sad"의 드럼 솔로를 삭제한 것 등이 있다.
또한 이 음반에는 레인보우 공연의 특징적인 시작 방식이 담겨 있는데, 영화 《오즈의 마법사》(1939)의 유명한 대사인 "토토: 우리가 더 이상 캔자스에 있지 않은 것 같아. 우린 분명 무지개 너머에 있는 거야!(Toto: I've a feeling we're not in Kansas anymore. We must be over the rainbow!eng)"[24]라는 음성이 흘러나오고, 마지막 단어 "Rainbow"가 메아리처럼 반복된 후 밴드가 "Over the Rainbow"의 일부를 연주하며 "Kill the King"으로 이어지는 구성을 따른다. "Kill the King"은 당시에는 정식 앨범에 발표되지 않은 신곡이었다.
원래는 1976년 12월 일본 투어의 음원만으로 라이브 앨범을 발매할 계획이었으나[21], 일부 멤버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대신 12월 16일 일본 무도관에서 열린 공연의 음원을 주로 사용하면서, "Kill the King"[22]과 "Still I'm Sad"[23] 트랙에는 같은 해 9월 독일 공연의 음원이 일부 포함되었다[24][25].
2. 1. 녹음 장소 및 날짜
뮌헨, 독일1976년 9월 29일
나머지 부분[4]